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강의평가에 대한 학생․교수 집단 간 인식 분석: K대학 강의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김승옥(Kim Seung Ok),박수미(Park Su M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이 연구는 강의평가 결과 신뢰성 및 활용에 대한 구성원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 기존 강의평가결과의 차이와 문항 중요도에 대한 집단 간 인식 차를 분석하여 강의평가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K대학 학 생․교수를 대상으로 기존 강의평가 문항별 의견과 강의평가 문제점 및 개선의견에 대한 인식조사를 시행 하였다. 학생과 교수 간의 인식비교를 위해 설문에 응답한 학생 1,124명, 교수 469명의 응답 결과 차이 분석을 위하여 빈도, 백분율, 비모수검정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의평가 문항별 분석결과, 강의평가의목적(우선순위), 강의평가의 필요성과 활용, 강의평가 문항 간소화의 적절성, 자율문항 추가의 적절성, 핵심역량 강의평가 문항 추가의 적절성에서는 교수와 학생 간의 인식의 차이가 있었으나 서술형 문항 포함의 필요성에서는 교수와 학생간의 인식의 차이가 없었다. 둘째, 강의평가 문제점과 개선의견에서는 학생은 강의평가 결과 반영, 익명성, 평가 문항 등의 문제점과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고, 교수는 강의평 가 결과에 대한 점수산정방식의 문제, 응답불신, 평가도구, 평가 결과와 좋은 수업불일치 등의 문제점과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강의평가의 이해관계자인 학생․교수 집단 간 인식비교분석 결과는 강의평 가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ways to enhance a course and teaching evaluation by analyzing the gaps in existing evaluation results and in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questionnaires among relevant groups to determine the shared views of these groups regarding the credibility and utilization of the evaluation results. To this end, a survey was distributed to students and professors at K University in Seoul asking them to share their opinions regarding the evaluation questionnaires, and to identify problems and ways to improve existing evaluations. Frequencies, percentages, and nonparametric tests were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responses between the 1,124 students and 469 professor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evaluation questionnaires showed perceptual gaps between students and professors regarding the purpose (priority), necessity, and utilization of the evaluations, as well as the adequacy of the simplified evaluations, the effectiveness of adding voluntary questions, and the effectiveness of adding questions about core competency; meanwhile, the survey results showed no difference in perceptions regarding the necessity of including write-out questionnaires. Second, regarding problems and ways to improve existing evaluations, the students pointed out the need to address issues with evaluation results, anonymity, and evaluation questionnaires while the professors identified problems with calculating evaluation scores, distrust of responses, evaluation tools, and contradictions between evaluation results and actual teaching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comparative analysis of the opinions of students and professors—the evaluation stakeholders—hav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evaluations.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수술실❳욕창예방 간호 실무지침 현황 및 적용실태 조사

        김승옥(Seung Ok Kim),신용순(Yong Soon Shi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1

        수술실 욕창 예방을 위한 간호 실무지침 현황 및 적용실태를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서울, 인천, 경기 지역의 상급 종합병원 4개와 전문병원 3개를 온라인 무작위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선정하였고 선정된 수술실에서 6개월 이상 근무경력을 가진 수술에 직접 참여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8년 1월부터 4월까지였고 설문지는 총 150명에게 배부하여 129명에게 회수(회수율 86%)하였다. 수술실 간호사들은 측위 43명(33.3%), 앙와위 37명(28.7%), 복와위 36명(27.9%)이 수술 체위 대상자들에게 욕창예방 간호 경험을 갖고 있고 주로 사용하는 지지표면은 젤 102명(79.1%), 스폰지 62명(48.1%), 솜 47명(36.4%)이었으며 지지표면 사용 전후로 2회(90명, 69.8%) 피부사정을 실시하지만 욕창위험 사정을 위해 특별한 도구를 사용하지 않았고(76명, 58.9%) 지지표면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수술 체위(83명,64.3%)를 지지표면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수술 소요 시간은 2시간 이상(49명,38.0%)임을 확인하였다. 수술실 간호사들이 수술 대상자들에게 욕창예방 간호을 위해 주로 사용하는 지지표면이 젤, 스폰지, 솜이었으며 지지표면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수술 체위를 지지표면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수술 소요 시간은 2시간 이상임을 확인하였다. This descriptive study examined the practical nursing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of pressure injuries (PI) in operating rooms and their application. Method: Four general hospitals and three specialized hospitals located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province were selected through an online randomization program and nurses at these hospitals who participated in operations and had at least six months work experience were surveyed.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to April 2018 through a survey distributed to 150 nurses, 129 of whom returned the survey (86% recovery rate). The results showed that 43 nurses provided PI prevention care for patients in a lateral position (33.3%), 37 for patients in a supine position (28.7%), and 36 for patients in a prone position (27.9%). Gel was most widely used as the supporting surface material (102 nurses; 79.1%), followed by sponge (62 nurses; 48.1%), and cotton (47 nurses; 36.4%). Skin was often inspected twice, before and after the use of a supporting surface (90nurses; 69.8%), but no designated tool was used to determine the risk of PI developing (76 nurses; 58.9%). Additionally, the patient"s position during surgery (83 nurses; 64.3%) and the length of the operation (i.e., more than two hours, in this case) (49 nurses; 38.0%) were determining factors for whether to use a supporting surface. The operating room nurses used the gel, sponge, and cotton as the supporting surfaces for the prevention of PI and confirmed that the cutoff operation time for the use of a supporting surface was more than 2 hours.

      • KCI등재
      • KCI등재

        유아의 인터넷 게임 과몰입 변인에 관한 연구

        김승옥(Kim Seung-Ok),유구종(Yoo Ku-Jong),김민경(Kim Min-Ky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유아의 인터넷 게임 과몰입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과의 관련성을 알아봄으로써 유아들의 인터넷 활용에 따른 인터넷 중독 등 역기능 문제에 조기 대처하고 유아들이 안전하게 인터넷 활동을 하는데 기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서울과 경기지역 7개 유치원에 재원 중인 4~5세 유아의 부모 239명을 대상으로 조시를 실시한 결과, 첫째, 유아의 1회 평균 인터넷 사용시간, 사용주기, 자기조절력, 유아가 사용하는 인터넷 내용에 대한 부모의 인지, 유아의 성별이 유아의 인터넷 게임 과몰입 행동 특성을 잘 설명해 줄 수 있는 변인들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1회 평균 인터넷 사용시간, 사용주기, 유아가 사용하는 인터넷 내용에 대한 부모의 인지, 자기조절력, 출생순위 순으로 유아의 게임지향적 생활에 유의한 설명력을 갖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자기조절력, 인터넷 사용주기, 유아의 1회 평균 인터넷 사용시간, 성별, 유아가 사용하는 인터넷 내용에 대한 부모의 인지 순으로 금단 및 정서 경험에 유의한 설명력을 갖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Recently, overindulgence of children's internet game has been identified as a serious problem of young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variables related to children's internet game overindulgence and to help children's safe use of internet.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239 parents of young children(77 4-year-olds and 162 5-year-olds) who enrolled in kindergarten in Seoul and Ky?nggi Province area.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below. First, Internet game overindulgence of young children is affected by internet game using time at once, internet using period, self-regulation, parent's recognition for using internet contents of their child, and sex. Second, Game oriented life of young children is affected by internet game using time at once, self-regulation, internet using period, self-regulation, and born order. Finally, Emotional experience of young children is affected by self-regulation of children, internet used period, inter used time at one time, sex, and parent's recognition for used internet contents of their child.

      • KCI등재

        플립러닝 온·오프라인 환경에 따른 실재감과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김승옥(Kim, Seung-Ok),유병민(Yu, Byeong-Min),김은하(Kim, Eun-H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8

        본 연구는 플립러닝 환경에서 학습성과를 촉진하는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을 탐구하고, 도출된 변인 간의 관계를 플립러닝의 온․오프라인으로 학습환경을 세분화하여 규명함으로서 효율적인 플립러닝을 운영하기 위한 함의 및 시사점 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교수․감성적․사회적․인지적 실재감을 상정하였다. 연구대상은 K대학 플립러닝 수업을 경험한 대학생 316명을 선정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측정도구의 신 뢰도 및 타당도, 상관관계를 검증한 후,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플립러닝의 온․오프라인에서 교수실재감이 감성적과 사회적 실재감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플립러닝의 온라인의 경우 감 성적과 사회적 실재감이 인지적 실재감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오프라인의 경우 인지적 실재감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플립러닝 온라인의 경우 교수·사회적·인지적 실재감이 학습몰입에 직접 영향을 미쳤고, 오프라인의 경우 사회적과 인지적 실재감이 학습몰입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플립러닝을 온․오프라인으로 세분화한 각각의 환경에서 효과적인 플립러닝 교수설계전략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efficient operation of flipped 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refore, In the flipped learning, I set up a research model by assuming Teaching Presence as an exogenous variable, the sub-factors of Learning Presence such as Emotional Presence, Social Presence, and Cognitive Presence as endogenous variables and Learning Flow as the final endogenous variable. Based on the purpose of research, their structural relationships were identified by segmenting them into online and offline environm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6 students who experienced Flipped Learning in K university. Data were coded for the analysis and then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validity and reliability check of measurement tool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alysis were performed. The major results of this paper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eaching Presence has direct influence on Emotional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both in online and offline flipped learning. Second, Emotional․Social Presence directly affected Cognitive Presence in online classes, and there was no variable making direct effect on Cognitive Presence in offline flipped learning. Third, Teaching․Social․Cognitive Presence directly affected learning Flow in online classes. On the other hand, Social․Cognitive Presence directly affected Learning Flow in offline clas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that have been subdivisions of online and offline classes in flipped learning will be used as a basic data for establishing effective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for flipped learning in the future

      • KCI우수등재

        교사가 평가한 유아 다중지능 평가도구(MIDAS-MYC)의 구조에 관한 연구

        양옥승(Ok Seung Yang),신화식(Hwa Sik Shin),이경옥(Kyung Ok Lee),황혜경(Hye Kyoung Hwang),김승옥(Seung Ok Kim) 한국아동학회 2004 兒童學會誌 Vol.25 No.4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Multiple Intelligence constructs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sub-areas and analysed the development of the Multiple Intelligence according to age and gender to evaluate Korean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 structures that teachers evaluated based on MIDAS-MYC.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158 4-5 year old children (71 4-year-old group(boy 38, girl 33); 87 5-year-old group(boy 40, girl 47)) in Seoul and Gyeonggi. We found several results which are as follows. 1) Reliability on each area of intelligence in MIDAS-MYC was good. 2)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the model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other studies that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 consists of eight intelligent areas that are independent to each other but are relative to each other. In particular, interpersonal-intrapersonal intelligence, languistic-inteapersonal intelligence, languistic-Interpersonal intelligence, and languistic-logic/math intelligence were high correlation. However, physical/motion-naturalist intelligence and musical-logic/math intelligence were low correlation. 3)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 differed according to age and sex, the 5-year-old was higher than 4-year-old and girls were higher than boys in a general way. 4) There was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 of evaluation based on MIDAS-MYC and the result of teacher`s subjective evaluation about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

      • Phantom을 이용한 X-ray Tube 각도에 따른 Stitching method 영상의 왜곡률에 관한 연구

        신준봉(Jun-Bong Shin),김승옥(Seung-ok Kim),김승래(Seung-Rae Kim)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2017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 Vol.2017 No.1

        목 적:대퇴골의 전장(The Full-legth examination of the femur)이나 하지(Lower extrenity) 검사 시 조사야의 넓이(FOV : Feild of view)나 검출기의 크기(Detecter size)의 한계로 인하여 최근 임상에서 Stitching method를 이용한 검사를 많이 하고 있다. 하지만 매번 검사자마다 X-ray Tube 각도가 다르게 주고 검사하기 때문에 Flat Phantom을 이용하여 X-ray Tube 각도에 따른 Stitching method 영상의 왜곡률이 얼마나 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Samsung XGEO GC80 디지털 X-ray 장비와 Flat Phantom (H 40 cm×V 116 cm×D2.3 cm 크기로 격자형 납이 삽입 된 아크릴)을 이용하여 조건을 60kVp, 10 mAs (20 mA, 500 msec), Collimator size는 17×17 cm,, AEC (Auto exposure control)은 off, Patient size은 Medium, Focal Spot은 Large, SID를 110 cm로 고정하고 검사테이블에서 Tube 각도를 0°를 기준으로 12°, 14°, 16°, 18°, 20°, 22°, 25°로 Top/Butom 세팅 후 검사 Tube 각도(Exam Tube Angle)를 5°, 6°, 8°, 9°, 13°, 15°, 16° 변화시키면서 5번 반복 측정하였다. 왜곡률 측정은 Single Method로 촬영된 Flat Phantom의 격자형 납의 안쪽 크기(가로, 세로) 9군데와 검사 Exam Tube Angle가 5°, 6°, 8°, 9°, 13°, 15°, 16° 변화해 가며 촬영된 Flat Phantom의 격자형 납의 안쪽 크기(가로, 세로) 9군데 영상의 차이를 INFINITT PACS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촬영된 Flat Phantom 영상의 왜곡정도를 영상의학과 전문의 1명과 방사선사 2명이 5점에서 1점까지 5단계로 나누어 정성적으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통계프로그램 SPSS 22.0.0.0 버전을 사용하였다. 결 과:정량적 평가 결과, Exam Tube Angle 5°와 16°에서 Flat Phantom 격자형 납의 안쪽 세로길이 측정값 (Vertical length value)이 각각 43.26±0.57 mm와 42.67±0.39 mm로, Exam Flat Phantom 격자형 납의 안쪽 가로길이 측정값(Width length value)이 각각 43.30±0.85 mm와 43.07±0.78 mm로, Flat Phantom 격자형 납의 안쪽 넓이 측정값(Area value)이각각 1873.30±5.19 mm와 1837.90±19.09 mm로 나왔다. 그 결과 Exam Tube Angle 5°에서 Flat Phantom 영상의 왜곡률이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정성적 평가 결과, 모든 Exam Tube Angle (5°, 6°, 8°, 9°, 13°, 15°, 16°)의 Flat Phantom 영상의 왜곡률 관찰에서 Exam Tube Angle 5 °와 Exam Tube Angle 16°의 점수가 각각 5.00±0.00, 3.85±0.29로 나타났으며, Tube Angle 5 °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어 영상의 왜곡정도가 가장 적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결 론:X-ray Tube 각도에 따른 Flat Phantom 영상의 왜곡률 비교 분석에서 Tube 각도 5°에서 Flat Phantom 영상의 왜곡률이 가장 적게 나타났으므로, 임상에서 디지털 X-ray Stitching method를 이용한 대퇴골의 전장(The Full-legth examination of the femur)이나 하지(Lower extrenity) 검사 시 가능한 Tube 각도를 최소로 유지하여 검사하는 것이 영상의 왜곡률을 줄일 수 있어 보다 정확한 검사가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Purpose:Due to limitations on the field of view (FOV) or detecter size during the examination of the full-length of the femur or the lower extremities, examinations using the stitching method have been used in clinical studies recently. However, we intend to determine the distortion factor of the images of the stitching method depending on the angle of the x-ray tube by using the Flat Phantom because the examination is conducted by using different angles of the x-ray tube by each radiology technologists. Materials and Methods:By using Samsung XGEO GC80 digital x-ray device and Flat Phantom (acrylic sized H40 cm×V116 cm×D2.3 cm and inserted with grid patterned lead), and setting the condition as 60 kVp, 10 mAs (20 mA, 500 msec), collimator size of 17×17 cm, AEC (auto exposure control) as off, patient size of medium, focal spot as large, fixing the SID at 110 cm, and on the examination table, the angles of the tube are set top and bottom at 12°, 14°, 16°, 18°, 20°, 22° and 25°, with 0° as the base, and was measured 5 times repeatedly by changing the Exam Tube Angle by 5°, 6°, 8°, 9°, 13°, 15° and 16°. The measurement of the distortion factor was quantitatively and comparatively analyzed using Infinite PACS by comparing the image differences between 9 inside sizes (width, vertical) of the grid patterned lead of the Flat Phantom filmed using a single method and the 9 inside sizes (width, vertical) of the grid patterned lead of the Flat Phantom filmed by changing the Exam Tube Angle by 5°, 6°, 8°, 9°, 13°, 15° and 16°. Moreover, the distortion degree of the filmed Flat Phantom image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by classifying into 5 steps, from 5 points to 1 point, by 1 radiologist and 2 radiology technologists, and statistical program SPSS 22.0.0.0 version was used. Result:The quantitative evaluation results showed the Vertical length value of the inside of the grid patterned lead of the Flat Phantom from Exam Tube Angle 5° and 16° to be 43.26±0.57 mm and 42.67±0.39 mm, the Width length value of the inside of the grid patterned led of the Flat Phantom to be 43.30±0.85 mm and 43.07±0.78 mm, and the Area value of the inside of the grid patterned led of the Flat Phantom to be 1873.30±5.19 mm and 1837.90±19.09 mm. The distortion factor of the Flat Phantom image was the lowest at the tube angle of 5°,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The qualitative evaluation results showed the score on 5.00±0.00 and 3.85±0.29 the observation of the Flat Phantom image at the tube angle of 5° and 16° upon observation of distortion factor of the Flat Phantom image at all Exam Tube Angle (5°, 6°, 8°, 9°, 13°, 15° and 16°). The least deviation of the image was assessed because the highest score was obtained from the tube angle of 5°. It was evaluat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Conclusion: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stortion factor of the images of Flat Phantom depending on the angle of x-ray tube showed the lowest distortion factor of the image of Flat Phantom at 5° angle of the tube. Therefore, a more accurate examination is possible by lowering the distortion factor of the images when examining by maintaining the angle of the tube at the minimum during the examination of the full-length examination of the femur or lower extremities using the digital x-ray stitching method in clinical studies.

      • KCI등재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유형과 사회적지지 및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

        신동주(Shin Dong-ju),김승옥(Kim Seung Ok) 한국육아지원학회 2016 육아지원연구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유형과 사회적지지 및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정서노동 유형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밝힘으로써,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관련된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어린이집의 인적․사회적 직무환경인 사회적지지의 중재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공립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3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 를 살펴보면, 첫째, 보육교사는 자연행동과 내면행동을 많이 할수록 사회적지지를 많이 받는 것으로 인식 할 뿐만 아니라 직무스트레스는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표면행동은 사회적지지 인식 및 직무 스트레스와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연행동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완전매개효과가 있었으며, 내면행동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즉, 정서노동과 관련하여 사회적지지가 직무스트레스를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내면행동보다 자연행동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가 더 강력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the types of emotional labor, social support, and job stress as perceived by teachers at child care center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between the types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Three hundred thirty-two teachers working at public child care cent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answered questionnaires. The results showed that natural and deep acting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social support but negatively with job stress.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 among surface acting, social support, and job stress. In addition, social support had a perfect mediating effect between natural acting and job stress while i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deep acting and job st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