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1930년대 김광주의 상해 체험과 아나키즘 인식

        김명섭 ( Myung Seob Kim ) 단국사학회 2016 史學志 Vol.52 No.-

        본 논문은 소설가 김광주의 회고를 통해 1930년대의 상해 한인사회에 대해 살펴보았다. 김광주는 1929년 상해로 이주한 이래 중일전쟁이 일어난 1937년 피신까지 약 10년 동안 상해 한인사회의 다양한 인물들을 만나고 항일운동과 함께 문화 활동을 펼쳤다. 이를 통해 1930년대 상해에서의 김광주는 영화계의 젊은 신진 감독을 비롯해 연극계의 다양한 문화예술가들과 교유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일제의 지배가 싫은 젊은 세대``인 자유로운 문화예술가들과의 교류와 ``보헤미안극사`` 활동을 통해 그는 시, 꽁트, 연극, 영화 등에서 다양한 체험을 하게 되었다. 물론 그 바탕에는 1930년대 상해 한인 민족운동을 이끌고 있던 김구·안창호·김두봉 등 지도자들 후원이 컸다. 더욱이 남화연맹에서 활동한 아나키스트들과의 교류는 그의 항일 민족정서와 함께 자유정신을 키우는데 큰 영향을 끼쳤다. 특히 해방이후 상해체험을 회상하는 그의 작품의 대부분이 나라를 위해 싸우다 죽거나 방랑생활을 하다 귀국하지 못한 동지들에 대한 그리움이 한 축을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상해체험이 그의 작품 활동에 미친 영향은 매우 컸다. This paper discussed the Korean community in China Shanghai in the 1930s by the novelist Kim Gwang-ju`s recalls. Kim Gwang-ju is a refuge for about 10 years until the 1937 war took place while since moved to Shanghai in 1929 to meet the various figures of the Korean community in Shanghai unfolded cultural activities with the anti-Japanese movement. Even though his shanghai settlement and time of refuge records are seem to inaccurate, but it is a relatively considered as a objective and analytic memoir of his experience. Through this we can know that Kim Gwang-ju associated with the young director of movies, including the various cultural artists of theatrical world in 1930s Shanghai. Through the interchange with "the young generation of unconstrained cultural artists who do not want the Japanese domination" and the activity of "Bohemian Theater Company", he had various experience in poem, conte, play and movie. Of course, theses are based on the great support of leaders such as Kim-Gu, Ahn-Changho and Kim Du-bong who led the Korean Independent Movement in Shanghai. Furthermore, the interchange with anarchists who were active in the ``Namhwa-Federation`` has had a big impact to raise his nationalistic emotion and the spirit of freedo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orean modern national movement, the research of Kim Gwang-ju`s life first, additional research materials for his family, especially elder brother Kim Dong-joo is very necessary. Kim Dong-joo is a secret help sponsor of activities of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fighters in Manchuria, as well as a important person who connected with an agents of a Provisional Government. His life was believed to be the future of course, also we need to study in depth the role and position of the personal hospital. Secondly,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local shelter, etc. Activity of Kim Gwang-ju activities in Shanghai. In other words, while Kim Gwang-ju live a long time is needed for local excavations and historical research, such as the Activity where many literary works written by the school and toughness. This is expected to find signs of shanghai, including Kim Gwang-ju Korean culture, artists in the 1930s who exchanges with him.

      • KCI등재

        吳光鮮의 생애와 만주 독립군 활동

        김명섭(Kim, Myung-seob)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21 군사 Vol.- No.121

        Oh-Kwangsun sought asylum to China in 1917 following the teachings of his father"s "Righteous Army" against imperial Japan and his hometown teacher, Yeo-jun. He joined Sinheung Military school in Seogando, China, where he became an instructor and an independent military official. He also led the Korean-Chinese coalition to the battlefield as the head of the Korean Independent Army. As his mentor Yeo Jun passed away, he served as a official for the cultivation of the Independence Army along with Yi,Cheong-chun under the orders of President Kim-Gu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Furthermore, he infiltrated Beijing, an occupied area of the Japanese military, and was sentenced to prison for spying. After his country’s liberation, he served as the head of the Liberation Army"s domestic zone to help the provisional government return to the country, and was a typical anti-Japanese and founding soldier who had served till his last rank of brigadier general while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of the Korean military. Furthermore, his two children and his son-in-law worked hard on the independence movement. Indeed, he is a well-known family member who participat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for three consecutive generations. Oh-Gwang-seon"s life is dominated by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s and the construction of a liberated Korea. Not only did he participate in various battles at the forefront of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war, but he also contributed to the creation of the Korean Armed Forces. His life in the construction of a liberated Korea must be the great root of today"s Republic of Korea.

      • KCI등재

        류자명의 항일 의열활동 연구

        김명섭(Kim, Myung-seob)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5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52

        류자명은 1922년부터 의열단에서 연락사무와 교육 ․ 홍보의 책임을 맡고, 직접 의열투쟁의 현장을 지도한 독립운동가이다. 나아가 그는 1930년대에도 국제적 규모의 의열단체를 창립해 꾸준히 암살 ․ 파괴운동을 지도한 투쟁가로서 널리 알려졌다. 의열단에서 ‘참모장’ 역할을 맡은 류자명의 생애와 의열투쟁사에 대한 재검토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류자명은 재중 한인 아나키스트들 중 가장 먼저 아나키즘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자신의 신념으로 정착한 인물로 평가할 수 있겠다. 그는 1919년 중국 망명 이후 사상적 스승으로부터 공산주의 사상을 사사받았지만, 마르크스의 학설에 동의하지 않고 대신 크로포트킨의 저작을 통독하면서 아나키즘을 받아들였다. 둘째, 류자명은 1922년 김원봉 단장을 통해 뒤늦게 의열단에 가입했지만, 1930년대 중반까지 민중폭력혁명 노선을 끝까지 견지한 대표적인 인물로 평가할 수 있겠다. 류자명은 1924년 이후 김원봉 단장을 비롯한 대다수 단원들이 폭력노선을 포기하고 체계적인 군사교육을 받기위해 중국 군대에 입교한 이후에도 홀로 상해의 의열단에 남아 의열투쟁 노선을 고수했다. 셋째, 류자명은 의열단의 연락업무와 교육 ․ 홍보업무를 담당하면서 의열단의 투쟁이념을 정립한 인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는 1922년 겨울 존경하던 신채호 선생을 찾아가 의열단 선언문을 작성하도록 요청해 ‘파괴와 건설론’, ‘민중의 폭력혁명노선’ 등 단의 이념적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기여하였다. 나아가 그는 1926년 12월 광주에서 열린 의열단 간부회의에 참석해 민족독립과 반봉건 민주정책에 의한 ‘진정한 민주국’ 건설을 추구한다는 20개조에 걸린 강령을 제정하도록 했다. Ryu, Ja-myeong is responsible for the apparent Contact affairs and education romotion in Uiyeoldan since 1922, an independence activist who led the field of direct uiyeol struggle. Furthermore, he is widely known as Fighter also led the movement to continue assassinations in the 1930s. In fact, can be seen through are view of the life and struggle ‘Chief of Staff’ role in charge of the kind apparent in uiyeoldan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He is the first systematic study of Korean an anarchists as a person settled in their convictions. He received the judges from the communist ideology and ideological mentor exile since 1919 in China, and read through the writings of Kropotkin rather than Marx’s theory does not agree with the accepted anarchism. Second, He into the uiyeoldan the late than leader Kim Won-bong in 1922, until the mid-1930s, to assess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itgetda one aspect violent revolution to end the people’s line. Ryu is apparent even after the majority section are including Kim, Won-bong refurbished since 1924 joined the Chinese army to renounce violence and to receive systematic military training routes were alone adhere to uiyeol struggle line remain in uiyeoldan. Third, the error is obvious and can be responsible for liaison officer with education to promote the work of uiyeoldan assess the ideological struggle of the uiyeoldan to establish a person. He visited the Shin, Chae-ho respected teacher who asked to create a winter 1922 uiyeoldan Declaration‘Destruction and Construction’ Theory, ‘violent revolution line of the people’, and contributed to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the ideology. Furthermore, he took on 20 renovation to establish a Code of pursuing a ‘true Democracy state’ construction due to national independence and democratic policy uiyeoldan attending the caucus held in Guangzhou in December 1926.

      • KCI등재

        의열단의 對日 거사계획과 박열의 의열투쟁

        김명섭(Kim, Myung-Seob)(金明燮) 한일민족문제학회 2020 한일민족문제연구 Vol.38 No.-

        Founded on Nov. 9, 1919, Chosun Euiyeoldan(義烈團) steadily waged a righteous struggle. In the wake of the failure of the first general attack plan in Korea, the Euiyeoldan reorganized its departments into classified, executive, and propaganda departments from the first half of 1922, establishing a command system, and promoting the second plan through the operation of a number of the first half of 1922. The Euiyeoldan held a secret general meeting in June 1923 and a group of members in October to publicize the Japanese attack at home and abroad. The event in Japan was planned to be carried out in October when the wedding of the Japanese crown prince is scheduled. As a result, Kim Won-bong(金元鳳) dispatched his members to Taiwan, Tokyo, Kobe, Osaka, and Yoko Hama from the first half of the year. The practice of living in Tokyo was left to a group of Park Yeol(朴烈). In the spring of 1922, Park Yeol met Choe Hyok-jin(崔爀鎭), a member of the Euiyeoldan, and signed an agreement with Kim Han(金翰) in Seoul around the fall to deliver the bombs to Tokyo. Park Yeol negotiated the purchase of the bomb through the Shanghai Euiyeol Group and is believed to have succeeded in bringing the bomb safely to somewhere in Tokyo. However, he planned to go on a grand march in October, but he was frustrated when the unexpected September 1 earthquake in Kanto occurred and was arrested during the Korean massacre. Despite the failure, the Euiyeoldan’s plan to move to Japan continued. The attack against Japan, which was carried out by Kim Ji-seob on January 5, 1924, was followed by the “Gyeongbuk Uyoldan Incident” in which 11 members of Beijing’s Euiyeoldan unit were arrested after being smuggled into Korea to collect funds for bomb purchases aimed at attacking Tokyo. In the heart of imperialism, the righteous army’s plan to stage a massive Euiyeoldan struggle against Japan Empire was steadily pursued until the winter of 1922 and 1925. 1919年11月9日に創団された朝鮮義烈団は絶えずに義烈闘争を続けた。第 1次国内総攻撃計画の失敗を切っ掛けとして義烈団は1922年上半期から機密 部や實行部·宣傳部等に部署を再編、指揮体系を打ち立てた。また多數の 爆弾工場を運営しながら、第2次投彈計画を進めた。 義烈団は1923年6月、秘密總會を、10月には団員慰労会等を開催し、日 本国内攻撃を対内外に公表した。日本總攻擊計画は皇太子の結婚式が予 定された10月の中執行に移るつもりだった。団長金元鳳は上半期から臺灣を含 め、東京と神戸·大阪·横浜等の日本各地に団員を派遣、準備に着手し た。東京での計画執行は朴烈を中心とする不逞社に委ねられた。朴烈は1922 年、春、義烈団員崔爀鎭を会ったし、秋頃にはソウルの金翰と協約して、密 かに爆弾を東京に運ぶ用意をした。 また、朴烈は上海にある義烈団体を通じて、爆弾購入を協議し、無事に東 京の或所まで爆弾を運ばれたと思われる。だだ、10月中実行に移る積もりだっ たが関東大震災の朝鮮人虐殺のなかで、朴烈が逮捕され、計画の実行はや むをえず中止された。 失敗にも関わらず義烈団の対日本總攻擊計画は続けた。此れによって展開 された攻撃が1924年一月5日の金祉燮の義擧であり、また、北京の義烈団 員 11名が、東京攻撃を目標し、爆弾購入の資金を募集するため国内に密派されたが、逮捕されてしまった、‘慶北 義烈団事件’がその例である。帝国主義 の心臓部で大規模の義烈闘争を展開しようとした義烈団の対日本總攻擊計画 は1922年から1925年、冬まで、絶えずに推進されたのである。

      • KCI등재

        이회영의 중국 망명생활과 독립운동

        김명섭(Kim, Myung-seob)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7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59

        이회영은 1919년 5월 상해에서 북경으로 돌아온 이래 6년 6개월동안 6번 이상 이사를 다니며 가난한 망명생활을 하였다. 북경에 머무는 동안 그는 극도의 가난을 겪었다. 이 기간 중 이회영은 류자명과 신채호 등과 교류하며 아나키즘 사상을 수용하였고, 다물단과 재중국무정부주의자연맹의 결성을 주도하여 아나키스트 독립운동의 방략을 세우는데 기여하였다. 하지만 아들과 딸이 친일밀정 김달하 처단사건에 연루되면서 가정의 큰 우환을 겪어야 했다. 이회영 일가는 1925년 11월 천진의 프랑스 조계지로 이주하여 1930년 12월까지 생활하였다. 이 와중에도 이회영은 최소 4번이상의 이사를 다니며 가난과 일제 감시 등 각종 곤란을 겪어야 했다. 그런 와중에도 그는 의열투쟁과 국제연대활동, 그리고 만주 독립기지 건설운동 등에 깊이 관여하였다. 이회영은 1926년 초 류자명으로부터 들여온 폭탄과 권총 등을 숨겨주어 나석주 의거가 가능하도록 도왔으며, 이 일로 인해 일본영사관의 추적을 피해 3개월 간 무전여행을 하며 극도로 곤란한 생활에 처하였다. 하지만 그는 국제연대 단체인 동방아나키스트연맹의 활동을 적극 후원하는 한편, 북만주의 신민부를 한족총연합회로 개편하여 독립기지를 건설하는 일에도 깊이 관여하였다. 이회영과 아들 규창은 1930년 12월 천진에서 상해로 이주하였다. 이후 이회영은 비밀결사인 남화한인청년연맹과 항일구국연맹을 통해 의열투쟁과 만주 유격대 건설의 방략을 모색하였다. 항일구국연맹의 의장을 맡았던 이회영은 일제 기관의 파괴와 요인 암살, 항일선전문 배포 등의 활동을 펼쳤다. 1932년 4월 일제의 상해 점령과 윤봉길 의거로 더 이상 활동하기 힘든 상황에 처하자, 그는 동북항일의용군과의 연계를 통해 만주로 진출해 의열투쟁과 유격대 활동을 펼치려 하였다. 하지만 밀정의 신고로 인해 1932년 11월 17일경 대련의 여순감옥에서 고문으로 인해 절명하고 말았다. Since returning to Beijing from Shanghai in May 1919, Lee, Hui-young moved to the poor for more than six years in six years and six months. During his stay in Beijing, he suffered extreme poverty. During this period, Lee, Hui-young was able to communicate with Rye, Ja-Myung and Shin, Chae-ho, accepting the idea of anarchism, leading the formation of the Alliance and contributing to the strategy of the anarchist independence movement. However, his son and daughter were involved in the prosecution case of the Japanese spy murder, and had to suffer a big family hurricane. In 1925, Lee, Hui-young moved to Tianjin, France concession, where he lived until December 1930. In the meantime, Lee, Hui-young moved at least four times and had to face various difficulties including poverty and Japanese surveillance. In the meantime, he was deeply involved in the patriotic struggle, international solidarity, and the construction of the Manchurian Independent Base. In 1926, Lee helped the Na suk-ju, which led to extreme hardship in pursuit of the Japanese consulate. However, he actively sponsored the activities of the Orient Anarchist Federation, an international solidarity organization, and deeply involved in building an independent base in North Manchuria. Lee, Hui-young and his son migrated from Tianjin to Shanghai in December 1930. Lee then sought the struggle for the anti-Japanese struggle and construction of the guerrilla army in Manchuria. Lee played an active role in the destruction of Japanese public institutions, assassination of factors, and distribution of anti-Japanese propaganda. In April 1932, when he was in crisis due to the Occupation of Shanghai in Japanese army, he tried to advance into Manchuria and carry out the struggle for insurrection and guerrilla activities. However, due to whistle-blower, he was arrested on November 17, 1932, and was die for torture.

      • KCI등재

        조선의용대(군)의 항일음악 창작과 문화활동

        김명섭(KIM Myung-seob) 한국근현대사학회 2021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97 No.-

        1938년 10월 10일 중국 湖北省 漢口에서 창립한 조선의용대는 일제 침공으로 廣西省 桂林(로 거점을 옮겨 항일전선에 참전하는 한편, 대중들에게 항일사상 교육과 문화선전을 위해 항일음악을 만들고 널리 보급하였다. 민족혁명당의 간부이며 조선의용대 교관인 尹世冑는 군사훈련을 받는 대원들의 사기를 돋우기 위해 <최후의 결전>이란 곡을 편곡하였는데, 이후 조선의용군와 한국광복군에도 널리 불리우는 항일음악의 상징곡이 되었다. 저명한 항일 문필활동가인 李斗山이 1939년 작사·작곡한 노래 <先鋒隊>는 광복군 군가집에 실리어 널리 보급되었다. 桂林에 주둔한 조선의용대 대본대는 중국 당·정·군 간부들은 물론 지역주민들을 위한 각종 문화선전 활동을 적극 펼쳤다. 문화선전대에서 준비한 가극 <아리랑>과 <조선의 딸> 공연은 중국인들에게 큰 호응을 받으며 감명을 주었다. 또한 일본군포로를 초청해 연 다과회와 중국 군관학교 졸업식 행사에서 불려진 <일본반전가>와 <전기가> 등의 노래공연은 중국 언론을 통해 널리 알려졌다. 桂林에서 重慶으로 근거지를 옮기는 과정에서 대원들은 역사적인 항일음악을 다수 창작하였다. 이두산의 장남 李貞浩는 1940년 2월 행진 광경을 담은 노래 <중국의 광활한 대지 위에>를 발표해 만주 일대와 북한지역에까지 널리 보급하였다. 중국 국·공 내전의 위협 속에 화북으로 진출한 조선의용군 화북지대는 태항산에서 항일전투를 치르는 한편, 항일군가를 만들어 보급시키는 ‘군중창작활동’도 게을리하지 않았다. <연안송>에 이어 <팔로군행진곡>을 작곡해 저명인사가 된 정율성은 조선의용군의 활동을 묘사하는 노래를 창작하였다. 대원 김학철과 이화림 등은 항일전투로 희생된 동지들을 추모하는 내용의 <조선의용군추도가>나 황무지 개간하면서 전통민요를 개사한 <미나리(타령)>·<호메가> 등 노동요를 창작하였다. 일제의 패망 직전, 정율성은 만주를 거쳐 압록강을 건너 조국으로 나아가려는 조선의 용군의 기상을 행진곡풍으로 묘사한 <조국 향해 나가자>를 작사·작곡해 항일전쟁의 기백을 널리 떨치었다. Founded on October 10, 1938 in Hankou, China, the Korean Volunteer Corps moved to Guirin due to the Japanese invasion and participated in the anti-Japanese front, while making and distributing anti-Japanese song for anti-Japanese education and cultural propaganda. Youn-seju, an official of the ‘Korea National Revolutionary Party’(民族革命黨) and a military instructor of the ‘Korean Volunteer Corps’(朝鮮 義勇隊), arranged the song “The Last Battle” to boost the morale of the military-trained members, and later became a symbol of anti-Japanese song. The song “Vanguard”, written and composed by Lee-dusan, a renowned anti-Japanese literary activist, was widely distributed in the military songbook of the ‘Korean Liberation Army’(光復軍). Headquarters of Korean Volunteer Corps in Guirin actively engaged in various cultural propaganda activities for Chinese party, government, and military officials as well as local residents. The performances of “Arirang” and “Daughter of choseon” prepared by the Cultural Propaganda group impressed the Chinese people. In addition, performances of songs such as “Japan Anti-War Song”, which were sung at the tea party and graduation ceremony of the Chinese military academy by inviting Japanese prisoners, were widely known through the Chinese media. In the process of moving from Guirin to Chongqing, the crew created a number of historical anti-Japanese song. Yi Du-san’s eldest son, Lee-jungho, released the song “On the Broad Land of China” in February 1940, which spread to Manchuria and North Korea. The Hwabuk area of Korean Volunteer Army’s, which entered Hwabuk amid the threat of China’s civil war, fought against Japan at Taihang Mountains, and was not lazy to create and distribute anti-Japanese military songs. Following Song of Yan’an, Jeong-Yulsong, who became a prominent figure by composing the March of Balujun Army(八路軍), created a song that describes the activities of the ‘Korean Volunteer Army’(朝鮮義勇軍). A small number of Kim Hakchoul and Lee Hwarim created labor songs such as “Requiem of the Korean Volunteer Army” and “Minari Taryeong”, “Homega”, which were reconstructed by recreating traditional folk songs in memory of comrades killed in the anti-Japanese war. Right before the collapse of Japan, Jeong Yul-seong wrote and composed “Let’s Go Towards Our Country,” which describes the spirit of the Korean Volunteer Army’s attempt to cross the Yalu River to his country through Manchuria, widely shaking the spirit of the anti-Japanese war.

      • KCI등재

        박열의 일왕폭살계획 추진과 옥중투쟁

        김명섭(Kim, Myung-seob)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4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48

        1923년 9월 1일 관동대지진 와중에 조선인을 6천여 명 이상 학살하고 6천여 명을 불법검속한 일본 제국주의세력은 학살의 책임을 모면하기 위해 박열과 그의 애인 가네코 후미코(金子文子), 그리고 불령사 동지들을 체포했다. 박열은 조사과정에서 동지들을 보호하기 위해 자신이 그해 10월 황태자 결혼식에 맞춰 폭탄투척 계획을 세운 바 있다고 당당히 밝혔고, 金子文子도 이 계획을 알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이를 빌미로 일본정부는 뚜렷한 물증이나 계획전모를 밝히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두 사람을 ‘대역죄인’으로 만들어 사형에 처하려 하였다. 그동안 박열의 일왕폭살투쟁에 대하여는 일본 검찰의 신문조서를 ‘1차 사료’로 삼아 연구되었다. 하지만 이는 사실을 숨기려 했던 당사자들의 진솔한 기록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많은 한계와 오해를 갖게 하였다. 이에 이 글에서는 그동안 폭탄유입과정에서 제대로 평가하지 못한 관련자의 진술을 활용하여 실행여부를 재평가하고, 옥중활동에 참여했던 관련자의 기록도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밝혀진 바는 첫째, 그동안의 연구와 달리, 박열은 치밀한 준비와 다양한 경로를 통해 모두 5차례에 걸쳐 폭탄유입을 추진했고, 마침내 유입에 성공하였다. 이는 그동안 일본 검찰조사과정에서 알려진 4차례의 추진 이외에도 불령사 회원 최영환을 통해 중국 다물단으로부터 폭탄을 전해받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둘째, 박열과 가네코 후미코는 옥중에서의 검찰신문과 법정투쟁을 통해 천황제에 맞서 철저히 투쟁하였다. 일본 사법부는 심문과정에서 천황제를 비판하는 두 사람에게 여러 차례 전향을 시키려 노력하였으나, 모두 실패하고 말았다. 셋째, 1926년 7월 23일 가네코 후미코의 갑작스런 죽음은 정확한 시간이나 원인도 밝혀지지 않았고, 일본 형무소측의 일방적인 처리로 타살의 혐의를 짙게 하고 있다. 당시 현장으로 찾아간 동지들은 그녀가 옥중에서 임신하게 되자, 일본 형무소측이 낙태수술을 감행하다가 죽게 만들었다고 판단했다. 고인의 유해는 일본경찰의 감시와 많은 마찰을 빚은 후 박열의 고향으로 보내져 묻힐 수 있었다. 넷째, 1925년 5월 당시 옥중에서 찍힌 박열과 가네코 후미코의 이른바 ‘괴사진’은 이후 담당 판사가 파면 당하게 만들고, 일본 내각이 붕괴되는 등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이처럼 박열과 가네코 후미코의 일왕폭살계획 추진에 이어 당당한 옥중투쟁은 일본 제국주의와 천황제의 뿌리를 근본부터 뒤흔든 일대 사건이었다. September 1, 1923 Great Kanto Earthquake, in the midst of Koreans to 6,000 or more people slaughtered 6,000 people illegally arrest Japanese Imperialist forces massacred responsibility to escape in order to Park yeol (朴烈) and his lover Kaneko Humiko (金子文子), and Bulryeong-sa (不逞社) comrades was arrested. Park yeol comrades in the process of the investigation in order to protect the prince his wedding in October of that year in accordance with plan to bomb throwing that bars openly event. Kaneko Humiko had also claimed to know the plan. This excuse is no evidence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is also two people ‘high treason of’ oppression began to be created. Meanwhile, the struggle of Park yeol Against Japan’s Emperor poksal (爆殺) prosecutors ‘primary feed the paper dossier’ was studied in first proof. But it was to hide the fact that the parties’ lack of honest history to have a lot of limitations and was misunderstood. In the meantime, this article does not bomb influx stakeholders in the process of fully evaluating whether or not to execute the re-evaluation by utilizing state and stakehold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ison records of activity was also noted. It has been shown through the first, during the study, unlike Park yeol path through the careful preparation and a variety of bombs across all five times to promote influx and finally succeeded in inflows. Meanwhile, Japan, which is known to four times during the course of the investigation of the prosecution in addition to promoting Damuldan (多勿團) members from China through Choi Younghwan who delivered the bomb that can be found. Second, Kaneko Humiko and Park yeol and prosecution of the prison interrogation and thorough legal battle to fight against the emperor was. Japan emperor in the process of the judiciary in the interrogation criticizing turned to two people attempted several times, but all failed. Third, Kaneko Humiko July 23, 1926, or the cause of sudden death is not known the exact time did the prison side of Japan’s unilateral treatment to be heavily charged with the murder. She goes for the scene at the time of the winter solstice that became pregnant in prison, the prison side of Japan to carry out an abortion while he was judged them die. The remains of the deceased is a lot of friction in the Japanese police surveillance and the debt could be buried Park yeol sent home to. Finally, in May 1925 was taken from prison and Park yeol-Kaneko Humiko the so-called mysterious photo of the wavefront after letting the judge in charge, making the collapse of the Japanese cabinet has caused such a large wavelength. Thus, the Park yeol and Kaneko Humiko imposing legal battles followed poksal plan promotion of Japanese imperialism from the fundamental root of the emperor shook one event.

      • KCI등재

        1920년대 한인 의열투쟁과 여성

        김명섭 ( Kim Myung-seob ) 한국여성사학회 2018 여성과 역사 Vol.0 No.28

        1920년대 항일투쟁의 과정에서 엿보이는 여성들의 활동과 그 역할을 살펴보았다. 국내와 일본, 중국과 만주 등지에서 전개된 대표적인 의열투쟁인 박열의 반천황제 투쟁과 아나키스트들의 활동, 의열단 투쟁에는 다양한 직업과 계층의 여성들이 참여했음을 알 수 있다. 도쿄에서의 계획은 흑우회의 박열이 서울의 지도자 김한을 통해 추진되었다. 김한은 일본과의 비밀연락을 취하기 위해 기생인 강향란과 이소홍을 참여시켰다. 강향란은 박열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여 도쿄에 직접 방문한 바 있고, 이후 상해로 떠났다. 그녀가 중국과 한국, 일본을 연결하는 정보요원의 역할을 한 것은 분명해 보인다. 이후 이소홍이 김한에게 보내는 박열의 편지를 두 차례 전하는 역할을 하였다. 관동대지진 와중의 사회운동가 학살에 대한 보복테러가 대두되었는데, 그 단체인 기로틴단에게 폭탄과 총기를 지원한 이는 한인 여성들이었다. 김선희와 전정화는 가족의 원수를 갚고자 중국 간도로 가 폭탄과 권총을 사서 기로틴 단원들에게 전달해 주었다. 이 사건으로 두 사람은 징역 3년을 구형받아 복역하였다. 기생 출신으로 의열단에 가입해 활동한 여성으로는 현계옥을 꼽을 수 있다. 그녀는 여성으로는 유일하게 의열단에 가입해 폭탄제조법과 총 쏘는 방법을 배워 조직의 비밀활동을 담당하였다. 주로 폭탄을 운반하는 위험한 일에 참여했다. 이외에도 혁명가의 자제로서 가풍에 따라 참여한 경우로는 이규숙을 들수 있다. 그녀는 16세의 나이인 1925년 3월 중국 북경에서 일어난 밀정 김달하 암살사건에 연루되어 1년여 수감생활을 해야 했다. 이어 1930년 11월 부친과 동지들이 획득한 무기를 몸에 간직한 채 만주로 이송하는 위험한 임무를 수행했다. 이처럼 의열투쟁 과정에서 한인 여성들은 비밀정보 연락원과 총기 및 폭탄 운반 등 매우 위험한 임무에 참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conduct research the activities and roles of women in the process of anti - Japanese struggle in the 1920s.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women of various professions and classes participated in the Anti-Emperor struggle, anarchists' activities, and the patriotic struggle of Park, which is a representative Euiyol-struggle in Korea, Japan, China and Manchuria. The plan in Tokyo was carried out by the leader of Seoul, Kim Han, as a bellwether. In order to get in touch with Japan, Kim Han participated in the Kanghwa Rangan and Lee Sohong. Hers seems clear that she acted as an intelligence agent linking China, Korea and Japan. In the Kanto Earthquake, a attack against the social activist massacre was on the rise. Korean women were the ones who supported the group, Guillotine party, with bombs and firearms. Kim Sun Hee and Jeon Jung Hwa bought the bombs and pistols and delivered them to the Guillotine party in order to pay back their family members. A woman who came from a ‘Gisang group’ name is Hyun-gueok. She joined the Euiyol-dan. She was the only woman to join a group of booths to learn how to make bombs and shoot guns, and was responsible for the secret activities of the organization. Mainly involved in dangerous things that carry bombs. In addition, Lee Gyu-sook is a case of participating according to the style as a self-restraint of the revolutionary. She had to live in prison for a year after being involved in the assassination of Kim Dal-ha, who died at the age of sixteen in March 1925 in Beijing, China. In November 1930, he carried out the dangerous task of transferring the weapons acquired by his father and comrades to Manchuria. In this process of struggle, Korean women are seen to have participated in very dangerous missions such as secret information liaison, firearms and bomb transport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