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연금술과 ‘털북숭이 공주’ 관점에서 본 가정폭력 피해여성 사례의 모래놀이치료

        김사라 한국모래놀이치료학회 2012 모래놀이상담연구 Vol.8 No.1

        본 연구에서는 융의 분석심리학을 이론적 바탕으로 하여, 그림형제의 동화책 속에 나오는 ‘털북숭이 공 주’ 의 내재된 심리적 요소를 연금술의 3단계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이를 모래놀이치료의 사례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동화 ‘털북숭이 공주’에서 연금술의 1단계인 nigredo의 단계는 공주가 왕인 아버지로부터 도망 쳐 부엌데기로 신분이 바뀌고, 외형적으로 자신의 정체성에 상처를 입는 단계다. 2단계 albedo에서는 자신을 신분을 숨긴 채 ‘털북숭이 공주’는 더럽고 궂은일을 하면서 비참한 시간을 보내는 과정을 겪으며, 점차 자 신의 자아를 강화해 간다. 마지막 3단계인 rubedo의 단계에서 ‘털북숭이 공주’는 그동안 숨겨졌던 공주를 본 모습을 알아 본 왕과 결혼함으로써 통합의 단계에 이른다. 가정폭력 피해여성사례에서도 모래놀이치료 를 통해 연금술의 3단계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단계 nigredo의 단계에서 내담자는 아버지의 폭력에 대 항하는 자신을 지지해 주지 않는 가족과 주변으로 인해 점차적으로 삶에 대한 의지를 잃어버리며, 자아는 지속적으로 상처를 받는다. 2단계 albedo의 단계에서 내담자는 여러 가지의 성취과정을 통해 가족이 아니라 자신을 생각하고 돌아보면서 상처받은 자아를 치유해 간다. 마지막 3단계 rubedo의 단계에서 내담자는 아버 지를 다시 만나게 되고, 아버지에게 자신의 분노와 감정을 폭발한 후, 비로소 자신을 찾고 자신을 독립된 주체로 사랑하는 모습으로 변화한다. 본 연구는 연금술의 3단계로 그림형제의 동화를 분석한 후, 이를 모래 놀이치료 사례에서 이해하고 분석해봄으로써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모래놀이치료가 가지는 심리 치료적 효과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경험과 직무스트레스 극복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김사라 한국가족치료학회 2019 가족과 가족치료 Vol.27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eply understand the meaning of experience of job stress and experience of coping with job stress among firefighters. Method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in depth how the experiences of various job stresses experienced by firefighters working in the field were revealed in their lives, and the meaning and process of overcoming job stress were deeply illuminated. Results: Using the case study of Stake (1995), three categories, ten subcategories, and 27 semantic units were driven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six research participants. The three categories are ‘fatal things as a firefighter’, ‘pride in one’s job as a firefighter’, and ‘family supports during hard tim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refighters witness suicide, death and injury of colleagues and experience death and injury at the site of the exodus. Firefighters experience various types of job stress and are exposed to many traumatic events, but they accept these as part of the job. Second, relating to pride and responsibility, rewarding, and social recognition from others positively affects overcoming job stress. Third, social support from family members, such as a child’s being proud of their father's work or a spouse’s understanding of the firefighter’s job characteristics, minimizes the stressors and supports acceptance of stressful conditions.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t to have an in-depth look at the job stress experience among firefighters. In addition, it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overcoming job stress using a family based approach, rather than focusing on segregated personal factors that cause 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경험과 직무스트레스 극복경험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현장에서 근무하는 소방공무원이 겪게 되는 다양한 직무스트레스 경험이 그들의 삶 속에 어떻게 드러나는지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직무스트레스 경험을 극복하는 과정과 그 의미를 심도 있게 조명하였다. 연구방법은 Stake(1995)의 사례연구를 적용하여 6명의 연구 참여자와의 심층면담을 통한 진술로부터 3개의 범주와 10개의 하위 범주와 27개의 의미단위를 도출하였다. 범주는 ‘소방공무원이 겪게 되는 숙명적인 일들’, ‘소방공무원이라는 직업에 대한 자부심’, ‘가족은 힘들 때 나를 버티게 해주는 버팀목’이다. 연구결과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경험과 직무스트레스 극복경험과 그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방공무원은 출동현장에서 자살, 사망 및 상해, 동료 및 선후배의 사망과 부상경험을 목격한다. 또한, 화재, 구조, 구급 출동현장에서 직접적인 생명의 위험 등을 경험하기도 한다. 소방공무원은 다양한 종류의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으며, 여러 외상사건에 노출되어 있지만 그들은 이를 소방공무원이라면 겪을 수 밖에 없는 숙명적인 일들로 받아들이고 있다. 둘째, 소방공무원이라는 직업에 대한 자부심과 책임감, 보람, 다른 사람으로부터 인정받는 사회적 인정은 직무스트레스 극복 경험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셋째, 가족들은 소방공무원이 힘들 때 버티게 해 주는 힘으로 힘든 시간을 같이 견디고 아버지의 일을 자랑스러워하는 자녀들, 남편의 일을 이해해 주는 아내로 인해 그들은 자신의 직무스트레스경험을 극복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경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직무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요인에만 머무르지 않고 직무스트레스를 극복하는 과정과 요인들 중 개인적 요인뿐 아니라 가족에 대한 접근을 시도를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김사라,김유숙 한국가족치료학회 2017 가족과 가족치료 Vol.25 No.4

        Objectives: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of firefighters. Methods: Through purposeful sampling, the researchers selected from 700 firefight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y conducted basic statistical analyses to determine correlation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interaction effects. Results: First, job stress of firefight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Second, family resilience confirmed that job stress mitigates the life satisfaction of firefighters. Third, the social support showed that job stress mitigates or lowers the life satisfaction of firefighters. Conclusions: The scope of the study was expanded by selecting environmental variables such as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as well as job stress, to determine their effects on firefighters’ life satisfa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효과적인 방안과 소방공무원의 삶의 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해 내고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소방공무원 700명을 목적표집 하여 기초통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한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때 가족탄력성이 이러한 부정적 영향을 중재하는 조절효과가 있었다. 셋째,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때 사회적 지지가 이러한 부정적 영향을 중재하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현장에 있는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뿐 아니라 가족 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라는 가족과 사회라는 환경적 변인을 선정해 연구의 범위를 확장 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WTO 수산보조금 규율에 대한 구제방안 검토

        김사라 (사)한국국제경제법학회 2020 국제경제법연구 Vol.18 No.2

        2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launch of the DDA negotiations on fisheries subsidies in the WTO, and the 2020 deadline set under the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 14.6 has approached. At this junctu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discussions on disciplining fisheries subsidies. The progress to date has been long and slow in the WTO, but outside the WTO, at the regional level, CPTPP and USMCA have adopted fisheries subsidies disciplines into the agreements.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finally been stipulated in the agreements after many years of discussion. It is worth noting that although the USMCA has been signed only three years after the conclusion of the CPTPP, the provisions under the USMCA related to fisheries subsidies complements and extends that of the CPTPP’s. In this paper, we look at the implications of these developments in the ongoing WTO Fisheries Subsidy negotiations. In particular, the study focuses on the applicability of the current WTO remedies to the new fisheries subsidies disciplines. 세계무역기구(WTO)에서 수산보조금 관련 규범협상이 개시된지 20년이 흘렀으며, 협상의 동력이 되어왔던 UN 지속가능개발목표(SDG) 14.6 상의 WTO 수산보조금협상 타결 기한인 2020년에 들어선 현시점에서 수산보조금 논의 현황에 대해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현재 WTO에서 수산보조금 논의는 지지부진한 상황이지만, WTO 밖, 지역무역협정 차원에서는 CPTPP와 USMCA가 수산보조금 규율을 채택하는 성과를 보였다. 이는 다년간의 논의 끝에 수산보조금 규율이 최초로 명문화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며, CPTPP와 USMCA가 약 3년의 차이를 두고 타결되었지만, USMCA 상 수산보조금 관련 조항들이 발전된 모습을 보인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발전 양상이 현재 진행 중인 WTO 수산보조금 협상에 가지는 함의를 살펴보았다. 특히, WTO 체제에 수산보조금 규율을 도입할 시, 현행 WTO 상 구제조치와의 적합성에 초점을 맞춰 검토하였다.

      • KCI등재

        개인의 목표지향성과 직무수행 간 관계에서 자기조절 활동 및 조직 내 사회적 네트워크의 영향

        김사라,유태용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 목표지향성인 학습, 증명, 회피목표지향성과 적응 및 과업수행 간 관계에 대한 자기조절 활동(목표설정, 피드백추구)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 자기조절 활동과 두 가지 수행 간 관계에 대한 조직 내 사회적 네트워크 강도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기업에서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 286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들의 직무수행을 평가하기 위해 동료 및 상사 38명으로부터 타인평정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목표지향성 중 학습목표지향성과 증명목표지향성은 적응수행 및 과업수행과 정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있었으며, 회피목표지향성은 적응수행 및 과업수행과 부적으로 관련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관계를 자기조절 활동인 목표설정 및 피드백추구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습목표지향성이 강한 사람들은 자기개발에 관심이 높기 때문에 자기조절 활동을 더 많이 하였고, 결과적으로 더 높은 수준의 적응수행과 과업수행을 나타내었다. 증명목표지향성이 강한 사람은 타인과 비교하여 더 나은 평가를 받는 것에 관심이 많기 때문에 학습목표지향성이 강한 사람보다는 상대적으로 약하지만 자기조절 활동을 하고, 결과적으로 높은 수준의 적응수행과 과업수행을 나타내었다. 한편, 회피목표지향성이 강한 사람들은 자신에게 돌아올 부정적 피드백을 회피하고자 하는 데 관심이 많기 때문에 자기조절 활동을 적게 하고, 따라서 적응수행이나 과업수행도 낮았다. 또한 이 연구에서 사회적 네트워크 강도가 피드백 추구와 적응 및 과업수행 간 관계를 조절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즉, 사회적 네트워크 강도가 강한 사람일수록 피드백 추구와 적응 및 과업수행 간의 정적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