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가 영역 수준별 교수-학습 방법

        김문기 ( Mun Kie Kim ),조정민 ( Jeong Min Cho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3 중등교육연구 Vol.51 No.1

        This study aimed to review the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of in-depth complementary type curriculums by level among curriculums by level, and recommend measures to allow the curriculums to be realized appropriately on the school frontline. Likewise, this paper sought to sugges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y the level of the field of poetry designed to spur the interest of learners in connection with their attitude and promote their abilities to appreciate works. Learning on the field of poetry, in the nature of the peculiarity of Korean Language subject and of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field, could appropriately accommodate the in-depth complementary type. Among other things, out of several side effects arising from classes by level, the biggest problem is the negative emotional factor that has effect on low-level groups of students. To complement this and spur the interest of learners, the ``Jigsaw`` technique was used out of cooperation learning. This is because the ``Jigsaw`` technique is the model whose learning effect is verified in terms of self-respect and sense of responsibility, and the inferiority and alineation feeling among the low-level groups are seen as being able to be eased through self-respect and sense of responsibility. The research surveyed the interest in, concern about and involvement in learning by level, as well as the preference over new class methods, and gained affirmative responses. Overall, given the fact that respondents in the mid and low-level groups were diminished, and that learners` interest was highly enhanced, the learning methods by level proved to be effective.(Kyungpook National Univ.)

      • 투고논문 : 도산구곡(陶山九曲) 원림(園林)과 도산구곡시(陶山九曲詩)고찰

        김문기 ( Mun Kie Kim ) 경북대학교 퇴계학연구소 2008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3 No.-

        본 논문은 2007년 8월과 2008년 5월, 2차에 걸쳐 실시된 도산구곡 원림에 대한 학술조사와 이가손 등 6인이 지은 도산구곡시, 오가산지 등 도산구곡 관련 문헌 조사를 통하여 도산구곡의 각 지점을 고증하고, 이가순의 도산구곡시를 중심으로 도산구곡시의 작품세계를 분석, 고구하였다. 도산구곡은 낙동강을 따라 운암에서 청량까지 약 45리에 걸쳐 설정되어 있는 구곡원림인데, 언제, 누가 설정한 것인지 알 수 없었고, 그 구곡의 지점도 일정하지 않았다. 문헌조사와 2차에 걸친 학술조사를 통하여 고산구곡의 설정은 18세기 후반에 이르러 완성되었고 도산구곡의 중심 지점은 1곡이 운암, 2곡이 월천, 3곡이 오담, 4곡이분천, 5곡이 탁영, 6곡이 천사, 7곡이 단사, 8곡이 고산, 9곡이 청량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산구곡시는 이이순, 이야순, 이가순, 이종휴, 조술도, 금시술, 최동익 등이 창작하였다. 이 중, 이가순은 도산구곡시는 물론이고 퇴계구곡시, 옥산구곡시, 원명구곡시, 소백산구곡시 등 5편의 구곡시를 창작한 구곡시의 대가일 뿐만 아니라 도산구곡의 지점 설정도 제일 정확하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이가순의 시를 중심으로 도산구곡시의 작품세계를 분석하였다.이가순은 도산구곡의 경물을 완상하면서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흥취에 의탁하여 도학의 뜻을 드러내었으니 이가순의 도산구곡시는 이른바 탁흥우의의 구곡시라 할 수 있다. Based on two phases of academic survey about Dosangugok(陶山九曲) grove in Aug. 2007 and May 2008, this study sought to ascertain historical evidences of each position distributed within Dosangugok by investigating related literatures such as Ogasanji(吾家山誌) and Dosangugok poems(陶山九曲詩) written by 6 co-authors including Lee Ga-sun, and thereby sought to analyze and examine poetic world of Dosangugok poems, especially that written by Lee Ga-sun. Dosangugok is a meandered grove whose section is set from Unam(雲巖) to Cheongryang(淸凉) (total distance:about 18km) along the Nakdong River, but there was nothing known about when and who set the region of Dosangugok. Besides, there were undefined sections of such meandered grove. According to literature review and two phases of academic survey, it was found that Dosangugok was completely set in the late 18th century, and central positions of Dosangugok comprised total 9 curves: Unam(Curve 1), Wolcheon(Curve 2), Odam(Curve 3), Buncheon(Curve 4), Tagyeong(Curve 5), Cheonsa(Curve 6), Dansa (Curve 7), Gosan(Curve 8) and Cheongryang(Curve 9). Dosangugok poems were originally created by Lee Yi-sun(李이淳), Lee Ya-sun(李野淳), Lee Ga-sun(李家淳), et al. In particular, Lee Ga-sun authored 5 pieces of Gugok poetry including Dosangugok poems so that he was recognized as the maestro of Gugok poetry, and set each sectional position of Dosangugok more correctly than anyone else who authored Dosangugok poems. So this study focused primarily on analyzing poetry of Dosangugok written by Lee Ga-sun. While appreciating scenery and natural features of Dosangugok, Lee relied on his inner gusto to reveal his intentions of Confucian philosophy.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his Dosangugok is a Gugok poetry of Takheung Woowi(托興寓意) to reveal hidden intentions by relying on metaphor of natural phenomena.

      • 투고논문 : 금천구곡(琴川九曲) 원림(園林)과 금천구곡시(琴川九曲詩) 연구

        김문기 ( Mun Kie Kim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4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5 No.-

        금천구곡은 부사 성여신(1546-1632)이 경상남도 진주시 금산면의 금천에 설정하고 경영했던 구곡원림이다. 경상도 남부지역에 존재하는 10개 미만의 구곡원림 중에서 남명학이 우세한 진주 지방의 금천구곡은 여러 측면에서 주목되는 원림이다. 성여신이 경영했던 금천구곡은 금천을 따라 내려가며 설정하였는데 제1곡이 봉학대, 제2곡이 황류연, 제3곡이 어풍정, 제4곡이 와운뢰, 제5곡이 적벽만, 제6곡이 송강진, 제7곡이 반구주, 제8곡이 임강정, 제9곡이 경심담이다. 금천구곡은 성여신이 71세 때에 여씨 향약과 퇴계의 향약을 참고하여 자신이 거처하는 고을에 적합한 동약을 만들어 건전한 유학의 문풍을 세우려고 하였는데 금천구곡의 설정도 이러한 풍속의 쇄신과 문풍학립의 일환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성여신은 구곡을 설정할 때에 주자의 무이구곡 설정 방식에 구애받을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 했을 것이다. 주자의 무이구곡은 아래로부터 물을 거슬러 올라가며 구곡을 설정했으나 금천구곡은 성여신이 동민들과 더불어 자연을 완상하며 심신을 정화하려는 목적이 컸으므로 물을 따라 내려 오면서 순리대로 구곡을 설정하게 되었다고 본다. <금천구곡시>도 그 형식부터 무이도가와 차별성을 띠게 되었다. 서시가 없을 뿐만 아니라 무이도가를 차운하지도 않았다. 이는 성여신이 무이구곡을 맹목적으로 추종하기보다는 실용성에 무게를 두어 주자의 구곡문화를 보다 자연스럽게 주체적으로 수용하고 경영하려는 의도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도학을 추구하는 입도차제적 입장보다는 자연을 완상하는 인물기흥적 면모를 드러내면서도 탁흥우의적인 시세계를 펼쳤다. <금천구곡시>에는 부분적으로 선취경향을 드러내고 있는데 이는 성여신이 만년에 동약을 만들어 행하고 금천구곡을 설정하여 경영하면서 한편으로는 신선의 세계를 찾아 유람을 즐기는 은일의 변모양상이라 하겠다. <금천구곡시>에 드러난 선취는 범부들이 사는 범속의 세계를 떠나 높은 정신세계, 청정한 세계를 지향하는 의식을 드러낸 것이라 볼 수 있다. Geumcheon-gugok(琴川九曲) is Gugok garden(九曲園林) that Seong Yeo- shin(1546-1632) had established and managed in the Geumcheon stream(琴川) of Gumsan-myeon, Jinju-si, Gyeongsangnam-do. Seong Yeo-shin established Geumcheon-gugok(琴川九曲) in order to reform custom and to settle writing style(文風). Thus, Gugok(九曲) was rationally established with going down along the water in the Geumcheon stream. Even Geumcheon-gugok poem(琴川九曲詩) came to have differentiation from Muidoga (武夷棹歌) by Zhuzi(朱子) just in its form. It not only has no prologue, but also had no rhyme-matching(次韻) of Muidoga. This seems to have been the intention of accepting and managing Zhuzi``s Gugok-culture(九曲文化) more naturally and subjectively by which Seong Yeo-shin did put weight on practicality rather than blindly following Mui-gugok(武夷九曲). Accordingly, he did spread the Takheunguui(托興寓意)-based poetic world even while revealing the Inmulgiheung(因物起興)-based aspect of appreciating nature rather than the Ipdochaje(入道次第)-based position of pursuing moral philosophy(道學). In Geumcheon-gugok poem, the partially Zen-fondness(仙趣) tendency is being revealed. This can be said to be a part of Eunil(隱逸) that Seong Yeo- shin enjoys sightseeing by searching for the world of scenic haven on the one hand while making and performing Dongyak(洞約, rule in village) in his latter years and managing Geumcheon-gugok. Zen-fondness, which was revealed in Geumcheon-gugok poem, can be considered to be what revealed the consciousness of pointing to the high mental world and the clean world with escaping from the secular world where ordinary people live.

      • 투고논문 : 퇴계구곡(退溪九曲)과 퇴계구곡시(退溪九曲詩)연구

        김문기 ( Mun Kie Kim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8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2 No.-

        본고는 퇴계구곡 원림에 대한 지난해 여름의 학술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퇴계구곡 원림의 각 지점을 고증하고 그 원림적 특징과 퇴계구곡시 작자의 생애와 학문, 퇴계구곡시의 작품세계를 고찰하였다. 퇴계구곡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하계 이가순의 퇴계구곡시를 통하여 밝혀지게 되었다. 그 후, 퇴계구곡 원림에 대한 조사와 퇴계구곡 관련시를 두루 찾는 과정에서 하암 이종휴의 퇴계구곡시도 창작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2007년 8월에 퇴계구곡 원림에 대한 학술조사를 실시하여 퇴계구곡의 존재를 확인하게 되었고 퇴계구곡의 정확한 지점을 고증할 수 있었다. 퇴계구곡 원림의 제1곡은 사련진, 제2곡은 양진암, 제3곡은 죽동, 제4곡은 장명뢰, 제5곡은 고등암, 제 6곡은 임부동, 제 7곡은 양평, 제8곡은 청음석, 제9곡은 쌍계인데 이들 퇴계구곡은 부분적으로 훼손된 바가 있으나 전반적으로 볼 때 잘 보존되어 있었다. 도산구곡이 낙동강의 큰 물줄기에 설정된 것과는 달리 퇴계구곡은 퇴계선생의 유적이 산재하는, 낙동강의 지류인 퇴계, 즉 토계천을 따라 5.5km에 걸쳐 설정되어 있다. 퇴계구곡 원림이 퇴계선생 생존 시에 지정되고 경영되었는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퇴계구곡시는 하계 이가순과 하암 이종휴, 두 사람이 남겼다. 이가순은 전국의 명산과 대찰, 명현의 유적지를 두루 편답하고 수많은 기행시를 창작했을 뿐만 아니라 무이구곡도가의 차운시와 퇴계구곡시를 비롯한 도산구곡시, 옥산구곡시, 원명구곡시, 소백구곡시 등 5편의 원림 구곡시를 지었다. 이가순의 퇴계구곡시는 전 2구에서는 주로 각 곡의 주위 경관과 풍치를 묘사하고 후 2구에서는 퇴계선생에 대한 회고의 정이나 성정지정을 탁물우의하여 읊고 있어서 그의 이 구곡시는 인물기흥적인 시라 할 수 있다. 이종휴도 무이구곡도가 차운시를 남긴 것을 비롯하여 퇴계곡시와 옥산구곡시, 도산구곡시를 창작하였는데 이종휴의 퇴계구곡시도 서경과 서정을 통해 탁물우의의 수법으로 음영성정하였으나 전반적으로 볼 때 이가순의 퇴계구곡시에 비하여 도학의 묘리를 담은 작품이 많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an academic investigation into Toegyegugok(退溪九曲) conducted last summer in an attempt to ascertain historical evidence for each spot of it and its natural characteristics, and it’s also meant to look into Toegyegugok poems and the lives and learning of the poets. An academic investigation was implemented into Toegyegugok in August 2007 to confirm its existence, and that made it possible to find out the exact location of it. In general, that remained intact, though it was partly damaged to some extent. That was 5.5㎞ long and along Togye River, a branch stream of Nakdong(洛東) River where Toegye’s remains were rampant. It is not sure whether this spot was designated while he was alive. There were two poets who wrote poems about Toegyegugok:Lee Ga-sun(李家淳) and Lee Jong-hyu(李宗休). In Lee Ga-sun’s poem, each valley’s scenary and scenic beauty were portrayed in the first two lines, and he described his affection for Toegye(退溪) and the uprightness of man allegorically by using things in the second two lines. So his poem could be said to depict how he was elated by things. Lee Jong-hyu composed poems about Toegyegugok(退溪九曲), Oksangugk(玉山九曲) and Dosangugok(陶山九曲) as well. In the poem about Toegyegugok, he allegorized human nature. Overall, however, his Toegyegugok poem described more principles of moral philosophy than that of Lee Ga-sun.

      • 투고논문 : 수락대구곡(水落臺九曲)과 수락대어가구곡시(水落臺漁歌九曲詩) 연구

        김문기 ( Mun Kie Kim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2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0 No.-

        예천지방에 존재하는 殷山九曲과 水落臺九曲에 대한 학술조사를 실시하여 각 구곡의 위치를 고증하고 그 원림적 특정도 추출하였다. 은산구곡에 대한 구곡시는 찾을 수 없었으나 수락대구곡에 대한 구곡시는 3편이나 전하고 있었다. 영주 봉현의 池方山에서 발원한 석관천이 내성천으로 흘러들면서 결절된 승지가 바로 수락대이고 이곳을 전후로 하여 설정된 구곡이 바로 수락대구곡이다. 수락대구곡 원림을 가정 먼저 설정한 사람은 四勿齋 宋相天이었으나 본격적으로 설정하고 경영한 사람은 鶴林 權訪이다. 수락대구곡시는 송상천이 젊은 시절 권방의 은거지인 수락대를 방문하고 「水落臺九曲詩」를 지어 권방에게 보내자 권방이 이에 화답하는 「水落臺漁歌九曲詩」를 지었으며 뒤에 권방의 구곡시에 대해 石窩 權褘가 차운하여 「水落臺九曲詩」를 지었던 것이다. 권방이 설정한 수락대구곡은 제1곡이 觀魚臺, 제2곡이 聽澗亭, 제3곡이 江南曲, 제4곡이 南山수, 제5곡이 虹橋, 제6곡이 石門오, 제7곡이 石出臺, 제8곡이 水落臺, 재9곡이 登瀛谷이다. 본고에서는 권방이 수락대구곡을 설정하고 경영한 과정과 수락대구곡의 원림적 특징을 분석하고, 권방이 지은 「水落臺漁歌九曲詩」의 시세계를 고찰하였다. 권방은 「水落臺漁歌九曲詩」를 통하여 수락대구곡을 道에 이를 수 있는 淸淨의 空間으로 보았으며 그가 추구한 것은 별유천이 아니라 平常의 道임을 드러내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in which Gwon Bang(權訪) established and managed Surakdaegugok(水落臺九曲), and the plantation-based characteristic of Surakdaegugok, and considered poetic world of Surakdaeeogagugok-poetry(水落臺漁歌九曲詩) composed by Gwon Bang. A person, who first established the plantation of Surakdaegugok, was Samuljae(四勿齋) Song Sang-cheon(宋相天). However, A person, who established and managed it in earnest, is Hakrim(鶴林) Gwon Bang. As for Surakdaegugok-poetry, Song Sang-cheon visited Surakdae(水落臺), which is Gwon Bang`s safe haven in his early days, and composed Surakdaegugok-poetry and sent it to Gwon Bang. Then, Gwon Bang composed Surakdaeeogagugok-poetry in response to this. Later, Seok Wa(石窩) Gwon Wee(權褘) composed Surakdaegugok-poetry with rhyme-matching of Gwon Bang`s Gugok-poetry(九曲詩). Surakdaegugok established by Gwon Bang comprises the first turn Gwaneodae(觀漁臺), the 2nd turn Cheongganjeong(淸澗亭), the 3rd turn Gangnamgok(江南曲), the 4th turn Namsansu(南山수), the 5th turn Honggyo(虹橋), the 6th turn Seokmuno(石門오), the 7th turn Seokchuldae(石出臺), the 8th turn Surakdae(水落臺), and the 9th turn Deungyeonggok(登瀛谷). Gwon Bang regarded Surakdaegugok as clean space available for reaching Do(道) through Surakdaeeogagugok-poetry, and revealed that what he pursued is not Byeolyucheon(別有天), but is usual Do(道). Ultimately, Gwon Bang deemed Surakdaegugok as clean space available for reaching Do(道) through Surakdaeeogagugok-poetry, and revealed that what he pursued is not a different world, but is usual Do(道). Accordingly, Surakdaeeogagugok-poetry can be said to be poem in Takmulwoowi(托物寓意).

      • [기획논문] 조선중기(朝鮮中期) 한국나학(韓國懦學)의 특위(特偉)과 반성(反省) : 박구원(朴龜元)의 고사구곡(姑射九曲) 원림(園林)과 사구곡시(姑射九曲詩)

        김문기 ( Mun Kie Kim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3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2 No.-

        부산과 울산을 포함한 경상남도 지방은 백두대간에서 다소 떨어져 있지마는 洛東正脈과洛南正脈에 둘러싸여 있고 훌륭한 유학자들이 있었기 때문에 姑射九曲, 琴川九曲,磻溪九曲,白蓮九曲,長田九曲,海印九曲 등과 같은 구곡원림이 존재하고 있다. 이들 구곡원림 중에서 采芝堂 朴龜元d이 설정하고 경영했던 고야구곡은 우리 나라 최초의 구곡원림일 가능성 있기 때문에 2차에 걸쳐 학술조사를 실시하고, 고야 구곡시와 관련 자료를 면밀히 분석, 고구하였다. 박귀원은 치사한 후, 고향인 밀양군 단장면 고례리로 퇴거하여 당대 사림을 대표하던 김종직, 김광필, 정여창 등과 교유하며 天人性命에 대하여 토론하고 詩酒와 琴基를 함께 하며 隱居求道하면서 고야 지역의 맑고 빼어난 산수가 朱子가 은거하던 무이구곡과 닮은 점이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최초로 구곡을 설정하고 구곡시를 창작했음을 密城世稿에 실려 전하는 采芝堂先生遺稿의 서문과 행장을 통하여 밝혔다. 또한 밀양 고야 지방에 구곡원림이 존재했다는 것은 김종직의 <紅流洞>시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야구곡시는 박귀원이 고야구곡의 승경을 유람하면서 그 곳을 도가 존재하는 청정한 공간으로 파악하고 세상과 단절된 은자가 아니라 자연 속에 살면서 자연의 이치를 궁구하는 유학자적인 꿈과 물아일체의 경지에 이르고자 하는 심경을 형상화한 시라고 평가하였다. Gyeongnam(慶南)provincial region including Bunsan(釜山) city and Ulsan(蔚山)city is somewhat far from Baedudaegan(白頭大韓), a group of mountains along Korean peninsular back, but it is surrounded with Goya-gugog(姑射九曲), Nakdong-jeongma다(洛東正派) and Naknang-jeongmaek(洛東正脈) and Naknang-jeongmaek(洛南正脈)and is also a birthplace of brilliant Confucian scholars. That is why this region stil cherishes Gugog garden suchi as Goya-gugog(姑射九曲), Geumcheon-gugog(琴川九曲). Bangye-guog(磻溪九曲), Baekryeon-gugog(白蓮九曲), Jangjeon-gugog(長田九曲), Wonmyeong-gugog(源明九曲) and Haein_gugog(海印九曲). Among these Gugog gardens, Goyagugog a hisgoric place known to be set and run bu Chaejidang(采芝堂)Park Gui-won(朴龜元), is possibly presumed to be the first gugog garden in Korean history. Thus, the author of this paper conducted 2cases of academic survey on Gogyogugog and made a further analysis and exaimnagio into poems and relevant literatures about Goya-gugog. The author of this paper found that Park Gui-won came from his official life back to Gorye-ri (Danjang-myeon, Miryang-gun. Gyeongnam Province) as his hometown, where he shared fellowships with his contemporary representative local Confucian scholars such as Kim Jong-jik(金宗直),Kim Goeng-pil and Jeong Yeo-chang(鄭汝昌), and also established Gugog(九曲) and created Gugog poems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Korea, as evidenced by existing writings and life history of decdased Park-e.g. Chaejidang Seonsaeng-yugo(采芝堂先生遺稿) in Milseong-sego(密城世稿). In addition the existence of gugog garden in Goya area. Miryang was evidendced by Kim Jong-jik`s poem titled “Hongryudong(紅流洞)” This study concluded that Goga-gugog poems written by Park intended to identify beautiful scenery of Goya-gugog as a pure place of Tao(道) when he went sightseeing around it, and those poems sought to embody his Confucian dream for exploring the reason of nature with life in nature, not hermitic life isolated from world, and express his longing for reaching a stage of unity between physical and mental world(物我一體).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