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玆山魚譜』와 『海族圖說』

        김문기(Kim, Moon-Kee) 부산경남사학회 2016 역사와 경계 Vol.101 No.-

        『자산어보』는 해양생물에 대한 과학적인 관찰이라는 점에서 우리나라 박물학에서 독보적인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흥미롭게도 정약전은 어보를 저술하려 했을 때, 원래 ‘그림’이 포함된 『해족도설』을 구상했었다. 그렇지만 동생인 정약용의 충고에 따라 이 구상을 포기하고 ‘문자’만으로 이루어진 『자산어보』를 남기게 되었다. 이 글은 정약전의 이러한 ‘선택’이 가지는 역사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자산어보』는 세밀하고 경험적인 고찰을 행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을 ‘그림’이 아닌, ‘문자’로만 표현했다. ‘문자’의 한계에서 자유롭지 못한 것이다. 이런 사실은 정약전과 동시대를 살았던 郝懿行의 『記海錯』에서도 확인된다. 중국과 조선의 魚譜들은 해양생물을 기술하면서 모두 ‘문자’로 표현하고 있다. 이에 반해 동시대를 살았던 구리모토 탄슈의 『栗氏魚譜』, 『皇和魚譜』는 ‘그림’이 핵심이었다. 중국과 조선의 어보가 ‘문자’에 머물러 있을 때, 일본의 어보는 ‘그림’이 주된 지식의 매개체였다. 박물학에서 ‘그림’은 정보전달의 핵심적인 수단이었다. 정약전과 학의행이 ‘문자’라는 청각세계에서 벗어나지 못할 때, 일본의 박물학은 ‘그림’이라는 시각세계로 전환되고 있었다. 정약용은 “글로 쓰는 것이 그림을 그려 색칠하는 것보다 나을 것(文字勝丹靑)”이라고 했다. 조선 문명이 청각적 세계에서 자유롭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자산어보』는 ‘청각’과 ‘시각’의 갈림길에 선 조선의 선택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When it comes to the scientific observation of marine organisms, Jasan-Urbo holds an unchallenged position in the field of natural history in Korea. Interestingly, Jung Yak-jun originally planed Haejok-dosul(『海族圖說』) with a series of ‘illustrations’, when he had intended to write Books of Fishes(魚譜). However, having taken his younger brother Jung Yak-yong’s advice, he abandoned his original plan and composed Jasan-Urbo(『玆山魚譜』) using only ‘letters.’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ical meaning of Jung Yak-jun’s ‘choice.’ Jasan-Urbo is highly esteemed in terms of conducting detailed and empirical considerations. However, its contents were expressed in ‘letterss’, not in ‘illustrations,’ which means that this work do have limitations of to explain its own contents because it was written in ‘letters.’ The same problem is found in Jihaicuo(記海錯), written by one of his Chinese contemporaries, Hao Yi-xing(郝懿行). In other words, the contents of the Books of Fishes in China and Joseon were explained in only ‘letters.’ On the other hand, illustrations were the nucleus of Japanese Books of Fishes such as Kurishi-Gyofu(『栗氏魚譜』) and Kouwa-Gyofu(『皇和魚譜』), composed by their Japanese contemporary, Kurimoto Tanshyu. Whereas, Books of Fishes of China and Joseon limited their means to conveying knowledge to ‘letters’, those of Japan took ‘illustrations’ as the major medium of knowledge. In natural history, ‘illustrations’ were essential to deliver information. While Jung Yak-jun and Hao Yi-xing had restricted themselves to ‘letters,’ the natural history of Japan had turning its attention to the ‘illustrations.’ In fact, Jung Yak-yong contended that “letters are better than illustrations.” The civilization of Joseon was not free from the auditory world. Jasan-Urbo signifies Joseon’s choice which was made at a crossroad between ‘hearing’ and ‘sight.’

      • KCI등재

        근세(近世) 일본(日本)의 『동의보감(東醫寶鑑)』 어류지식(魚類知識) 연구(硏究)(Ⅱ) ― 1718~1747년 조선약재조사(朝鮮藥材調査)를 중심으로 ―

        金文基 ( Kim Moon-kee ) 명청사학회 2020 명청사연구 Vol.0 No.53

        This paper is the second in a series of studies on ichthyological knowledge of Dong-Ui-Bo-Gam(『東醫寶鑑』) in early modern Japan, especially focusing ichthyological knowledge of Survey of Joseon’s Medical Ingredient(朝鮮藥材調査), conducted on three separate occasions for 30 years(1718-1747) by the Japanese settlement in Joseon(倭館, Wae-Gwan). The survey of Joeson’s medical ingredient started because Yoshimune(吉宗), the 8<sup>th</sup> Shogun of Japan, had a penchant for Dong-Ui-Bo-Gam. He would like to identify the plants and animals from Tangaek-pyen(「湯液篇」) in Dong-Ui-Bo-Gam. In other words, These three times of survey of Joseon’s medical ingredient from 1718 by the Wae-Gwan is a big project of Japan in early modern to figure out products all over the Joseon. The part of fishes shows that it was not easy to identify precisely them in a practical survey. This problem comes from the entangled intellectual tradition among three countries in East Asia, including in China as well as in Joseon and Japan. These examples are as follow: Snakehead(蠡魚), Mandarin Fish(鱖魚), Bullhead(黃顙魚), Chum Salmon(鰱魚) and Cherry Salmon(松魚). It was much difficult to identify particularly Ricefield Swamp Eel(鱔魚), because Koreans misinformed about it. It should be mentioned that Dong-Ui-Bo-Gam has an influence on the progress of Natural History in Japan. Emphasizing the impact of Bencao-gangmu( 『本草綱目』), Japanese scholars mentioned rarely about Dong-Ui-Bo-Gam, which however had a profound impact on medical ingredient localization policy by Yoshimune. The Survey of the Medical ingredient in Joseon brought on by Dong-Ui-Bo-Gam was expanded to survey all over Japan, China, and Holland. This work, therefore, served as a momentum to advance Japanese Regional Production Studies and Natural History. Above all, the most remarkable part of the survey of Joseon’s medical ingredient by Japan is that Japanese tried to verify not through the ‘text’ but through the ‘real thing’ and the ‘drawing’, which shows that method of research was converted from auricular one to visual one. In other words, this survey conducted to identify medical ingredients in Dong-Ui-Bo-Gam has changed the research method of Japanese medicinal herbal knowledge. In the progress of Japanese Natural History, earlier study about Bencao-gangmu has been done in the ‘auricular-based’ traditional method, while study about Dong-Ui-Bo-Gam in the earlier 18<sup>th</sup> century shows the conversion to the ‘visual’ method in earnest. This change for thirty years is a very important point in the rapid development of Japanese Natural History from the later 18<sup>th</sup> century.

      • KCI등재

        근세 동아시아의 魚譜와 어류지식의 형성

        김문기(Kim, Moon-Kee) 부산경남사학회 2016 역사와 경계 Vol.99 No.-

        이 글은 근세 동아시아에서 물고기에 대한 전문서인 ‘어보’가 출현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동아시아에서 본격적으로 어보가 출현했던 것은 16세기 말이었다. 1596년에 편찬된 屠本畯의 『閩中海錯疏』가 그것이다. 『민중해착소』는 중국 최초의 ‘수산생물지’로 평가받는다. 일본 최초의 어보는 1719년에 편찬된 간다 겐센(神田玄泉)의 『日東魚譜』이다. 『일동어보』는 동시에 일본 최초의 ‘魚類圖鑑’이기도 하다. 일본의 어보는 처음부터 ‘圖鑑’으로 시작되었다는 것이 주목된다. 조선 최초의 어보는 1803년에 편찬된 金鑢의 『牛海異魚譜』이다. 한국 최초의 어보는 중국보다는 207년, 일본보다는 84년이 지나서 출현했던 것이다. 중국의 어보 중에서 聶璜의 『海錯圖』(1698)는 동아시아 최초의 ‘魚類圖譜’라고 할 수 있다. 丁若銓의 『玆山魚譜』(1814)는 자연과학적인 관찰과 묘사에서 중국과 일본의 어보들에 견주어 결코 손색이 없다. 동아시아 3국의 어보를 비교했을 때 주목되는 것은 일본의 어보들이다. 18세기 후반에 이르면 일본의 어보들은 양적이나 질적인 면에서 중국과 조선의 어보들을 압도했다. 도미 ․ 넙치 ․ 개복치 등 단일어종에 대한 전문어보가 출현한 것은 물론이고, 『皇和魚譜』를 비롯한 민물고기 전문어보도 여럿 저술되었다. 일본 어보에서 가장 중요한 특성은 바로 ‘그림’이다. 최초의 어보가 ‘圖譜’에서 시작되었던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일본 어보들은 ‘글(譜)’보다는 ‘그림(圖)’이 정보전달에서 핵심이었다. 『衆鱗圖』, 『栗氏魚譜』, 『梅園魚譜』, 『水族四帖』 등에 묘사된 생동감 있는 그림은 어류박물학에서의 성취를 잘 보여준다. 근세 동아시아 3국은 모두 어류박물학이 발전했다. 어보는 어류지식이 형성되고 발전하는 과정을 잘 보여준다. 그렇지만 이들 사이에는 차이가 존재한다. 문제는 이것이 단순한 ‘차이’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엄연한 ‘격차’로 발전했다는 사실이다. 이 글에서 소개한 동아시아 3국의 어보들에 대한 비교 및 그 박물학적인 의미는 후속논문을 통해서 밝히도록 하겠다. This study examines the emerging process of the books of fishes(魚譜) in the premodern East Asia. It was by the late 16th century that those literatures in earnest began to appear in the East Asia: Minzhong-Haicuoshu (『閩中海錯疏』) compiled by Tu Benjun(屠本畯) in 1596. It is evaluated as the first version of ichthyography in China. In Japan the first book of fishes is Nitto-Gyofu(『日東魚譜』) compiled by Kanda Genshen(神田玄泉) in 1719. It is also the first ‘Atlas of Fishes’ in Japan. It is worthy of notice that the Japanese books had a shape of ‘illustrated book’ from the outset. And the first one of fishes in Chosun is Woohaeri-Eobo(『牛海異魚譜』) compiled by Kim Ryo in 1803, which emerged 207 and 84 years later than China and Japan. Among those literatures in the respective countries, the Japanese ones are remarkable. By the latter 18th century they were overwhelming i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Not only the specialized works on a single fish species such as Porgy, Flounder, and Mola mola, but the books of freshwater fishes like Kowa-Gyofu(『皇和魚譜』), the various ones were written in Japan. The most important feature in the Japanese ones was the illustration. As the first version was made as an illustrated guide, the ‘illustration(圖)’ rather than the ‘writing(譜)’ was the key to tell its information. The illustrations expressed animatedly in Shyurinzu(『衆鱗圖』), Kurishi-Gyofu(『栗氏魚譜』), Baien-Gyofu(『梅園魚譜』), Suijoku-Shichyou(『水族四帖』) etc. represents a great achievement in the natural history of fishes.

      • KCI등재

        근세 동아시아의 魚圖와 어류박물학

        김문기(Kim, Moon-Kee) 부산경남사학회 2017 역사와 경계 Vol.105 No.-

        동아시아의 동식물에 대한 연구에서 『詩經』과 『山海經』은 가장 중요한 두 전통이었다. 이 글에서는 이들 전통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어류지식의 형성에서 ‘圖像’의 중요성을 확인하고자 했다. 중국은 고대부터 ‘左圖右書’의 전통이 있어, 지식을 체계화하는 데에 도상이 매우 중요했다. 『시경』과 『산해경』은 고대부터 도상이 존재했지만, 오늘날 전해지는 도상은 모두 명청시대에 편찬된 것이다. 『爾雅圖』는 南朝때에 있었지만 사라져버렸고, 청대 曾燠가 편찬한 宋元代의 『爾雅音圖』만이 남아 있다. 『시경』의 동식물을 도상으로 밝히려 했던 연구는 18세기 후반에 출현했다. 徐鼎의 『毛詩名物圖說』이 그것이다. 『산해경』의 도상 또한 오랜 전통이 있었지만 모두 흩어지고, 명말 胡文煥의 『山海經圖』와 蔣應鎬의 『山海經(圖繪全像)』이 나오면서 본격적으로 발전했다. 도상을 통한 동식물의 연구라는 관점에서 에도시대의 일본은 흥미롭다. 徐鼎의 『毛詩名物圖說』이 편찬되고 14년 뒤에 오카 겐포(岡元鳳)의 『毛詩品物圖考』가 출간되었다. 『모시품물도고』의 도상은 『모시명물도설』의 그것보다 훨씬 사실적이다. 19세기 중반에는 호소이 준(細井徇)의 『詩經名物圖解』가 출현했는데, 색채가 가미된 도상은 또한 『모시품물도고』의 그것을 훌쩍 뛰어 넘는다. 에도시대에 출현한 『奇怪鳥獸圖卷』과 『山海經繪卷』은 『山海經』의 영향을 받았지만, 채색이라는 점에서 중국의 『산해경』의 도상보다 훨씬 생생하다. 일본의 『시경』과 『산해경』 도상은 ‘흑백’을 벗어나 ‘칼라’로 진입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조선도 『시경』과 『산해경』의 영향을 받았지만, 그 지식을 도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를 찾을 수 없었다. 丁學游의 『詩名多識』도 문자 중심에서 조금도 벗어나지 못했다. 이처럼 어류를 포함한 동식물지식의 발전과정에서 도상의 전통은 중국에서 먼저 출현했지만, 18세기를 거치면서 일본에서 더욱 발전했다. 이에 반해 조선에서는 동식물지식을 도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를 찾기 어렵다. 도상을 시각, 문자를 청각으로 이해한 鄭樵의 관점에 따르면, 중국과 일본이 시각적인 세계로 나아가 반면에, 조선은 청각적인 세계를 벗어나지 못했던 것이다. The Shijing(詩經) and Shahaijing(山海經) were two main sources of the study of animals and plants in East Asia. This paper focuses upon the contribution of imagery to the development of Asian knowledge of fishes. Although there was the old version of images in the Shijing and Shagaijin, images in later editions of the two published during the Ming-Qing period currently only remain. The drawings of the Erya(爾雅圖) once disappeared in the Nanzhao period, and Eryayintu(爾雅音圖), which was compiled during the Song and Yuan periods and was revised by Zengao(曾燠) in the Qing period, still only exists. The first scholarly attempt to examine images of animals and plants in the Shijing was seen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Xuding(徐鼎)’s Maoshimingwutushuo(毛詩名物圖說). In relation to drawings in the Shanhaijing, the interest in the study of images was revived due to the publications of Huwenhuan(胡文煥)’s Shanhaijingtu(山海經圖) and Jiangyinggao(蔣應鎬)’s Shanhaijing: Tuhuiquanxiang(山海經圖繪全像) in the late Ming period. Besides the Chinese tradition, it is interesting to find the way Japanese writers dealt with visual images for the study of natural history in the Edo period. For example, Moshihinbutuzukou(毛詩品物圖考) written by Oka-Genpo(岡元鳳) included drawings which were more realistic than those in Maoshimingwutushuo. It is acknowledged that coloured drawings in Shikyoumeibutuzukai(詩經名物圖解) written by Hosoi-Jun(細井徇) in the mid-nineteenth century were better than those in Moshihinbutuzukou. Kikaitsyouzyuzugan(奇怪鳥獸圖卷) and Sankaikyouzugan(山海經繪卷) published in this period were obviously influenced by the Shanhaijing. Yet the quality of colour they offered was higher than the Chinese work. This indicates that Japanese editions made the transition from black and white to colour in visual images. Joseon"s scholars, on the other hand, were also influenced by the Chinese tradition, but they did not go so far as to employ visual imagery for understanding the knowledge of natural history. Jeong-Hak・yu(丁學游)’s Simyungdasik(詩名多識) represents a lack of emphasis upon visual materials in Joseon. In conclusion, it was Japanese who improved knowledge about natural history, developing visual imagery, even though the study of animals and plants through images was part of the Chinese tradition. In the meantime, no attempt to understand this kind of knowledge through visual materials had been found in Joseon. While knowledge was inclined to be visualized in China and Japan, visualization had virtually no impact on Joseon’s scholars.

      • KCI등재
      • KCI등재

        해권(海權)과 어권(漁權): 한청통어협정(韓淸通漁協定) 논의와 어업분쟁

        김문기 ( Kim Moon Kee ) 대구사학회 2017 대구사학 Vol.126 No.-

        1908년 4월부터 이듬해 8월까지 韓淸通漁協定 논의가 진행되었다. 한국의 평안도·황해도와 중국의 산동·봉천·직예의 연해를 양국 어민들에게 상호 개방하자는 것이었다. 청일전쟁 이후 불법화되었던 청국어민들의 조업을 합법화하려는 목적이었다. 그렇지만 통감정치가 행해지고 있던 상황에서, 이 협정논의는 본질적으로 한·청이 아니라, 청·일 간의 문제가 되었다. 한청통어협정은 주한공사 馬廷亮이 먼저 제기했지만, 협정체결에 더욱 적극적이었던 것은 일본이었다. 당시 關東州에는 일본어민들이 진출하여, 활동범위를 넓히면서 청국어민들과 격렬한 분쟁을 일으키고 있었다. 일본은 통어협정을 체결하여 일본어민들이 중국의 영해로 진출하는 것을 합법화하려고 했다. 일본정부는 황해, 발해, 西朝鮮海를 아우르는 거대한 해역을 `日淸韓三國通漁場`으로 만들려고 했다. 이를 위해서 서둘러 `한국어업법`을 제정하여, 일본어민에게 한국어민과 동일한 권리를 부여했다. 한국의 바다를 식민화했던 `한국어업법`이 `한청통어협정`과 연관되어 있었던 것이다. 청국정부는 한청통어협정에 부정적인 입장을 지켜나갔다. 명목은 `中韓通漁`이지만, 실제로는 `中日通漁`라고 분명히 인식했던 것이다. 협정체결에 대해 청국정부가 일관되게 부정적인 입장을 취했던 것은 당시 `漁權(Fishery Right)=海權(Sea Power)`이라는 인식이 성장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關東州 일본어민들의 어업침탈은 영해주권의 중요성을 처절하게 학습하는 기회였다. 이런 경험 때문에 `한청통어협정`의 위험성을 경계했던 것이다. 불행히도 한청통어협정 논의과정에서 `한국`을 철저하게 배제되었다. 한국의 바다는 일본이 중국바다로 진출하기 위한 `미끼`에 지나지 않았다. `해권`과 `어권`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바다를 개방한 결과였다. 이런 점에서 한청통어협정은 동아시아 3국의 근대적인 海權과 漁權 인식의 성장과 그 의미를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다. Korea-Qing Fisheries Agreement(韓淸通漁協定) was discussed from April 1908 to August 1909; To open the coastal waters of Hwanghaedo and Pyongando in Korea and of Shandong, Fengtian and Zhili in China to the both countries` fishermen mutually. It aimed to legalize the operation of Qing`s fishermen outlawed after the Sino-Japanese War. It was at first put forward by Ma-Tingliang, Chinese Minister to the Korea, rather Japan was more and more active to it. Because She sought to legalize her fishermen` inroad into the Chinese territorial waters. In fact, the Japanese government intended to make the great sea area including Hwang Hai, Bo Hai, and Western-Choshen Sea(西朝鮮海) a Japan-Qing-Korea Common Fishery Area(日淸韓三國通漁場). For this, it enacted in haste `Korean Fishery Law`, and granted to the Japanese fishermen the same right as the Korean`s. This very law, colonizing the Korean sea, was interconnected with `Korea-Qing Fisheries Agreement.` So the Qing government maintained a negative positive on the latter. Nominally named `Sino-Korean Fishery(中韓通漁)`, it indicated `Sino-Japanese Fishery(中日通漁)` in substance. And, there was a growing awareness that `Fishery Right(漁權)` is Sea Power(海權)`. By the same token, Korea was excluded completely in the process of discussing the Agreement unfortunately. The Korean sea was nothing but a decoy for Japan to make her way into the Chinese sea. This was the result of opening sea without being aware of the importance of `fishery right` and `sea power.` In this point, `Korea-Qing Fisheries Agreement` is a interesting case which shows the modern understandings of sea and fishery of the three countries in East Asia. (Pukyung National University / bluetrain999@hanmail.n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