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치적 리얼리스트 태종, 500년 조선왕조의 기반을 構築하다 (박홍규, 2021, 『태종처럼 승부하라 -권력의 화신에서 공론정치가로』, 푸른역사)

        김순남 고려사학회 2022 한국사학보 Vol.- No.87

        This book, Staking everything you have like King Tae-jong : A political realist’s epic biography (『태종처럼 승부하라-권력의 화신에서 공론의 정치가로』) conducts a study on the political life of King Taejong Lee Bang-won, who was born as the son of Lee Seong-gye, a commander in the border, and died after opening the era of King Se-jong, called the golden age of Joseon Dynasty, in four parts. The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Part 1 Seizing power(1367~1400), Part 2 Making full use of Janus' politics(1401~1410), Part 3 Rebirth as a Confucian monarch(1410~1418), Part 4 Creating authority (1418-1422). Ph.D Professor Park Hong-Kyu(박홍규), the author of this book, graduated from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t Korea University. Through this book, the author tried to capture the ‘dynamics of ideology and power’ unfolded in King Tae-jong's political life by removing existing image of King Tae-jong, the incarnation of power or the Confucian monarch. In particular, the author described the grand narrative of the politician King Tae-jong as a duet of Mencius's ‘Benevolent Politics(仁政)’ and Han Bija's ‘Tactical Politics (術治)’. Furthermore, the author said that around 1410(the 10th year of King Tae-jong), King Tae-jong had changed from the monarch of founding to the monarch of protecting the dynasty. Also the author overcame the limitations of the evaluation of King Tae-jong’s era, which had previously neglected the identity of its own era because of the emphasis on his son King Se-jong. In this book, the author gave the name of a ‘political realist’ to King Tae-jong Lee Bang-won while describing the struggles surrounding his power. And the author hoped that today the ‘political realist’ King Tae-jong could be a ray of light to the people who aspire to become a successful politician. I am confident that by the time the reader closes the last chapter of this book, the author's wish will be fully realized. And I would like to take this space to express my deep gratitude to the author who has been conducting research over the years and has achieved excellent academic results. 박홍규 선생의 『태종처럼 승부하라-권력의 화신에서 공론의 정치가로』는 2016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학진흥사업단)의 한국학 총서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조선 초기 군주 평전: 권력과 이념」 연구 성과를 정리한 것이다. 이 연구는 조선왕조 초기 유교 국가 건설 과정에서 태종 이방원, 세종 이도, 세조 이유, 성종 이혈 등 4인 군주를 권력과 이념의 역동성(dynamics)이라는 관점에서 검토하려는 것이었다. 저자는 이중 ‘태종 이방원’ 연구를 수행하였다. 저자는 진심 갈력했던 연구를 마무리하면서 그 성과를 2021년 12월 평전으로 출판했다. 저자 박홍규는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도쿄대학 대학원 법학정치학연구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공 분야는 한국 및 동양정치사상이고 주요 저서로는 『삼봉 정도전: 생애와 사상』, 『마루야마 마사오: 리버럴리스트의 초상』 등이 있다. 특히 저자는 조선의 정치사상에 주목하면서 정도전의 ‘중화공동체’라는 개념을 구체화했다. 조선은 명나라 중심의 국제질서 속에서 주변의 이적과 비교하여 ‘예외적’이며 ‘우월하게’ 위치했고, 이를 통해 철저히 주체적인 국제관계를 설정할 수 있었다는 것이 그 핵심이다. 흥미롭게도 저자는 본서를 통해 정도전과 대척점에 섰던 태종 이방원에 주목했다. 저자에 따르면 태종은 1398년(태조 7) 8월 26일 그를 살해한 후 ‘권력’을 쟁취한 까닭에 정치적으로는 ‘정도전 부정하기’에 나설 수밖에 없었지만, 국가운영과정에서는 정도전의 이 중화공동체 전략과 그에 따른 국가 정책을 충실히 계승했다는 것이다. 본서는 변방 무장 이성계의 아들로 태어나 조선의 황금시대라 일컬어진 세종의 시대를 열어주고 죽음을 맞이한 태종 이방원의 정치적 삶을 잠저기(1367~1400), 집권 전반기(1401~1410), 집권 후반기(1410~1418), 상왕기(1418~1422)의 네시기로 나누어 살핀 저자의 역작이다. 저자는 본서에서 기존의 태종에 대한 이해가 이분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하나는 폭력적 정변이라는 태생적 한계 때문에 권력 찬탈과 유지를 위해 무자비하게 숙청을 자행한 ‘권력의 화신’으로 이해하는 ‘권력 결정론’이다. 다른 하나는 태종의 권력정치는 신생 왕조의 유교적 군주가 통상적으로 행하는 국가운영의 일환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왕조 초기 왕권 강화를 위한 부수적인 측면으로 이해하는 ‘업적포섭론’이다. 저자는 이러한 이해가 세종대를 유교적 이상 사회로 규정한 위에서 태종의 독자성을 찾으려 하지 않은 채 기껏해야 그 전(前) 단계에 불과하다고 평가한 데 따른 필연적 결과라고 비판했다. 저자는 본서에서 기왕의 태종에게 부여된 권력의 화신이나 유교적 군주라는 외피를 걷어내고, 태종의 정치적 생애에서 펼쳐진 ‘이념과 권력의 역동성’을 포착하고자 했다. 특히 동양정치사상가로서의 역량을 발휘하여 권력의 찬탈로 시작하여 권위를 창출하고 정치적 영광을 성취해간 정치가 태종의 장대한 서사를 맹자의 仁政과 한비자의 術治의 이중주로 묘사하고자 했다. 특히 본서에서 저자는 1410년(태종 10)을 전후하여 조선이 창업기에서 수성기로 이행한다고 보아 태종 자신이 창업의 군주이면서 나아가 수성의 군주였다면서 종래 ‘세종’을 염두에 두고 독자성을 몰각했던 태종대 평가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다. 본 서평에서는 본서의 각부별 서술 내용을 ...

      • KCI등재

        학교 창의성 교육 평가 연구

        김순남,이병환 한국교육학회 2004 敎育學硏究 Vol.4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school based the creativity education, and propose the educational political tasks.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 survey study, sampling teacher elementary school teacher, middle school teacher, high school teacher all over the country. And two survey domains are school environment domain and instruction domai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environmental domain, creativity education is emphasized in administration and school level, but plan and implementation is low-level. The creativity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is the lower than elementary school. The pressing tasks for enhancement creativity are reducement contents of the curriculum, reducement of student numbers per class, creativity teaching-learning data development and supply, and training of creativity development teacher. In the face of professionalism, their professionalism teachers perceive is low. As the above results, political tasks for creativity education are in-service and pre-service training strengthening, enhancement of relevancy of curriculum, reducement of student numbers per class, creativity teaching-learning data development and supply, connecting elementary school creativity education and middle and high school creativity education.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창의성 교육 실태를 학교급별, 교과목별, 시도교육청별로 평가하고 앞으로의 교육 정책적 과제를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첫째, 창의성 교육 평가 관점 설정, 둘째, 교과목별지역별학교급별 학교 창의성 교육 평가, 셋째, 창의성 교육 증진을 위한 앞으로의 과제 분석 등이다. 연구 방법은 설문지 개발을 통한 조사 연구이며, 평가 영역은 수업외 영역으로 학교환경 조성영역 영역(하위 영역으로 학교 및 행정가 지원 영역과 학교풍토 영역)과 수업 영역(하위 영역으로 교수방법 영역, 교사 전문성 영역, 교육과정 영역)으로 설정하였다.연구 결과, 학교 및 행정가 지원 영역에서 창의성 교육에 대한 강조도는 높게 평가되었으며 실천도나 제도적 장치 활용도 및 교사의 창의성 교육에 대한 업적 평가도는 낮게 평가되었다. 학교풍토영역에서는 학부모의 창의성 교육의 강조도와 창의성 교육을 위한 학급환경의 조성도가 낮게 평가되었으며, 학생의 창의성 계발 기법 수업의 선호도는 높게 평가되었다. 수업방법 영역에서 보면, 창의성 기법의 활용도가 낮으며, 수업의 창의성 계발에 대한 영향성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전문성 영역에서, 전문지식에 대한 실태와 학습자 심리 인지도나 창의성 계발 프로그램의 운영도, 자료 정보 구입방법의 인식도,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방법의 인식도,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간의 협력도, 창의성 교육 자료 교사 단독 제작 정도 모두 보통이하로 평가되었다. 교육과정 영역에서는 교육과정의 적절성이 낮게 평가 된 반면, 각 교과의 창의성 교육과의 연계성은 높게 나타났다. 가장 낮게 평가된 하위영역은 교사의 전문성 영역이다.

      • KCI등재
      • KCI등재

        교원순환전보제에 대한 교원의 인식

        김순남,이병환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2

        The study aims to come up with useful suggestions for the personnel policy by examining the perception of the teachers at the front of the school on the teacher rotation system.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2,180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to look at problems and measures to improve the system, and 1,370 of them were collected from the questionnaire. On the teachers' side, negligence due to the problem with the teacher rotation system, and difficulty in entering the real estate office after sending a the teacher rotation system to remote areas were recognized above other items. In addition, problems such as the imbalance in the career distribution of teachers by school and the delay in the publication of the teacher rotation system were recognized higher than other items in the system. Accordingly, the government will seek to enhance the logic and principle of the teacher rotation system, to ensure the stabilization of life and to enhance the school education system through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system's efficiency in order to solve problems such as imbalance in the career distribution of schools and delay in the announcement of the teacher rotation system. As a measure to improve the system, implementing the teacher rotation system under the principle of education administration and personnel management by local governments, and considering the connection with the local educational system. 이 연구는 교원순환전보제에 대한 일선 학교 교원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교원의 인사정책에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초중등교원이 일정 기간 근무했던 학교를 옮기는 교원순환전보제는 교원인사행정의 한 부분으로오랫동안 지속되어 왔다. 지금까지 교원순환전보제의 중요성에 비추어 정책 개선 노력이나 관련 학계의 연구가 활발하지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제 교원순환전보제도 전반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통하여 바람직한 정책 방향의 설정이시급히 필요한 때이다. 이 연구에서는 현행 교원순환전보제의 운영 실태 분석을 통한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도출하기위하여 2016년 6월 3일부터 7월 25일까지 전국의 초중등 교원 2,180명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그 중에서회수된 1,370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교원순환전보제의 문제점으로 교원 측면에서는 승진부가점으로 인한 본연의 업무 소홀, 타 지역으로 전보 이후실 거주 관할 교육청 진입의 어려움 등이 다른 항목보다 높게 인식되었다. 또한 제도 측면에서는 학교별 교사 경력분포의 불균형, 전보 발표 시기 늦음 등의 문제점이 다른 항목보다 높게 인식되었다. 따라서 학교별 교사 경력의불균형, 전보 발표 시기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교원의 생활 안정 보장과 학교 교육력 제고 방안이 선행되어야한다. 또한 교원순환전보제는 교원의 생활안정과 더불어 학생의 학습권 충족과 학교교육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도록시행되어야 한다. 그 외 교원순환전보제의 개선 방안으로는 최소 내신기간과 학교 전보 만기의 확대, 교원 인사발령조기 발표, 전보 가산점 기준 합리화, 비정기전보와 전보의 특례, 유예 기준 합리화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향후 교원순환전보제에 대한 심도 높은 학술적인 논의와 함께 실효성 있는 정책 대안들이 시급히모색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세계만들기로서의 퀴어정치학: ‘우리’의 이야기들, ‘우리’를 변형시켜온 과정들

        김순남 한국여성학회 2018 한국여성학 Vol.34 No.4

        This paper examines the genealogy that has built the connected senses through the intersection of women, queer, disability and the labor field, which is different from groups or communities based on one’s identity. Queer politics as a political arena having transformed the meaning of the normative being is not naturally given, but structured through the genealogy of the struggle and solidarity for making the connected senses. The solidarity is not settled in the institutions, but formed through affective connectedness with the marginalized beings. Paying attention to the queer politics as world-making,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intersectional movements history formed through the links of solidarity queers and disabled women and the solidarity meanings at the labor fields. To do this, this paper attempts to comprehend – 1) what the meanings of the Rainbow Flags, Rainbow Demonstrations and Queer Bus are in the context of queer movements genealogy and how such meanings construct affective connectedness in the political arena of solidarity; 2) the context able to continue solidarity of WDE (Women with Disabilities Empathy) and queer activists, and moreover the terrain of queer politics that is not demarcated in a category of identity formed through links of solidarity with labor movements fields. 본 논문은 세계만들기로서의 퀴어정치학에 주목하면서 사회적으로 몫이 없는 자들이 만들어온 퀴어와 장애여성과의 연대의 고리들, 노동현장에서의 연대의 의미들을 통해서 이루어진 교차적인 운동의 역사들을 드러내고자 한다. 운동을 통해서 획득된 교차적 관점은(movement intersectionality) 정체성에 기반한 그룹이나, 커뮤니티와 다르게, 여성, 퀴어, 장애, 노동현장과의 만남이나, 접촉을 통해서 구축되어온 퀴어정치학의 계보를 형성해 왔다. 규범적인 존재의 의미를 변형시켜온 정치적인장으로서의 퀴어정치학은 자연스럽게 주어진 것이 아니며, 연결된 감각을 만들어 온저항과 연대의 계보를 통해서 구성된다. 그러한 연대는 제도에 안착하는 것이 아니라 제도가 부여하는 프레임을 변형하는 것이자 프레임에 개입하는 운동이며, 주변화된 존재들과의 정동적인 연결성을 통해서 형성된다. 무지개 깃발, 무지개 시위, 퀴어버스는 하나의 대상이 아니라 규범화된, 주류화된 시공간에 개입해온 정치적인 장을 상징하며, 그러한 정치적인 장은 정체성의 범주로 구획된 삶이 아니라, ‘나중에’로 밀리는 비주류 운동의 계보와 연결된다. 교차적 연결감을 통해서 변형되어 온, 또 다른 존재로 트랜스 되는 정치의 현장들에 주목하면서 '퀴어' 내부에서도 연대의 현장에서 어떻게 변형되어 왔는지? 그리고 장애여성 운동이나 노동운동과의 접촉을 통해서 어떻게 또 다른 연결감과 연대로 이어지고, 확장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1) 무지개깃발, 무지개 시위, 퀴어버스가 하나의 대상이 아니라 존재를 재정의하는 정치적인 장에서 어떻게 정동적인 연결성을 만들어 왔는지, 그러한 연결성이 퀴어내부 뿐만 아니라 교차적인 운동의 역사와 어떻게 만나는지에 대해 주목하고자한다. 2) 무엇보다, 장애여성 공감과 퀴어활동가의 지속적인 연대나, 활동이 가능하게 된 조건이나, 맥락을 살펴봄과 동시에 노동운동과의 연대의 고리들이 형성되게된 계기들을 통해서 교차적인 연결감을 만들어 온 퀴어 정치학의 한 지형을 파악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학교단위책임경영 실현을 위한 학교단위평가 이론과 실천 전략 연구

        김순남 한국교육학회 2004 敎育學硏究 Vol.4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ory and practical strategies of the school based evaluation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school based management in Korea. The method of this study is literature study, the concrete contents of the study are first, to analyz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inciples of school based evaluation, second, to analyze the international trends of school based evaluation, and third, to analyze the practical strategies. As the results of study, three domains are suggested. First, school based management is supplemented by school based evaluation. Second, school based evaluation is international trend of school based management in several countries. Third, the school based evaluation is needed for school based management. As practical strategics of school based evaluation, school based evaluation in the mid-term and long-term dimension must be readied. These strategies are long and mid term mature environmental strategy, school based evaluation strategy through the education community approach, theory based evaluation model design strategy of school based evaluation, functional strategy for school based evaluation in national, provincial, school levels. 본 연구는 학교단위책임경영의 성공적인 실현 위해 학교단위평가의 이론과 국제적 동향 연구를 통해 학교단위평가의 실천 전략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로서 학교단위평가에 관련한 문헌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교단위책임경영 실현을 위한 원리 및 학교단위평가 원리 도출에 Cheng의 분권화의 원리, 자체경영의 원리, 인간주도의 원리, 이인동과성의 원리 등을 본 연구의 기본 틀로 제시하였다. 둘째, 학교단위평가는 학교단위책임경영의 하나의 하위체제로서 학교가 학교평가의 주체가 되고 학교교원을 포함하여 평가전문가, 지역사회인사 및 학부모 등이 참여하여 학교평가를 계획하고 운영하고 평가하여 교육활동과 경영활동의 개선에 도움을 주는 평가체제라고 할 수 있다. 셋째, 학교단위평가의 원리는 학교 개선을 목적으로 학교에 의해 학교를 위해 이루어지는 분권화의 원리, 교사, 학부모, 지역사회인사, 학교운영위원회 등이 맡아하는 교육공동체적 인간주도의 원리, 학교 수준에서 기획되고 운영되고 평가되는 자체경영체제의 원리, 학교의 특성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논리주도 평가의 이인동과성의 원리 등이다. 마지막으로 학교단위평가는 중장기적 차원에서 도입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기본 전제로서 학교평가에 대한 중장기적 성숙한 환경조성이 요구된다. 실천 전략으로서 학교단위평가를 위한 조직 수준별 기능적 전략, 학교경영 메카니즘의 일부로서 학교단위평가 전략, 교육공동체 참여를 통한 학교단위평가 전략, 학교단위평가의 평가 모형 설계 전략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학교단위책임경영의 논리와 전략 탐색

        김순남 한국교육개발원 2003 한국교육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logics and strategies of School Based Management system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school education. The concept of School Based Management can be considered as a subsystem to School Based Management. The logics for School Based Management system are autonomy, accountability, effectiveness, creativity, professionalism and participation. Therefore, the 6SB-1SLM theory is suitable for the analysis of subcategory to School Based Management. The 6SB -1SLM theory is a subsystem for the settlement of School Based Management. First, 6SB can be divided by School Based Decision Making, School Based Curriculum Management, School Based Budgeting System, School Based Staffing System, and School Based Supervision System, School Based Evaluation. Next, 1SLM is Strategic Layer Management in which strategic management and layer management are mixed. The dynamic process of School Based Management can be operated by Strategic Layer Management. The system of School Based Management is the structure which has a planning-operation-evaluation-feedback process. The aim of School Based Management is to increase autonomous, creative, accountable and effective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school education, the strategies of School Based Management system are as follows. They are the layer management system strategy, ideological strategy, procedure strategy, task strategy which can control the quality of School Based Management. 본 연구는 최근 교육개혁의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는 학교단위책임경영의 논리와 전략이 무엇인가를 탐색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연구자는 학교단위책임경영의 논리로 분권화에 따른 단위학교의 자율성과 책무성, 전문성과 참여성, 창의성과 효과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학교단위책임경영의 전략으로 층경영적 전략, 이념적 전략, 절차적 전략, 과업적 전략을 제시하였다. 층경영적 전략에서는 학교경영을 참여적 경영체제로서 층적 접근을 통한 경영 전략을 추구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이념적 전략은 앞에서 제시한 이념 추구를 위한 전략이다. 절차적 전략에서는 기획, 운영, 평가, 피이드백을 통한 전략으로서 평가에 대한 역할을 강조하였다. 과업적 전략으로 기존의 교육과정, 인사, 재정에 초점이 모아진 선행 연구에서 보다 확대하여 학교단위의사결정, 학교단위인사, 학교단위교육과정경영, 학교단위장학, 학교단위예산제도, 학교단위장학, 학교단위평가체제 등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최근 학교단위책임경영의 정착을 위한 실제적 차원에서 학교단위책임경영의 방향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조선 成宗代 御史의 파견과 지방 통제

        김순남 역사학회 2006 역사학보 Vol.0 No.192

        The Dispatch of Royal Inspectors and the Local Control during King Seongjong’s Reign in the Early Joseon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