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하계 트레이닝기간중 혈청 철분과 지질 및 운동수행 능력의 변화에 관한 연구

        김성주,정일규 고려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1987 스포츠科學論叢 Vol.1 No.1

        The study was don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hematological status related to iron and lipid metabolism, physical work capacity over a six-week period of training for male (N=6) and female (N=6) basketball athletes. The hematological variables and the items of physical work capacity were tested three times (pre, mid, post) for each two week with the beginning of the training. The results of a paired t-Test on this data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From the test of Basic Hematological Test, all items were not changed in male and female athletes. 2. The iron indices (SeFe^(++), TIBC, %TS) indicated that the stores of iron in the interior of the subject's body had decreased through the summer training. 3. The serum triglyceride decreased more than the total cholesterol, after six-week summer training. 4. In male athletes, the significant changes of All out time, Energy max and 9min-H.R response were observed, but in female athletes only the 3 min-HR response was significantly changed after three and six weeks. 5. VO₂ max, H.R max, 6 min-H.R response,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ere not changed in both sexes.

      • KCI등재

        『석보상절』 권23․24의 언해문과 원문의 대응 양상 연구

        김성주 한국서지학회 2019 서지학연구 Vol.79 No.-

        Seokbosangjeol can be divided into “the Biography of the Buddha” and “the Translations of the Buddhist Scriptures” based on the context. Among the existing books, the vol. 3, vol. 6, parts of vol. 11, vol. 23 and vol. 24 belongs to the former Category, and the vol. 9 (Bhaiṣājya guru-Vaiḍūrya sutra), parts of vol. 11 (Ksitigarpha purva-pranidhana sutra), vol. 13, vol. 19, vol. 20, and vol. 21 (Saddharma Puṇḍarīka Sūtra) belong to the latter category of Seokbosangjeol. The relation between the translation and the original text of Seokbosangjeol is basically a one-on-one correspondence between words, whether it is part of “the Biography of Buddha” or part of “the Translation of the Buddhist Scriptures.” In other words, a word in the original can be accurately matched with a word in the translation. In the first category of Seokbosangjeol consisting of ‘Buddha’s Biography’ from vol. 23 and vol. 24, there are two cases of differences that occur. The first being the typical word-to-word translation from the original Chinese character and the other being the atypical case, where there are missing characters. The former case shows three sub-types of differences. First, there was no change in the location of characters or placement of words. Second, elimination of words that are unnecessary to the context. And third, where extra words or adjectives were added that were not there in the original text. In the latter case, there occurs 4 sup-types of differences. The first is the translations made based on the meaning of the characters. The second is change in the placement of the words. Third is adding extra adjectives that were not in the original context. And fourth is eliminating the expressions that seem to be odd in the Korean context or culture. 『釋譜詳節』은 내용을 기준으로 “釋尊의 傳記” 부분과 “佛經 飜譯”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현존본 중에서 전자는 권3, 6, 11의 일부, 23, 24가 속하고, 후자는 권9(藥師經), 11의 일부(地藏經), 13, 19, 20, 21(이상 法華經)이 속한다. 『석보상절』의 諺解文과 原文은 “석존의 전기” 부분이든 “불경 번역” 부분이든 기본적으로 단어 대 단어의 관계가 1대1로 대응되는 관계이다. 즉 원문의 한 단어를 언해문의 한 단어와 정확하게 대응시킬 수 있다. “석존의 전기” 부분에 해당하는 『석보상절』 권23․24의 언해문과 저경의 한문 원문을 비교해 보면, 크게 언해문과 원문이 1대1 대응이 되는 전형적인 경우와 원문과 언해문이 1대1 대응이 되지 않는 비전형적인 두 가지 경우가 있는데, 전자는 다시, 첫째 한문 원문의 구절들의 위치 변화가 없는 경우, 둘째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해 저경의 일부분을 생략한 경우, 셋째 저경인 『釋迦譜』의 저경을 보충하는 경우가 있다. 후자는, 첫째 저경의 한문 원문을 단순히 의역한 경우, 둘째 문장 구성 성분의 위치 변화가 있는 경우, 셋째 저경에 없는 부분을 삽입한 경우, 넷째 우리의 情緖에 맞지 않는 표현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 KCI등재

        초소형‧고효율 Fabry-Perot Cavity(FPC) 안테나의 설계 방법

        김성주,김건우,김동호 한국전자파학회 2022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33 No.10

        본 논문은 AMC(artificial magnetic conductor)를 이용한 초소형․고효율 FPC(Fabry-Perot Cavity) 안테나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안테나는 2 λ, 3 λ 이상의 크기를 갖는 기존의 FPC 안테나와는 다르게 0.37 λ⨉0.37 λ의 초소형 안테나로 옆으로 빠져나가는 에너지를 막는 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금속 벽에 AMC를 설치하여 작은 공진기안테나의 고질적인 문제인 낮은 방사 효율을 91 %로 상당히 개선시켰다. 제안된 안테나를 배열 안테나의 소자로 사용할경우, 좁은 소자 간의 간격으로 grating lobe 없이 넓은 빔 조향 범위를 가질 뿐더러 각각의 소자 옆면이 모두 벽으로둘러싸여 원치 않는 커플링이 매우 적으므로 높은 조향 정확도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 [연구보고서 2018-08] : 지방보조금의 관리체계 개선방안

        김성주,윤태섭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8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기본연구과제 Vol.2018 No.-

        민선 7기 지방선거를 마친 최근 지방행정의 운영방향은 자치분권 강화, 자율성 확대, 지역 적합형 사업 발굴 및 추진이며, 이러한 방향은 지역의 특수성과 주민의 눈높이를 1차적으로 고려한다는 차원에서 지방자치가 좀 더 성숙되고 있는 분위기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문재인 정부 들어서 실질적인 자치분권을 위해서는 재정분권이 동시에 시행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국세의 지방세로 대폭 이양 등 지방세입의 확충방안이 다양하게 제시되었다. 먼저 지방의 자율성 확대 차원에서는 2018년도 예산편성단계부터 그 기준들이 완화되었는데, 현행 예산편성운영기준의 9개 기준경비를 7개로 축소하였으며, 기준경비에 현실을 반영하여 그동안 지방자치단체에서 불편 및 불합리하다고 제기한 사항들을 개선하였다. 지방보조금 관련해서도 이전까지는 지방보조금을 편성할 수 없는 단체를 구체적으로 열거하고 있던 규정을 관련 법(「비영리민간단체 지원법」)의 요건을 참조하여 개별 단체에 대한 지원여부를 자치단체가 자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변경하였다. 그리고 지방보조금의 부서별 한도액을 폐지하고, 총액 한도액 범위에서 자치단체가 자율적으로 편성할 수있도록 개선하였고, 지방의 활발한 일자리사업 발굴·시행을 위해 고용노동부 등 관계부처에서 일자리사업으로 분류한 일자리와 직접 연계된 사업은 지방보조금 총액한도 산정 시제외하였다(행정안전부 지방보조금관리기준, 2017). 또한 국세의 지방세로의 이양 검토 과정에서 국고보조사업이 일부 지방으로 이양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데 이러한 방향은 지방이 주체적으로 계획하고 집행 및 관리해야 하는 사업의 규모가 대폭 증가할 것이라는 것은 예측이 어렵지 않다. 지방이 자신들의 지역환경과 여건, 특히 지역 주민들이 무엇을 원하고, 지역주민들에게 시급한 정책은 무엇이며, 지역 주민들에게 수혜가 골고루 돌아갈 수 있는 사업이 무엇인지 주민의 의견들을 자주 경청하고 고민한 끝에 사업을 기획하고 집행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지역의 사업들 중 실질적으로 주민을 지원하는 사업이 바로 지방보조사업이다. 지방보조사업을 담당하는 사업부서 담당자 및 예산편성을 담당하는 예산부서 직원들과 지방보조금관련 대화를 나누다보면 가장 많이 호소하는 내용이 사업수가 너무 많고 사업성격들도 다양해서 현실적으로 실질적 관리가 어려운 점과 인력부족, 보조사업자들의 보조금에 대한 의식이 권리화 되어서 삭감 및 일몰이 어렵다는 점이다. 먼저 지방보조사업의 수는 적게는 수백 개에서 많게는 수천 개에 이르고(행정안전부, 2017) 사업의 성격도 국도비 사업, 공공단체보조, 민간보조, 경상보조, 자본보조, 운영비보조, 행사보조, 개인보조, 단체보조 등 여러가지 조합의 형태로 다양하다. 지자체별로 지방보조금 담당자의 경우 광역은 1명, 기초는 0.5명 정도가 많게는 수천개의 사업을 예산심의부터 성과평가까지를 관리하고 있다. 사실 지방보조금의 경우 국고보조금에 비해 관심이 적어왔던 점을 부정할 수 없다. 2015년 1월에야 행정안전부 예규로서 지방보조금 관리기준이 제정되었고, 2016년부터 성과평가가 의무화 된 것에서도 알 수 있듯이 사업의 수는 많지만 소액 사업이 많아서 관심이 적은 분야 중의 하나이었다. 그러나 지방보조사업의 경우 지자체장이 임의로 사업을 신설할 수 있고 그 대상 또한 관할 지역주민이라는 점에서 지역을 위한 사업이 아닌 자칫 다음 선거를 의식한 사업, 사적인 의도가 담긴 사업 등이 기획될 개연성이 높다는 점에서 지방재정 전반적으로는 건전한 관리가 될 수 있도록 관심을 높여가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2018년도 초에 이영학 사건(일명 어금니 아빠)으로 인해 보조금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면서 국고보조금과 더불어 지방보조금의 관리에 대한 필요성 또한 크게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지방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로의 분법 추진 등 관리 사각지대에 있는 지자체 자체운영 보조금에 대한 관리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지방재정법상 지방보조사업의 정의, 교부절차, 집행·사후관리 방법 등을 보완한 '지방보조금 관리법' 제정안을 준비하고 있다. 법적으로 체계를 갖춤과 동시에 심각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소 중의 하나가 바로 관리체계이다. 사업 수가 매우 많고 예산규모와 성격 또한 다양한 지방보조사업들이 현재는 일률적인 기준과 절차에 의해 관리되어서 사업기획 및 예산편성, 집행, 성과평가까지 상당히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것이고, 이러한 현실은 결국 예산낭비와 비효율적인 세출관리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이상의 문제의식과 배경을 가지고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전술한 현안들을 개선하기 위해 지방보조금심의위원회의 개편, 성과평가 기준 구체화 등의 대안들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에 더불어서 본 연구는 수 많은 사업들을 모든 단계의 절차를 밟는 등의 일률적 관리에 따른 비효율성을 개선해서 궁극적으로는 지방보조사업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아래와 같이 세 가지이다. 첫째, 지방보조사업을 유형화하는 것이다. 지방보조사업들을 유형화해서 유형별로 사전심의 단계에서 집중적으로 살펴보아야 할 것과 사후평가 단계에서 성과평가를 면밀히 해서 다음 해 예산에 반영해야 할 사업들을 분류하는 유형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둘째, 문제점들이 지적되어오고 있는 광역지자체부터 기초지자체의 보조사업자에게 이르기까지의 전달체계를 분석해보고 좀 더 간단하고 부정수급 등이 감소될 수 있는 전달체계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행안부 예규(지방보조금 관리기준) 제정 3년차를 맞으면서 그간 지적되어오고 있던 지방보조금심의회 심의 전 사전심의에 대한 도입 필요성과 3년 유지필요성 평가 존치여부 대해 검토해보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243개 지자체와 계층별 데이터를 검토하고 대안단계에서 사업의 유형화를 위해 사례 지자체를 선정, 유형별 사업리스트를 분석하고 연결해서 유형화된 사업의 관리강화방안까지 연결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reviews local grants management system, operation process, and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nd seeks to the improvement plans to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local grants. In 2014, local grants manage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was enacted through amendment to Local Finance Act. Therefore, local governments should abide by the law with respect to organizing, managing and evaluating local grants. In addition, local governments must reflect the result of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ir local grants in FY 2016 budget. However, local governments have a difficult in evaluation of local grants, especially performance evaluation, because the standard of local grant evaluation is in very poor condition. Recent, with respect to expanding local autonomy, government has pushed forward to financial decentralization. In hence, local grants management system is also modified such as abolition to limited amounts by departments and exemption to local grants with employment. Nevertheless, local governments have some problems to manage and evaluation local grants. It is because that local governments run many and various local grants. This results in poorly management to local grants with manpower and fiscal shortage. So, central government plans to improve local grants management system using enacting to local grants. Therefore,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to local grants focusing 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local grants. For doing so, this study is to review the definition, current condition and several cases of local grants. Also, this study reviews the current standard of local grant performance evaluation, analyzes current condition and weakness of local grants evaluation system, and suggests improvement plan to evaluation system of local grants. The major points are followings. First in the view point of management system, this study suggest improvements with respect to changes in law and manual and management process of local governments regarding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local grants. Especially, with regard to manage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s, it seeks to classification plans to local grants using operation process and management steps. Second, in the view point of local grants delivery system, first of all, this study suggests improvements to extermination abuse or compliance failure. In addition, with regard to delivery system of local grants, this study suggests to separate to new local grant and a continuing grant. Third, the current issues regarding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local grant evaluation system depends upon the qualitative evaluation. Hence, the reliability of evaluation gets lower.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o expand the quantitative evaluation in terms of objective materials. And the qualitative evaluation targets to necessity of local grants program. For doing so, this study reviews financial data of 243 local governments, analyze local grants lists using all types of local grants of sample local governments, and link current issues of local grnats to improvement plans. Third, in the view of point of the similar or overlapped local grant programs, this study proposes two processes of judgment. First standard is application forms such as business plan and a statement of accounts. Second standard is confirmation process of public officers in budget bureau. Also, this study suggests the standards of judgment to similar or overlapped local grant programs. The standards are followings: 1) whether the subject of local grant is similar or overlapped, 2) whether the recipients of local grant is similar or overlapped, 3) whether the legal basis of local grant is similar or overlapped, 4) whether the details of local grants are similar or overlapped.

      • KCI등재

        북한 병진노선의 내용 및 논리구조 변화 분석: 군사비 지출과 경제성장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김성주 한국국방연구원 2016 국방정책연구 Vol.32 No.2

        From the 1960s, throughout three different occasions, North Korea has proposed the “Line of Simultaneous Economic and Defense Build-ups(Byoungjin Line)” aiming at both economic construction and military force reinforcement. Nonetheless, “Byoungjin Line” was more focused national defense than economic construction, and the excessive commitment of military expenditure is evaluated to have given negative influences on economic growth. Regarding this, the North Korean regime has made efforts to form a discourse system aiming at propagandizing the justifiability of the “Byoungjin Line”. This can give a reason to maintain the “Byoungjin Line” in North Korea in spite of its failure in the past.

      • KCI등재

        우리말 불교용어와 <한국한자어사전>의 불교용어 증보 방향에 대하여 - 향가, 이두, 구결을 중심으로 -

        김성주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6 東洋學 Vol.63 No.-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direction of the supplementation of the Buddhist Terms in Sino-Korean Dictionary published in the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in Dankook University. And the objects of this paper are Idu, Hyangga and Kugyol in Silla and Goryeo Dynasity. The points of this paper a s follows. First, Hyangga and Idu are all the Chinese-loaned writing system. Kugyol, however, is not the writing system to write the Korean sentence but to easily interpret the Chinese sentences. Therefor, these two are quite different writing systems between them. Second, the Buddhist Terms used in Hyangga and Idu are to be directly regarded as Korean Buddhist Terms but those used in Kugyol literature are not because they are essentially quit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ird, the Buddhist Terms used in Kugyol literature are not able to be regarded as the real Korean Buddhist Terms. It is basically different from the case of the Buddhist Terms used in Hyangga and Idu. Therefore, the former should be necessary to filter the Korean Buddhist Terms form the general ones. Although how to filter the Korean Buddhist Terms from the general ones are several. It is, however, a possible method in which we can take advantage to the type of the verb NP+ha- translated in the Middle Korean Translation literatures. If the verbs of NP+ha used in Kugyeol literature are used in the Middle Korean Translation literatures, we can regards them as the real Korean Buddhist Terms. Lastly, I want to be argued that the Korean Buddhist Terms used in Silla and Goryeo period should be listed as the title words of the revised Sino-Korean Dictionary. It is because they are not a lot. 이 논문은 한국한자어사전를 증보할 때, 차자표기 자료에서 우리말 불교용어를 증보하는 방법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이 논문의 대상은 차자표기 자료 중 신라시대와 고려시대의 향가, 이두, 구결 자료이며, 고유명사 표기를 제외하였다. 한국한자어사전에서는 향가 자료를 제외한 이두와 구결 자료는 한국한자어 용어 선정의 대상 자료로 이용하였다. 그러나 한국한자어사전에서는 신라와 고려시대 자료 중 ‘葛項寺石塔記’, ‘蓮池 寺鐘銘’, ‘大明律直解’, ‘通度寺國長生石標’, ‘淨兜寺五層石塔造成形止記’ 등 5개의 자료만 용어 선정 대상으로 이용하였을 뿐이어서 좀 더 많은 자료를 대상으로 한국한자어사전을 증보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신라와 고려의 차자자료는 희소성의 가치가 있는 반면 여기에 쓰인 우리말 불교용어는 우리말 체계에서 오래 전부터 정착된 불교용어들이기 때문에 모두 표제어로 선정하는 방향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한다. 차자표기 자료에서 우리말 불교용어를 선정할 때 향가·이두와 구결 자료는 분리하여 생각하여 할 필요가있다. 왜냐하면 전자는 우리말을 표기하는 문자 체계이므로 거기에 쓰인 불교용어는 우리말 불교용어라 할 수있다. 그러나 후자는 일반적으로 한문을 쉽게 이해하기 위한 문자 체계이므로 구결문에 쓰인 불교용어가 바로우리말 불교용어라고 하기 어렵다. 불교용어의 선정은 기존의 불교사전의 표제어를 기본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구결문에 쓰인 불교용어를 우리말 불교용어임을 검증하는 방법으로 중세국어 언해문에 쓰인 ‘NP+-’ 동사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