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룡산서원(龍山書院)의 거접(居接)활동 기록과 그 의미

        김경용 ( Gyung Yong Kim ) 교육사학회 2006 교육사학연구 Vol.16 No.-

        이 연구의 목적은 조선후기 전통 교육기관의 교육활동에 대한 재해석을 시도하는 데 필요한 또하나의 사례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일제강점기 일본인 학자들이 주장했던 것과 같은 조선의 전통 교육기관에 대한 통상적인 견해, 즉 조선에는 학교다운 학교가 없다는 견해는 사실 입증할 만한 구체적인 증거에 바탕을 둔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 근래에 조선후기의 교육체제와 교육활동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담은 사료들을 접하는 일이 점점 더 용이해짐에 따라서 조선후기 교육상황에 대한 종래의 해석과는 다른 접근을 시도할 가능성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당시에 여러 지방의 서원·향교·양사재 등 각 학교에서 작성된 교육활동 관련 고문서 자료를 바탕으로 다각적인 분석을 가하는 사례연구의 축적이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경주 용산서원의 교육활동 및 교육행정 관련 기록을 소개·분석하고 그것이 갖는 의미를 도출하였다. 용산서원의 거접록은 단순히 유생들에 대한 제술 경쟁 또는 제술 考課의 사실만을 보여주는데 그치지 않고, 경전에 대해 문답·토론·논쟁을 벌이는 강학·강회 활동까지 시행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과거시행일정 통보 및 과거웅시자 명단 작성·보고 등의 교육행정 활동은 해당 학교에서 강학활동을 전제로 이루어진 것이었으며, 이는 용산서원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향교는 물론 여타 사액 서원도 공히 담임하고 있던 역할 이었다. 조선시대 전통 교육기관의 교육활동에 대한 사례연구를 지속적으로 축적해 나가는 것은 조선후기 전통 교육기관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손에 잡히는 이해를 모색하는 데 필수적인 작업이 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terpret the educational system and practice of traditional school in late Chosen Dynasty. In fact, the customary viewpoint on traditional schools, as japanese old scholars to speak there was not a real educational institution in late Chosen Dynasty, has just rare positive testimonies to justify itself. Nowadays, increasing advent of old archives carrying concrete evidences on the system and practices of education in late Chosen Dynasty make it possible to reinterpret the traditional school system and educational practices. It is important to produce case studies based on practical academic activities recorded in official document at that times. In this study, I introduce some important records on educational activities in Yong-San Traditional College and on its administrative service and function. From the composition(製述) activities, we can lead another fact that these activities have coexisted with relating educational practice or academic conference(講會) to read the confucian textbooks and to discuss or argue about some subjects in them. Also, the administrative service and function of Yong-San Traditional College, such as reporting to the superior office the personal information about the candidates for public examination (科學) or composition contest(白日場), was closely related to the educational activities in this college. To take part in any sort of competitive examination academic or selective, it was necessary for cadidates to study in school. On the other hand, for school having responsibility to report on list of examinee, opening academic conferences had to be carried on even temporarily. We can make another viewpoint of the traditional school system and practices from the reinterpretation on educational practice in Yong-San Traditional College. It played some educational role suitable to the occasion at that times.

      • KCI등재

        역주 『과거사목』 연구

        김경용 ( Gyung Yong Kim ) 교육사학회 2012 교육사학연구 Vol.22 No.2

        이 연구는 조선시대 과거제도 연구에 빼놓을 수 없는 사료인 ?과거사목?의 각 조항을 번역하고, 각 조문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주석을 덧붙여 소개함으로써, 이 사료의 활용도를 높이는 동시에 조선시대 과거제도를 좀 더 정확히 이해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시도되었다. ?과거사목?은 신과거사목 과 구사목 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과거제도 시행에 관한 이전의 사목을 수합하여 구사목 을 마련하였고 추가로 신과거사목 을 작성하였다. 구사목 은 1551년 7월부터 1553년 3월까지 작성된 다섯 개의 과거 관련 규정을 모아 놓은 것이고, 신과거사목 은 1553년 6월 26일 마련된 과거제도에 대한 규정과 이후 의정부 및 육조의 판서와 堂上등이 함께 의논하여 첨부한 각 조항에 대한 보완설명(동년 8월 2일자)으로서, 이들 모두를 묶어서 ?과거사목?이라는 이름의 책자로 동년 9월에 인쇄·반포한 것이다. 지면의 제약으로 인해 우선 구사목 에 대한 역주를 소개할 것이며, 신과거사목 의역주는 다음 학회지에 게재할 예정이다. ?과거사목?의 각 조문 번역에 대한 원문은 각주로 처리하여 대조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고, 용어풀이 및 보완설명 등 필요한 참고사항도 각주에 제시하였다. This paper is a translation with introduction and several annotations on Gwa- Geo-Sa-Mok?(科擧事目) which is the most important historical material to understand the public examination system for government service appointment of Chosen Dynasty. I expect that this paper will make it possible be more available to study the public examination system to appoint civil service officer and to comprehend this system more exactly. Gwa-Geo-Sa-Mok (科擧事目) consists of the Old Statements and the New Statements . Because of the limit of sheets, for now I will show the translation of the Old Statements with introduction and some annotations. The other New Statements will be translated in next time next year.

      • KCI등재
      • KCI등재

        역주 『과거사목』(신과거사목) 연구

        김경용(Kim, Gyung Yong) 교육사학회 2013 교육사학연구 Vol.23 No.1

        『과거사목』은 『신과거사목』과 『구사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과거제도 시행에 관한 이전의 사목을 수합하여 『구사목』을 마련하였고 추가로 『신과거사목』을 작성하였다. 『구사목』은 1551년 7월부터 1553년 3월까지 작성된 다섯 개의 과거 관련 규정을 모아 놓은 것이고, 『신과거사목』은 1553년 6월 26일 마련된 과거제도에 대한 규정과 이후 의정부 및 육조의 판서와 당상관 등이 함께 의논하여 첨부한 각 조항에 대한 보완설명(동년 8월 2일자)으로서, 이들 모두를 묶어서 『과거사목』이라는 이름의 책자로 동년 9월에 인쇄·반강한 것이다. 이 연구는 『과거사목』의 조문을 번역하고 주석을 덧붙임으로써, 조선조 과거제도와 관련된 연구에 활용도를 높이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지난 호에 『구사목』에 대한 해제와 역주를 소개한 데 이어서 『신과거사목』의 해제와 역주를 제시한 것이다. 『과거사목』의 각 조문 번역에 대한 원문은 각주로 처리하여 대조·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고, 용어풀이 및 보완설명 등 필요한 참고사항도 각주에 제시하였다. 지난 호의 구사목 과 이번에 소개하는 『신과거사목』에 대한 해제·역주는 과거제도를 좀 더 정확히 이해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이들 신·구 과거사목은 1557년 『상정과거규식』으로 종합·정리되었는데, 이에 대한 역주는 다음호에 소개될 예정이다. This paper is a translation with introduction and several annotations on 『Gwa-Geo-Sa-Mok』(科擧事目) which is the most important historical material to understand the public examination system for government service appointment of Chosen Dynasty. 『Gwa-Geo-Sa-Mok』(科擧事目) consists of the 『Old Statements』(舊事目) and the 『New Statements』(新事目). Already I have shown the translation of the 『Old Statements』 with introduction and some annotations in previous volume. Now I show the translation of the 『New Statements』 with another introduction and annotations I expect that this paper will make it possible be more available to study the public examination system to appoint civil service officer and to comprehend this system more exactly.

      • KCI등재

        역주 『상정과거규식』연구

        김경용(Kim, Gyung Yong) 교육사학회 2013 교육사학연구 Vol.23 No.2

        이 연구는 조선시대 과거제도 연구에 빼놓을 수 없는 사료인 『상정과거규식』의 각 조항을 번역하고, 각 조문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주석을 덧붙여 소개함으로써, 이 사료의 활용도를 제고하는 동시에 조선시대 과거제도를 좀 더 정확히 이해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시도되었다. 우선 『상정과거규식』이 성립하는 데 저본이 되었던 『과거사목』(『구사목』 과 『신과거사목』)이 어떻게 『상정과거규식』의 조항으로 정리되었는지 분석하였고, 『상정과거규식』의 각 조문 번역에 대한 원문은 각주로 처리하여 대조·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용어풀이 및 보완설명 등 필요한 참고사항도 각주에 제시하였다. 『구사목』 과『신과거사목』을 하나의 책으로 묶은 『과거사목』, 이를 종합하고 간명하게 정리한 『상정과거규식』 등에 대한 역주가 모두 소개됨으로써, 조선시대 과거제도의 시행에 대한 연구 등 연구자의 주요 관심에 따라 다양하게 이들이 활용될 것이라고 기대하며, 이런 활용에 따라서 조선시대 과거제도에 대한 이해도 더욱 더 정밀해 질 것으로 본다. This paper is a translation with introduction and several annotations on 『Sang-Jeon-Gwa-Geo-Gyu-Sik』(詳定科擧規式) which is the most important historical material to understand the public examination system for government service appointment of Chosen Dynasty. 『Sang-Jeon-Gwa-Geo-Gyu-Sik』(詳定科擧規式) is the revised version of 『Gwa-Geo-Sa-Mok』(科擧事目). But for exact understanding the several articles of 『Sang-Jeon-Gwa-Geo-Gyu-Sik』(詳定科擧規式), we must confer the contents of 『Gwa-Geo-Sa-Mok』(科擧事目) especially the New Statements. I have completed the translation with introduction and several annotations on 『Sang-Jeon-Gwa-Geo-Gyu-Sik』(詳定科擧規式) & ?『Gwa-Geo-Sa-Mok』?(科擧事目) which consists of the Old Statements and the New Statements . These three times translations on the most important public papers for the public examination will contribute the more concrete and exact understanding the public examination system to appoint civil service officer of Chosen Dynasty than ever.

      • KCI등재

        朝鮮朝 科學制度 講書試券 연구

        김경용(Kim Gyung-Yong)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장서각 Vol.0 No.15

        이 연구는 조선시대 과거제도의 식년문과복시 초장 강서시험의 결과 작성되는 강서시권과 관련 고문서 및 법규를 조사 · 분석한 것이다. 강서시권과 이와 관련된 여타 고문서 및 관련 법규를 면밀히 검토함으로써 식년 문과복시 초장 강서시험의 구체적인 시행과정을 밝히는 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식년문과복시 초장 강서시험의 시행과정을 밝히는 데에 구체성을 더하기 위하여 14개의 강서시권을 원형 그대로 제시하며 관련 법규와 비교 · 분석하였으며 이에 필요한 관련 고문서의 내용을 곁들여 소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조선시대 과거제도 시행의 엄밀성과 공정성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을 엿볼 수 있었으며, 식년문과복시 강서시험의 구체상을 얼마간 접할 수 있었다. 즉, 과거제도가 시행된 결과 산출된 고문서를 활용함으로써 과거제도에 관한 기본적 원칙과 관련 법규를 더욱더 면밀히 이해할 수 있었으며, 과거제도 시행의 실제적 면모를 보다 생생하게 파악하는 동시에, 과거제도의 법규와 실제 간에 실질적 상응관계가 유지되고 있었음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is a study on archives related to the grade sheet of oral examination in Chosen Dynasty. The major object of this study is the micro research on the executive procedure of oral examination(講書), expounding of seven confucian canonical books(Book of Changes[易經], Book oj History[書經], Book oj Songs[詩經], The Analects oj ConJucius[論語], Mencius[孟子], Doctrine oj the Mean[中庸], The Great Learning[大學]). It was critically important subject of triennial public examination at capital city of Chosen Dynasty(式年文科覆試). To give a full detail of oral examination about confucian sacred books, I show several grade sheets of oral examination in original form and analyze them in relation to the acts of regal regulations. Investigation on these grade sheets and acts of regal regulations of public examination system makes it possible to reconstruct the actual aspects and ascertain the exactness of the oral test in triennial public examination. By using the original archives, we can more thoroughly understand the basic rules and regal regulations about public examination system, and more concretely comprehend its actual execution, and more exactly confirm the relevancy between them.

      • KCI등재

        조선중기 과거제도 정비과정과 그 교육적 의의

        김경용(Kim, Gyung Yong) 교육사학회 2010 교육사학연구 Vol.20 No.1

        이 연구는 조선중기 과거제도 정비과정에서 등장한 조흘강과 조선조 개국부터 줄곧 유지되었으면서도 이와 밀접한 관계에 있는 학적자부거 원칙의 시행과 그 교육적 의미를 논의하였다. 조선조에 과거에 나아가기 위해서는 학적을 보유하고 있으면서 성실한 학업수행을 유지하여 부거유생도목에 등재되어야 했고, 처음으로 과거에 도전하는 자는『중용』?·『대학』을 고강하는 조흘강을 통과해야만 과거시험장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제도를 새로이 출범시켰으며, 이후 조흘강은 생·진시에 대해서만『소학』을 고강하는 것으로 정착되었다. 과거제도를 운영하는 데 있어서 부거유생도목의 작성과 보고, 조흘강의 시행 등의 사실은 조선조에 과거제도와 교육체제가 서로 연동되어 있었으며, 교육체제가 부거도목·조흘강 이 두 방식을 시행할 수 있을 정도의 얼개를 갖추고 있었다는 것을 말해 준다. 또한, 조선조 과거제도의 정비작업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교육체제의 건전한 운영을 통하여 시험으로는 점검하기 힘든 덕성함양의 문제를 처리하려고 노력했다는 점을 읽을 수 있었다. 부거도목의 작성과 조흘강의 시행을 통하여 덕성이 의심스러운 인물은 과거시험장에 들어갈 수 없도록 함으로써, 시험으로 확인할 수 없는 덕성의 문제를 시험장에 들어가기 전에 해결하도록 기도했다는 것이다. 조흘강과 과거를 어떻게 시행했는가 하는 것은 인재선발을 위한 과거제도가 체계적으로 운영되었는가 여부에 그치지 않고,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체제가 온전히 작동·유지되었는지 여부에까지 연결된 문제였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rovement on the government service appoint system in middle Chosen Dynasty. In that process, the preliminary examination(Jo-Hul-Kang, 照訖講) was initiated and the important rule of register for examination had been already in existence. I analyze the regulations of preliminary examination and that rule of register. From the results of these investigation and analysis, I discuss its operation backing and practical meanings of school system in that period. To enter the examination for government service appointment, one had to be a industrious member of school; and at the first trial, one had to pass the preliminary examination. Making the register for examination in each school and the execution of preliminary examination, these facts tell us that in Chosen Dynasty there had been inter-connection between the examination system and school system and the latter had been capable of supporting the former.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on, I can see the efforts of Chosen Dynasty to make answer for solving the problem that examination system can not affirm to measure the virtue of the candidates. By the register for examination and preliminary examination, any one be in trouble to be a industrious member of school could not enter the examination. In Chosen Dynasty, there was a reciprocal assistance between public examination system and school system; and these two systems had been making advancement in the process of cooperation and corelation. Without the organic and stable existence of school system, five hundred years duration of the government service appointment system could not had been possible.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조선조의 과거제도와 교육제도

        김경용(Kim, Gyung-Yong) 대동한문학회 2014 大東漢文學 Vol.40 No.-

        이 연구는 조선조의 과거제도(선발체제)와 교육제도(양성체제), 그리고 이 양자 간의 관계 및 그 문명사적 의의를 고찰한 것이다. 우선, 조선조에는 기본적으로 학교에 적을 두고 있으면서 성실하게 학업을 수행한 자에 한해서 공직자 임용을 위한 과거에 나아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육체제의 기반이 단단해 질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이러한 양성ㆍ선발 체제는 공민권자라고 볼 수 없는 천민을 제외하고는 전 인민을 대상으로 하고 전국을 망라한 것이었으며, 당사자의 덕성과 재능에 따라 일정 수준 이상의 실력을 갖췄다고 공인된 자라면 과거에 도전하는 데에 법제적 제약이 없었다. 셋째, 공직자 임용을 위한 과거제도는 매우 엄격하게 시행되었으며 공정성을 제고하는 데에 충실하였다. 응시자의 실력을 평가하는 데에 사사로운 인정이 개입되는 것을 가급적 차단하고자 했으며 상당히 까다로운 절차와 방식에 따라 합격자가 선정되었다. 이러한 사실들은 조선조의 과거제도와 교육제도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었으며 상호작용하며 유지되고 있었다는 점을 보여준다. 즉 양자는 서로 돕는 관계에 있으면서 발전해 왔다고 볼 수 있다. 이 양대 체제가 조선조 500년의 지속을 가능케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조선조의 과거제도와 교육제도에 대한 종래의 통념에 대한 반성적 검토, 나아가 이에 대한 재인식이 필요하다. 혈통적 세습에 의해서가 아니라 본인 당사자의 교육적 성취와 사회적으로 발현해 내는 능력에 따라 합리적으로 사회적 얼개가 갖춰지는 삶에 필수적인 체제를 조성하고 실천했던 조선조사회에 대한 부당한 평가를 정돈하고 처리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는 과거사를 다루는 일이라기보다는 현금 대한민국의 자화상을 일그러짐 없이 명확히 그리는 데에, 나아가 앞으로 우리가 추구하고 지켜야 할 바를 굳게 정하는 데에 구체적으로 작용할 현재의 일이기 때문이다. In this study, I interpret the system of state examination and public education in Chosen Dynasty. And I try to show the intimate relation between them and its socio-cultural significance. First of all, only the industrious learners of public schools had the right to take the state employment examination for government service appointment. This rule made it possible to establish the strong foundation of public education system. Second of all, this opportunity to be a member of government service was open to any citizen whose ability officially approved to take this examination according to one's own virtue and talent. Third of all, the process of this state employment examination was so strict and faire. It's precise method of selection depended upon the careful evaluation. All these facts on the state employment examination and public education show that the system of these two elements in Chosen Dynasty had been in close relation and interactive operation. In Chosen Dynasty, there was a reciprocal assistance between the state examination system and the public education system; and these two systems had been making advancement in the process of cooperation and corelation. Without the organic and stable existence of these systems, five hundred years duration of the Chosen Dynasty could not be possible. It is necessary to have reflective comprehensions on these two systems and their close relation in Chosen Dynasty. There is no reason to follow the irrelevant arguments and the colonial view of japan scholars. The socio-cultural significance of these two systems and their connection is that they can make us possible to make rational society not by hereditary succession but by our own educational achievements and functional abilities for practical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