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주간보호센터 노인들의 집단음악치료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김기쁨 전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and explore the essence of elderly persons’ experience of group music therapy in a senior daycare center.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eight participants in total with the average age of 85 years. The subjects are residents at a senior daycare center whose cognitive level is normal with an MMSE-K score of 25 or higher.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2021 to April 2021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ubjects. The study was executed according to Giorgi’s method of phenomenological analysis. As a result, the study extracted 15 sub-components that are identified as the essence of the shared experience, ultimately narrowing them down to four components. The four components are as follows: “the motive for participating in group music therapy,” “positive experiences of group music therapy,” “challenging experiences of group music therapy,” and “expectations towards the next group music therapy session.” Through the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the senior daycare center residents felt that their experience of group music therapy had a highly positive impact on their liv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made an attempt to create a new contact-free platform for music therapy for the elderly and created a better overall understanding of group music therapy for elderly residents in a senior daycare cent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useful reference material to further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group music therapy by elderly persons at senior daycare centers and to improve their emotional and psychologic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본 연구의 목적은 주간보호센터 노인들의 집단음악치료 경험을 본질적으로 이해하고 탐구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들은 모두 8명으로 평균 연령 85세의 노인들로 노인주간보호센터에 입소 중이며, 치매 간이검사(MMSE-K) 점수가 25점 이상으로 정상인지 수준의 노인들로 구성되었다. 2021년 3월부터 2021년 4월까지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절차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공통적인 경험의 본질로 판단되는 15개의 하위구성요소를 추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4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4개의 구성요소는 '집단음악치료를 참여하게 된 계기'. '집단음악치료에서의 긍정적인 경험', '집단음악치료에서의 어려운 경험', '향후 집단음악치료에 대한 기대'로 나타났으며, 주간보호센터 노인들이 느끼는 집단음악치료의 경험은 그들의 삶에 매우 긍정적인 의미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주간보호센터 노인들의 집단음악치료 경험에 대해 전반적인 이해를 도왔으며, 주간보호센터 노인들을 대상으로 비대면 음악치료의 새로운 플랫폼을 시도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주간보호센터 노인들의 집단음악치료 경험에 대해 이해하고 주간보호센터 노인들의 심리, 정서적 건강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음악치료를 적용하는데 있어 참고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 건조방법에 따른 아로니아(Aronia melanocarpa)잎차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김기쁨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Aronia melanocarpa leaves, which are affordable and an abundant raw material, are by products of aronia grove farming and accumulate during the pruning of aronia trees. They are expected to contain bioactive compounds that have various applications in the cosmetic, therapeutic, and food industries. Aronia melanocarpa leaves have been shown to have antioxidant and in vivo pharmacological tests. However, little information is available to determine whether Aronia melanocarpa leaves can influence the incidence and progression of aging. Therefore, more studies on the funtional properties of Aronia melanocarpa leaves are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f Aronia melanocarpa leaf tea, to develop an optimal manufacturing method applied in tea processing to evaluate its qualities. 1. In chemical analysis of FL and the tea samples prepared by drying, moisture contents were 67.47%, 3.39%, 4.04% and 4.45% for FL, RT, FT and HT, respectively. The amount of crude protein in HT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samples. Crude fat contents in the tea sampl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crude ash and carbohydrate in RT were 5.41% and 81.59% and its contents were higher than FT or HT. 2. The Hunter L and a values of the RT was lower than those of the samples, whereas b values of the RT was the highest at other samples. The brown color and turbidity values of the RT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samples. 3. The amount of chlorophyll a, b, and total chlorophyll content of the FT were 42.37 mg/100g, 33.54 mg/100g and 62.39 mg/100g, its contents were higher than RT or HT. 4. The main free sugars in the tea samples were fructose, glucose, sorbitol and sucrose. Total free sugars of FT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samples. 5. The major of organic acids in the tea samples were succinic acid, oxalic acid, malic acid and citric acid. Total organic acid contents were 1.39%, 2.61%, 3.98% and 2.89% for FL, RT, FT and HT. 6. Among minerals in the tea samples, K showed the highest content and followed by Ca, Mg, P, Na and Fe. 7. The total contents of amino acids were determined by 1414.41 mg% for RT, 1453.14 mg% for FT, and 1485.51 mg% for HT, comparing with that of FL was 615.56 mg%. 8. The vitamin C content in FL was 241.57 mg% while those of RT, FT and HT were 395.37 mg%, 362.63 mg% and 320.27 mg%, respectively. The amount of caffeine was not found in those of the samples. 9. Aronia melanocarpa leaf tea was extracted in 70% ethanol and hot water. The samples of 70% ethanol extract showed the highest compared to that of water. RT was the highest in polyphenols, flavonoids, tannin,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mong the other samples. 10. As a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color, bitterness and astringency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ea samples, while RT had the highest scores in flavor, taste, delicate and overall acceptability. In conclusion, the resulting data of polyphenols, flavonoids, tannin, antioxidant activities, vitamin C, minerals, sensory properties and processing conditions suggest that roasting method is suitable for manufacturing Aronia melanocarpa leaf tea. The potential of Aronia melanocarpa leaf tea being used as a functional foods material.

      • 슈퍼자미의 특성 및 이를 이용한 밥과 설기떡의 품질특성

        김기쁨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study aimed at informing ordinary people of the superiority of Superjami, a variety of rice proven to be superb physiologically and valuable as natural coloring, and making it popular by examining the physicochemical features of the rice and researching it in terms of culinary science. Recently,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 in modern society are suffering from various adult diseases and atopic diseases. Therefore,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 by making people consume more C3G, the main coloring contained in functional rice Superjami, the study examined the optimal cooking conditions for Superjami, its physicochemical features and organic functions by cooking combined steamed rice of Superjami and the ordinary rice people ate everyday. Furthermore, it explored the effect Superjami exerted on the rice cake called Seolgitteok when it was used as one of the ingredients for it. Through this, the study tried to create a fundamental material for the use of Superjami as food in order to make people consume the rice more. 1. In order to find out the properties of Superjami in cooking, it was compared with the white rice called Ilpum and the colored rice called Heougjinju. The general components of Superjami, Ilpum and Heougjinju were compared. As for water content, Ilpum took first place, followed by Heougjinju and Superjami. As for crude protein and fat content, Heugjinju was highest, followed by Superjami and Ilpum. This indicated that Superjami likely has better cooking qualities than Heougjinju. Amylose content turned out to be related with the volume, stickiness and retrogradation of cooked rice. As Superjami contained more amylose than Heougjinju, the former was expected to have better eating quality than the latter. A grain of Superjami was heavier and longer and had larger albumin than that of Ilpum. As for L value of grains, Ilpum was the highest in a value, followed by Superjami and Heougjinju, and Ilpum took first place in b value, followed by Heougjinju and Superjami. As for L value of rice powder, Ilpum recorded the highest figure, followed by Superjami and Heougjinju. In water binding capacity, Heougjinju took the top spot, followed by Superjami and Ilpum. As for hardness during water soaking, as water soaking time got longer, the hardness of the three samples got weaker. The hardness of Superjami declined the most during water soaking, followed by that of Heougjinju and Ilpum. The three varieties of rice were soaked in 20 and 40 degrees Celsius water to elute pigments and measure pH. According to the result, as water soaking time got longer, the amount of eluted pigments increased and pH declined. When the temperature was high, pigments were actively eluted and pH was somewhat low. Gelatinization properties of the three varieties of rice were assessed using DSC. According to the result, Superjami had lower molecular structure binding capacity and crystallinity than Heougjinju, and thus showed better gelatinization than Heougjinju. As for X-ray diffraction, the three varieties of rice all showed the type of traditional crop. As for total polyphenol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Superjami was the highest in physiological functionality, followed by Heougjinju and Ilpum. 2. The quality properties of steamed Ilpum, Heougjinju and Superjami were examined according to soaking time (0, 0.5, 3, 6, 9, 12 hrs). The longer soaking time was, the more the water content of the three steamed samples was. Furthermore, the L, a , b values of steamed Superjami were lower than those of steamed Heougjinju. As water soaking time got longer, the three steamed samples all showed an increase in volume, with Ilpum displaying a bigger rise in volume than colored rices Heougjinju and Superjami. As soaking time got longer, the three steamed samples all showed a steady decline in hardness and an increase in adhesiveness, with Ilpum displaying better hardness than Superjami. The preference for steamed 100 percent Superjami samples with different soaking times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result, six hours of soaking was considered most appropriate when cooking steamed Superjami. 3. White rice mixed with 0, 5, 10, 15 and 20 percent of Superjami were steamed and then kept warm using rice cookers for 0, 6, 12, 18 and 24 hours. As for water content, the sample contained higher proportion of Superjami had more water content, showing that Superjami has the effect of delaying the retrogradation of ric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rice added with Superjami showed lower L value and higher a and b values. Furthermore, as the storage period got longer, its hardness increased and then declined, and its adhesiveness, springiness and chewiness decreased and then increased, and its gumminess declined after increasing. The following 19 words were created to describe the steamed white rice added with other grains: shininess, transparency, the color of grape juice, the shape of a steamed grain, the degree of soundness, smell of steamed rice, savory smell, smell of red bean, sweet smell, savory flavor, sweet flavor, slightly bitter flavor, flavor of black bean, the degree of surface unevenness, moisture, gumminess, hardness, stickiness, chewiness, and the feeling after swallowing. The assessment of the preference for steamed rice found that the streamed rice whose proportion of Superjami was 10~15 percent was highly preferred by people. 4. Seolgitteok samples whose proportion of Superjami were 0, 10, 20, 30 and 40 percent were stored for 0, 1, 2 and 3 days. As Seolgitteok contained more Superjami, its water content was higher, showing that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eolgitteok containing Superjami had a slower decrease in water content during storage. This indicated that Superjami is effective in delaying retrogradation. L value steadily decreased as the proportion of Superjami increased, and Seolgitteok containing Superjami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 value, an indicator of the retrogradation of rice cake, during storage. The assessment of differences in properties showed that the intensity of color, the smell and taste of Superjami, the feeling of particles, and aftertaste got stronger as Seolgitteok contained more Superjami. The preference for Seolgitteok showed that the rice cake had the best quality when Superjami contained in it was 20 percent. Based on the results above, it was confirmed that as Superjami contains abundant C3G and less protein, fat and amylose and has physiological functionality, it boasts better cooking quality and can improve organic function preference more, compared with existing varieties of colored rice. Moreover, when Superjami was used as one of the ingredients for Seolgitteok, the rice cake showed a smaller decrease in water content, L value and hardness, the values related to retrogradation, the largest problem. This indicated that Superjami which delays retrogradation and increases the degree of preference is suitable to be used as an ingredient for rice cake. In the future, unpolished Superjami and general brown rice should be compared in order to accurately grasp the properties of Superjami in terms of cooking. Not only the grains and powder of Superjami but also its starch should be researched to make it used in more various foods. Furtherm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inform people of Superjami's functionality as healthy food and to lead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 to consume it by introducing the ways to use it as a ingredient for rice cake and cookies as well as steamed rice, porridge and noodles.

      • 테셀레이션 모듈을 활용한 가변적 패션 디자인 연구

        김기쁨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패션업계 및 소비자에 의해 발생하는 폐기물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심각한 실정이고 다양한 생활양식으로 자신만의 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아이템에 대한 요구도 늘어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환경 문제의 대안 제시와 개인의 개성 및 다양성을 흥미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가변적 디자인을 중심 개념으로 모듈형 패션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문헌 연구 및 사례 연구를 통한 이론적 연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가변적 패션 디자인의 개념을 디자이너 지정적 가변과 착용자 능동적 가변으로 나누어 표현 방법을 탈부착, 부분 개폐, 기술, 접기 등으로 세분화하여 그 특성을 분석한다. 둘째는 디자이너 지정적 가변 중 모듈을 활용한 탈부착의 표현방법을 선택하여 모듈 패션 디자인의 개념을 살펴본다. 셋째는 테셀레이션 모듈을 가변적 패션 디자인에 적용하여 구체적인 디자인을 도출한다. 디자인 개발은 두 가지 이상의 정다각형이 결합된 준정규 테셀레이션을 모듈로 활용하여 하나의 디자인에 3가지 가변적 디자인이 연출되는 여성복으로 제안한다. 최종 디자인이 나오기 전 샘플 작업 단계에 가상착의 3D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모듈의 배치 및 원단 물성을 아바타에 착의하여 확인한 후 실물 디자인으로 전개하였다. 디자인 전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가지 이상의 정다각형을 결합한 준정규 테셀레이션 모듈을 적용하여 단일 도형을 활용한 기존의 모듈디자인보다 다양한 디자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의복 전체를 모듈화 하여 개인의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분리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능동적 디자인이다. 셋째, 모듈을 연결하는 여밈용 부자재는 장식적 요소이며 동시에 새로운 형태 창출이 가능하여 패션의 조형적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넷째, 테셀레이션은 패턴 전문지식이 적거나 연령대가 낮아도 쉽게 이해하며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다. 다섯째, 탈부착 모듈의 부분 세탁으로 세탁 시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줄이고 모든 변과 각의 크기가 같은 준정규 테셀레이션 모듈로 원단 폐기물 감소 효과가 있다. 여섯째, 하나의 디자인에 다양한 아이템이 제공되는 가변적 디자인을 통해 의복 사용 기한을 늘릴 수 있다. 주제어: 가변적 패션 디자인, 모듈 패션 디자인, 테셀레이션, 준정규 테셀레이션, 탈부착, 여밈용 부자재 The environmental impact of waste generated by the fashion industry and consumers is serious, and the demand for items that can express their individuality through various lifestyles is also increasing.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a transformable fashion design with a focus on modular design in order to present alternatives to environmental problems and to express individual individuality and diversity in an creative way. literature and cas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transformable fashion design was divided into a transform created by the designer and an active transform by the wearer, and the expression methods were subdivided into detachment, partial opening and closing, technology, and folding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Second, the concept of modular fashion design is considered by selecting the expression method of attachment and detachment using a module among the transform created by the designer. Third, a detailed design is derived by applying the tessellation module to a transformable fashion design. Design development proposes women's wear prototyping three designs from one design by using quasi-regular tessellation combined with two or more regular polygons as a module. Before the final design came out, in the sample work stage, It was worn on the avatar using a virtual 3D program, checked the module arrangement and fabric properties, and then implemented it as an actual design. The results of the design developments are as follows. First, by applying a quasi-regular tessellation module that combines two or more regular polygons, various designs were derived compared to the previous design used as a single figure. Second, it is an active design that can apply an individual's original and creative separation method by modularizing the entire clothing. Third, the fasteners connecting the modules are decorative elements and it is possible to create new forms and expand the formative scope of fashion. Fourth, tessellation is a method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and approached even if the pattern expertise is low or the age group is low. Fifth, partial washing of the detachable module reduces environmental pollution that occurs during washing, and the quasi-regular tessellation module with the same size of all sides and angles has an effect of reducing fabric waste. Sixth,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period of use of clothes through a transformable design in which various items are provided in one design. key word: Transformable fashion design, Modular fashion design, Tessellation, Quasi-regular tessellation, Detachable, Fastener

      • 또래 피드백 상황에서 또래지지와 피드백 태도의 관계 : 교사-학생관계의 매개효과

        김기쁨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support,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feedback attitude in peer feedback. Als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support and feedback attitude in peer feedback.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were defined as follows. 1. In peer feedback, what 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eer support,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feedback attitude (i.e. feedback cognition, feedback emotion, feedback emotion regulation, and feedback behavior)? 2. In peer feedback, how does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support and feedback attitude? A total of 399, 5th- and 6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198 boys, 201 girls) in a metropolitan area participated in a survey. In analyzing responses of the survey,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by using R program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support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showed that peer suppor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lso, peer support directly positively predicted feedback cognition, feedback emotion, feedback emotion regulation, and feedback behavior. Feedback behavior was the highest in specific effect sizes, followed by feedback cognition, feedback emotion, and feedback emotion regula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between peer support and feedback attitud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showed that, in all paths, peer support predicted feedback cognition, feedback emotions, feedback emotion regulation, and feedback behavior through teacher-student relationship. However, the magnitude of these effects varied slightly. Among the indirect path from peer support to feedback attitude, the path coefficient that leads to feedback cognition was the largest, while the indirect effect on feedback behavior was the smalles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feedback attitude in peer feedback. This study can be helpful in doing further research on students’ feedback attitude in peer feedback. Second, the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support and peer feedback attitude demonstrated that peer support has an important role in feedback attitude- including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Third, through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that affect students' feedback attitude in peer feedback, this study confirmed that it is clear that teacher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tudents even in student-centered activities such as peer feedback. Key words: Peer Feedback, Peer Support, Teacher-Student Relationship, Feedback Attitude 학습 관련 주체들 간의 양방향적 대화의 일환이자 학습자의 성장을 촉진하는 의사소통의 도구인 피드백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또래들 간에 이루어지는 피드백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교사가 제공하는 피드백을 주로 다루었으나, 또래끼리 제공하는 피드백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학생들은 또래 피드백에 대한 지식, 정서, 행동적 반응과 관련한 역량을 갖춰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또래 피드백 상황에서 피드백 태도(피드백 인지, 정서, 정서조절, 행동)를 증진하기 위한 요인으로 또래지지와 교사-학생관계를 학생의 환경 변인으로 상정하였고, 초등학교 고학년의 또래지지와 교사-학생관계, 피드백 태도가 어떤 관계가 있는지 구조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교사-학생관계가 또래지지와 피드백 태도의 관계를 어떻게 매개하는지 확인하고, 이와 같은 구조적 관계가 교실 상황에서 어떤 의의를 지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또래 피드백 상황에서 또래지지, 교사-학생관계, 피드백 태도(피드백 인지, 피드백 정서, 피드백 정서조절, 피드백 행동)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또래 피드백 상황에서 교사-학생관계는 또래지지와 피드백 태도를 어떻게 매개하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도권 초등학교의 5학년과 6학년 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총 399부의 설문지를 토대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에는 R studio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지지와 교사-학생관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또래지지의 교사-학생관계에 대한 직접적인 예측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또래지지에서 피드백 인지, 피드백 정서, 피드백 정서조절, 피드백 행동으로 이어지는 직접 경로들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인 효과 크기는 피드백 행동, 피드백 인지, 피드백 정서, 피드백 정서조절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또래지지가 피드백 인지, 피드백 정서, 피드백 정서조절, 피드백 행동을 예측하는 과정에서 교사-학생관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통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모든 경로에서 또래지지가 교사-학생관계를 경유하여 피드백 인지, 피드백 정서, 피드백 정서조절, 피드백 행동을 예측하는 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각 경로를 예측하는 크기가 조금씩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즉 또래지지에서 피드백 태도와 관련된 변수에 이르는 간접 경로 중 피드백 인지로 향하는 경로계수가 가장 컸던 반면 피드백 행동으로 향하는 경로계수가 가장 작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또래 피드백 상황에서 학생의 피드백 태도를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학생이 또래 피드백을 대하는 태도와 관계된 또래와 교사의 역할을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교사들은 또래 피드백 활동을 하기에 앞서 학습자가 지각하는 두 가지 변인의 수준이 어떠한지 세심하게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초등학교 교실에서 또래 간의 상호작용에 주목하여 이전까지 이루어지지 않은 또래 피드백 상황에서의 피드백 태도에 대한 다양한 변인을 살펴본 연구를 수행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둘째, 또래 피드백 상황에서 또래지지가 피드백 인지, 정서, 정서조절, 행동에 대해서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또래지지가 학생들의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힌 선행연구의 결과를 다시 한번 입증하였으며, 교사들은 또래들 사이의 긍정적인 관계를 높일 수 있는 활동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학생들의 피드백 동기 및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셋째, 학생들의 피드백 태도에 또래지지가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교사-학생관계의 매개효과를 밝히고, 이에 또래 피드백 활동에서도 교사-학생관계의 질이 중요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이는 또래 피드백 활동과 같은 학생 중심 수업에서도 교사의 역할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과의 관계를 통해 또래 피드백 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유도하고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높이는 데 노력해야 한다. 주요어: 또래 피드백, 또래지지, 교사-학생관계, 피드백 태도

      • 초등학교 저학년의 언어폭력예방을 위한 독서치료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김기쁨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저학년의 언어폭력예방을 위한 독서치료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여 언어폭력 예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해 보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의 언어폭력 예방을 위한 독서치료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안되어야 하는가? 둘째, 초등학교 저학년의 언어폭력 예방을 위한 독서치료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언어폭력 예방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소재 H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 중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27명과 통제집단 27명으로 구성하였다. 언어폭력 예방을 위한 독서치료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박인우(1995)의 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총 12회기를 구안해 9월 1일부터 10월 13일까지 1주에 2회씩 전체 12회기를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는 구자관(2007)이 개발한 언어폭력 검사를 학교 교실 상황에서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이 친구에게 행한 언어폭력을 측정하는 검사지로 수정 및 재구성하여 사용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Window 20.0에서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사용하여 통계적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양적 결과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집단원의 경험보고서와 상담자의 관찰 내용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언어폭력예방을 위한 독서치료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언어폭력행동 변화가 통제집단의 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폭력의 하위영역별 분석 결과에서 실험집단의 자아개념 손상, 모욕감 영역에서의 변화가 통제집단의 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원의 경험보고서와 상담자의 관찰 내용을 분석한 결과 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의 언어폭력행동을 감소시키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독서치료를 활용한 언어폭력 예방 프로그램으로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는 독서 자료를 활용하여 내면적인 정서나 사고, 태도를 자연스럽게 표현하도록 하여 언어폭력 행동을 감소시키는 데에 도움을 줌으로써 초등학교 저학년의 생활지도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시 필요한 요구 조사 대상이 학부모 또는 담임교사까지 확대될 필요성이 있다. 둘째, 학교장면에서 발생하는 언어폭력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언어폭력 검사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언어폭력 예방을 위한 독서 치료 활용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으므로 언어폭력 예방에 필요한 독서 자료를 선정하고 개발하는 노력이 지속될 필요가 있다. 넷째, 이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에 대한 단기적인 효과만을 검증하였고, 연구 기간의 제약으로 인해 언어폭력 예방에 지속적인 효과가 있음을 측정하지 못하였다.

      • 한국 여성의 노화 안면 피부 자가평가지표 개선에 대한 임상연구

        김기쁨 건국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39

        OECD 건강 통계에 따르면 주요 가입국인 한국, 미국, 영국 및 프랑스의 기대수명은 2010년에서 2016년, 6년간 모두 상승하였으며 평균 80세 이상을 나타내고 있다. 기대수명의 상승에 따라,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욕구는 점차 높아져가고 관련 산업의 성장이 두드러지며 보편적으로 피부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자가설문평가의 사용 또한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바우만 피부타입 설문지는 여러 피부노화의 특징에 대하여 60개 이상의 설문을 통해 진단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산업 군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인종에 따른 상이한 요소를 반영하지 못해 한국인 여성에 대해서는 전문의 평가와 상이한 부분이 문제로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자가피부타입 평가방법인 바우만 피부타입 설문의 한계를 확인하고 다양한 연령의 한국인 여성을 대상으로 안면 피부 자가평가에 적합한 개선된 피부노화 지표와 설문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주름과 색소침착에 대해서 각각 눈가주름, 눈 밑 주름, 미간주름, 팔자주름과 볼 부위 색소침착으로 지표를 세분화하였으며 각각의 지표에 대해 개선된 설문지를 통한 설문과 ANTERA 3D를 활용한 피부 표면 이미지 측정을 진행하여 두 결과 간의 상응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한국인 여성의 다양한 연령대에 상응하는 개선된 지표와 설문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결과적으로 한국인 여성에게 적합한 노화 안면 피부 자가설문평가지표와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초석으로 자가평가지표의 확장에 대한 연구와 실제 산업 환경에 적용했을 때 높은 상관관계를 유지하고 만족도를 도출할 수 있을 지에 대한 후속연구가 표본의 확장과 함께 이루어진다면 한국인 여성을 대상으로 최적의 노화 안면 피부 자가설문평가방법의 개발과 상용화가 가시화되리라 생각한다. According to OECD health statistics, life expectancy of major OECD members, Korea, the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and France showed increased tendency over the past six years from 2010 to 2016, with an average age over 80 years. As increasing the life expectancy, the desire to improve the life quality is bigger and expanding and the growth of related industries has risen markedly. Face is a part of the body observed aging phenomena and skin alterations due to repeated expressions and external environment. As part of efforts to improve the life quality, various skin diagnoses are being used in diverse institutes to fast and precisely diagnose individual skin types. One of self-assessed methods developed by dermatologists, the Baumann skin type questionnaire, is cited in many institutions and dermatology textbooks evaluating skin aging through more than 60 surveys. However, it has been raised some problems related to race and their different elements. In this study, researcher subdivided facial skin aged markers, wrinkles and pigmentation, into periorbital wrinkles, nasolabial folds, under eye wrinkles, glabellar frown wrinkles and pigmentation on cheeks. For individual marker, researcher collected 40 subjects to conduct a modified survey and measure skin surface 3D images. According to the results, modified questionnaire using improved skin aging markers showed corresponding tendency with the chronological age. Therefore, the researcher suggested that the modified facial aging markers and questionnaire which are more suitable to apply various age of Korean women.

      •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식품 함유 Pantothenic acid 및 Pyridoxine의 분석

        김기쁨 강원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비타민은 직접적인 에너지원은 아니지만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영양소들이다. 그러나 국내 다양한 식품류에 함유된 판토텐산이나 피리독신 분석법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검증연구는 매우 미흡하며, 한국형 식품 매트릭스에 적합한 분석법 개발, 검증 및 분석품질관리 프로토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를 이용하여 국내 다소비 식품에 함유된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함량을 분석할 수 있는 최적의 분석법을 개발하고, 함량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식품 함유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의 최적 HPLC 분석법 조건을 검토하였으며, 판토텐산은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diode array detector(HPLC/DAD)를 이용한 200 nm의 파장에서, 이동상용매는 A용매 50 mM KH2PO4 (pH 3.5), B용매 acetonitrile을 사용한 A용매 95% 등용매조건을 적용하였다. 한편, 피리독신은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fluorometric detector(HPLC/FLD)를 이용하여 여기파장(excitation) 290 nm, 흡수파장(emission) 396 nm 파장에서 분석하고, 이동상용매는 A용매 20 mM CH3CO2Na (pH 3.6), B용매 acetonitrile을 사용하고 A용매 97% 등용매조건을 적용하였으며, 컬럼은 각각 YMC-Pack ODS-AM(250 × 4.6 mm I.D.) 컬럼, YMC-Pack pro RS C18(250 mm × 4.6 mm I.D.) 컬럼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확립된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의 분석조건을 밸리데이션 한 결과,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의 직선성은 R2값이 0.9998과 0.9999로 고도의 직선성을 보였다. 또한 검출한계, 정량한계는 판토텐산 0.4 mg/L, 1.3 mg/L, 피리독신 0.006 mg/L, 0.02 mg/L을 나타내었으며, 정확성과 정밀성 모두 우수한 분석법임을 확인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시료는 두류 7종, 육류 8종, 버섯류 4종, 조미류 28종, 채소류 39종 및 곡류 40종으로 총 126종으로, 판토텐산의 함량은 각각 두류 0.000~2.624 mg/100g, 육류 0.000~0.883 mg/100g, 버섯류 0.111~3.817 mg/100g, 조미류 0.000~15.326 mg/100g, 채소류 0.000~2.462 mg/100g mg/100g, 곡류 0.000~3.367 mg/100g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피리독신의 함량은 두류 0.000~0.149 mg/100g, 육류 0.008~0.059 mg/100g, 버섯류 0.000~0.009 mg/100g, 조미류 0.000~0.139 mg/100g, 채소류 0.000~0.127 mg/100g, 곡류 0.000~0.281 mg/100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국내 실정에 맞는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비타민 데이터베이스 활용을 통한 새로운 국민 건강 영양 실태 및 변화 예측, 단체급식, 식품개발, 영양교육, 국제 무역 수출 확대 및 농식품자원의 부가가치 향상 등 식품과 인체 영양 분야의 귀중한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Vitamins perform specific and vital functions in a variety of body systems and are crucial for maintaining optimal health. Although man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 methods have been developed and reported for determination of pantothenic acid and pyridoxine, an adequate analysis method for the Korean food matrix is required. Therefore, this study was aimed to determine and examine the contents of pantothenic acid and pyridoxine in mainly consumed food using HPLC method. The extract sample was analyzed by an Agilent 1260 series HPLC system. An YMC-Pack ODS-AM(250 × 4.6 mm I.D.) and YMC-Pack Pro RS (250 × 4.6 I.D.) was used for respective analyses of pantothenic acid and pyridoxine. In the case of pantothenic acid, the flow rate was set at 1.0 mL/min by isocratic elution using the 50 mM KH2PO4 solution (pH 3.5)/ACN (95:5, v/v) with monitoring at 200 nm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diode array detector(HPLC/DAD), whereas in the pyridoxine analysis the flow rate was set at 1.0 mL/min by isocratic elution using the 20 mM CH3CO2Na solution(pH 3.6)/ACN(97:3, v/v) with monitoring at excitation 290 nm, emission 396 nm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fluorometric detector(HPLC/FLD). The column temperature was set at 30℃. The injection volume was 20 μL for each experiment. The specificity was validated with accuracy and precision by analysis of pantothenic acid and pyridoxine using HPLC. It showed a high linearity in the calibration curve of pantothenic acid as coefficient of correlation(R2) of 0.9998, the limit of detection(LOD) and limit of quantitation(LOQ) were 0.4 mg/L and 1.3 mg/L, whereas the calibration curve of pyridoxine as coefficient of correlation(R2) of 0.9999, LOD and LOQ were 0.006 mg/L and 0.02 mg/L. Pantothenic acid and pyridoxine contents in a total of 126 samples of legumes(n=7), meat(n=8), mushrooms(n=4), seasonings(n=28), vegetables(n=39) and cereal grains(n=40) were anlyzed. Each pantothenic acid and pyridoxine contents ranged in legumes(0.000~2.624, 0.000~0.149 mg/100g), meat(0.000~0.883, 0.008~0.059 mg/100g), mushrooms(0.111~3.817, 0.000~0.009 mg/100g), seasonings(0.000~15.326, 0.000~0.139 mg/100g), vegetables(0.000~2.462 mg/100g, 0.000~0.127 mg/100g) and cereal grains(0.000~3.367, 0.000~0.281 mg/100g), respectively, depending on the types of foods.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학활동의 효과

        김기쁨 창원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문제해결능력, 수학적태도, 사고력, 언어이해력, 언어표현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학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 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2)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학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사고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3)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학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언어력(이해력과 표현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4)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학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수학적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대상은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여좌동에 위치한 Y 어린이집 만 5세 유아 34명이며, 실험 집단 17명, 비교집단 17명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는 사전 검사, 실험 처치, 사후 검사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사전 · 사후 검사에서 사용된 검사 도구는 다음과 같다. 수학적 문제해결능력을 검사하기 위해, Ward(1993)의 검사 도구를 황정숙(1996), 김창복(1998), 이명옥(2007)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했다. 유아의 사고력 검사를 위해서는 Blank, Rose & Beriin(1978)의 ‘언어 검사’와 Peabody의 언어 프로그램 (1981)를 적용하여 주영희(1982)가 제작한 ‘사고력 검사’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언어 이해력 검사를 위해 웩슬러 유아지능검사 (K-WPPSI)의 도구를 사용했으며, 언어표현력 검사를 위해 선행연구를 기초로 장영애(1981)가 제작한 도구를 사용했다. 수학적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황해익·박지영(2006)의 ‘수학적태도 검사’를 사용했다. 실험은 2013년 9월 30일부터 11월 1일까지 총 5주간, 1주 2~3회씩 총 15회에 걸쳐 진행되었고, 중·소그룹 형태로 오전 수업 시간 중 이야기 나누기 시간과 자유 선택 활동 시간에 실시되었다. 실험 집단에게는 수학동화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활동을 진행하였으며, 비교 집단에게는 같은 수학동화를 읽어주기만 하는 활동으로 진행했다. 이 연구의 실험 도구로 선정된 도서는, 자연스럽게 수학적 활동을 자극 할 수 있으며 일상적인 생활 중에서의 수학능력을 다루고 있는 동화 15권으로, 누리과정에 명시된 수학 내용을 다루고 있는지, 다양한 수학능력을 경험하게 하는지에 따라 선정했다. 실험 처치 후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한 수학활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획득된 자료들은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통계 분석의 결과, 스토리텔링 수학활동을 경험한 실험 집단의 유아들은 비교 집단의 유아들보다 수학적문제해결능력, 사고력, 언어이해력 및 표현력, 수학적 태도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스토리텔링이 유아의 수학적문제해결능력, 사고력, 언어이해력 및 표현력, 수학적 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