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한 서울지점 극치 수문량 산정

        김광섭,이기춘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2 No.3

        In this study, we estimated probable precipitation amounts at Seoul for the target year(2020, 2030, 2040 year) using the 1 and 24hour annual maximum precipitation data from 1973 through 2009. The Gumbel distribution was chosen and the probability weighted moment method was used to estimate model parameters. The behavior of the mean of extreme precipitation data, scale parameter, and location parameter amount using the linear regression and the logistic regression methods. The probable precipitation amount for the target years using the linear regression methods is much higher than that using a stationary frequency analysis. The probable precipitation amount using the logistic regression showed stable increase but probable precipitation amounts was almost same for different target years since the behavior of logistic curve converges before 2040 year. In estimating probable precipitation, the logistic regression is able to reflect the increase behavior of hydrologic extreme reasonably while probable precipitation amounts for target years using a linear regression method have continuous increase.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점의 목표연도별(2020, 2030, 2040년) 재현기간에 따른 확률강수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1973년부터2009년까지 지속시간 1시간 및 24시간에 대한 연 최대 강수량 자료를 사용하였다. Gumbel 분포를 이용해 빈도해석을 실시하였으며, 확률가중모멘트법을 사용하여 분포형의 위치매개변수와 축척매개변수를 산정하였다. 서울지점의 누적평균 극치강수량에대하여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는 방법과 한강유역에 속하는 14개 지점들의 누적평균 극치강수량에 대하여 Logistic 회귀분석을실시하는 방법을 이용해 각 방법에 따른 확률강수량을 정상성임을 가정하여 산정된 재현기간에 따른 확률강수량과 비교하였다. 선형회귀분석에 비해 Logistic 회귀분석의 결정계수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확률강수량의 경우, 선형회귀분석을 통한 확률강수량은 정상성에 비하여 매우 높게 나타남을 보였으나, Logistic 회귀분석에서 최대편차를 이용해 산정된 확률강수량의 경우 선형회귀분석에 비해 비교적 안정적인 증가를 보였다. 확률강수량 산정에 있어 정상성 가정에 기초한 전형적인 빈도해석과비교하였을 때, Logistic 회귀분석은 극치의 선형 증가 거동을 반영하면서도 선형회귀분석을 사용한 목표연도별 확률강우량 산정시 나타나는 지속적 선형 증가의 문제를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 KCI등재

        Differential Evolution 기법을 이용한 Neyman-Scott Rectangular Pulse 모형의 매개변수 추정

        김광섭,조현곤,이재응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2 No.4

        The NSRPM(Neyman-Scott Rectangular Pulse Model), a stochastic rainfall generation model using clustered point process theory,is widely used in hydrology since it is able to reflect the cluster characteristics of rainfall events but the RPM(Rectangular Pulse Model) is not able to handle that. DFP(Davidon-Flectcher-Powell) and GA(Genetic Algorithm) are generally used to estimate 5 model parameters of the NSRPM. However DFP is sensitive to initial value and has tendency to get not global solution but local minimization. GA has an advantage of optimizing without Hessian matrix, but it needs relatively long computing time. In this study, a DE(Differential Evolution) method applied in model parameter estimation in order to overcome those drawbacks. The rainfall model parameters during the summer season (June-August) at Seoul, Pusan, Daegu, Mokpo, Gangrung, which have more than 30 year long hourly precipitation data, were estimated using hourly rainfall data from 1961 to 2011. Results were compared to those using DFP and GA. The performance of the DE method was evaluated using test statistics and demonstrated better performance in preserving physical and statistical properties of observed rainfall data. 군집 점 과정(Clustered Point Process) 기법을 이용한 NSRPM(Neyman-Scott Rectangular Pulse Model)은 강우생성모형으로 구형펄스모형(Rectangular Pulse Model)에서는 반영하지 못하는 강우현상의 군집특성을 잘 반영하여 그 적용성이 뛰어나다는 평가와 함께 수문학 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강우특성을 나타내는 NSRPM의 5개 매개변수를 추정하기 위한 최적화 기법으로 DFP(Davidon-Fletcher-Powell)과 유전자알고리즘(Genetic Algorithm)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DFP는 주어진 초기값에 따라 민감하며 전체해가(Global Solution)이 아닌 국지해(Local Solution)를 구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으며, 유전자 알고리즘은 DFP와 다르게 헤시안 행렬(Hessian matrix)을 사용하지 않고 전체해를 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계산 시간이 오래걸리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DE(Differential Evolution)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전국지상관측소 중 30년 이상 장기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서울, 부산, 대구, 목포, 강릉지점의 1961-2011년까지의 여름철(6,7,8월)시강우 자료를 이용하여 NSRPM의 매개변수를 추정하였다. DE 알고리즘을 사용한 매개변수추정 결과를 DFP, 유전자 알고리즘 기법을 사용하여 추정한 매개변수추정 결과와 검정통계량을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여 DE 알고리즘 적용 시 강수관측자료의물리적 및 통계적 특성을 보다 잘 반영함을 보였다.

      • KCI등재

        Accuracy Comparison of TOA and TOC Reflectance Products of KOMPSAT-3, WorldView-2 and Pléiades-1A Image Sets Using RadCalNet BTCN and BSCN Data

        김광섭,Kiwon Lee 대한원격탐사학회 2022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8 No.1

        The importance of the classical theme of how the Top-of-Atmosphere (TOA) and Top-of-Canopy (TOC) reflectance of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match the actual atmospheric reflectance and surface reflectance has been emphasized. Based on the Radiometric Calibration Network (RadCalNet) BTCN and BSCN data, this study compared the accuracy of TOA and TOC reflectance products of the currently available optical satellites, including KOMPSAT-3, WorldView-2, and Pléiades-1A image sets calculated using the absolute atmospheric correction function of the Orfeo Toolbox (OTB) tool. The comparison experiment used data in 2018 and 2019, and the Landsat-8 image sets from the same period were applied together. The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the product of TOA and TOC reflectance obtained from the three sets of images were highly consistent with RadCalNet data. It implies that any imagery may be applied when high-resolution reflectance products are required for a certain application. Meanwhile, the processed results of the OTB tool and those by the Apparent Reflection method of another tool for WorldView-2 images were nearly identical. However, in some cases, the reflectance products of Landsat-8 images provided by USGS sometimes showed relatively low consistency than those computed by the OTB tool, with the reference of RadCalNet BTCN and BSCN data. Continuous experiments on active vegetation areas in addition to the RadCalNet sites are necessary to obtain generalized results.

      • KCI등재

        PaaS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성능평가: 공간영상 정보처리 사례

        김광섭,이기원 한국지리정보학회 2018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1 No.4

        Both Platform as a Service (PaaS) as one of the cloud computing service models and the e-government (e-Gov) standard framework from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MOIS) provide developers with practical computing environments to build their applications in every web-based services. Web application developers in the geo-spatial information field can utilize and deploy many middleware software or common functions provided by either the cloud-based service or the e-Gov standard framework.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for their applicability and performance in the field of actual geo-spatial information application yet. Therefore, the motivation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evance of these technologies or platform. The applicability of these computing environments and the performance evaluation were performed after a test application deployment of the spatial image processing case service using Web Processing Service (WPS) 2.0 on the e-Gov standard framework. This system was a test service supported by a cloud environment of Cloud Foundry, one of open source PaaS cloud platforms. Using these components, the performance of the test system in two cases of 300 and 500 threads was assessed through a comparison test with two kinds of service: a service case for only the PaaS and that on the e-Gov on the PaaS. The performance measurements were based on the recording of response time with respect to users’requests during 3,600 second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all the test cases of the e-Gov on PaaS considered showed a greater performance. It is expected that the e-Gov standard framework on the PaaS cloud would be important factors to build the web-based spatial information service, especially in public sectors.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모델 중 하나인 PaaS(Platform as a Service)와 행정안전부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는 모두 웹 서비스 개발자가 개발 목적을 만족하는 핵심 기능 개발 집중할 수 있 도록 기본 공통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컴퓨팅 환경이다. 웹 기반 공간정보 서비스를 구축하는 경우 에도 이러한 기술들을 사용하면 미들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플랫폼 공통 기능들을 바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공간정보 서비스 개발 분야에서 이러한 기반 기술들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거나 적용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한 연구는 아직 발표된 사례가 없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공간정보 서비스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성능평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대상 시스템은 OGC WPS 2.0 표준을 적용한 공간영상 정보처리 서비스를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 시스템은 Cloud Foundry 오픈소스를 이용한 PaaS 환경을 구축한 뒤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를 적용한 웹 서비스로 설계, 구축하였다. 실제 성능 평가실험은 영상처리 기능을 PaaS 클라우드 환경에서 구동하는 경우와 PaaS에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를 같이 적용한 경우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실험 조건은 300명과 500명에 해당하는 동시 사용자가 3,600초 동안 이 시스템에 접속하여 정보 처리를 요청하고 실험 환경으로 구축한 웹 서비스가 이에 대하여 응답하는 시간을 기록하는 방식 으로 하였다. 성능 측정 결과 PaaS 클라우드 환경에서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시스 템 구축하였을 때 성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공공 부분의 웹 기반 공간정보 응용 서비스 구축에서 PaaS 클라우드 컴퓨팅과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가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