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년여성의 귀환과 탈가부장제의 징후들

        김경연 ( Kim Kyung-yeon ) 민족어문학회 2018 어문논집 Vol.- No.82

        이 글은 청년을 인간의 표준으로 결정하고 미개인, 광인, 여성과 더불어 노인을 비인간으로 축출한 근대 휴머니즘의 폭력적 메커니즘에 주목하면서, 젠더적 관점에서 노년을 재독하고자 했다. 젠더·인종·계층/계급에 따라 노년을 살아가는 경험은 다르며, 때문에 이러한 차이를 간과한 노년 연구란 부분적이며 추상적일 수밖에 없다. 노년을 젠더의 관점에서 읽어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가부장적 자본주의 체제를 살아온/가는 노년여성들의 삶이 남성노년들과 같을 수 없으며, 중산층 여성노인과 가난한 박카스 할머니의 현실이, 혹은 칠십의 나이에 일본군 위안부였다는 사실을 증언한 김학순이나 밀양 송전탑 투쟁의 최전선에 서는 여든 일곱 김말해의 노년이 침묵하는 노년여성들의 삶과 같을 수는 없다. 이 같은 복수의 노년여성들의 실존을 상기하면서 본고는 노년의 여성들을 재현하는 여성서사에 주목했다. 남성중심적인 문학의 주변부에서 거대/주류 서사가 누락하거나 은폐한 여성/타자들의 삶을 미시적으로 천착한/하고자한 것이 여성문학이라면, 노년여성의 억압, 침묵, 분투를 가시화한 여성서사를 통해 가부장적 자본주의 체제를 이반하는 노년여성의 재현 가능성을 탐사해 보는 일은 유의미할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노년여성들의 삶을 기록/재현한 서사물의 계보들, 특히 청년의 시대였던 근대의 여성문학 속에서 여성노인들이 재현되는 양상에 주목하였다 전통적인 가부장제와 대결하면서. 새로운 집의 발명을 열망했던 근대 청년여자들의 서사는 근대가 배제하거나 누락한 노년여성의 삶을 가시화하는 한편, 전근대 가부장들이 상상한 ‘헌신적인 어머니’와 근대 청년들이 매도한 ‘혐오스러운 노파’와는 변별되는 이질적인 어머니/할머니들을 조형했다. 그러나 이 차별화된 재현에도 불구하고, 문학을 통한 근대적 가치의 전파가 신여성 작가들의 욕망이자 사명인 이상 노년여성들의 삶을 부조한 경우는 드물었으며, 더구나 어머니/할머니라는 젠더 역할을 국한되지 않는 개별적 욕구를 지닌 인간으로서 노년여성의 삶을 천착한 경우는 거의 부재했다. 그렇다면 근대의 황혼이 도래하고 전지구적 노후의 시간을 살고 있는 지금 이곳의 여성작가들은 다시 노년과 젠더의 문제를 어떻게 사유하고 있을까. 이 글은 근대 청년여자의 서사에 이어 신경숙, 김숨, 권여선 등 87년 이후 집의 혁명을 추동하고 자본주의 가부장제의전복을 열망했던 이른바386세대 계보의 여성작가들의 소설 속에서 노년여성의 삶이 재현되는 양상을 살폈다. 그들이 다시 쓰는 늙은 여자들의 이야기 속에서 가부장제가 발명한 숭고한 어머니/할머니는 더 이상 매끄럽게 관철되지 않는다. 어머니/할머니가 아닌 단지 ‘이모’로 늙어가는 「이모」 (권여선)의 ‘윤경호’는 물론이고, 어머니/할머니라는 젠더호명에 복종하며 살아왔던 『엄마를 부탁해』 (신경숙)의 ‘박소녀『’나 여인들과 진화하는 적들』 (김숨)의 ‘정순자’ 역시 더 이상 “길들여진 좌절의 협조자”로 남지 않는다. 실종을 빌어 가부장의 집으로부터 탈주하고(박소녀), 자기를 멸함으로써 모성으로부터 해방되고자 하며(정순자), 가족/세상과 절연하고 고유한 ‘나’로 말년을 살아가는(윤경호) 그들은 세상과 화해하기보다 불화하며 가부장제가 가공한 사랑과 행복의 집에 은폐되었던 폭력과 슬픔을 적발하는 불길하고 불온한 모성/여성이 된다. 집/친밀성의 오랜 수호자였던 이들 늙어가는 여자들을 통해서 아이러니하게도 친밀성의 판타지는 내파되는 것이다. This paper aimed to reperuse the elderly life from gender perspective,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violent mechanism of modern humanism that defined youth as the human standard and inhumanely ousted the elderly in the same way as barbarians, madmen and women. The experience of the elderly life varies among different genders, ethnicities and social classes. For this reason, studies on the elderly life that overlook such differences are partial and abstract. This is the very reason why the elderly life must be interpreted from gender perspective. Lives of elderly women who lived or are living in patriarchal capitalism cannot be identical to lives of elderly men. The reality of an elderly middle class woman cannot be the same as the reality faced by a poor elderly prostitute. Recalling the existence of such diverse lives of elderly women, this paper focused on the female narratives reproducing elderly women. If women’s literature attempted to inquire microscopic lives of women or the others either omitted or concealed by the major or mainstream narratives in the peripherals of the male-centered literary world, it would be a meaningful effort to explore the reproducibility of elderly women deserting from the patriarchal capitalism through the female narratives that visualize the oppression, silence and struggle of elderly women. As a part of such effort, the author of this study examined the genealogy of narrative works that recorded or reproduced lives of elderly women, especially the ways in which elderly women were reproduced in modern women’s literature from the era of youth. Narratives of young modern women who longed for new finding of home and confronted the traditional patriarchy visualized lives of elderly women either excluded or omitted by the modern world, while on the other hand shaping new mothers and grandmothers who are differentiated from ‘devoted mothers’ imagined by the pre-modern patriarchs and ‘hateful old women’ denounced by modern youths. Despite such differentiated reproduction, it was rare to find works that depicted lives of elderly women because the desire and mission of modern female authors were to spread modern values through literature. Furthermore, there was almost complete absence of works that viewed lives of elderly women as human beings with their own needs instead of constraining them to the gender role of a mother or grandmother. As the entire world is welcoming the dusk of the modern era with global aging, how are female authors of the contemporary world dealing with the elderly and gender issues? This paper examined the ways in which lives of elderly women were reproduced in novels written by female authors of the so-called 386 generation who drove household revolution and wished for overturn of the patriarchal capitalism since 1987, such as Kyung-sook Shin, Soom Kim and Yeo-sun Kwon. In the midst of their stories about old women, the noble mothers and grandmothers invented by patriarchy are no longer found to be a matter of course. ‘Gyeong-ho Yoon’ in “Aunt” (Yeo-sun Kwon) simply grows old as an aunt instead of a mother or grandmother. ‘So-nyeo Park’ in “Please Look After Mon” (Kyung-sook Shin) yields to the gender-bound nicknames like mother and grandmother. ‘Soon-ja Jeong’ in “Women and Their Evolving Enemies” (Soom Kim) no longer remains to be a tamed helper of frustration. She runs away from patriarchal home as if she has gone missing (So-nyeo Park), she tries to be freed from maternity by destroying her existence (Soon-ja Jeong) and she lives an independent elderly life isolated from her family and the world (Gyeong-ho Yoon). These figures become unfortunate and rebellious mothers or women who confront the world instead of reconciling with it, revealing the violence and sorrow concealed underneath fake love and happiness created by patriarchy. The fantasy of intimacy is ironically imploded by these aging women, who have long been the guardians of their home and intimacy.

      • KCI등재후보

        디아스포라 여성 서사와 세계/ 보편의 ‘다른’ 가능성

        김경연(Kim, Kyung-Yeon)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코기토 Vol.- No.74

        이 글은 겹겹이 삭제된 존재들인 디아스포라 여성들에 주목하고 이들의 시선으로 세계를 보며 이들의 위치에서 발화되는 서사를 통해 성적, 민족적, 인종적, 계급적 강자의 의지가 관철된 세계를 배제된 자들의 개입으로 다시 구축할 수 있는 탈식민적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 글에서 의미하는 디아스포라 여성 서사란 작가의 정체성이나 소재의 동일성이 아니라 이산 여성들의 편력을 추적하며 그들의 열망과 저항을 읽어내는 공감의 공동성에 지지되는 서사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디아스포라 여성 서사는 이산 여성들을 단지 희생자로 연민하고 그들의 수난을 기록하는 서사가 아니라, 근대체제의 야만을 증언하는 서사이며 세계의 변혁을 독자와 공모하려는 서사이다. 이러한 디아스포라 여성 서사의 정치성을 ‘번역’의 문제와 연결하여 논의하였다. 주지하다시피 번역은 텍스트를 한 언어에서 다른 언어로 전이시키는 중립적이고 기술적인 활동에 국한되지 않으며, 민족/ 국가, 인종, 성별 등의 경계를 넘어 이질적인 문화들이 접촉, 교류하고 통약불가능한 문화들이 서로 쟁투하고 협상하는 문화번역의 의미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 글은 근대체제의 전 지구화로 촉발된 여성의 이주사를 환기하면서 디아스포라 여성 서발턴을 (신)식민주의 체제를 균열할 수 있는 전복적인 문화번역자로, 이들의 경험을 무대화한 서사를 탈식민적 번역 실천의 서사로 읽어 낼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This paper tries to explore a post-colonial prospect that can be re-structured as intervened with those excluded from the world consisted of by the will of the sexual, national, ethnic and class dominant, paying attention to diasporic women crossed out layer upon layer and, in their perspective, re-projecting upon the world as a narrative uttered from them. It also ventures into the question that there can be a universality not of euro-centric world literature, but of the beyond. In this paper, thus, diasporic female-narrative, in a sense, is considered problems of “translation”. As is generally known, translation is not defined to an neutral, technical activity, but a concept embracing a cultural translation in which different cultures are communicated and incommensurable ones mutually are struggled and negotiated. While stirring up the immigrant history of women brought up by the globalizaiton of modernity, this paper examine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regarding a diasporic subaltern woman as a subversive, cultural translator who can rupture the colonial / post-colonial system, and of reading a staging narrative of their experiences as one of the practice of post-colonial transl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근대 여성 잡지와 여성 독자의 형성

        김경연(Kim, Kyung-Yeon) 한국문학회 2010 韓國文學論叢 Vol.54 No.-

        이 논문의 목적은 잡지 『신여성』을 중심으로 근대적 여성 독자가 형성되는 과정 및 그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다. 기왕의 여성 독자 연구는 대부분 문학의 범주 안에서 이루어졌으며, 당대 여성들의 독서 경향을 읽어내는 자료로 여성 잡지를 단편적으로 활용해 왔다. 때문에 여성 매체가 근대 여성 독자의 형성과 독서 취향의 구성에 어떻게 관여하는 지 는 크게 주목하지 않았다. 그러나 신문․잡지와 같은 미디어가 조선의 근대화를 추동한 실천 기관이자 근대문학의 형성과 제도화를 견인한 장임을 감안할 때, 여성 매체를 ‘통한’ 여성 독자의 창출과 독서 취향의 형성을 추적하는 작업은 유의미하다고 판단된다. 주지하다시피 여성 잡지는 근대적 여성 주체, 이른바 신여성이라는 표상을 발명하고, 학교와 더불어 여성에게 새로운 성역할을 훈육한 장이었다. 따라서 여성의 독서를 둘러싼 여성 잡지의 담론 배치 및 매체가 창 안한 여성 독자의 정체를 파악하는 일은 비단 독자의 문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성 매체가 여성들에게 할당한 교양과 매체가 기획한 여성 주체의 본질을 규명하는 작업과 연결된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신여성』을 중심 텍스트로 근대 여성 잡지가 여성의 독서를 계몽하고 지도하는 방식, 특정한 방향으로 취향을 조율하는 과정을 주로 담론 적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본고는 먼저 여성들이 읽어야 할 ‘필독서’와 배제해야 할 ‘금기서’를 분류하는 잡지의 언설에 주목했으며, 이 과정에서 특히 연애소설을 ‘여성 금기독물’로 지정하는 한편 ‘여성적인 읽을거리’로 성별화하고, 교육정도와 무관하게 여성 독자들 대부분을 연애소설을 읽는 저급한 대중독자로 분류하는 상황에 착목했다. 이러한 성별 정치는 잡지가 여성 독자들의 읽을거리를 결정하는 데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말하자면 여성들이 문학을 포함한 고급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독자가 되기에 미흡하다는 매체의 판단이 본격적인 문학에 접근하고자 하는 여성 독자들의 욕망을 유예시킨 대신, 대중적인 ‘여성용 독물’을 구성ㆍ배치한 것이다. 이는 여성 잡지 속에 실제 수록된 읽을거리의 양식과 내용을 구체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분명히 밝혀질 것이라 생각되는데, 본 논문은 이를 위한 사전 작업으로 먼저 여성용 읽을거리를 결정하고 배치하는 담론의 추이를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nsidering the course that the modern media for women enlightened the reading of women and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that women mass media restricted the women's desire for modern literature. The text for this study is the 『New Woman』(신여성). The 『New Woman』 published on the colonial era of Korea. This magazine instructed positively the reading and writing of women. But The 『New Woman』was negative on the women's wants that women would like to become a modern literature writer. In modern times the literature rose the value in Korea. The modern korean elites considered a literature as the revolution changing the feudalistic korean society and highest arts. But the women were hard to connect the modern literature as the revolution and highest arts. In modern era women wanted to read a modern literature and to become a writer. This thesis made a study consistent course and examined the gender of modern literature. I'd like to study about the particular women writing.

      • KCI등재

        한방 닭죽 개발 및 최적 배합비율 확립

        김경연 ( Kyung Yeon Kim ),백무열 ( Moo Yeol Baik ),박천석 ( Cheon Seok Park ),최성원 ( Sung Won Choi ),김창남 ( Chang Nam Kim ),김병용 ( Byung Yong Kim ) 한국식품영양학회 2013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6 No.1

        죽의 기능성 향상을 위하여 2:1:1:1의 배합으로 혼합한 한약재료(가시오가피, 숙지황, 산약, 백복령)와 닭가슴살 등의 재료를 사용해 한방 영양죽을 제조하였다. 한방 닭죽의 DPPH radical 소거능, SOD 유사활성, 맛의 선호도, cost는 수학적인 canonical model과 trace plot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SOD 유사활성 이외에는 각 성분들이 독립적으로 작용하여 상호작용이 없는 선형 모델을 보여주었다. DPPH radical 소거능, SOD 유사활성, 맛의 선호도를 최대로, cost를 최소로 목적 범위를 설정하고, 각각의 canonical 계수를 이용하여 수적 최적화를 통하여 최적 배합비를 구한 결과, 한약 혼합물 101g, 닭가슴살 38.66g, 찹쌀 비율 41.34g의 최적 배합비를 구하였으며, 이 배합비에 따른 맛의 선호도는 6.39, DPPH radical 소거능은 17.25㎎VCE/ℓ, SOD 유사활성은 2.25%, cost는 1,382.39 won으로 나타났으며, 여러 결과들 사이에 최적화된 한 값에 수렴하는 desirability는 0.714로 나타났다. 이는 한약혼합물이 많을수록 기능성 면에서는 높게 나타나지만 맛의 선호도면에서는 낮게 나타냈고, 닭가슴살의 경우에도 그 함량이 많을수록 맛의 선호도는 올라갔지만 그에 반해 cost가 높게 올라간 것을 반영한 결과로 사료된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porridge with medicinal herbs and chicken breast meat and to find out the optimum mixing ratio. Several herb extracts such as Acanthopanacis senticosus, Rehmannia glutinosa, Disocorea japonica, and Poria cocos Wolf were used in the ratio of 2, 1, 1, and 1, respectively. The optimum processing condition for herbal chicken porridge was determined by a design expert program. Seventeen experimental points were selected, and herb extracts (82∼101g), chicken breast meat (30∼50g), and glutinous rice (40∼60g) were chosen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measured responses were preference of taste, DPPH radical scavenging, SOD-like activity, and cost. The optimum formulation of herbal chicken porridge using the numerical analysis was set at herbal extracts (101g), chicken breast meat (38.66g), and glutinous rice (41.34g) with a 0.714 desirability value.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preference of taste and the cost showed a linear model, whereas SOD-like activity showed a quadratic model indicating a higher interaction among the mixture. As a result of proximate composition of optimized herbal chicken porridge, the contents of moisture, carbohydrate, crude protein, crude lipid, and ash contents were 76.4, 9.0, 1.4, 0.5, and 1.6%, the calories of the porridge was 46.1kcal/100g.

      • KCI등재

        경계에서 이야기하기 : 탈북여성의 자기서사와 ‘다른’ 고백의 정치

        김경연(Kim, Kyung-yeon),황국명(Hwang, Guk-myung)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2 코기토 Vol.- No.97

        이 글은 북한을 이탈해 중국에서 남한으로 이동한 여성의 자기서사를 통해 탈북여성의 증언과 자기재현 행위로서의 ‘이야기하기’가 발동하는 정치의 의미를 탐문하고자 했다. 1990년대 이후 탈냉전이라는 세계체제의 변화 속에서 남한으로 이동한 북한 주민들은 ‘탈북자, 탈북이주민, 새터민, 북한이탈주민’ 등으로 명명되며, 민족과 이방인, 시민과 난민, 냉전과 탈냉전이 이접된 불편한 타자로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탈북이주민의 주류가 여성들이다. ‘탈북의 여성화’는 1990년대 이후 식량난의 위기에 봉착한 북한의 사회주의 경제체제가 와해되면서 남성을 대신해 생계부양자로 나선 여성들이 생존의 회로를 따라 초국적 이동을 감행한 결과이다. 1990년대 이후 인권 담론에 지지된 한국 문학과 문화 속에서 이들 탈북민 혹은 탈북이주민 여성들은 공포를 유발하는 적대적/이념적 타자로 표상되기보다 동정과 연민을 호소하는 수동적 피해자로 주조되면서 능동적 행위자로서 이들의 역능이나 다양한 주체 위치는 삭제되어 왔다. 이 글은 탈북여성에 대한 이러한 윤리적 재현에 은폐된 위계를 성찰하면서 탈북여성이 재현의 주체로 자신을 재정위하는 자기서사에 주목했다. 수기는 탈북민들의 주요한 집필 유형이지만, 대부분 ‘작가’의 지위가 부여되지 않은 이들이 쓰는, 문학의 가장자리에 혹은 위치한 경계적 글쓰기인 이들의 자기서사는 한국문학 혹은 탈북문학 연구에서도 제대로 주목받지 못했다. 이 글에서는 탈북여성의 자기서사가 구성되는 특수한 맥락, 즉 남한에 합당한 국민/시민임을 ‘증명’하라는 요구와 북한의 인민이나 남한의 시민을 초과하는 자기를 ‘발명’하려는 열망이 길항하는 상황을 고구하고자 했다. 아울러 이러한 상황을 성찰하면서 탈북 여성작가인 최진이의 자기서사 『국경을 세 번 건넌 여자』(2005)를 통해 남한의 시민도 북한의 인민도 아닌 ‘난민’ 혹은 ‘경계인/접경인’으로 자기를 발명하고 ‘다른’ 고백의 정치를 발동하는 탈북수기의 가능성을 탐문하였다. This paper tried to inquire about the meaning of politics aroused by storytelling, which is an act of testifying and self-representation by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through the self-narrative of a woman who left North Korea and moved to South Korea. As the world shifted to a post-Cold War system in the 1990s and forth, North Koreans who came to South Korea were named ‘defectors, immigrant defectors, defector residents, and North Korean defector residents.’ They are positioned as uncomfortable others with disjunctive traits of ethnic group and stranger, citizen and refugee, and Cold War and post-Cold War. The mainstream group of such North Korean defector residents is women. ‘Feminiz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occurred when women carried out transnational migration by following the path for survival after becoming breadwinners with the collapse of the patriarchal socialist economy of North Korea amid food shortage after the 1990s. In the Korean literature and culture supported by the human rights discourse since the 1990s, these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or defector residents were depicted as passive victims appealing to sympathy and pity instead of being described as hostile or ideological others who cause fear. Their competence and diverse independent positions as active doers were removed. While examining the concealed hierarchy or ‘symbolic violence of good intention’ in the ethical represen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the self-narrative of a female North Korean defector who redefines herself as the subject of representation. Essays are the primary type of writing used by North Korean defectors, but the self-narrative written by those who did not win the title of ‘author’ failed to raise attention in the study of Korean literature or North Korean defector literature because it was a type of boundary writing positioned on the edge or outer side of literature. This paper investigated the special context formed by the self-narrative of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which involves the contention between the demand to ‘prove’ them as citizens of South Korea and the desire to ‘invent’ their identity beyond the people of North Korea and citizens of South Korea. Moreover, based on the self-narrative by a female North Korean defector named Choi Jin-i titled The Woman Who Crossed the Border Three Times (2005), this paper inquired about the possibility of North Korean defector essays as a means to invent self as a ‘semi-refugee’ or ‘person at the boundary or border,’ neither belonging to the citizens of South Korea nor the people of North Korea, and arousing the politics of ‘different’ conf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