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근대 최초의 여성작가 김명순의 자아 정체성

        김경애 ( Kyung Ai Kim ) 한국사상사학회 2011 韓國思想史學 Vol.0 No.39

        김명순은 "나쁜 피"를 가진 부도덕한 여성, 탕녀, 연애지상주의자로 규정되어 왔다. 그러나 김명순은 강렬한 지적 욕구와 뛰어난 지적 능력을 토대로 열심히 공부하는 여성으로, 공부를 통해 가부장제 사회가 덧씌운 태생적 한계에서 벗어나고자 노력하여 당시 누구도 뛰어넘을 수 없을 만큼의 지적 수준에 도달한다. 김명순은 지적 능력과 수준이 뛰어난 작가로 일본어, 영어, 독일어, 불어 등의 외국어 실력을 쌓았고 이를 바탕으로 당시 세계적인 문학작품을 탐독하여, 이의 영향을 받고, 그리스신화, 서양철학사상과 문학작품을 인용하며 또한 세계문학작품을 번역, 소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김명순은 서양음악에 정통한 피아니스트이다. 김명순은 공부를 열심히 하여 태생적 한계를 극복하여 "정숙한 여성"이 되어 어머니와 다른 삶을 살고 싶다는 욕구와 함께, 일본의 압제에서 벗어나 조선사회가 발전하기 위한 사회적인 역할을 하기를 소망한다. 그러나 평생 오해와 학대, 그리고 따돌림 받아 외롭고 서러워하며 가난에서 헤어나지 못하여 사회적인 역할을 하고자하는 자신의 뜻을 펼쳐볼 기회를 가지지 못하고 좌절한다. 그리고 김명순은 자신의 외모는 아름답고 순수하다고 자부하며 자신의 출신 배경과 지적 수준에 대해서도 자부심으로 넘친다. 그러나 이러한 자부심은 전통여성에게 용납되지 않는 것으로 가부장적 사고를 벗어나지 못한 근대 지식인남성들은 자부심이 넘치는 김명순을 봉건적 신분차별의 윤리와 정절이데올로기를 기반으로 김명순을 신여성 중에 가장 심하게 매도한다. Kim Myung-soon had been branded as immoral woman whore of ``bad blood`` who believed in love for love`s sake. However Kim was a woman of strong intellect who tried to overcome the limitation enforced by the patriarchal society through vigorous academical pursuit. Fluent in Japanese, English, German and French, Kim was familiar with literature of the world and Greek myths and Western philosophy influenced her work. Kim translated western literature into Korean to introduce to Korean society, and she was also known as a pianist well-versed in western music. Kim had hoped that by achieving high level of intellect she could live a life of ``virtuous lady`` unlike her mother, while aspiring to play a role in Chosun society towards its independence from Japanese colonial oppression. However Kim led a lonely and outcast life of misunderstanding, abuse and poverty without a chance to serve the society. Kim``s pride in her beauty, background and intellect was not acceptable to patriarchal modern intelligent men who retained traditional idea of woman`s role, and Kim was condemned most severely among modern women of the day based on feudal hierarchy and chastity ideology.

      • KCI등재

        성폭력 피해자/생존자로서의 근대 최고 여성작가 김명순

        김경애 ( Kim Kyung-ai ) 한국여성사학회 2011 여성과 역사 Vol.- No.14

        근대최초의 여성작가 김명순은 탕녀의 대표적인 표상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김명순은 데이트강간과 조선지식인남성들과 언론이 가한 2차 성폭력의 피해자이다. 성폭력의 피해자가 오히려 비난받은 가부장적 사회문화 속에서 김명순은 어머니가 기생 출신의 소실이었다는 사실이 덧붙여져 성적으로 문란한 여성으로 비난의 대상이 되었다. 성폭력 피해자 김명순은 일반적인 피해자들과 마찬가지로 고통을 겪었다. 우울증과 히스테리, 자살시도,남성과의 성관계와 결혼기피, 성폭력자들에 대한 분노와 증오로 복수를 꿈꾸었다. 또한, 자신의 고통을 통해 여성이 남성으로부터 억압을 비판하고 해방을 꿈꾸지만 홀로 이를 성취할 수 없음에 좌절하였다. 그러나 김명순은 홀로 처절한 노력과 종교의 힘으로 성폭력자들을 용서하였고 생존자로 거듭났다. 그러나 김동인이 김명순을 모델로 했다는 「김연실전」을 연재하기 시작하자 조선사회에서 사라졌는데, 그 이후의 김명순의 삶은 앞으로 연구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Kim Myoung Soon, one of earliest Korean modern women writers has been known as a symbol of femme fatal. However, Kim was a victim of `date rape` and secondary sexual violence imposed by male intellectuals and media of Chosun. Under patriarchal socio-cultural background where victims of sexual violences are blamed, the fact that Kim`s mother was an ex-gisaeng concubine was added to brand Kim as sexually promiscuous. Like any victim of violence, Kim suffered from aftereffect-depression, hysteria, series of suicidal attempts, fear of sexual relationship with men and marriage, and rage and hatred against the attackers. Kim criticized the oppression women suffer from men and dream of women`s liberation, only to be disheartened by awareness that she alone cannot achieve the goal. However, through wretched effort and the power of religious(catholic) prayers, she forgave the attackers and was reborn as a survivor. When Kim Dong-in started to publish a novel `a story of Kim YeonSil` in serials, which allegedly was taken from the life of Kim Myoung Soon, she disappeared from Chosun society. The remaining life story of Kim is to be researched.

      • KCI등재후보

        작가 김명순의 삶과 기독교 신앙

        김경애 ( Kim Kyung-ai ) 한국여성사학회 2012 여성과 역사 Vol.- No.17

        이 논문은 조선 기독교 유입의 관문이었던 평양에서 부호인 아버지와 기생출신의 첩인 어머니 사이에서 서녀로 태어나 데이트 강간을 당한 여성작가 김명순의 삶과 기독교 신앙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이다. 김명순은 학교와 교회를 통해 기독교 신앙을 가지게 되었는데, 근대 기독교가 첩과 기생을 죄악시하여 서녀인 김명순에게 존재론적 고뇌를 가져다주었으며 어머니를 경원시하게 만든다. 일본 유학시절 이응준으로 부터 데이트 강간을 당한 아픔을 기독교에 의지하여 치유하고자 하였으나 근대 기독교는 순결한 여성을 찬양하여 “순결치 못한 처녀”가 된 김명순은 기독교 선교학교와 교회 신도로부터 배척당하게 된다. 그리하여 마침내 신앙을 버림으로써 근대 가부장적인 기독교윤리가 단죄한 어머니를 다시 불러내고 그리움을 드러낸다. 그러나 김명순은 세 번째 유학 후 일본에서 조선으로 돌아올 즈음 다시 천주교 신앙을 회복하고 자신을 경원시하고 검열하였던 교인과 근대 지식인 남성들을 용서하며 성폭력의 피해자에서 생존자로서 거듭난다. 또한 어머니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고 스스로 양자를 기르며 모성성을 실현하고자 한다. 김명순은 마지막까지 기독교와의 인연을 이어갔으나 일본의 한 정신병원에서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결국 기독교 신앙은 김명순을 구원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근대 보수적인 기독교는 작가 김명순을 비윤리적 존재로 규정하여 김명순에게 덫을 씌워 삶을 옥죄기도 하고, 괴롭고 외롭고 가난한 삶에 의지처가 되기도 한다. 작가 김명순에게 근대 기독교는 고통과 위안을 함께 안겨다주었다. This study researches on the life of Korea`s first modern woman writer Kim Myoung-soon and her Christian faith. Kim was born as a daughter of a concubine between wealthy father and former-gisaeng mother in Pyeong-Yang, where Christianity entered Chosun, and became a victim of date rape that led to rebuffed marriage. Kim gained christian faith from school and church, and the teachings of modern christianity which considered concubine and gisaeng a sin made Kim suffer in ontological agony and shun her mother. Kim tried to rely on her faith in order to overcome the scars of date rape from Lee Eung-Jun during her studies in Japan, however with modern christianity praising women`s virginity, Kim was considered to have lost her `purity` and thus excluded from Christian school and church members. At last by giving up faith, Kim regains her mother whom Christian ethics punished and longs for her. Kim gains Catholic faith after she returns from her third stay in Japan and forgives church members and modern elite men, turning from a victim of sexual violence to a survivor. Moreover the understanding of her mother was deepened that led to adoption of a child and realization of her own motherhood. Kim continued her ties with Christianity until the end, though it seems the faith did not save her from dying in a mental hospital in Japan. Modern conservative Christianity branded writer Kim Myoung-soon as unethical being and brought suffering, but Kim also depended on her faith during lonely, difficult and impoverished times. For writer Kim, modern Christianity brought both pain and comfort.

      • KCI등재

        현모양처론에 대한 근대 남성지식인의 비판 담론

        김경애(Kim Kyung-ai)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09 아시아여성연구 Vol.48 No.2

        근대 여성주의 담론을 주도하였던 식민지시대 남성지식인들은, 근대적 개념으로 등장하였으나 가부장제를 전복할 만큼 충분히 근대적이지는 않았던 현모양처론을 옹호함으로써 여성을 새로운 가부장적 영역에 한정지으려 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그러나 민족주의 계열과 사회주의 계열을 막론하고 양주동, 이돈화, 신일용, 백파, 일소 등의 일부 남성지식인들은 현모양처론을 신랄하게 비판하였고, 근대 학교 교육이 현모양처주의 교육을 실시하는 것에 대해서도 통렬히 비난하였다. 이들은 여성에게 ‘사람교육’을 하고, 전문지식을 쌓게 하여 사회참여 및 경제적 독립을 이루어야한다고 주장하였다. 특히 사회주의 근대 남성지식인들은 사회주의에 기반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현모양처론을 비판하였고 그 대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이광수, 김기전, 양백화 등은 현모양처론을 사회참여 및 경제적 독립 추구와 배타적으로 선택해야할 역할이라기보다 병행해야할 역할로 간주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남성지식인들이 대안 및 병행하야 할 여성의 역할로 제시한 사회 참여 및 경제적 독립을 여성이 실현하고 나아가 사회개혁에 앞장서기 위해서는 사회 경제적 여건이 필수적이었으나, 당시의 노동시장에서의 여성의 열악한 지위로 인해 그 대안이 현실화되기는 불가능하였다. Male intellectuals who led the discourses on women's issue in the modern era have been criticised by feminist scholars who argue that they regulated women to a new form of traditional patriarchal roles of 'wise-mother and good-wife'. However, several male intellectuals whether socialists or nationalists, including Yang Ju-Dong, Lee Don-Wha, Shin Il-Yong, Baek-Pa, and Il-So expressed progressive opinion on women's issue, severely against the ideology and school education that reinforced the idea. The male intellectuals called for schools to provide women education to establish self-esteem and self identity and to train them to become economically independent professionals in the society. It is also identified that even the male intellectuals, Lee Kwang-Soo, Kim Gi-Jun, and Yang Baek-Wha who have been particularly severely denounced by feminist scholars, had claimed that women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society and make contribution to its development even though they simultaneously argued that women should play roles as 'wise-mother and good-wife' at hom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male intellectuals' arguments on the women's new role in the modern era were various. However, despite the encouragement by several male intellectuals for women taking part in the society and achieving economic independence, the poor condition of the labour market prevented them from pursuing the goals. Women in the era had few alternatives except to take the limited role of 'wise-mother and good-wife' at home.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여성운동에 대한 해외지원 - 1970년대 후반부터 2000년까지를 중심으로

        김경애 ( Kim Kyung-ai ) 한국여성사학회 2013 여성과 역사 Vol.- No.18

        우리나라의 여성운동은 세계여성운동과 함께 호흡하면서 다양한 여성문제를 제기하였고 많은 성과를 이루어 내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여성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기 시작했던 시기에 여성운동에 도움을 준 해외로부터의 지원에 대해 기억하는 것이 일차적인 목표이다. 우리나라 여성단체가 운동을 전개함에 있어 재정적인 뒷받침은 필수 불가결하였으나 국내에서 자체적으로 재정을 조달하기에는 역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부족한 재정을 메꾸어 준 것은 해외여성단체와 재단들이었다. 우리나라 여성운동 중 정치참여 확대, 가정폭력과 성폭력반대 운동에 대해서 미국의 아시아재단 한국지부, 독일의 EZE, 「한스-자이델재단」 한국지부, 「프레드리히 에베르트재단」한국지부, 독일녹색당의 「여성재단」 (「하인리히 벨재단」)이 주요하게 지원하였다. 해외 재단들은 우리나라가 1996년 OECD가입을 계기로 대부분 유예기간을 두고 2000년까지 지원하였다. 이들 재단이 지속적으로 장기간 지원함으로써 여성단체가 운동을 안정적으로 전개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경험을 축적할 수 있었고 신뢰를 획득할 수 있어 운동의 공신력을 높일 수 있었던 것을 높이 평가할 만하다. 우리나라는 OECD DAC 회원국 중에서 수원국에서 공여국이 된 유례없는 경우로 높이 평가받고 있는데, 공여국이 된 지금 수원국 일 때의 경험을 잊지 않고 활용하여 원조의 효과성을 높일 때 수원국에서 공여국으로 전환된 것에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Together with the global movement, women`s movement in Republic of Korea has raised diverse women`s issues and achieved significant improvements.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recognize foreign aid support provided for Korean women`s movement at its early period. Although financial support was inevitably crucial, finding domestic funding had been difficult for women`s groups in Korea at the time. It was foreign women`s groups and foundations who provided financial aid to fill in the gap. Korean branch of Asia Foundation USA, EZE Germany, Korean branches of Hans-Seidel Foundation and Fredrich Evert Foundation, Women`s Foundation of German Green Party (Heinrich Bell Foundation) supported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anti-domestic and sexual violence campaign of Korean women`s movement. As Korea joined OECD in 1996, most foreign foundations maintained their conditional support until 2000. It is noteworthy that with the long-term support from these foundations, women`s groups were able to sustain stable movement, and thus gained experience and credibility of their work. Korea`s unprecedented experience of transforming from an aid recipient country to a donor country within OECD DAC member states will be meaningful when Korea recall its own experience as an aid recipient to increase effectiveness of Korea-donated aid.

      • KCI등재후보

        근대 남성지식인 소춘 김기전의 여성해방론

        김경애 ( Kim Kyung-ai ) 한국여성사학회 2010 여성과 역사 Vol.- No.12

        천도교의 지식인 김기전은 1920/30년대 잡지 『신여성』과 『개벽』, 『별건곤』을 통해 활발하게 발표하였던 여성담론에서 조선여성들이 처한 억압된 현실에 대해 문제 제기하였고, 여성교육 확대와 사회참여, 남녀관계의 재정립과 사회제도의 변혁을 주장하는 여성해방론을 전개하였다. 그는 여성해방운동을 선도적으로 이끌어야 할 주체로 교육받은 신여성을 지목하였으나, 신여성들이 사명을 다하지 않고 개인의 영달과 안일을 추구하는 것에 대해 비판하였다. 김기전이 선구적으로 여성해방론을 주장한데에는 천도교 사상에 내재하고 있는 인간평등사상을 기반으로 여성에 대한 억압된 현실을 간파하였고, 나아가 엥겔스와 베벨의 초기 마르크스여성해방론과 입센 등의 서구의 여성해방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조선여성해방론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그는 조선여성해방을 위한 사회구조적인 변혁의 대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는 못했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김기전은 당시 남성지식인으로서 가장 앞장서서 여성해방론을 전개하였던 선구자였다. Through his writings published in magazines such as New Women 『Gaebeok』 『Byeolgungon』 in 1920`s and 30`s, the Cheondogyo intellect Kim Kijun raised questions on the oppressive situation of women of Chosun arguing for expansion of educ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of women, reestablishment of gender relationship, and social reforms. While Kim claimed that educated `new women` should take the leadership of women`s liberation movement, he also criticised them for pursuing their own comfort and prosperity. His arguments on women`s rights were based on his foresight from the sex equality of Cheondogyo, and his understanding of Western feminism such as the Marxist Feminism of Engels and Bebel and the writings of Ibsen. Though he was not able to introduce specific and concrete alternatives for social reform for women, Kim can be evaluated as the forerunner of feminist thoughts among male intellects of his day.

      • KCI등재
      • KCI등재

        성적 쾌락과 성매매의 경계에 선 ‘꼬레꼬레아’

        김경애(Kim Kyung-Ai) 한국여성연구소 2009 페미니즘 연구 Vol.9 No.2

        우리나라 원양어선 선원들이 남태평양 키리바시에서 처음으로 집단적인 성매매를 하자 키리바시에서는 성매매를 하는 여아동 및 여성들을 우리나라 국호를 원용하여 “꼬레꼬레아”라고 칭하게 되었다. 키리바시에서의 한국 선원들의 성매매가 국제적으로나 국내에서 지탄의 대상이 되고 있으나, 정작 한국 선원들과 키리바시 여아동 및 여성들은 각각 자신들의 성관계는 성매매가 아니라 상호 동의에 의한 성적 쾌락의 추구일 뿐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들의 성관계가 성매매냐 아니면 상호간의 성적 쾌락의 추구냐를 분명히 하는 것은 이들에 대한 대책 수립에 있어서 그 출발점이 된다. 성관계에 따른 물질적 보상의 유무가 성매매이냐 아니냐를 판별하는 가장 기본적인 기준이라고 볼 때, 한국 선원들과 키리바시의 여아동 및 여성들 사이에 다양한 형태의 물질적 보상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이들의 성관계는 분명히 성매매이다. 그리고 이들의 관계가 익명성이 내재된 선원들의 무책임한 성관계임에 비추어 볼 때 성매매임이 또한 분명하다. 또한 이 여성들이 자발적인 선택에 의해 성매매를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경제적 어려움과 가부장적인 사회 문화가 이들을 성매매로 몰아가고 있다. 이들의 성관계는 성매매라는 인식의 공유를 통하여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고 해결에 나서야 할 것이다. In Kiribati, prostitutes have been called as ‘te KoreKorea’ stemming from the national title of Korea since Korean seafarers introduced prostitution to the country. Even though their sexual behaviour has been internationally and domestically criticized, both the seafarers and prostitutes denied sexual trade between them, claiming pursuit of their bilateral sexual pleasures upon agreement. It is needed to identify whether their relationship is prostitution or not. Their sexual relationship was clearly prostitution because of material compensation in various ways, seafarers’ irresponsibility and anonymity, based on the definition of prostitution even though they wanted to be treated as Kiribati wife and girl friend by the seafarers. Moreover, their sexual relationship with the children under the age of 18 can be defined as commercial sexual exploitation of children(CSEC) according to the ECPAT. And the girl and woman were regarded to engage in prostitution by ‘autonomous choice’ for their sexual pleasures. But economic difficulties and patriarchal culture obviously pushed them to sell their bodies to them. With sharing the recognition of the sexual relationship as prostitution, measures must be taken for the issue.

      • KCI등재후보

        나혜석의 여성해방론의 실현과 갈등

        김경애 ( Kim Kyung-ai ) 한국여성사학회 2013 여성과 역사 Vol.- No.19

        근대의 대표적인 신여성 나혜석은 여성도 주체적인 사람이 되어야 하고, 성적 자기 결정권을 가져야한다는 성해방을 주장한다. 또한 가사노동의 분담과 그 가치의 인정을 요구하고, 이혼 시 재산분할을 요구함으로써 뛰어난 통찰력으로 시대를 앞선 논리를 전개한다. 그러나 나혜석은 결혼생활에서 가사노동과 자녀양육에 남편의 참여를 이끌어 내지 못한 가운데, 홀로 책임지며 화가로서의 삶을 병행하면서, 주체적인 사람으로서의 자신을 잃어 가는 것을 두려워하고 갈등한다. 나혜석은 이혼 과정에서 자신이 그토록 신랄하게 비판했던 현모양처임을 주장하고 모성애 때문에 이혼하지 못하겠다고 남편에게 매달린 것은 전통적인 여성과 조금도 다를 바 없는 모습이고, 또한 최린에 대한 정조 유린 고소장에서는 이중적 성윤리를 타파하는 당당한 모습이 아니라 성폭력의 피해자로 자신을 드러내어 자신의 주장과는 괴리를 보여준다. 이혼 후에는 주체적인 사람으로 살아가기 위해 기본이 되는 경제적 독립을 이루어 내지 못하였으며, 또한 스스로 성적으로 억압하면서 독신을 고수하여 자신이 주장한 성해방과는 정반대의 삶을 산다. 이렇듯이 나혜석은 여성해방에 대해 끊임없이 자신의 이론을 개발해내고 현실에서 구현하고자 했으나 성차별적 사회와 자신이 받은 전통 유교윤리의 가르침에서 벗어나지 못하면서 갈등하고 고뇌한다.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New Women of modern Korea, Nah Hae-Suk spoke for sexual liberation that women are independent being with the right of sexual self-determination, Nah also believed that housework should shared and recognized for its worth, and called for progressive view on women`s right to property division when divorce, However, in personal life, Nah could not achieve husband`s participation in housework and child-rearing, and had to live difficult life of both mother and artist in fear of losing oneself, During her divorce, like a traditional woman, she claimed herself to be a good wife and mother who did not wish to get divorce because of her motherhood, Nah also professed to be a victim of sexual violence in her petition on assault on virginity against Choi Lin, rather than emphasizing overthrow of double standard in sexual ethics, After her divorce, she could not live economically independent, one of prerequisite of independence, and led a life unlike her thoughts on sexual liberation oppressing her own sexuality by maintaining celibacy, Thus, Nah Hae-Suk, despite her attempts to develop and implement own advocacy on women`s liberation, was not free from sexually oppressive society and conflicted with her own education of traditional confucius ethics throughout her life tim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