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사회복지기관의 조직문화유형이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 내 갈등의 매개효과 분석

        김년희,조성숙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保健社會硏究 Vol.38 No.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type, organizational conflict, and social worker exhaustion. The study also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nflict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social worker’s burnout. Data were collected from 32 social welfare institutions including community welfare centers, centers for the handicapped and the elderly that are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area. The study used the convenient sampling method for data collection. Results showed that variables such as organizational culture type, conflict in organization, and social worker’s exhaustion had negative statistical association. There was no direct association of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al type and social workers’ exhaustion of different groups. However, the study found the indirect relationship that the group culture was mediated through conflict in the organization. The direct effects of exhaustion of the hierarchical culture were not significant, but indirect eff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both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exhaustion of development cultu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need to create a people-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that can improve the characteristics of collective and developmental cultures. In order to minimize the exhaustion of social worker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ir morale, ligament, and capability to cope with conflict in the organizations. Ways to resolving conflict in organizations should be prioritized. 본 연구는 사회복지기관의 조직문화유형, 조직 내 갈등 및 사회복지사 소진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조직문화와 사회복지사 소진 간에 작용하는 조직 내 갈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 소재 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 32개소의 사회복지사를 편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문화유형, 조직 내 갈등, 사회복지사 소진 간에는 일부 변수를 제외한 대부분의 변수가 정적 및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문화유형별 검증 결과, 집단문화의 소진에 미치는 총 효과는 유의하였으나,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집단문화가 조직 내 갈등에 매개되어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위계문화의 소진에 대한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한편, 개발문화의 소진에 대한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무엇보다 사회복지기관은 집단문화와 개발문화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간중심적인 조직문화를 조성할 필요가 있으며, 사회복지사의 소진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회복지사의 사기, 결속력 및 갈등 대처능력 향상 등 조직 내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 KCI등재

        여성의 개인별 특성에 따른 경제적 준비에 관한 연구 - 미혼 및 기혼여성의 여가변인 중심으로 -

        김년희,이응진 동북아관광학회 2009 동북아관광연구 Vol.5 No.1

        여성들이 미래 경제 준비계획을 시작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시각에서 현재 실행하고 있는 경제적 자원 준비는 미혼 ․ 기혼 여성의 개인별 특성에 따라 어떠한지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분석하고자 한다. 주요 연구결과, 여성의 경제적 준비는 미혼 여성과 기혼 여성의 다른 양상의 자산보유를 보여주었다. 즉 미혼 여성이 기혼 여성보다 더 높은 자산보유를 보여 주었다. 미혼 여성은 부동산 소득과 저축성 보험에 영향력이 있는 변인으로 나타난 반면 기혼여성은 다양한 변인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고령화 사회를 대비하여 여성관련 여가정책을 수립할 때 라이프 사이클 과정별 재정상태를 계획하는데 어떤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점에서 여가 준비가 취약한가를 파악할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기업 및 금융기관에서도 여성고용 확대 및 여성재정 복지 증진방안을 위하여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 유용한 여가 정보가 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o understand concretely the overview of economic preparation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 currently under action based on the viewpoint that it is necessary for married and unmarried women to begin economic preparation for the future. The results showed that married and unmarried women have different assets concerning economic preparation. The unmarried women had more assets than married women. Unmarried women have a great deal of influence on real-estate income and savings-linked insurance. On the other hand, married women have a great deal of influence on the various variables.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grasp the financial problem in establishing female-related leisure policies for the aging society, in planning leisure by way of life cycle and to investigate what part of the preparation is fragile. It will also be useful leisure information for enterprises and financial institutions in preparing the plan of female finance and welfare promotion and female employment expansion.

      • 사회복지조직의 조직문화유형이 사회복지사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 내 갈등의 매개효과 분석

        김년희,조성숙 한국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7 No.10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의 조직문화유형, 조직 내 갈등 및 사회복지사 소진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조직문화와 사회복지사 소진 간에 작용하는 조직내 갈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 소재 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 32개소의 사회복지사를 편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문화유형, 조직 내 갈등, 사회복지사 소진 간에는 일부변수를 제외한 대부분의 변수가 정적 및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문화유형별 검증결과, 집단문화의 소진에 미치는 총효과는 유의하였으나,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집단문화가 조직 내 갈등에 매개되어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위계문화의 소진에 대한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한편, 개발문화의 소진에 대한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사회복지조직은 집단문화와 개발문화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간중심적인 조직문화를 조성할 필요가 있으며, 사회복지사의 소진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회복지사의 사기, 결속력 및 갈등 대처능력 향상 등 조직 내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 KCI등재

        장애노인의 우울이 자살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김년희,조성숙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9 한국사회복지교육 Vol.46 No.-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suicidal intention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y,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ntention. For these purposes, 734 senior citizens with disabilities, excluding missing values, were finally analyzed from the 12th Korea Welfare Panel Study(KW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suicide of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had the positive or negative statistical association between variables except for some variables. Second, the statistics showe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ntention, depending on the types of social support. In other words, family support among social support had the negative moderating effect, while friend and neighborhood support showed the positive effect.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ed the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to increase social support, especially family support, to the elderly with disability as well as to decrease their suicidal intention 본 연구는 장애노인의 우울, 사회적 지지 및 자살의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우울과 자살의도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2차 한국복지패널(KWPS) 데이터를 활용하여 결측치를 제외한 장애노인 734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WIN v21.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노인의 우울, 사회적 지지, 자살의도 간에는 일부변수를 제외한 변수들 간에 정적 혹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노인의 우울과 자살의도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조절효과가 있었는데, 사회적 지지 유형에 따라 조절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즉, 사회적 지지 중 가족지지는 부적인 조절효과가, 친구․이웃지지는 정적인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사회적 지지, 특히 가족지지를 향상시키고 자살의도를 낮출 수 있는 실천 및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공격성에 대한 부모 양육방식의 매개효과 검증

        김년희(Nyeon-Hee Kim),허만세(Maan-se Ho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5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 공격성 및 부모 양육방식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스마트폰 의존도와 공격성에 대한 부모 양육방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첫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는 부모양육방식 및 공격성에 부적 및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방식을 매개로 청소년의 공격성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준 반면, 스마트폰 의존도는 부정적 양육방식을 매개로 공격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는 공격성을 높였으며, 이 때 부모의 긍정적 양육방식(따스함, 자율성지지, 구조제공)은 스마트폰 의존도를 매개하여 청소년의 공격성을 낮춘 반면, 부모의 부정적 양육방식(거부, 강요, 비일관성)은 스마트폰 의존도를 매개하여 공격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mart phone dependency, parenting method and aggression, and further to validate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yle between adolescents’ smart phone dependency and aggression. First, adolescents’ smart phone dependency has shown to have positive and negative relationships with the parenting style and aggression. Second, adolescents’ smart phone dependency negatively affected their aggression through the positive parenting style, while i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ir aggression through the negative parenting style. That i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adolescents’ smart phone dependency increased their aggression, but at that time the positive parenting style such as warmth, support of autonomy, and provision of aid decreased their aggression as a mediator, whereas the negative parenting style such as refusal, compulsion, and inconsistency increased their aggression.

      • KCI등재

        만성질환을 가진 독거노인의 우울이 음주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계만족도의 조절효과

        김년희(Nyeon-Hee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2

        본 연구는 만성질환 독거노인의 우울, 음주, 사회적 관계만족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우울과 음주에 대한 사회적 관계만족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3차 한국복지패널(KWPS) 데이터를 활용하여 결측치를 제외한 만성질환 독거노인 217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WIN v21.0을 활용였다. 본 연구를 위해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만성질환 독거노인의 우울과 음주 사이에서 사회적 관계만족도 중 가족관계만족도는 음주를 줄이는 조절효과가 있었으나, 우울과 음주에 대한 사회적 관계만족도 중 사회친분관계만족도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사회적 관계만족도 중 특히 가족관계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음주를 낮출 수 있는 실천 및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drinking and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study also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between depression and drinking. For these purposes, 217 single seniors with chronic diseases, excluding missing values, were finally analyzed from the 13th Korea Welfare Panel Study(KWPS). Correlation analysis, moderating analysis performed using SPSS(21.0 ver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identified that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mong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significantly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drinking. Second, it was no identified that satisfaction with satisfaction with social acquaintance among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significantly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drinking.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ed the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to increas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especially to the single seniors with chronic diseases as well as to decrease their drinking.

      •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공격성에 대한 부모 양육방식의 매개효과 분석

        김년희(Kim, Nyeon Hui) 한국사회복지학회 2020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0 No.10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 공격성 및 부모 양육방식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스마트폰 의존도와 공격성에 대한 부모 양육방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결측치를 제외한 중학교 1학년생 2,541명을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는 부모 양육방식 및 공격성에 부적 및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방식을 매개로 청소년의 공격성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준 반면, 스마트폰 의존도는 부정적 양육방식을 매개로 공격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는 공격성을 높였으며, 이 때 부모의 긍정적 양육방식(따스함, 자율성지지, 구조제공)은 스마트폰 의존도를 매개하여 청소년의 공격성을 낮춘 반면, 부모의 부정적 양육방식(거부, 강요, 비일관성)은 스마트폰 의존도를 매개하여 공격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의한 공격성을 낮출 수 있는 핵심전략으로서의 부모 양육방식에 대한 다양한 실천 및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mart phone dependency, parenting method and aggression, and further to validate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yle between adolescents’ smart phone dependency and aggression. For these purposes, using the data from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KCYPS) 2018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 finally analyzed 2,541 cases of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smart phone dependency has shown to have positive and negative relationships with the parenting style and aggression. Second, adolescents’ smart phone dependency negatively affected their aggression through the positive parenting style, while i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ir aggression through the negative parenting style. That i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adolescents’ smart phone dependency increased their aggression, but at that time the positive parenting style such as warmth, support of autonomy, and provision of aid decreased their aggression as a mediator, whereas the negative parenting style such as refusal, compulsion, and inconsistency increased their aggress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we provided the practice and policy suggestions as key strategies to decrease adolescents’ aggression caused by their smart phone dependency.

      • KCI등재

        학업중단 청소년 우울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부모애착 · 또래애착의 매개효과

        김년희(Nyeon-Hee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2

        본 논문에서는 학업중단 청소년의 우울, 자아존중감, 부모애착, 또래애착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부모애착,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중단 청소년패널조사 5차년도(2017) 데이터를 활용하여 결측치를 제외한 학업중단 청소년 315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WIN v21.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매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업중단 청소년의 우울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부모애착, 또래애착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애착, 또래애착은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대해서 정적으로 매개됨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부모애착, 또래애착을 향상시켜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실천 및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self-esteem and parental attachment · peer attachment. The study also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attachment · peer attachment between depression and self-esteem. For these purposes, 315 school dropout adolescent, excluding missing values, were finally analyzed from the 5th School Dropout Adolescent Panel Study(SDAPS). Correlation analysis, mediation analysis performed using SPSS(21.0 ver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identified that parental attachment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elf-esteem. Second, it was identified that peer attachment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elf-esteem.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ed the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to increase parental attachment · peer attachment, especially to the school dropout adolescent as well as to increase their self-este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