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문정설(師門正說),난적사설(亂賊邪說),일기지설(一己之說) -유건휴 『동유론어해집평(東儒論語解集評)』 연구-

        김배의 ( Pei-yi Chin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6 退溪學論叢 Vol.27 No.-

        본 논문은 조선시대 영남 학봉파 퇴계학학자인 유건휴의 『동유논어해집평』을 연구대상으로 삼고 그 주석의 체례와 방식을 연구하여 어떠한 특색을 가지고 있는가? 그리고 이러한 특색은 경전 주해 작업에서 어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것인가? 또한 이 책에서 인용하고 있는 조선 유학자들의 경설은 비록 퇴계학파가 다수이나 실제로는 율곡학파의 경설을 상세히 인용한 정황은 어떤 이유에서인가? 이러한 문제들을 고찰한 후에 필자는 유건휴의 『동유사서해집평』을 조선유학발전사에서 그 위치를 더욱 명확히 해보고자 한다. 필자가 얻은 결론은 1792년에 완성된 『동유사서해집평』은 세 번째 단계의 조선 경학이 주자학이 흥성했던 전기로부터 고거실증, 경제 실학이 발달하는 후기로 이행하는 과도기적전환기의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This article explores Dongyunoneohaejippyeong(東儒論語解集評) which was written by Joseon Confucian Ryu Geon-hyu, who belonged to Yeungnam School and studied Yi Hwang’s thought. I try to analyze the feature and the purpose of this book’s interpretation on classics, and to consider how this book quote the discussion from Yulgok School and the purpose and meaning of this quotation in the history of interpretation on the Four Books in Joseon and in Yeungnam School. Through this work, I try to point out the position of Ryu Geon-hyu’s Dongyusaseohaejippyeong in the history of Joseon Confucianism. I think that Dongyusaseohaejippyeong, which was written in 1792, was in transition of the studies on classics in Joseon, that changed to sinology and practical learning from Zhu Xi’s thought.

      • KCI등재

        [특집: 동아시아 예교(禮敎)의 논리와 예제(禮制)의 교류] : 음시(淫詩) 혹은 여교(女敎)-구마자와 반잔(熊澤蕃山)과 이익, 정약용의「이남(二南) 」 해석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김배의 ( Pei Yi Chi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5 民族文化硏究 Vol.69 No.-

        본고는 구마자와 반잔(熊澤蕃山)의 『여자훈(女子訓)』을 고찰 대상으로 『시경』 「주남(周南)」과 「소남(召南)」을 어떻게 여훈(女訓)으로 쓰게 되었는지, 유가 예교관 하에서 어떤 여덕(女德) 교육을 만들어내고자 한 것인지를 살펴본 것이다. 아울러 가까운 시기 조선 유학자 이익(李瀷, 1681∼1763)의 『시경질서(詩經疾書)』의 「이남(二南)」에 대한 해석을 비교 대상으로 17세기 중엽에서 18세기 전기까지 동아시아 유학자들이 ‘시교’를 조선과 에도시대 여교독본으로 어떻게 쓰고 있으며, 이들이 여교와 음시(淫詩) 사이에서 ‘이례주시(以禮注詩)’ 로 어떻게 『시경』의 경의(經義)를 해석하고 있으며, 어떠한 여성의 형상을 드러내고자 한 것인지 또는 어떠한여덕을 묘사하는지 설명한다. 나아가 조선 후기 실학의 대가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의 『시경강의(詩經講義)』의 「이남」에 대한 해석을 통해1890년대 이전까지 동아시아에서 ‘시교’를 조선과 메이지(明治) 시기 일본의 유가 예교관 아래의 여교로 삼은 실상을 재차 증명한다. 마지막으로본고는 일본의 전통에서 이상적인 여성의 형상이 유가식 ‘달’여성인지, 아니면 일본의 고대로부터 내려오는 원시 신도(神道)식 ‘태양’신인지를 설명한다. This paper takes ``Yeo Ja Hun(女子訓)`` of Gumazawa Banjan as its object of deliveration and examines how it used ``Shi Gyung(詩經)``, ``Ju Nam(周南)``, and ``So Nam(召南)`` for women`s lessons, and how they tried to teach female duty under Confucian views of manners education. Furthermore, this study takes as comparison target, the interpretation on ``Yi Nam(二南)`` in ``Shi Gyung Jil Seo(詩經疾書)`` by Yi Ik(李瀷1681?1763), a Confucian scholar of Joseon Dynasty and examines how the East Asian scholars of the mid 17th to early 18th century used Shi Gyo(詩敎) as a reading to educate women in Joseon Dynasty and Edo period. It further looks into how they interpret the meaning of Shi Gyung using ``Yi Rye Ju Shi`` between Yeo Gyo and Eum shi, what kind of female character they intend to support, and how they explain female duty. Then, using the interpretation on ``Yi Nam`` in ``Shi Gyung Gang Yui`` of Jeong Yak-yong, the great scholar of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in late Joseon period, this paper proves that Shi Gyo of East Asia was used for female education of Confucian manners during Joseon and Meiji period until the 1890s. Lastly, this study explains the idealistic female form in Japanese tradition is the ``lunar`` women of Confucianism or the ``sun`` god in Shinto, the traditional religion of Japan originating from ancient t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