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쓰기를 통합한 카메라 프로젝트가 유아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소양,송미선 한국유아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연구 Vol.29 No.3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integrating a camera project with writing on children's writing abilities. Subjects were forty 5-year old kindergartener, 19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1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integrated their camera work with writing by taking a picture of something and then describing it or explaining it to other children. The control group did their regular writing lessons which did not involve taking photos. A comparison of the writing of both groups demonstrates a significant increase in quantity and quality of writing only in the experimental group. As well, the findings reveal a general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quantity and quality of writing. Si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tegrating picture taking with writing contributes to children's writing abilities, the broader education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ntegrating projects like the camera one with writing is a very useful and creative way to stimulate writing abilities in kindergarten children. 본 연구는 쓰기를 통합한 카메라 프로젝트가 유아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유치원에 다니는 만 5세아 유아를 대상으로 19명은 실험집단, 21명은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자유선택 활동 시간에 친구들에게 이야기해 주거나 설명해 주고 싶은 장면을 디지털 카메라로 찍고, 그 장면을 글로 설명하고 표현한 후, 자신이 사진을 찍고 쓰기를 한 내용을 다른 유아들 앞에서 발표하면서 공유하는 활동을 하였다. 한편 통제 집단의 유아들은 매일 동화책을 읽게 한 후, 동화책의 텍스트 중에서 유아 자신이 가장 좋다고 생각하는 문장을 선정하게 하여 그 문장을 똑같이 베껴 써 보게 하는 활동을 하였다. 연구 결과, 쓰기를 통합한 카메라 프로젝트를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쓰기의 양, 즉 문장 수 와 어절 수가 증가되고 쓰기의 질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진되었다. 또한 쓰기의 양과 질에도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쓰기를 통합한 카메라 프로젝트가 유아의 쓰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전략임을 보여주고 있으며, 유아교육 현장에서 쓰기를 통합한 카메라 프로젝트를 활용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4, 5 세 유아들의 쓰기 기능에 대한 인식

        김소양 한국유아교육학회 2002 유아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만 4, 5세 유치원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쓰기 기능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것이다. 유아들은 지역사회의 다양한 상황에서 성인이 쓰기를 하는 모습을 담은 비디오 테이프를 보면서 무엇을 쓰는지, 어디에 쓰는지, 왜 쓰는지 등을 면접하였다. 유아들이 일반적으로 쓰기의 목적과 가치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도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쓰기 기능에 대한 유아의 지식이 쓰기 발달 과정의 한 측면이며, 유아들은 일상 생활 속에서 쓰기의 특성과 기능에 대한 중요한 지식을 구성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쓰기 활동에 대한 시사점도 논의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young children's perception of the functions of writing. Forty kindergarten children aged four and five years olds responded to videotaped vignettes depicting people writing in community settings. The children answered questions regarding what people write, where they write, and why they write. And the children's concepts of general purpose of writing and their understandings of value of writing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hildren' knowledge of functions of writing is a part of the process of writing development, and that young children construct important knowledge about the nature and function of writing in their daily live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writing activitie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후보

        다문화 가정 영유아 보육에 대한 외국인 어머니 및 교사의 어려움에 관한 연구

        김소양 육아정책연구소 2010 육아정책연구 Vol.4 No.2

        본 논문은 K시의 다문화가정을 위한 보육정책에 반영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다문화 가정 유아의 외국인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보육에 대한 어려움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외국인 어머니들은 대부분 어린이집의 보육에 대해서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녀양육에 있어서 언어적 어려움을 가장 크게 호소하고 있었고 경제적인 도움과 자녀양육에 대한 지식에 도움을 받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영유아 및 어머니들과의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 가정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어린이집을 활용한 개인별 맞춤식 한국어 교육과 소집단중심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또한 자녀양육에 대한 지식을 얻기 위한 부모교육을 제공해야 하며, 다문화 가정 유아 학급을 위한 교사인력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다문화 특성화 보육시설을 설치도 고려해볼 만하며, 다문화 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현직교육을 활성화해야 한다. 그리고 유아의 보육비를 포함한 경제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설치하고 지역사회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절실히 필요하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iculties and needs of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whose children attended in child care centers at K city. Also the difficulties and needs of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like this: Most of mothers mentioned the difficulties of korean language and they needed the economic supports and to get a knowledg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And almost teachers mentioned the need of support and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e several implicational suggestions for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The korean language program and small group meeting is essential for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whose children attended in child care centers. And the parent education for mothers is needed to get a knowledg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and teacher support program in the class is also needed. The multicultural family-centered child care center is recommendable and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should includ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e economic support policy, community network and the shift of thinking about multicultural families are also needed.

      • KCI등재

        읽기 자료 및 읽기 목적에 대한 유아의 인식

        김소양 한국유아교육학회 2001 유아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읽기 자료 및 읽기 목적에 대한 유아들의 인식을 조사한 것이다. 유치원과 어린이 집의 만 3, 4, 5세 유아 120명을 대상으로 Weiss와 Hagen(1988)의 연구 도구를 사용하여 면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아들은 신문, 이야기책, 달력 등의 읽기 자료들을 잘 인식하고 있었으며, 연령이 높은 유아들이 연령이 낮은 유아들보다 인식 능력이 더 높았다. 또한 읽기 목적에 대하여 유아들은 지식·정보의 획득, 사회적 인정의 수단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많았으며, 연령이 낮은 유아들은 응답을 하지 않거나 모른다는 반응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과 가정의 무모들에게 유아를 위한 의미있는 읽기 환경과 성인의 역할에 대해 시사점을 주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young children's perception of reading materials and the purpose of reading. The subjects were 120 children aged three, four, and five years olds in a kindergarten and a day care center. The Function of Print Test developed by Wess and Hagen (1988) was used as the interview instrument and responses were analyzed. Analysis revealed that most children perceived the function of newspapers, storybooks, and calendars very well and older children's ability to perceive the purpose of various reading materials was better than that of younger children. Furthermore, many children declared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social acceptance by others' as main purposes of reading. But many younger children responded with 'I don't know' or no answer at all about the purpose of reading, in sharp contrast to the older children.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 regarding promoting better reading environments and the role teachers and parents can play in improving childrens reading profici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