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적 해석학 구상을 위한 시론

        김선규(Sunkyu Kim)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8 철학탐구 Vol.50 No.-

        이 글은 ‘방법론적 해석학’과 ‘존재론적 해석학’으로 나뉜 해석학의 이분법적 담론지형을 통합할 수 있는 ‘통합적 해석학’의 가능성을 가다머의 진리와 방법에서 모색하고자 한다. 해석학의 이분법적 연구 동향은 더욱 심해지고 있으며, 양자 사이에는 소통할 수 없는 간극이 존재하는 것처럼 여겨지고 있다. 이에 따라 두 개의 해석학이 개별적으로만 정당성 내지는 학문적 가치를 획득할 수 있다는 통념이 고착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 속에서 해석학에 대한 통합적 전망을 제시하는 것은 그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통합적 해석학의 성립 근거로서 이 글은 가다머의 해석학이 방법론적 해석학의 ‘부정’이 아닌 극복ㆍ변형을 통한 ‘계승’임을 주장한다. 또한 이 글은 방법론적/존재론적이라는 이분법의 대립이 많은 부분 가다머의 해석학에 대한 오해에서 기인하고 있음을 보이려고 한다. 통합적 해석학의 매개점으로 이 글이 제시하는 것은 ‘형성체(Gebilde)’와 ‘해석학적 동일성(hermeneutische Identität)’ 개념이다. 이 개념들은 가다머에 대한 비판의 중심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거의 주목받지 못했다.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두 개념이 조화되기 힘든 개념, 상호 모순적인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다머의 해석학을 균형있게 파악하고 더 나아가 발전적 전망을 제시하기 위해서 이 개념들은 함께 논의되어야하며, 추후에 더 많은 연구를 통하여 새롭게 조명되어야 한다. 이 개념들은 ‘존재일변도의 철학’, ‘해석지상주의’, ‘이해 상대주의’와 같은 가다머 해석학에 대한 통상적인 오해들을 불식시킴으로써 이분법적 논의의 구도를 극복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This study set out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integrated hermeneutics” to achieve integration in the dichotomous discourse topography of hermeneutics, which has been divided between “methodological hermeneutics” and “ontological hermeneutics,” in Gadamer’s Truth and Method. The dichotomous research trend in hermeneutics has been increasingly severe, and there seems to be a gap that will not be communicated between the two sides. As a result, a common idea is settling down that two branches of hermeneutics can achieve legitimacy or academic value only individually. In this trend, there has been no proposal of an integrated view for hermeneutics despite its need. Trying to present a ground for integrated hermeneutics, the investigator maintained that Gadamer’s hermeneutics was not to deny methodological hermeneutics but to inherit it through conquest and transformation. The present study also tried to demonstrate that the dichotomous confrontation between methodological and ontological hermeneutics derived from a misunderstanding of Gadamer’s hermeneutics in many parts. Proposed in the study as media for integrated hermeneutics were ‘Gebilde’ and ‘Hermeneutische Identität.’ Although these concepts were at the center of criticisms about Gadamer, they had received little attention because the two concepts were considered to be difficult to harmonize with each other or contradict each other. These concepts should, however, be discussed together and illuminated in a new perspective through more researches in order to figure out Gadamer’s hermeneutics in balance and further propose a developmental outlook for it. The concepts may contribute to the conquest of dichotomous discussions by wiping out common misunderstandings of Gadamer’s hermeneutics such as ‘philosophy devoted to being,’ ‘supremacy of interpretation’, and ‘relativism of understanding’.

      • KCI등재

        폴 고갱과 문화다양성의 표상 -이국적 취미, 인종주의, 식민지주의 논란을 중심으로-

        김선규(Kim, Sunkyu)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20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35

        이 논문은 폴 고갱(1848~1903)에게 제기되는 이국적 취미, 인종주의, 식민지주의라는 비판을 검토하고 고갱과 그의 작품을 문화다양성의 관점에서 새롭게 해석하려는 시도이다. 고갱은 미술사적 보았을 때, 복잡함과 애매함을 동시에 가진 인물이다. 그런 점은 고갱이 어느 유파에 속하는지에 대한 다양한 견해들이 존재하고 있음을 통해 알 수 있다. 고갱은 일반적으로 후기 인상주의, 상징주의, 종합주의, 원시주의로 다양하게 구분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분이 불가능한 독창적이면서도 어디에도 속하지 않은 유파로 구분하는 미술사가도 있다. 고갱이 다른 작가들과의 공통되는 요소가 없이 독자적인 행보를 추구했다는 것은 타히티에서 고갱이 스스로를 야만인으로 생각한 것과도 관련되어 있다. 그가 자신을 야만인이라고 주장한 것은 서구라는 문명과 분리되기를 원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몇몇 비평가들은 타히티에서의 고갱의 작품 활동을 독창적이라기보다 서구 우월주의, 인종주의 및 단순한 이국적 취미의 반영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 글은 이러한 주장을 반박하기 위하여 고갱의 삶과 작품을 분석한다. 고갱은 타히티 문화의 고유성을 작품으로 적극적으로 표현하였다. 그의 작품에는 원시적인 타히티를 초월적인 것 내지 신비함과 연계된 이국적 취미의 반영이 아니라, 타히티의 문화를 있는 그대로 인정한 문화다양성이 녹아 있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review the criticism of exotic hobbies, racism and colonialism raised against Paul Gauguin(1848~1903) and to newly interpret Gauguin and his works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diversity. Gauguin is a character who has both complexity and ambiguity in art history. This can be seen through the existence of various views on which school Gauguin belongs. Gauguin is generally divided into post-impressionism, symbolism, synthetism, and primitivism. However, there are some art historians who distinguish themselves as a school that is original and does not belong anywhere. The fact that Gauguin pursued an independent course without elements in common with other painters is also related to Gauguins view of himself as a barbarian in Tahiti. What he claimed to be a barbarian meant he wanted to be separated from the Western civilization. However, some critics argue that Gauguins work in Tahiti is a reflection of Western supremacy, racism and simple exotic taste rather than originality. However,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ze Gauguins life and works in order to refute this argument. Gauguin actively expressed the uniqueness of Tahitian culture through his works. His works contain cultural diversity that recognizes the culture of Tahiti as it is, rather than a reflection of the exotic hobby linked to the transcendent or mystery of primitive Tahiti.

      • [안전부문] 박육부재의 에너지흡수 제어에 관한 실험적 연구

        김선규(Sunkyu Kim),황창숙(Changsook Hwang),이현(Hyun Lee),임광희(Kwanghee Im),양인영(Inyoung Yang) 한국자동차공학회 2001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1 No.11_2

        Automobiles should be designed to meet the requirements and standards for the protections of passengers in a car accident. One of safety factors is an absorbing capacity in collision. Many vehicles have been designed based on the criterion of the absorbing capacity. Therefore a controller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control and increase the absorbing capacity of impact energy in automobile collision.<br/> Aluminum alloy(Al) tubes(circular and square) are tested by axial loading. The energy absorbing capacity of AI tubes have been estimated in cases of with-controller and without-controller, respectively based on height, thickness of an controller.<br/>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 교양교육으로서 철학의 의의

        김선규(Kim, Sunkyu)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21 철학탐구 Vol.64 No.-

        취업률이 중요해짐에 따라 인문학에 대한 경시는 확대되고 있으며, 철학은 그중에서도 더욱 그 가치가 의심받고 있다. 철학은 비현실적인적인 논의만 하는 추상적 학문이며, 실용성과는 상관없는 학문으로 여겨지고 있다. 인문학에 대한 평가절하는 인문학에 밀접한 교양교육에도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대학들은 서둘러 취업에 유리한 교과목들을 교양교육으로 편성하는 추세이다. 그런데 사실 철학은 시원 이래 크게 환영을 받은 적이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최초의 철학자로 여겨지는 탈레스도 당대 사람들의 놀림을 받았으며, 소크라테스도 잘 알려진 것처럼 많은 이들에게 미움을 받고 독배를 마심으로 생을 마쳤다. 예외적인 경우도 있긴 하지만, 철학은 비판정신으로 인해 사회에서 환영받기보다는 귀찮은 존재로 여겨지곤 했다. 철학은 조용히 미네르바의 부엉이 역할도 했으나, 주로 사회를 비판하며 거스르려던 브레이크의 역할을 자임했다. 그렇다면 이제 시작된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철학은 어떻게 될 것인가? 4차 산업혁명이라는 거대한 변화를 맞이하여 철학은 흐름에 부합하지 못하는 무용하고 무력한 존재로 여겨질 것인가? 무엇보다도 AI가 인간의 육체뿐만 아니라 정신노동까지도 대체하는 변혁의 시기에 철학은 무엇을 할 수 있으며,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 나아가 새로운 시대에서 철학은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인가? 이 글은 이러한 질문에 대해서 4차 산업혁명의 변화 속에서 철학은 기존의 이미지를 쇄신하고 더욱 존재감을 확대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아울러 철학은 현실과 괴리된 학문이 아니라 인간과 사회에 구체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드러내고자 한다. 즉 AI가 인간을 대체하는 시대에서 철학은 더욱 중요한 위상을 가질 것이며, 특히 전문 철학인이 아닌 일반인들을 위한 교양철학은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다는 점을 주장하고자 한다. As the employment rate becomes more important, the disregard for the humanities is expanding, and the value of philosophy is being questioned even more. Philosophy is an abstract discipline that only deals with unrealistic discussions, and is considered a discipline that has nothing to do with practicality. The devaluation of the humanities has a great impact on liberal arts education closely related to the humanities. Universities are in a hurry to organize courses that are advantageous for employment as liberal arts education. But in fact,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philosophy has never been greatly welcomed since the beginning of time. Thales, considered the first philosopher, was teased by the people of his time, and Socrates, as well known, was hated by many and ended his life by drinking poison. Although there are exceptional cases, it is also clear that philosophy has been regarded as an annoyance rather than welcome in society due to its critical spirit. Philosophy quietly played the role of Minerva"s owl, but mainly criticized society and assumed the role of a break that tried to go against it. So, what will philosophy be like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at has just begun? In the face of the great chan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philosophy be regarded as a useless and powerless existence that cannot keep up with the flow? Above all, what can and should philosophy do in a time of transformation where AI replaces not only human physical but also mental labor? 15Furthermore, what contribution can philosophy make in the new era? In response to these questions, this article intends to show that philosophy can renew the existing image and expand its presence in the midst of chang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addition, philosophy is not a science that is separated from reality, but it is intended to reveal the fact that it can make a concrete contribution to humans and society. In other words, in the era when AI replaces humans, philosophy will have a more important status, and I would like to argue that the liberal arts philosophy for the general public will have more important meaning, especially for non-professional philosophers.

      • KCI등재

        정치 관용 비판

        김선규(Kim, Sunkyu)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7 철학탐구 Vol.45 No.-

        이 논문은 Wendy Brown의 Regulating Aversion: Tolerance in the Age of Identity and Empire에서 논의되고 있는 정치적 수사(rhetoric)로서 관용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타자의 다름을 인정하고 존중하자’는 관용에 대하여 반대하는 사람을 찾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관용이 실천되는 과정에서 반드시 관용의 정신이 이상적인 방식으로 표출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관용은 기본적으로 자신의 가치관과 부합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인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관용은 타자에 대한 전적인 수용이 아니라, 거부의 수용임에도 그것이 ‘도덕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에 따른다는 비자발적인 행위이다. 따라서 관용의 실천에는 부정적인 면이 내재되어 있는데, 특히 암묵적인 차별과 갈등을 더욱 심화시키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실제로 관용은 타자의 다름을 ‘표지(標識)’하고 이를 더욱 ‘강화’하는 방식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따라서 관용이 정치적으로 오용될 경우, 단순하게 차이를 묵인할 뿐만 아니라, 겉으로는 타자를 향한 적대 행위를 줄이고, 모든 차이를 존중하자고 표출되지만, 실제로는 기존의 지배와 우월성을 더욱 공고히 하는데 기여하는 방식으로 악용될 수 있다. 본 논문은 관용이 억압적인 방식으로 타자성(otherness)을 관리하는 방식으로 활용되는 것에 관하여 철학적 분석을 수행한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critically tolerance as a political rhetoric discussed in Wendy Brown’s Regulating Aversion: Tolerance in the Age of Identity and Empire. It is not easy to find people that are against the practice of tolerance, which involves “recognizing and respecting others and their differences.” The spirit of tolerance is not always expressed in ideal ways in the process of its practice because tolerance basically takes the form of accepting different values of others that do not correspond with one’s own. Tolerance is acceptance based on refusal rather than complete acceptance, being an involuntary act to follow because it is “morally” requested. There are thus negative aspects inherent in the practice of tolerance including the further reinforcement of silent discrimination and conflict. Tolerance, in fact, appears in ways of “marking” differences of others and “reinforcing” them further. When it is misused politically, tolerance expresses the ideas of less hostility toward others and respect for all differences on the outside as well as simple connivance for those differences. In actuality, however, it can be abused to contribute to the further consolidation of old rule and superiority. The present study conducted philosophical analysis of utilization of tolerance in ways of managing otherness in suppressive methods.

      • KCI등재

        포스트휴먼의 대상 인식과 디지털 아트: 포스트휴먼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김선규(Sunkyu Kim),김휘택(HuiTeak Kim)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4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서 인공지능의 발전으로 야기된 담론은 계속해서 새로운 인간을 언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 새로운 인간을 우리는 포스트휴먼이라 부른다. 포스트휴먼은 이미지나미디어를 통해 정보를 수용하는 데 완벽히 적응한 인간이라 할 수 있으며, 이 글은 이들이 대상을인식하는 방식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 글은 현재 제기되고 있는 다양한포스트휴먼 담론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이 글은 디지털 아트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디지털 아트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인간이 대상을 인식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초를 제공하기에 포스트휴먼에 관한 담론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한다. 우선, 포스트휴먼은 완성체가 아니라 일종의 지향점이다. 즉 포스트휴먼에 이르기까지는 일정한 과정이 필요하다. 포스트휴먼의 지향점이라면 그 시작은 지금의 인간, 휴먼이다. 진화의 결과가 휴먼이듯이 포스트휴먼 역시인간이 진화한 결과로 보아야 한다. 문제는 이 과정이 자연적 진화가 아니라 기술의 발전을 통해매우 짧은 시간에 이루어진다는 데 있다. 중요한 점은 인간의 신체는 아직 사이보그가 되기 위한극적인 변화를 겪지 않았다. 즉 현재의 휴먼의 관점에서 우리는 포스트휴먼에 관하여 논의를 할수밖에 없다. 휴먼에서 포스트휴먼으로 이행은 단절적인 전환이 아니라 과정으로 이해될 때, 포스트휴먼은 완전한 실체가 아니라 담론으로 존재한다. 인식의 결과로서 담론은 다양한 의견으로다시 분화되고, 다음 세대 인간에 대한 논의는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라는 대립적 진영 논리가아닌, 일종의 위상학적 차원으로 환원된다. 이 글은 이와 관련된 다양한 담론들을 살펴봄으로써포스트휴먼의 정체성을 해명하고자 한다. Discourse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ntinues to refer to new humans. In general, we call this new human ”posthuman.” Posthumans can be said to be humans perfectly adapted to accepting information through images and media.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y might perceive objects, and reviews various posthuman discourses currently being raised in an attempt to discuss digital art. Digital art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discourse on posthumans because it constitutes an important step in understanding the way humans perceive object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irst, posthuman is not a bodily concept but refers to a kind of orientation. A certain process is required to reach the posthuman whose beginning is the human being . Just as the result of evolution is human, posthumans should be viewed as the result of human evolution. However, this process takes place in a very short time, and not through natural evolution but through technological advances. As the human body has not yet undergone dramatic changes to become a cyborg, from the current human perspective, we have no choice but to discuss. When the transition from human to posthuman is understood as a process rather than a disconnected transition, the posthuman exists as a type of discourse rather than a complete reality, and the discussion of the next generation of humans reduces to a kind of topological dimension, not the opposing camp logics of utopia and dystopia. This article attempts to clarify the posthuman identity by examining various discourses related to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