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Helicobacter pylori 감염이 위궤양의 치료와 재발에 미치는 영향

        김관엽,신원창,이진호 인제대학교 1998 仁濟醫學 Vol.19 No.1

        위궤양의 치료와 재발에 H. pylori 감염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내시경으로 진단된 위궤양 환자들에서 H. pylori 감염의 유무에 따른 치료의 효과와, 치료 후 Hz 수용체 길항제로 유지 요법을 시행한 후 재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Objectives : The effects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on the healing and recurrence of gastric ulcers were investigated. Methods : Eighty five and 17 patients with endoscopically-proven gastric ulcer wish and without H. pylori infection, respectively, received 40mg famotidine daily. Healing of ulcer and H. pylori infection were assesed at wk 12. After the 12-wk-treatment peroid, 67 and 16 patients with healed ulcer positive and negative for H. pylori infection, respectively, received maintenance treatment (famotidine 20mg daily). Ulcer recurrence and H. pylori infection were assesed at or within 24 wk from the beginning of maintenance treatment. Variables infiuencing ulcer healing and recurrence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Ulcer healing at wk 12 was similar in patients with and without H. pylori infection, occurring in 16(89% ) of 18 patients without H. pylori infection, compared with 67(87%) of 77 patients with H. pylori infection. At or within 24 wk from the start of the maintenence therapy, ulcer recurrnce was significantly more frequent in patients with H. pylori infection than in those without : it occurred in three(20%) of 15 patients without H. pylori infection, but in 37(58% ) of 64 patients with infec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H. pylori infection was related most closely to ulcer recurrence independently. Conclusion : H. pylori infection had a significant independent influence on gastric ulcer recurrence, but not initial ulcer healing.

      • KCI등재

        침지형 MBR 공정에서 응집제가 여과성능에 미치는 영향

        김관엽,김지훈,김영훈,김형수 한국막학회 2006 멤브레인 Vol.16 No.3

        본 연구에서는 침지형 MBR 공정에서 인제거를 위해 주입되는 응집제가 분리막의 여과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고, 침지형 MBR에서 분리막 표면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행하는 폭기가 응집 플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MBR공정의 폭기조 슬러지를 채취하여 jar-test를 실시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는 플록 크기와 슬러지 탈수성의 지표로서 비여과저항(SRF, Specific Resistance of Filtration)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응집제 주입량이 증가할수록 10μm 수식 이미지 이하의 플록의 비율이 저감되었으며 탈수성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jar-test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폭기의 전단력에 의해 그 효과가 저감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응집제를 주입한 경우 주입하지 않은 경우보다 운전지속시간이 연장되었다 운전지속시간이 응집제 주입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지는 않았는데, 이는 연속적인 폭기의 전단력으로 인해 10μm 수식 이미지 이하의 입자가 충분히 저감되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응집제 주입량이 과도하면 오히려 여과저항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coagulation on filtration performance of membrane in submerged MBR system and influence of continuous aeration to reduce fouling of membrane surface on coagulated floc. For this purpose, aeration tank sludge of MBR system was compared with jar-test sludge.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analysed in terms of floc size and SRF (Specific resistance of Filtration). The more alum was added, the more content of floc below 10μm reduced and SRF decreased. But compared with jar-test results, it was found that effect of coagulation on MBR floc was reduced. Operation time of membrane in alum added MBR was longer than that in control MBR. But operation time was not proportional to alum dose. It was thought that the result was reason that floc below 10μm was not reduced sufficiently by shear force of continuous aeration. Moreover it was founded that if alum is added more than proper dose, it brings filtration resistance to increase.

      • KCI등재후보

        한국인 정신분열병 환자와 GDNF 유전자 다형성의 연합

        김관엽,김종우,이희제,조아랑,장환일 대한정신약물학회 2003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14 No.3

        Objectives: In relation with the etiology of schizophrenia, the association of neurotrophic factors has been widely studied. Among them glial cell line-derived neurotrophic factor(GDNF) are known to promote the survival and differentiations of dopaminergic neurons. Considering dopamine hypothesis and neurodevelopmental theory, GDNF gene may be related with schizophrenia. In this study, we tried to clarify the association between schizophrenics and GDNF gene polymorphism. Methods: Genotype and allele frequencies in the promoter region and intron region of GDNF gene were studied by using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comparing 180 Korean schizophrenics with 105 Korean controls. Results: We foun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chizophrenics and the controls in genotype and allele frequencies of BsaⅠ polymorphism in the promoter region of GDNF gene. (χ2=18.208, df=2, p=0.0001/ χ2=11.264, df=1, p=0.0008)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intron region.(p=0.06, p=0.984) Conclusion: This results suggest that polymorphism of GDNF gene might be related to the pathogenesis of schizophrenia. 본 연구에서는 GDNF gene의 promoter 부위가 한국인의 정신분열병 발병에 있어 연관이 있을 가능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향후 대단위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 및 인종 간 비교 연구를 통해 반복적으로 증명된다면, 본 연구 결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겠다. 요 약 목 적:정신분열병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최근에는 신경발달 이론과 관련하여 neurotrophic factor와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중 Glial cell line-derived neurotrophic factor(GD -NF)는 도파민 뉴런의 생존과 분화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파민 가설과 신경발달 이론을 고려해 봤을 때 GDNF gene과 정신분열병과의 연관성을 생각해 볼 수 있고, 이에 GDNF 유전자 다형성을 분석하여 정신 분열병과의 유전적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DSM-Ⅳ에 기준한 정신분열병 환자 180명 및 정상 대조군 105명을 대상으로 promoter 부위 및 intron 부위를 비교하였다. 중합효소 연쇄반응으로 대상 부위를 증폭한 후 RFLP(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방법으로 유전자를 형별 분석 하였다. 결 과:Promoter 부위의 유전자형의 빈도 및 대립유전자형의 빈도에서 정상 대조군과 정신분열병 환자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였다(p=0.0001, p=0.0008). intron 부위에서는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p=0.06, p=0.98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