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삼한시대 변한권역 철기생산의 추이

        김량훈 효원사학회 2013 역사와 세계 Vol.- No.44

        The aim of this paper is to give an expression of the chronological and local development of ironware making by examining the various materials concerning it among the remains in the region of Byeonhan during the Samhan period. It is assumed that the production of iron goods at that time was known by various methods, and the producers were leaders all across the area,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flat iron and rod type axes, in order to deduce the ironware making system round that area. It is unfolded that the greater part of remains of iron making is located in the southern coast of Byeonhan, and that the managers mostly placed the iron workshop at a point convenient for transportation, trading and making iron. An antler and alien relics from second level of the remains in Neukdo taken, it is more likely that the exchange system between a group in that island and land was organized. Also it is discovered that third level of ironware making was widespread in the southern coast, and the brand new rod type axe represents the change in ironware making system. Specially, the fact that the ironware buried in tomb chiefly is found around Gimhae suggests that Guyakuk began to gain the control of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iron goods, and that this system was stabilized since then. In the third century, with the respect of the war of Posangpalkuk, Guyakuk's holding the control of production of iron goods and trade of them stirred up eight countries, which called Posangpalkuk to start the war, and then, consequently, Guyakuk including Sarokuk was more powerful after the war, in contrast with these countries under the control of Guyakuk.

      • KCI등재

        한성백제기 제철수공업과 관리

        김량훈 부경역사연구소 2010 지역과 역사 Vol.- No.2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relations on the Iron-making manual industry between central and regional part in the Hanseong Period of Baekje through the its remains phase excavated so far and checking into what there were as preconditions to control the handcraft manufacture then. In that time, the supplies of the raw materials and fuel, and securing traffic routes were considered importantly as a condition location making Iron. Meanwhile, the central government of Baekje controled the regional handcraft manufacture by standardizing weights and measures, compiling encyclopedias of technique, organizing the regional executive.

      • KCI등재

        『삼국사기』 초기기사 속 가야관계기사의 이해

        김량훈 부산경남사학회 2022 역사와 경계 Vol.123 No.-

        This paper examines how to understand the early Gaya-related descriptions in “Silla-bongi”, Samguksagi. Since they were written in the eyes of Silla and Goryeo and their historical data are unclear, there is a limit to examining the trends in Silla-Gaya relations from a single perspective. It would be reasonable to approach this problem through the then written sources such as the Weishu Dongyizhuan of Sanguozhi. and archaeological data, focusing on the spaces and subjects of which the related historical materials is presumed to have remained. First, in “Silla-bongi”, Byeonhan in the 19th year of Hyukgeose’s reign was recognized as a country. And also it is judged that the dialogue about Byeonhan, between the King of Mahan and Hogong, in the 38th year of Hyukgeose’s reign is based on the view of Samhan in Huhanshu. Second, ‘Hwangsanjin’ in the early Gaya-related descriptions is now located in Yangsan along the Nakdong River, and it was the late 5th and early 6th centuries that Garakguk and Silla were standing off each other with the Hwangsan River between them. And it would be reasonable that Gasoseong, its southern sides, and Maduseong in the 1st and 3rd centuries is Byeonjinjeopdoguk recorded in the Weishu Dongyizhuan of Sanguozhi. Finally, in the description of the 23th year of Pasaisageum, it would be assumed that the king of Garakguk had a political power in the second half of the 3rd century, in the light of ‘the king of Byunhan’ in the Weishu Dongyizhuan of Sanguozhi and the gilt-bronze crown excavated from the Daeseongdong Tumulus no. 29. 본 논문은 삼국사기 「신라본기」 초기기사 중 가야관계기사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초기기사의 가야관계기사는 신라·고려인의 관점인 기록이며, 관련된 전거자료가 불분명하기 때문에, 신라-가야관계 동향을 단일한 시각에서 살펴보는데 한계가 있다. 이 문제는 초기기사의 근거자료 즉 전승기록이 그나마 남아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공간, 주체를 중점으로 검토하고, 당대 기록인 『삼국지』 「위서동이전」 등 각종 문헌자료와 고고자료 등을 통해 해결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첫째, 「신라본기」 혁거세 19년의 변한은 신라본기 찬자가 하나의 國으로 인식하였고, 혁거세 38년 마한왕과 호공의 대화 속의 변한은 후한서의 삼한관을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초기기사의 황산진은 현재 경남 양산시 낙동강변이며, 가락국과 신라가 황산강을 두고 대치한 것은 5세기 말~6세기 전반이다. 한편 1~3세기 가소성·마두성 그리고 가소성과 인접한 남변은 언양으로 비정되며, 초기기사의 가야는 『삼국지』 위서동이전에 기록된 변진접도국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셋째, 파사이사금 23년조 기사는 가락국왕의 정치적 위세를 위서동이전의 “변한왕”, 대성동 29호분의 금동관과 연관하여 3세기 후반의 사건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변한 ‘國’의 형성과 발전 - 다호리유적을 중심으로 -

        김량훈 부산경남사학회 2016 역사와 경계 Vol.100 No.-

        This study examines the formation and evolution of the ‘state’ of Byeonhan(弁韓) in the Samhan period, by analyzing “Wiseodongijeon(魏書東夷傳)” in Samgukji(三國志) and the remains of Dahori(茶戶里). First, I look through the sources of the remains of Dahori on the assumption of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state’ and the ‘Guk-eup’(國邑) as its initial form; the grouping of the wooden coffin tombs, the existence and succession of their chiefs, and the patterns of their social stratifications and foreign relations. With these aspects in view, the similar political entity to ‘Guk-eup’ was built all over the Dongeup-Jinyoung basin. In the first half of the second century B.C. the Dahori group flowed into and settled in the Dongeup-Jinyoung basin region inhabited originally by a dolmen group. After then, it developed politically and dominated its preceding group by retaining the bronze and iron tools. It seems that it assumed the form of ‘Dahori Guk-eup’ and conducted the negotiations with foreign forces to import the tools. By the latter half of the first century B.C. the Guk-eup got a political and social stability in intensifying the economic monopoly by a handful of the upper men and consolidating the gaps between all social strata. Especially, the buried in the tomb no.1, a top chief in ‘Dahori Guk-eup,’ established the political, economic, and ritualistic power by controling the negotiation with the foreign forces such as Hangunhyeon, in the active response to the then political conditions in Northeast Asia. It seems most probable that ‘Dahori Guk-eup’ got behind with its rival forces and became eventually subjected to Guyaguk in the late first century B.C. and the early first century. That’s why it didn’t respond actively to the diversification of Hangunhyeon’s negotiation routes and ways. 본고는 삼한시대 변한 ‘國’의 형성과 발전을 『三國志』 「魏書東夷傳」과 다호리 유적을 검토하여 복합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우선 ‘國’ 형성초기의 ‘국읍’을 ‘國’과 비슷함을 전제하여 다호리 유적의 자료를 검토한 바 다호리유적의 목관묘 군집화, 수장의 존재 및 계승성, 구성원의 계층분화 양상, 대외교섭 양상 등이 도출됨에 따라 동읍-진영분지 일대는 국읍에 준하는 정치체가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기원전 2세기 전반, 유이민세력인 ‘다호리집단’은 동읍-진영분지의 지석묘집단에 편입하면서 정착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다호리집단’은 청동기, 철기의 보유 및 사용을 통해 재지집단인 지석묘집단을 장악하였다. 이들은 이에 앞서 청동기와 철기를 수입하기 위해 ‘다호리국읍’을 갖추어 대외세력과 교섭한 것으로 추측된다. 기원전 1세기 후반 ‘다호리국읍’은 일부 최상위 계층의 경제적인 부의 독점현상과 계층 간의 격차가 뚜렷해지면서 정치․사회적으로 안정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1호묘 피장자는 ‘다호리국읍’의 최고수장이며, 동북아 정세변동을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한군현 등 대외세력과의 교섭을 장악하였고 이로 말미암아 정치적․경제적․제의적 권위를 독점하였다. 기원전후 ‘다호리국읍’은 주변세력과의 경쟁에서 도태되면서 구야국에 결국 복속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점은 ‘다호리국읍’이 한군현의 교섭루트 및 교섭방법의 다각화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 KCI등재

        4~5세기 남부가야제국과 전남동부 지역집단의 상호관계

        김량훈 한국고대사학회 2015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7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course of relation between southern countries ofGaya and the complex society in eastern Chonnam in fourth and fifth centuriesthorough the diversity of foreign negotiation along with existing studies on thistopic. To begin with, in the first stage, there had been no frequent negotiations betweensouthern countries of Gaya and the complex society in eastern Chonnam. Especially, there seem to be some reasons which support this situation: the productsthat Garakkuk could obtain from the complex society in eastern Chonnam hadlittle to do with its necessity; the accessibility of routes to negotiations was noteasy for both. Furthermore, in the second stage, attaining superiority in foreign negotiationsaround the southern coast of Korea due to the decay of Garakkuk, Allaguk conductednegotiations with a series of groups in eastern Chonnam. Nevertheless, itcan be inferred that Gaya culture would be transferred to the eastern Chonnamthrough not only negotiations between both regions, but also movements of inhabitants. Finally, in the third stage, thanks to the fact that Posangpalguk developed a varietyof routes to negotiations in the southern coast, there had been the active foreignnegotiations as well as the continual movements of inhabitants. However, bothregions grew together owing to mutual exchanges and movements of inhabitantsrather than political cooperation. 본고는 기왕의 연구성과와 대외교섭의 다양성을 통해 4~5세기 남부가야제국과 전남동부지역집단의 상호관계의 추이를 살폈다. Ⅰ단계 남부가야제국과 전남동부 지역집단의 교섭은 빈번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남부가야제국의 교섭주도국인 가락국이 전남동부 지역집단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 문물이 자국의 목적에 적합하지 않았거나 교섭루트 상 접근이 용이하지 않았기 때문에 상호 간의 교섭이 활발하지 않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Ⅱ단계는 가락국의 쇠퇴로 안라국이 남해안 대외교섭에 우위를 점하면서 전남동부지역의 각 세력과의 교섭을 주도하였다. 하지만 양 권역의 교섭을 통해서만 전남동부지역에 가야계 문물이 전해진 것이 아니라 주민이동을 통해서도 문물이 전해졌을 것으로추론된다. Ⅲ단계는 ‘포상팔국’이 남해안 교섭루트를 다각적으로 개척하여 활발한 대외교섭을행하였고, 주민이동도 빈번해졌다. 하지만 양 권역은 정치적 협력관계보다는 상호 간의교류와 주민이동으로 함께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4~5세기 남부가야제국과 백제의 교섭 추이

        김량훈(Kim Ryang-Hun) 부산경남사학회 2007 역사와 경계 Vol.65 No.-

        This thesis is a study examined the changes of relations between the southern countries of Gaya(南部加耶諸國) and Baekje(百濟) through the archeological materials excavated in their boundary, and the political situations in Three Kingdoms(三國) and Gaya(加耶) in the 4th and 5th Centuries. The Southern countries of Gaya and Baekje concluded the collaborative relations to make them cope with Goguryo and Silla in the early 5th century. But such cooperations among them as this was reduced gradually since the Silla-Baekje alliance(羅濟同盟) had come into being. Particularly, it is thought for them to have diminished much more due to Baekje' pro-Silla policies and Gongee(昆支), the prince of Baekje, going to Wae(渡倭). Independent diplomatic track of Southern countries of Gaya was remarkably atrophied by these cause in international relations of Northeast Asia. Meanwhile, I studied who leaded it among the Southern countries of Gaya and Baekje and what is its quality. Eventually, their socio-economic interchanges were leaded by the forces mutually emigrated from each their countries since the middle of the fifth century through the historical material related to Baeje people's emigration, the basis of formation of western Gyeongnam style's earthen vessels(西部慶南式土器), the small pots with hole(有孔廣口小壺), and the pots the footprint of bird(鳥足文壺).

      • 리튬 이온 배터리 랙 화재 시 열/유동 특성 분석과 허용피난시간(ASET)에 따른 안전 거리 산정

        김량훈(Ryang Hoon Kim),김지태(Ji Tae Kim),김동규(Dong Kyu Kim) 대한설비공학회 2022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22 No.6

        이 연구는 리튬 이온 배터리 랙 화재의 열/유동 특성을 분석하고 허용피난시간(Available Safety Escape Time, ASET)에 따른 안전 거리를 산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프로그램 중 하나인 FDS(Fire Dynamics Simulator)를 이용하여 질량/운동량/에너지 보존 방정식(mass/momentum/energy conservation equation)과 화학종 수송 방정식(species transport equation)을 풀이하였다. 계산을 통해 얻어진 해를 토대로 ASET의 온도, 일산화탄소, 산소 기준을 차용하여 그에 따른 안전 거리를 결정하였다. 첫 번째 기준인 온도에 의한 안전 거리는 3.5 m 이상, 두 번째 기준인 일산화탄소에 의한 안전 거리는 1 m 이상, 세 번째 기준인 산소에 의한 안전 거리는 1 m 이상인 것으로 산정되었고, 리튬 이온 배터리 랙 화재 시 안전 거리 산정을 위해서는 가장 먼저 온도를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ESS 화재 실험 시의 위험 반경 설정과 실제 ESS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의 화재 진압 대책 및 피난 대책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 리튬 이온 배터리 랙 화재 시 열/유동 특성 분석과 허용피난시간(ASET)에 따른 안전 거리 산정

        김량훈(Ryang Hoon Kim),김지태(Ji Tae Kim),김동규(Dong Kyu Kim) 대한설비공학회 2022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22 No.6

        이 연구는 리튬 이온 배터리 랙 화재의 열/유동 특성을 분석하고 허용피난시간(Available Safety Escape Time, ASET)에 따른 안전 거리를 산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프로그램 중 하나인 FDS(Fire Dynamics Simulator)를 이용하여 질량/운동량/에너지 보존 방정식(mass/momentum/energy conservation equation)과 화학종 수송 방정식(species transport equation)을 풀이하였다. 계산을 통해 얻어진 해를 토대로 ASET의 온도, 일산화탄소, 산소 기준을 차용하여 그에 따른 안전 거리를 결정하였다. 첫 번째 기준인 온도에 의한 안전 거리는 3.5 m 이상, 두 번째 기준인 일산화탄소에 의한 안전 거리는 1 m 이상, 세 번째 기준인 산소에 의한 안전 거리는 1 m 이상인 것으로 산정되었고, 리튬 이온 배터리 랙 화재 시 안전 거리 산정을 위해서는 가장 먼저 온도를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ESS 화재 실험 시의 위험 반경 설정과 실제 ESS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의 화재 진압 대책 및 피난 대책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 리튬 이온 배터리 랙 화재 시 열/유동 특성 분석과 허용피난시간(ASET)에 따른 안전 거리 산정

        김량훈(Ryang Hoon Kim),김지태(Ji Tae Kim),김동규(Dong Kyu Kim) 대한설비공학회 2022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22 No.6

        이 연구는 리튬 이온 배터리 랙 화재의 열/유동 특성을 분석하고 허용피난시간(Available Safety Escape Time, ASET)에 따른 안전 거리를 산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프로그램 중 하나인 FDS(Fire Dynamics Simulator)를 이용하여 질량/운동량/에너지 보존 방정식(mass/momentum/energy conservation equation)과 화학종 수송 방정식(species transport equation)을 풀이하였다. 계산을 통해 얻어진 해를 토대로 ASET의 온도, 일산화탄소, 산소 기준을 차용하여 그에 따른 안전 거리를 결정하였다. 첫 번째 기준인 온도에 의한 안전 거리는 3.5 m 이상, 두 번째 기준인 일산화탄소에 의한 안전 거리는 1 m 이상, 세 번째 기준인 산소에 의한 안전 거리는 1 m 이상인 것으로 산정되었고, 리튬 이온 배터리 랙 화재 시 안전 거리 산정을 위해서는 가장 먼저 온도를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ESS 화재 실험 시의 위험 반경 설정과 실제 ESS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의 화재 진압 대책 및 피난 대책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