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문 목적 외래어 목록 선정 연구

        김낭예 ( Nang Ye Kim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0 한국어 교육 Vol.21 No.2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select the list of borrowed words which are necessary and causes difficulties in studying for the most of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and to help them for studying in the university. Borrowed words takes large part of Korean words and the weight is getting creased. Especially, since terminology for the major includes a lot of borrowed words, the learners have great difficulties in studying. Therefore, the research examined the text books for the academic purposes for foreign students, and selected borrowed words in terms of a established criteria and then investigated the frequency of these words of web site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borrowed words for academic purpose are described. Given that there is no lists of borrowed words for academic purposes by each majors, the list of borrowed words would be effectively used for the learners who need to study those words which are differently used in their mother tongue, as well as English. Further, the research would be the basic work for developing dictionaries of borrowed words and textbooks for self-study for the academic purpose. (KyungHee University)

      • KCI등재

        미얀마 현지 대학의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 개편 방안 연구

        김낭예 ( Kim Nang-ye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3 외국어교육연구 Vol.37 No.2

        본 연구에서는 미얀마 군부 쿠데타가 지속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혁명 이후의 한국어교육에 대비하여 미얀마 외국어대학교 한국어학과 3, 4학년 학부과정을 대상으로 교육과정 개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앞으로의 연방통합정부(국민 정부)의 교육 시스템에서는 외국어대학교의 역할로서 언어 학습 외에 해당 국가의 문화, 역사, 문학, 경제, 사회, 교육 등 종합적인 교육이 가능한 국가학(한국학, 일본학, 영문학 등) 연구 분야의 확대를 필요로 한다. 혁명 후 교육에서는 연방통합정부 체제에 알맞은 새로운 교육과정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21년 이전에 규정된 한국어 전공 3, 4학년 교육과정의 장단점을 파악하기 위해 시민불복종운동(CDM: Civil Disobedience Movement)에 참여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답변을 통해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이전 교육과정의 장단점을 살피고 개편에 요구되는 사항을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첫째, 교사를 위한 교육과정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혁명 후 교육을 받는 학생 중심의 교육과정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국가 재건에 기여할 수 있는 개별 언어학 교육과정을 마련해야 한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연방통합정부의 교육 시스템에 적합하며 현재 교육이 단절된 미얀마 외국어대학의 한국어 전공생들을 위한 교육과정 개편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we draw a plan to reform the curriculum for the 3rd and 4th year undergraduate courses of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t Myanmar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s, in order to prepare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fter the revolution period in Myanmar. In the future education system of the National Unity Government (federal government), the role of foreign language universities are to provide comprehensive education such as culture, history, literature, economy, society, and language education to language studies such as Korean Studies, Japanese Studies, English Literature, etc. In post-revolutionary education, a new curriculum will be suitable for the federal government system is required. Therefore,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by the teachers who are participating in the Civil Disobedience Movement (CDM), in order to reveal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curriculum for 3rd and 4th year Korean major prescribed before 2021.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responses, we observe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previous curriculum and propose three items required for reformation. First, curriculum education for teachers should be strengthened. Seco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tudent-centered curriculum that receives education after the revolution education. Third, an individual linguistics curriculum that can contribute to national reconstruction should be prepa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suitable for the education system of the federal integration government in the future and will serve as basic data for reorganizing the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major at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s, where education is currently discontinued as usual, in Myanmar.

      • KCI등재

        한국인과 중국인 학부생의 동물 상징 인식 비교 연구

        김낭예 ( Nang-ye Kim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8 다문화와 평화 Vol.12 No.1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한국인과 중국인 학부생의 동물 상징 인식을 비교한 연구이다. 상징에는 한 문화의 핵심이 담겨 있다. 따라서 상징이 전통 문화의 일부로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현대 생활에서도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 그 양상을 살펴보는 것은 문화적 원형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가 된다. 특히 동물 상징은 상징의 여러 주제 중 가장 대표적인 상징으로 인간과 가장 친숙한 동물이 가지는 상징은 하나의 문화 공동체가 공유하고 있는 사고방식, 정서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주제가 된다. 동물 상징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일상생활에서 선물 문화, 속신, 비유 표현 등 다양한 차이로 표출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총 6개의 설문 문항을 구성하여 한국 대학생과 중국인 유학생의 동물 상징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동물 상징에 대해 한국인과 중국인 학부생이 실제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는 것은 양국의 문화적 원형에 보다 실제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되며, 여기에서 도출된 연구 결과는 한국인과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 교육 자료, 유학생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bout a comparison of animal symbols percep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undergraduates through a survey. Symbols contain an essence of culture. Accordingly, to examine how symbols act in modern life, not only an existence as a part of traditional culture, is basic for understanding cultural archetype. Animal symbols, especially, which are most representative among various subjects of symbols and very familiar to humans, are important subject to understand a way of thinking and emotions that one cultural community shares. A difference of perception for animal symbols is shown diversely in daily life, such as gift culture, folk-belief, and comparative expression. This study made a total of six questions to examine a common feature and difference of animal symbols percep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students. To examine a common feature and difference about how Korean and Chinese undergraduates actually perceive animal symbols, is one method to access cultural archetype of both countries more clos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might be applied as a basic material for improv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students, as well as for Korean culture educ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 KCI등재

        미얀마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요청 화행 연구 <화용 실패를 중심으로>

        김낭예 ( Nang-ye Kim ),먓띠다우 ( Myat Thida Oo ),조현용 ( Hyun-yong Cho )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2020 東南亞硏究 Vol.30 No.3

        한국어 교육의 목표를 원활한 의사소통이라 할 때,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에는 화용 능력(pragmatic competence)이 포함된다. 화용 능력은 어휘와 문법에 대한 지식만으로는 습득하기 어렵다. 특히 한국에서 한국인 교사에게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에 비해 해외에서 비원어민 교사에게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은 한국어 교재 외에 교사를 통해 화용 관련 정보를 전달받는 것이 매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얀마 현지 대학의 한국어 전공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을 위한 효과적인 한국어 요청화행 교육 내용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어 말하기 교재를 분석하여 요청 상황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얀마 학습자 대상 담화 완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미얀마 학습자들의 요청 화행 사용 양상을 분석한 결과, 이들은 특히 직접 요청의 상황에서 모국어의 영향 및 한국 문화에 대한 과잉 노출로 인해 호칭 및 상투적 표현의 사용 등에서 화용 실패를 경험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화용 실패를 극복하기 위해 미얀마 현지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비원어민 교사들이 요청 화행 교육에서 유의해야 할 교육 내용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요청 화행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화용 오류를 바탕으로 실제적인 요청 교육 내용을 제안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는 특히 미얀마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현지인 한국어 교사에게 유용한 화용 교육 내용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When the go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smooth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cludes pragmatic competence. It is difficult to acquire pragmatic competence only with knowledge of vocabulary and grammar. In particular, compared to learners who learn Korean from Korean teachers in Korea, it is actually very difficult for learners to learn Korean from non-native teachers abroad to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conversation through teachers other than Korean textbook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effective educational contents as to Korean language request speech acts for learners majoring in Korean at local universities in Myanmar. To this end, first, the Korean speaking textbook was analyzed to derive the request situation, and based on this, a Discourse Completion Test(DCT) was conducted for Myanmar learne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use of request speech acts by Myanmar learners, it was confirmed that they experienced pragmatic failure in the use of titles and conventional expressions due to the influence of their mother tongue and excessive exposure to Korean culture,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direct request.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such a pragmatic failure, this study suggested the educational contents that non-native teachers who teach Korean in Myanmar should pay attention to in the requested speech act edu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in detail the pattern of request speech acts of local Korean language learners in Myanmar, and suggests actual request education contents based on pragmatic errors. This is expected to be useful pragmatic education contents particularly for local Korean language teachers in Myanmar.

      • KCI등재

        상징을 활용한 한국어 비유 교육 내용 연구

        김낭예(Kim, Nang-ye) 우리말글학회 2016 우리말 글 Vol.70 No.-

        이 연구는 비유 표현에 사용되는 어휘의 상징 의미를 통해 외국인 학습자들이 비유 표현의 배경이 되는 한국 문화를 이해하고, 비유 표현의 의미를 더욱 정확히 파악하여 의사소통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활용하는데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비유는 한국의 언어문화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대상을 무엇에 비유하느냐는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므로 한국 문화 교육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때 비유 표현에 사용된 어휘의 상징 의미와 비유 의미가 일치하는 경우 상징 의미를 가르치는 것이 비유 표현 이해뿐만 아니라 한국 문화 이해에도 도움이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문화 상징사전』에 제시된 표제어 중 『표준국어대사전』에 비유 의미가 명시된 목록을 대상으로 상징 의미와 비유 의미를 정리하고, 의미의 일치정도를 ‘대부분 일치, 부분 일치, 불일치’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 제시하였다. 그리고 각 유형을 어느 단계에서 활용할 것인지 한국어 학습 단계별로 비유 교육 항목을 정리하였는데, 이를 통해 그동안 한국어 교육에서 문법 연습의 하나로 소홀이 다루어져 온 비유 표현 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한국 문화 교육 내용이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aimed at utilizing symbols for metaphor education for more positive Korean culture education, not a simple grammar practice or rhetoric expression. That is, it attempts to help foreigners in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that is a background of metaphoric expression, by means of a symbolic meaning of a vocabulary used for metaphor, and in grasping the meaning of metaphoric expression more correctly, so that they can utilize it naturally for their communications. As metaphor, a very important element in Korean linguistic culture, appears differently from the cultural background in which an object is compared to what, it may be utilized efficiently in Korean culture education. In the case, at this time, a symbolic meaning and metaphoric meaning of a word that was used for a metaphoric expression is identical, teaching a symbolic meaning is helpful for understanding metaphoric expression and Korean culture. Thus, this study organized the symbolic meaning and metaphoric one for the list of which metaphoric meaning is specified in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among the items suggested in the 『Dictionary of Korean Myths and Symbols』, and divided the degree of conformity into three types such as ‘mostly correspond, partially correspond, and non-conformity’. Among them, ‘mostly correspond’ examples that are likely to need education are organized for metaphor education contents, through which it is expected to prepare contents for Korean culture education that may be positively utilized for metaphor education, which has been so far negligently treated as one of grammar practic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숫자 상징을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 연구

        김낭예 ( Nang Ye Kim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6 비교문화연구 Vol.43 No.-

        한국 문화를 집약적으로 나타내는 상징은 문화 교육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한국인의 사상과 정서가 함축되어 있는 상징을 통해 한국의 정체성을 이해할 수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범위한 상징체계 중에서 숫자 상징을 중심으로한국 문화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상징 교육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재에 숫자 상징을 활용할 수 있는 부분들이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 분석하고,한국 문화 이해에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숫자 상징 교육 내용을 신화, 민속,금기, 한국어 표현의 4개 범주로 구분하여 정리하고자 하였다.이를 통해 추상적인 상징이 아닌 우리 일상생활에서 작용하고 있는 구체적인 숫자상징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는 한국어 교사와 외국인 학습자 사이의 문화 간의사소통 및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습자들 사이의 문화 간 의사소통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Through the proces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meanings of specific numerical symbols that are present in our daily lives, rather than regarding them as abstract symbols. The symbols can be efficiently utilized for cultural communication between Korean teachers and foreign learners, and between learners with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A symbol that intensively shows Korean culture can be applied efficiently to cultural education. This is because Korean identity can be understood by means of symbols that represent Korean thoughts and emotion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contents of symbol education applicable to Korean culture education, centering on numerical symbols amid far-reaching symbol systems.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how the application of numerical symbols is presented in Korean textbooks, with the intent to organize the symbols into 4 categories of myth, folklore, taboo, and idiomatic expressions, which might be actually helpful for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 KCI등재

        상징을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 내용 연구

        김낭예(Kim Nang-ye) 한글학회 2016 한글 Vol.- No.314

        본 연구는 한국 문화 교육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체험 학습을 중심으로, 한국어 학습자들이 체험 학습에서 접할 수 있는 상징 요소들을 분석하고 상징을 활용하여 보다 깊이 있게 전달할 수 있는 한국문화 교육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체험 학습은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대한 학습자들의 학습 동기를 고취하고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는데 효과적이다. 그러나 자칫 일회적인 흥미 위주의 체험이 될 수 있으므로 보다 의미 있는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한국 문화 교육 자료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체험 학습이 가능한 문화 항목을 분석하고, 이와 연계하여 제공할 수 있는 상징 교육 내용을 정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한국 문화 이해에 도움이 되는 유의미한 체험 학습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또한 한국어 교사들의 한국 문화 관련 배경 지식을 넓히는 데에 기여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학습자와 한국어 교사의 문화 간 의사소통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symbol elements that Korean learners can access during experiential learning, as well as Korean culture education contents that can be more deeply delivered by utilizing symbols, focusing on the experiential learning that can be efficiently utilized in Korean culture education. Experiential learning is efficient for motivating learners to learn about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and arouse interests in learning. But, it might be nearly one-time experience focused on interest, so Korean culture education materials is required to provide more meaningful experiences.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cultural items that are available for experiential learning quoted in the Korean language materials, and organizing contents of symbol education that can be provided as connecting to the items.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o provide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significant experiential learning materials that are helpful for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In addition, it might contribute to broaden Korean language teachers’ background knowledge regarding Korean culture, and furthermore, it can be helpful for communication between learners and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have different cultures.

      • KCI등재

        문화 간 의사소통을 위한 색채상징 활용 방안 연구: 『세종한국어』를 중심으로

        김낭예 ( Nang Ye Kim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6 다문화와 평화 Vol.10 No.1

        본 연구는 한국 문화 교육에서 활발한 문화 간 의사소통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색채상징 교육내용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 세계 세종학당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인 『세종한국어』를 대상으로 1권부터 8권까지 교재 및 지침서를 분석하여 색채상징을 활용할 수있는 문화 관련 내용이 어떻게 제시되고 있는지, 해당 내용에 대한 교사용 설명이 충분히 제공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을 참조하여 한국 문화 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색채상징 교육 내용 목록을 정리하고, 세종한국어에 적용할 수 있는 색채상징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 문화 교육에서 문화 간 의사소통을 위해 색채상징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활용 방안도 정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색채상징 정보가 한국어 교사들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사와 한국어 학습자 간에, 더 나아가 서로 다른 문화 배경을 가진 학습자들 간의 문화 간 의사소통이 더 긴밀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aimed at proposing contents of Korean culture education, for ‘Sejong Korean’, a Korean language text that is being used at King Sejong Institute worldwide, for the purpose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pplying color symbols. This study, for this, analyzed volume 1 to volume 8 of Sejong Korean and the teacher’s manual, and examined how the contents regarding color symbols are presented, and whether the teacher’s explanations for the said contents are fully offered. Additionally, it referred to the ‘Standar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for International Use’ and organized the list of contents of color symbols education that should be addressed in Korean culture education, to propose contents for color symbols education which is applicable for Sejong Korean.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ed how to apply color symbols in Korean culture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is study, Korean language teachers may be provided with color symbols information for more efficient Korean culture education, and consequently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learners may have close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 KCI등재

        문화 간 의사소통을 위한 동물 상징 교육 내용 연구 -중국인 학습자의 ‘처럼’ 인식을 중심으로-

        김낭예 ( Nang Ye Kim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3 한국어 교육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using symbols to support learners who study Korean to communicate smoothly between cultures. Especially, among symbols, it uses animal that are closely related to human life, and examines culture education contents that can prevent misunderstanding and enable for a more profound communication. For this, we have compared animal symbols expression of Korean language and animal symbols expression of Chinese people learning Korean language, and examined commonness and difference, to organize what is required when using animal symbols in Korean culture education. Throughout this study, Korean language teachers can forecast in advance, what errors are committed when learners who study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pply smile using animal symbols, and enable a more profound communication to them by using animal symbols effectively.

      • KCI등재

        논문 : 상징을 통한 한국 문화 교육 연구 -문화 상징 항목을 중심으로-

        김낭예 ( Nang Ye Kim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1 한국어 교육 Vol.22 No.2

        The use of symbols in communication has not been discussed with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do just that. Symbols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a language within a culture. Symbols are not universal; they are different according to nation and language. In a way, symbols become an important keyword. Understanding of symbols used by interlocutors not only enhances overall communication but achieves accuracy. But the symbolic system is too broad. This study is of two fold: first, it examines how symbols are organized within Korean language textbooks; second, it will outline ways of categorizing the symbolic system with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rom there, it aims to look at how symbols can be utilized with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rom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tance. Symbols within Korean culture education will serve as a platform to discuss taboos and metaphors fundamental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would help Korean language teachers understand various ideas that exist within the root of Korean culture and the cultures of lear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