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산 갈치과 어류 1 미기록종,Benthodesmus tenuis

        김맹진 ( Maeng Jin Kim ),최정화 ( Jung Hwa Choi ),오택윤 ( Tag Yun Oh ),김정윤 ( Jung Yun Kim ),이동우 ( Dong Woo Lee ) 한국어류학회 2012 韓國魚類學會誌 Vol.24 No.4

        갈치과 속하는 Benthodesmus tenuis 2개체 (표준 체장 332.0~377.6)가 흑산도와 여수 연안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이 종은 등지느러미 기조수 125~126개 (B. pacificus는 144~155개), 뒷지느러미 기조수 173(B.pacificus는 91~101개), 양안 지역에 평평하며(붕동갈치는 볼록함), 아가미 뚜껑에 검은 반점이 있고, 꼬리지느러미는 양엽형이다. 이 미기록종의 속명과 국명은 “세장갈치속”, “세장갈치”로 각각 제안하였다. Two specimens (332.0~ 377.6mm in standard length) of Benthodesmus tenuis (Gunther, belonging to the family Trichiuridae, firstly collected in off Heuksan-do and Yeosu, Jeollanam-do by the bottom trawl. This species wa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morphological traits: 125~126 dorsal fin rays (vs. 144~155 for B. pacificus), I, 73 anal fin rays (vs. 91~101), interorbital region flat (vs. inter- orbital region with prominent crest for A. anzac), opercular black and caudal fin forked. We propose a new Korean name, “Se-jang-gal-chi-sok” and “Se-jang-gal-chi” for the genus and species, respectively.

      • KCI등재

        단보 : 한국산 살치속(Hemiculter) 어류의 분자계통분류학적 위치

        김맹진 ( Maeng Jin Kim ),이재성 ( Jae Seong Lee ),송춘복 ( Choon Bok Song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2014 한국수산과학회지 Vol.47 No.1

        We investigated the molecular phylogeny and genetic differences among local populations of Korean Hemiculter fishes based on their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 sequences. Our results indicated that Hemiculter leucisculus populations in China were clear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Group 1) included the populations of the Yangtze River and its surrounding areas (including the Qiantangjiang, Lingjiang, Jiulongjiang, and Minjiang rivers); the second group (Group 2) contained local populations from southern China (including the Nanliujiang, Zhujiang, Wanquanhe, Qianjiang, and Nandujiang rivers). The Korean Hemiculter eigenmanni differed in its cytochrome b gene sequence by 0.6-1.0% from the Chinese H. leucisculus (Group 1), which inhabited the Yangtze River and its surrounding areas, suggesting they were phylogenetically close and likely to be the same species. The Korean H. leucisculus differed from the Chinese H. leucisculus (both Groups 1 and 2) by 8.1-9.5%, indicating a very distant phylogenetic relationship; however, the Korean H. leucisculus differed from Hemiculter bleekeri by only 0.5-0.7%, showing intraspecific nucleotide differences. We conclude that the taxonomic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H. leucisculus and H. bleekeri requires further investigation using type specimens.

      • KCI등재

        한국산 거북복과 어류 1미기록종 Lactoria fornasini

        김맹진 ( Maeng Jin Kim ),김병엽 ( Byung Yeob Kim ),송춘복 ( Choon Bok Song ) 한국어류학회 2008 韓國魚類學會誌 Vol.20 No.4

        거북복과(Ostraciidae)에 속하는 Lactoria fornasini 1개체(표준체장 103.7 mm)가 제주도 위미에 설치된 정치망에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이 종은 눈앞에 1쌍의 가시가 돌출되었고, 꼬리지느러미 아래쪽의 배쪽 융기 선으로부터 1쌍의 가시가 후방을 향해 돋아 있으며 등의 융기부 중앙에는 날카로운 가시를 갖고 있다. 그리고 몸에는 다양한 파란색 줄무늬를 가지고 있다. 이 미기록종의 신한국명을 "줄무늬뿔복"으로 명명하였다. One specimen (103.7 mm SL) of Lactoria fornasini, belonging to the family Ostraciidae, collected from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marks the first record of the species from Korea.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strongly curved spine on the dorsal ridge, a pair of short spines in front of the eyes, a pair of spines projecting posteriorly from the rear end of the ventrolateral ridge, and wavy blue lines on the body. We add this species to the Korean fish fauna and propose its new Korean name, "Jul-mu-nui-ppul-bok."

      • KCI등재

        한국산 둥글넙치과 어류 1미기록종, Arnoglossus polyspilus

        김맹진 ( Maeng Jin Kim ),최찬문 ( Chan Moon Choi ),송춘복 ( Choon Bok Song ) 한국어류학회 2010 韓國魚類學會誌 Vol.22 No.2

        둥글넙치과에 속하는 Arnoglossus polyspilus 1개체(표준 체장 229.0mm)가 제주도 주변 해역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본 종은 꼬리지느러미 상엽과 하엽에 두 개의 작은 연조가 있으며, 등지느러미 앞부분의 연조는 약간 연장되었다. 위턱은 전체 길이의 좌측 눈 아래 1/3 앞까지 도달하고, 첫 번째 새궁의 상지에는 1개의 새파를 갖는다. 본 종의 신한국명을 "노랑반점가자미"라고 명명하였다. ABSTRACT A specimen of Arnoglossus polyspilus (Gunther) (229.0mm standard length) belonging to the family Bothidae, collect from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represents the first record of the species from Korea. This species is characterized by having caudal fin with two simple rays on both upper and lower margins, several anterior dorsal fin rays somewhat elongated, upper jaw extending to below anterior 1/3 of lower eye, and one gill raker on the upper limb of the first gill arch. We add this species to the Korean fish fauna and propose its new Korean name, "No-rang-ban-jeom-ga-ja-mi".

      • KCI등재

        한국산 갈치과 어류 1 미기록종, Tentoriceps cristatus

        김맹진 ( Maeng Jin Kim ),고준철 ( Jun Cheol Ko ),송춘복 ( Choon Bok Song ) 한국어류학회 2014 韓國魚類學會誌 Vol.26 No.3

        갈치과에 속하는 Tentoriceps cristatus 1개체(표준체장 619.0 mm)가 제주도 주변해역에서 저층트롤로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이종은 머리의 외곽이 둥근 점(유사종 분장어는 직선을 이룸), 배지느러미는 등지느러미 12번째 기조 밑에 위치하는 점(유사종 분장어는 15~17번째 기조 밑에 위치), 등지느러미 기조수가 V, 131개, 가슴지느러미 기조수가 11개, 배지느러미가 비늘형태로 변형된 점, 그리고 뒷지느러미의 극조수가 2개(2번째 극조는 비늘모양으로 변형됨)인 점이 특징이다. 본 종의 속명과 종명은 “투구갈치속”과 “투구갈치”로 각각 명명하였다. One specimen (619.0 mm in standard length) of Tentoriceps cristatus, belonging to thefamily Trichiuridae, was newly collected in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by the bottom trawl. Thisspecies wa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morphological traits: round dorsal profile of head (vs. straightfor the similar species, Eupleurogrammus muticus); pelvic fin locating below the 12th dorsal fin ray (vs. 15th~17th); V, 131 dorsal fin rays; 11 pectoral fin rays; 1 pelvic fin ray changed to be a scale-like process;II anal fin rays (second one is changed to be a scale-like process). We suggest the Korean names,“Tu-gu-gal-chi-sok” and “Tu-gu-gal-chi” for the genus and species, respectively.

      • KCI등재

        제주도 사계연안 어류군집의 종조성과 격월별 변동

        김맹진 ( Maeng Jin Kim ),한송헌 ( Song Hun Han ),김준상 ( Joon Sang Kim ),김병엽 ( Byung Yeob Kim ),송춘복 ( Choon Bok Song ) 한국어류학회 2014 韓國魚類學會誌 Vol.26 No.3

        제주도 사계 연안에서 출현하는 어류군집에서의 종조성과 계절변동을 알아보기 위해 2009년 4월부터 2010년 2월까지 삼중자망과 통발을 이용하여 채집된 어획물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종조성은 총 10목 35과 60종이 출현하였고, 삼중자망에서 52종이 출현하였고 통발에서 20종이 출현하였다. 조사기간 중 출현한 전체개체수는 1,921개체, 생체량은 324,206 g이었다. 이 가운데 개체수에서 우점한 5종은 황놀래기, 쏠종개, 어랭놀래기, 쏨뱅이, 가시복이었으며, 생체량에서는 가시복, 쏨뱅이, 쥐치, 황놀래기, 두줄촉수였다. 조사기간 중 어획된 전체어류의 출현종수, 출현개체수, 생체량과 이들 어류군집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요인 인수온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반면, 염분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수온이 올라가거나 염분이 떨어지면 출현종수, 출현개체수, 그리고 생체량이 증가하고, 그 반대일 경우에는 감소하였다. 따라서 고수온기인 8월에 가장 높은 값을, 그리고 저수온기인2월에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Species composition and bimonthly changes of fish community were investigated withthe fishes collected by using both trammel nets and fish pots in the coastal waters of Sagyeoi, JejuIsland from May 2009 to February 2010. A total of 1,921 individuals (324,206 g in biomass), which comprise 10 orders and 35 families with 60 species, were collected during the study period. Among60 species, 52 species were caught by trammel nets, 20 species by fish pots, and 12 species by both fishing gears. The five dominant species were Pseudolabrus sieboldi, Plotosus lineatus, Pteragogusflagellifer, Sebastiscus marmorattus and Diodon holocanthus in the aspect of total number of individuals, and Diodon holocanthus, Sebastiscus marmorattus, Stephanolepis cirrhifer, Pseudolabrussieboldi, Parupeneus chrysopleuron in biomass. Each characteristics of fish community such as the number of species,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and biomas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which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5% significant level. In otherwords, there was a tendency of increment of eac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 raise in water temperature or a decrease of salinity, and vise versa. The number of species,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and biomass of fishes were highest in August and lowest in Februar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단보 : 한국산 퉁돔과 어류 1미기록종, Symphorus nematophorus

        김맹진 ( Maeng Jin Kim ),문태석 ( Tae Seok Mun ),이정훈 ( Jeong Hoon Lee ),최영민 ( Young Min Choi ),송춘복 ( Choon Bok Song ) 한국어류학회 2015 韓國魚類學會誌 Vol.27 No.2

        퉁돔과에 속하는 Symphorus nematophorus 1개체 (표준체장 481 mm)가 거제 연안의 정치망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이 종은 등지느러미 연조의 앞부분이 길게 연장되어 있고, 눈과 코구멍 사이에 파인 홈이 있으며, 서골에는 이빨이 없고 체측에는 선명한 9개의 파란 줄이 존재한다. 이 미기록종의 속명과 국명은 각각 “실퉁돔속” 과 “실퉁돔”으로 제안한다. A single specimen of Symphorus nematophorus (481.0 mm in SL), belonging to the family Lutjanidae, was firstly collected by a set net in the coastal waters of Geojae Island, located in south sea of Korea on August 1, 2014. This specimen was characterized by having the anterior dorsal soft rays produced into filaments, a pit between eye and nostril, no tooth on vomer, and nine longitudinal blue strips on both sides of the body. We propose a new Korean name, “Sil-tung-dom-sok” and “Sil-tung-dom” for the genus and species, respectively.

      • KCI등재

        한국산 납작금눈돔과 어류 1 미기록종, Aulotrachichthys prosthemius

        김맹진 ( Maeng Jin Kim ),이동우 ( Dong Woo Lee ),최광호 ( Kwang Ho Choi ),오택윤 ( Taeg Yun Oh ),최정화 ( Jung Hwa Choi ) 한국어류학회 2012 韓國魚類學會誌 Vol.24 No.2

        납작금눈돔과에 속하는 Aulotrachichthys prosthemius 1개체(표준 체장 74.8 mm)가 제주도 주변 해역 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이 종은 등지느러미 기조수 V, 13, 뒷지느러미 기조수 III, 9, 아가미 뚜껑 위쪽에 날 카로운 가시를 갖고 있으며 배쪽 줄은 뒷지느러미 끝을 도달하는 점에서 A. prosthemius로 확인되었다. 이 미기 록종의 속명과 국명은 "은줄금눈돔속", "은줄금눈돔"으로 각각 제안하였다. This is the first report of Aulotrachichthys prosthemius (Jordan and Fowler), belonging to the family Trachichthyidae, collected in Korea, One specimens (74.8 mm in standard length) were caught in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by using the bottom trawl. This species wa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morphological traits: V, 13 dorsal fins; III, 9 anal fins; the striated area along the ventral side of the body reaches to the tip of last anal rays and the post-temporal spine is sharp, pointed and with serrated edge. We propose a new Korean name, "Eeun-jool-geum-nun-dom-sok" and "Eeun-joolgeum- nun-dom" for the genus and species, respectively.

      • KCI등재

        한국산 둥글넙치과 어류 1미기록종, Japonolaeops dentatus

        김맹진 ( Maeng Jin Kim ),최정화 ( Jung Hwa Choi ),오택윤 ( Taeg Yun Oh ),김정년 ( Jung Nyun Kim ),송춘복 ( Choon Bok Song ) 한국어류학회 2011 韓國魚類學會誌 Vol.23 No.3

        둥글넙치과에 속하는 Japonolaeops dentatus 4개체(표준 체장 152.9~174.1 mm)가 제주도 주변 해역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이 종은 등지느러미 115~120개, 뒷지느러미 96~98개, 측선 비늘수 105~106개를 가지며, 윗턱이 눈앞까지 도달하고, 양턱에 이빨이 존재하는 점에서 J. dentatus로 확인되었다. 이 미기록종의 속명과 국명은 "검은꼬리넙치속", "검은꼬리넙치"로 각각 제안하였다. This is the first report of Japonolaeops dentatus Amaoka, belonging to the family Bothidae, collected in Korea. Four specimens (152.9~174.7 mm in standard length) were caught in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by using the bottom trawl. This species wa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morphological traits: 115~120 dorsal fin rays, 96~98 anal fin rays, 105~106 pores in lateral line, upper jaw extending to below anterior margin of lower eye, and teeth presenting on both ocular and blind sides of the jaw. We propose a new Korean name, "Geom-eun-kko-ri-neop-chi-sok" and "Geom-eunkko- ri-neop-chi" for the genus and species,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