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공여자의 종류에 따른 간이식 후 감염성 합병증의 비교

        기현균,송재훈,오원섭,백경란,이남용,김성주,조재원,이석구,손준성 대한감염학회 2004 Infection and Chemotherapy Vol.36 No.3

        목 적 : 최근 간이식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이에 대한 하나의 대안으로 생체 부분 간이식(LDLT) 시행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뇌사자 사체 전 간이식(OLT)과의 감염 양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6년 5월부터 2003년 8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간이식을 시행 받은 284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188명은 LDLT를, 96명은 OLT를 시행 받았다. 간이식 후 감염증은 총 191명에서 발생하였고(67.0%) OLT 환자군과 LDLT 환자군 사이에 감염증의 발생 빈도와 원인 병원체의 빈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병원체 별로는 Enterococcus 균종(16.2%) S. aureus (15.1%),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i (13.4%)의 순서였다. 감염증의 종류는 복강 내 감염이 총 83례로 가장 많았는데, LDLT에서 OLT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발생하였다(34.0% vs 19.8%, P=0.012). 요로 감염증(11.5% vs 4.3%, P=0.022)과 침습성 아스페르길루스증(7.3% vs 1.6%, P=0.034)은 OLT을 시행한 경우에 많았다. 기타 감염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간이식 환자에서 공여자의 종류에 따른 감염의 발생빈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감염증 중 복강 내 감염은 LDLT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다. 장구균 감염, 특히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이 간이식 후 발생하는 감염증의 중요한 원인 병원체임을 확인하였다. Background: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LDLT) has been performed more frequently to circumvent the shortage of donor organs. However, infectious complications after LDLT compared with orthotopic liver transplantation (OLT) have not been well investigated to date. Methods:We hav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all consecutive cases of liver transplantation, which had been performed at the Samsung Medical Center, Seoul, Korea, from May 1996 to August 2003. Results:Of the 284 patients enrolled, 188 (66.2%) underwent LDLT. Overall incidence of infectious complications after liver transplantation was 67.0% (191/284). Incidence of infections was not different between OLT group (67.7%) and LDLT group (67.0%) (P=0.9). Bacterial infections were the most common infectious complications (146 cases) followed by viral infections (32 cases), fungal infections (26 cases), and tuberculosis (4 cases). Enterococcus spp. (16.2%) were the leading pathogens followed by Staphylococcus aureus (15.1%) and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13.4 %). However, the distribution of etiologic agents was not different between OLT and LDLT group. Intra-abdominal infections (83 cases) were the most common type of infectious complications, which were more frequent in LDLT group (34.0%) than in OLT group (19.8%) (P=0.01). Conclusion:LDLT resulted in intra-abdominal infections more frequently than OLT. Enterococcus spp., especially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are emerging pathogens in patients with liver transplantation.

      • KCI등재후보

        두 개 학교에서 동시에 발생한 SRSV 감염증의 역학적 양상 및 바이러스의 유전적 양상

        기현균,정영화,정재근,서진종,김선희,기혜영,천두성,지영미,하동룡 대한감염학회 2003 감염과 화학요법 Vol.35 No.2

        배경 : SRSV는 바이러스에 의한 설사의 주요 원인병원체이다. 그러나 SRSV가 집단 식중독의 원인 병원체로 발견된 경우는 많지 않으며 특히 일정한 지역사회 내에서의 바이러스의 유전적인 다양성에 대한 연구는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저자 등은 2개 학교에서 같은 시기에 동시에 발생한 SRSV 식중독의 역학적인 양상을 기술하며 식중독에서 나타난 SRSV의 유전학적인 변이를 기술하고자 한다. 방법 : 학교에서의 조사를 위하여 집단 식중독이 발생한 두 학교의 학생을 면접하여 인구학적 자료, 증상여부 및 증상의 종류, 섭취한 음식의 종류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미생물학적 검사를 위하여 4종의 세균과(Shigella spp. Salmonella spp. E. coli O157 : H7) 3종의 바이러스에 대하여 검사를 실시하였다(Norwalk agent, SRSV, adenovirus, and astrovirus). 결과 : 조사결과 두 학교에서의 증상자 수는 193명이었으며(193/2,843. 6.8%) 환자 증상일의 분포곡선은 단일정점을 보이는 양상이었다. 나타난 증상으로는 복통(176/193, 91.2%), 두통(111/193, 57.5%), 구토(102/193, 52.8%), 설사(83/193, 43.0%), 열감(79/193, 40.9%), 오심(73/193, 37.8%), 오한(49/193, 25.4%), 후중기의 순이었다(8/193, 4.1%). 실험실 검사결과 9건의 검체에서 SRSV가 PCR로 확인되었으며 RNA polymerase에 대한 DNA sequencing 결과 두 학교에서 각각 2개의 genogroup (Genogroup Ⅰ, Ⅱ)과 3개의 genotype이 발견되었다. 결론 : 본 연구결과 두 학교에서 동시에 발생한 SRSV에 의한 집단 감염증을 확인하였으며 3개의 다른 genotype을 각각의 학교에서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같은 시기에 집단으로 발생한 SRSV 감염증이라도 서로 다른 유전형이 발견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으며 추후 지역사회 및 국내에서의 SRSV 감염증에서 발견된 유전형과의 차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함을 시사하는데 있다. Background: Small round structured virus (SRSV) is one of the common etiologic agents of viral gastroenteritis in childhood. However, SRSV has not easily been detected in many diarrheal outbreaks. Therefore, we experienced simultaneous outbreak of SRSV enteritis in two elementary schools, therefore, we analyzed the result of the surveillance. Methods: We interviewed the pupil of two schools and questioned their demographic data, presence of gastrointestinal symptoms, contact with symptomatic persons within the last two weeks, and dietary history within the last one week in school. The specimens of the symptomatic pupil were collected for identification of bacteria (Shigella spp, Salmonella spp, E.coli O157:H7) and viruses (Norwalk agent, SRSV, adenovirus, and astrovirus). Results: The number of symptomatic patients was 193 (193/2843, 6.8%) and the distribution of symptom onset was unipolar. Frequent symptoms of the patients were abdominal pain (176/193, 91.2%), headache (111/193, 57.5%), vomiting (102/193, 52.8%), diarrhea (83/ 193, 43.0%), febrile sense (79/193, 40.9%), nausea (73/193, 37.8%), chilling (49/193, 25.4%), and tenesmus (8/193, 4.1%). We identified SRSV in 9 cases by PCR method, and analyzed the RNA polymerase gene by DNA sequencing; 2 genogroup (Genogroup Ⅰ, Ⅱ) and 3 genotype. Conclusion: We confirmed SRSV enteritis with different genotypes in two concurrent outbreaks. DNA sequencing and comparison of genotype among the isolated SRSV in near future are be necessary

      • KCI등재후보

        간이식 후 발생한 림프구 증식성 질환의 임상적 양상

        기현균,손경목,위유미,이지영,문치숙,오원섭,백경란,송재훈,김성주,조재원,이석구,고영혜 대한감염학회 2006 Infection and Chemotherapy Vol.38 No.3

        Background : Post-transplantation lymphoproliferative disorder (PTLD) after liver transplantation is a rare but potentially fatal diseas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prevalence of PTLD after liver transplantation in Korea have not been investigated thoroughly. Materials and Methods :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done for 284 liver transplant recipients at Samsung Medical Center, Seoul,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1996 to 2003. Results : The incidence of PTLD after liver transplantation was 3.9% (11/284). PTLDs were more prevalent in children (9/55, 16.4%) than in adults (2/237, 0.9%; P<0.01). Among the PTLD patients, four cases were male (36.3%) and seven were female (63.7%). Median time from the transplantation to PTLD diagnosis was 9 months. The type of PTLD was as follows : early lesion (6 cases, 54.5%), polymorphic PTLD (3 cases, 27.3%), and B cell lymphoma (2 cases, 18.2%). PTLDs were more prevalent in the patients with cyclosporine use (OR 13.28, 95% CI : 1.29-136.31, P=0.03), acute rejection (OR 5.63, 95% CI : 1.03-30.62, P=0.04), and negative serology for EBV VCA IgG (OR 19.15, 95% CI : 1.99-183.98, P=0.01) by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Three patients (27.3%) died of B cell lymphoma (2 cases) and polymorphic PTLD (1 case). The remaining patients were improved with reduction of immunosuppression and treatment with acyclovir. Conclusion : The incidence of PTLD was high in children. The risk factors of PTLD were negative serology for EBV VCA IgG, history of acute rejection, and cyclosporine use. Considering the poor prognosis of PTLD, effective strategies for prevention and early diagnosis for early treatment should be emphasized. 목 적 : 이식 후 발생하는 림프구 증식질환 (Post- transplantation lymphoproliferative disorder, PTLD)은 환자에게 치명적일 수 있는 합병증이지만 국내에서 간이식 후 PTLD 보고례가 많지 않아 이에 대한 임상적인 양상을 분석하였다.재료 및 방법 : 삼성서울병원 이식외과에서 1996년부터 2003년까지 간이식을 시행받은 총 284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결 과 : 총 284명의 간이식례 중 PTLD가 발생한 경우는 11례로 3.9%의 발생률을 보였다. 성인의 발생률은 0.9%, 소아의 발생률은 16.4%로 소아에서 발생률이 높았다. 남자가 4명, 여자가 7명이었고 이식 후 PTLD 발생까지의 중앙값은 9개월이었다. PTLD의 유형으로는 초기 병변이 6례, polymorphic PTLD가 3례, B cell lymphoma가 2례였으며 B cell lymphoma 환자 2명과 polymorphic PTLD 환자 1명은 사망하였다. PTLD의 발생과 관련된 요인으로는 cyclosporine 사용(OR 13.28, 95% CI : 1.29- 136.31, P=0.03), 급성 거부반응(OR 5.63, 95% CI : 1.03- 30.62, P=0.04), EBV-VCA IgG 음성인 환자(OR 19.15, 95% CI : 1.99-183.98, P=0.01)에서 발생빈도가 높았다.

      • KCI등재후보

        공여자의 종류에 따른 간이식 후 감염성 합병증의 비교 : Comparison between Orthotopic and Living Donor Transplantation

        기현균,손준성,오원섭,백경란,이남용,김성주,조재원,이석구,송재훈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3

        목적 : 최근 간이식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이에 대한 하나의 대안으로 생체 부분 간이식(LDLT) 시행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뇌사자 사체 간이식(OLT)과의 감염 양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6년 5월부터 2003년 8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간이식을 시행 받은 284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188명은 LDLT를, 96명은 OLT를 시행 받았다. 간이식 후 감염증은 총 191명에서 발생하였고(67.0%) OLT 환자군과 LDLT 환자군 사이에 감염증의 발생 빈도와 원인 병원체의 빈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병원체 별로는 Enterococcus 균정(16.2%) S. aureus(15.1%),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i (13.4%)의 순서였다. 감염증의 종류는 복강 내 감염이 총 83례로 가장 많았는데, LDLT에서 OLT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발생하였다(34.0% vs 19.8%, P=0.012). 요로 감염증(11.5% vs 4.3%, P=0.022)과 침습성 아스페르길루스증(7.3% vs 1.6%, P=0.034)은 OLT을 시행한 경우에 많았다. 기타 감염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간이식 환자에서 공여자의 종류에 따른 감염의 발생빈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감염증 중 복강 내 감염은 LDLT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다. 장구균 감염, 특히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이 간이식 후 발생하는 감염증의 중요한 원인 병원체임을 확인하였다. Background :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LDLT) has been performed more frequently to circumvent the shortage of donor organs. However, infectious complications after LDLT compared with orthotopic liver transplantation (OLT) have not been well investigated to date. Methods : We hav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all consecutive cases of liver transplantation, which had been performed at the Samsung Medical Center, Seoul, Korea, from May 1996 to August 2003. Results : Of the 284 patients enrolled, 188 (66.2%) underwent LDLT. Overall incidence of infectious complications after liver transplantation was 67.0% (191/284). Incidence of infections was not different between OLT group (67.7%) and LDLT group (67.0%) (P=0.9). Bacterial infections were the most common infectious complications (146 cases) followed by viral infections (32 cases), fungal infections (26 cases), and tuberculosis (4 cases). Enterococcus spp. (16.2%) were the leading pathogens followed by Staphylococcus aureus (15.1 %) and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13.4%). However, the distribution of etiologic agents was not different between OLT and LDLT group. Intra-abdominal infections (83 cases) were the most common type of infectious complications, which were more frequent in LDLT group (34.0%) than in OLT group (19.8%) (P=O.Ol). Conclusion : LDLT resulted in intra-abdominal infections more frequently than OLT. Enterococcus spp., especially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are emerging pathogens in patients with liver transplanta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Shigella flexneri에 의한 집단발병의 역학적 양상

        기현균,김선희,기혜영,서진종,하동룡,김은선,정재근,김성한,이복권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3

        배경 : 국내에서 Shigella flexneri에 의한 감염으로 인한 집단발병은 2000년도에 국립보건원에 집단발병례가 보고된 이후 보고되지 않았으나 최근 저자 등은 S. flexneri에 의한 대규모 집단발병을 경험하여 역학적인 양상을 기술하였다. 방법 : OO회사의 직원 및 구내식당을 이용한 사람 및 가족들을 대상으로 증상여부 및 2002년 12월 23일 이후 식당이용 여부와 취식음식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검체를 확보하여 미생물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조사대상 총 258명 중 총 110명에서 증상이 발생하였으며 증상발생일의 분포는 단일정점을 보였다. 확진자는 82명으로 이중 81명은 OO의 식당을 이용한 사람이었고 1명은 식당에서 직접 조리과정에 참여한 사람이었다. 식사여부와 증상여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특히 24일의 취식여부의 상대위험도가 가장 높았다(RR=6.46, 3.56≤95% CI≤11.75). 항균제 내성 양상은 ampicillin 내성균주가 82균주(100.0%) ampicillin-sulbactam 내성균주가 55균주(67.1%), amoxicillin-clavulanic acid에 대한 내성균주가 62균주(74.4%),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내성균주가 82균주로 나타났다(98.8%). 분리된 균주간의 연관성을 보기 위하여 실시한 PFGE 결과 본 집단발병에서 확인된 균주는 동일한 양상을 보였으나 비슷한 시기에 분리된 균주와는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결론 : 본 집단발병은 국내에서 발생한 S. flexneri에 의한 집단발병 중 가장 대규모 집단발병이었다. 본 집단발병에서 확인된 균주간의 PFGE양상이 동일하였으나 기존에 국내에서 분리된 균주의 PFGE양상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감안한다면 S. flexneri 및 설사환자에 대한 감시체계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 Most of the shigellosis outbreak in Korea was caused by Shigella sonnei since late 1990's. In contrast, outbreak by Shigella flexneri were rare since late 1990's. Currently. we experienced the shigellosis outbreak by S. flexneri and described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Methods : We recruited employees from company "A" who had a meal at least once at the company's cafeteria from Dec 23th, 2002 to Dec 26th, 2002. We surveyed the symptoms, food items, and history of travel of eligible persons and their family members. For the microbiological examination, we collected specimen from eligible persons and their family. Collected specimens were cultured for bacteriologic agents and viruses. Epidemiological relationship among the isolates were analyzed by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 Results : Among the eligible persons, one hundred ten were symptomatic (110/258, 42,6%). Eighty-two were confirmed bacteriologically. Day of symptom onset showed a unipolar pattern. Diarrhea was the most common symptom among the symptomatic patients (110/110, 100%). The other symptoms included abdominal pain (81.8%), tenesmus (70.0%), headache (63.6%), nausea (61.8%), febrile sense (59.1%), and vomiting (24.5%). Lunch on 24th Dec was the most significant risk factor of the outbreak (RR=6.46, 3.56≤95% Cl≤11.75). All isolates of the outbreak has the same pattern on PFGE analysis and the PFGE pattern was not similar compared with other S. flexneri isolates from Korea. Conclusion : This is the largest and unique outbreak by S.flexneri since 2000 in Korea. The outbreak has the same origin according to the PFGE pattern and epidemic characteristics. Considering rarity of S.flexneri among shigellosis in Korea, surveillance for S.flexneri should be enhanced.

      • SCOPUSKCI등재
      • 한국인에서의 mefloquine(Lariam^�)내약성에 관한 연구

        기현균,김연숙,정숙인,김춘관,김신우,김성민,백경란,송재훈 대한화학요법학회 2000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8 No.3

        목적 : Mefliquine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말라리아의 화학적 예방약이지만 경련, 정신병 증상 등의 심각한 신경학적 부작용을 포함한 여러 가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부작용은 인종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mefloquine에 대한 내약성에 관한 구체적인 자료가 없다. 이에 저자 등은 한국인에서의 mefloquine의 내약성을 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방법 : 1997년 6월부터 1999년 4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여행의학 클리닉에 내원한 총 180명의 열대열 말라리아 위험지역으로 여행하고자 하는 여행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은 여행 1주전부터 귀국 후 4주까지 mefloquine을 주 1회 복용하였다. 이들에게 여행자 수첩을 배부하고 약제 복용 후 발생한 증상을 기록하도록 하였고 동시에 여행자들에 대한 전향적 관찰 및 병록지 검토를 시행하였으며 귀국 후 3개월째 전화조사를 시행하여 mefloquine복용 당시의 부작용과 동반증상 여부에 관하여 평가하였다. 성적 : 총 180명의 여행자가 연구에 포함되었으며 이중 166명에 대하여 평가를 시행하였다(166/180, 92.2%). 연구대상 중 남자가 104명(104/166, 62.7%), 여자가 62명이었고(62/166, 37.3%) 평균연령은 36.4세였다(36.4±15.2). Mefloquine은 평균 6주간 투여하였다. 평가에 포함된 여행자 166명 중 4명에서 부작용이 나타났으며(2.4%) 부작용 발현건수는 6건이었다(3.6%). 나타난 부작용은 현기증이 2건(1.2%), 비정상적인 꿈, 수면장애, 기분저하, 발열이 각각 1건씩 발생하였다. 이중 증상과 약제와의 관련성이 있는 경우는 1명에서만 나타났으며(0.6%) 투약을 중지한 후 증상이 소실되었다. 나머지 3명의 여행자는 모두 mefloquine을 처음 복용할 당시에 일시적인 증상이 있었으나 부작용과의 인과관계는 확실하지 않았고 증상은 곧 소실되었다. 연구대상 환자 중 말라리아가 발병한 증례는 없어 100%의 예방효과를 보였다. 결론 : 총 166명의 연구대상 중에서 mefloquine에 대한 내약성이 불량한 경우는 1예 였으며(0.6%), 심각한 신경학적, 정신과적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인 여행객들의 mefloquine에 대한 내약성이 우수함을 시사한다. Background : Mefloquine is the most commonly used chemoprophylactic agent against malaria. Many kinds of adverse reactions of mefloquine including neuropsychiatric adverse reactions, have been reported. It has been thought that the incidence of mefloquine-related adverse reactions may be different among the races. Since data on Korean people are not available, we investigated the incidence of mefloquine-related adverse reactions in Korean travelers prospectively. Methods : We gave a notebook to each visitor to Travel Medicine Clinic of the Samsung Medical Center, who had a plan to take a trip to the endemic area of malaria by Plasmodium falciparum. The study duration was from June 1997 to April 1999. They took mefloquine weekly from I week before the trip to 4 weeks after the trip. They wrote any adverse reactions on the notebooks by themselves. We surveyed the travelers by clinical observation, reviewing the medical records and telephone interview at 3 months after the trip. Results : One hundred eighty traveler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nd 166 of them were evaluable (166/180. 92.2%). One hundren four travelers were male (104/166, 62.7%). The mean age of travelers were 36.4 years (36.4±15.2 years). The median duration of chemoprophylaxis were 6 weeks. Four of the enrolled travelers had adverse reactions (4/166, 2.4%) and six episodes of adverse reactions were occurred (6/166, 3.6%) : dizziness (2 cases), bizzare dream (1 case), sleep disturbance (1 case), mood change (1 case), and febrile sense (1 case). Only one traveler with persistent dizziness stopped mefloquine, and then dizziness was relieved. The other symptoms were transient, which were relieved despite continuation of mefloquine. No case of malaria was found in this study. Conclusion : Only one episode of adverse reactions was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mefloquine (0.6%). No case of severe neuropsychiatric adverse reactions was observed. This study suggests that mefloquine tolerance in Korean travelers is excell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