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풍수원 본당의 학교 운영 -강원 산간 지역의 근대교육-

        금경숙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2019 교회사학 Vol.0 No.16

        풍수원 본당은 강원도 횡성군에 자리잡고 있으며 1888년에 설립되었다. 강원도에 천주교신자들이 살게 된 것은 1801년의 신유박해와 관련이 있다. 신유박해로 인하여 강원도 여러 지역으로 귀양을 오거나 박해를 피해 깊은 산이 많은 강원도로 들어와 살게 되었다. 풍수원(豐水院)은 최양업 신부의 후손들이 모여살기도 하였다. 초대 주임신부인 르 메르 신부가 10년간 사목하였고, 2대 주임신부인 정규하 신부가 47년간 사목하였다. 정규하 신부는 1896년부터 1943년까지 47년간 풍수원에서 사목활동을 하였으며 그곳에서 선종하였다. 정규하 신부가 사목하던 시기는 한국근대사에서 격변기이다. 이 시기에 우리의 근대교육이 시작되었다. 근대교육은 식민지 지배 하에서 우여곡절을 겪으며 변화하였다. 풍수원 본당에서 운영한 학교도 이러한 소용돌이 속에 있었으나 그 명맥을 60여년간 지켰다. 본고는 풍수원 본당에서 운영한 학교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그러나 자료가 매우 부족하여 같은 강원도 내의 성당인 이천(伊川)에 있던 두 개의 본당 즉 망답(望踏) 본당과 포내(浦內) 본당에서 운영하였던 학교와 관련된 자료를 비교하면서 고찰하였다. 강원도 이천의 망답 본당은 1883년에, 포내 본당은 1896년에 설립되었다. 두 곳에는 선교사 신부들이 부임하여 학교 설립에 적극적이었다. 이 지역의 신자들 역시 학교 설립에 적극적이어서 필요한 자금을 모금하거나 교사를 초빙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또 통감부에서 요구하는 기준에도 부합하려고 노력하였다. 이러한 내용은 그들이 뮈텔 주교에게 보낸 서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두 본당에서 운영한 학교는 〈경향신문〉에도 실렸다. 그러나 식민통치를 받게 되면서 이천지역의 많은 신자들이 간도로 이민(移民)을 가, 인구가 감소하면서 학교 운영에 어려움에 처하게 되었다. 이들 학교는 1920년대에는 폐교된 것으로 확인된다. 정규하 신부가 뮈텔 주교에게 보낸 서한은 약 400통에 이른다. 그 편지들 가운데 학교와 관련된 내용은 2~3편에 불과하다. 그리고 풍수원 본당에서 운영한 학교에 관한 기록은 〈경향신문〉에도 실리지 않았다. 다만 조카인 정원진(루카) 신부가 증언한 바에 의해 학교 이름이 ‘삼위(三爲)학당’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학교에서는 금서(禁書)로 지정된 《월남망국사(越南亡國史)》를 가르쳤다고 한다. 일제의 감시를 받던 상황에서 행해진 것이었기 때문에 결국 발각되어 담당교사는 징역을 살아야 했다. 정규하 신부는 이 사건에 관해 뮈텔 주교에게 보고하였다. 삼위학당은 1931년에 ‘성심(聖心)학원’으로 개칭하여 4년제로 인가받았다. 이후 정규하 신부가 1943년에 은퇴하자 2대 주임신부로 부임한 김학용(시몬) 신부는 해방 이듬해인 1946년에 6년제의 ‘광동(光東)국민학교’로 개칭하여 인가를 받았다. 그러나 1970년대부터 시작된 농촌의 이농(離農) 현상으로 인구가 감소되어 1971년 횡성군의 공립학교로 설립자를 변경하지 않을 수 없었다. 1972년에 설립자 변경 이양식을 거행하였다. ‘광동국민학교’라는 교명을 유지하였으나 공립학교로 운영되었고, 학생수가 계속 감소하여 1982년에는 공립인 유현국민학교의 ‘광동분교’로 격하되었다가 1995년에 끝내 폐교되어 역사 속에 남게 되었다. 풍수원 본당이 재정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도 학교를 운영한 것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성당에서 운영하는 학교를 다니던 신자 자녀들 ... Pungsuwon Catholic Church was built in 1888 at Hoengseong County of Gangwon Province. The reason Catholic believers came to settle down in Gangwon Province has to do with the 1801 persecution Sinyubakhae. Many Catholics were exiled to different parts of the province or sought refuge from the persecution deep in the province’s many mountains. Pungsuwon(水院) is the village where collateral relatives of the Korean Catholic priest Choe Yang-eop(Thomas) chose to live together. The parish’s first priest was Father Louis Le Merre who fulfilled the ministry there for ten years. He was succeeded by Father Jeong Gyu-ha(Augustino) in 1896 who served the parish for forty-seven years until his death in 1943. Father Jeong provided ministry at Pungsuwon during a period of rapid change in modern Korean history. Around the time, modern education began in Korea and experienced change due to complication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Despite having been under the influence of such historical turbulence, the school run by Pungsuwon Catholic Church managed to survive for nearly six decades. This school is the very topic of the study for this paper. However, the insufficient amount of available historical sources has forced the study to broaden its scope of examination and glean hints from sources related to other nearby schools run by Mangdap(望踏) Catholic Church and Ponae(浦內) Catholic Church. Mangdap Catholic Church and Ponae Catholic Church were each established in Icheon(伊川) of Gangwon Province in 1883 and 1896. The missionary priests who came to the two churches actively took part in establishing a school for their respective parishes. The parishioners also eagerly participated by raising funds or recruiting teachers. Both schools made efforts to comply with the Japanese Residency-General of Korea’s education criteria. These details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letters priests sent to Archbishop Gustave Charles Marie Mutel. The schools run by the two churches were even covered in the daily Kyunghyang Shinmun. However, as Korea became a Japanese colony, a majority of the Catholic believers in the Icheon area migrated across the border to Jiandao of China. This resulted in a sharp population decline and drove the two schools’ operation into difficult circumstances until they had to be closed by the 1920s. Father Jeong Gyu-ha sent about four hundred letters to Archbishop Mutel, but only two or three of them include mentions about the schools run by Catholic churches. Moreover, there was no mention of the school run by Pungsuwon Catholic Church in Kyunghyang Shinmun. The school’s original name was “Samwi hakdang”(三爲學堂) according to a testimony by Father Jeong Won-jin(Luke), who happened to be Father Jeong Gyu-ha’s nephew. Samwi hakdang’s curriculum included a banned book titled Wollam mangguksa(越南亡國史 The Fall of Vietnam) under the acquiescence of the school’s principal Father Jeong. This was eventually detected by the Japanese monitoring Korea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teacher who used the banned book in class was sentenced to imprisonment. Father Jeong reported the incident to Archbishop Mutel. In 1931, the name Samwi hakdang was changed to Seongsim hakwon(聖心學院), which obtained permission to offer a four-year course of education. After Father Jeong Gyu-ha retired in 1943, his successor Father Kim Hak�yong(Simon) obtained permission to change the school’s program to a six�year course and its name to Gwangdong(光東) Elementary School in 1946 following Korea’s liberation the previous year. However, the rural exodus in Korea began in the 1970s and the population decrease forced the school to be turned into a public school belonging to the district of Hoengseong County in 1971. A ceremony for the transfer of administrative rights was held in 1972. While the name Gwangdong Elementary School was maintained, the number of students continued to drop until the school was ...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圓覺經』에 설해진 本有圓覺과 漸修證의 체계 : 圭峯宗密의 해석을 중심으로

        金慶淑 보조사상연구원 2012 보조사상 Vol.38 No.-

        일체 중생들이 갖추고 있는 원각성을 성취하기 위해 수행할 것을 설하고 있는 『圓覺經』은 근기별 수증 체계가 가장 잘 설해져 있는 경전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원각경』 연구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生을 바쳐 노력한 규봉종밀의 사상을 중심으로 논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圓覺의 頓信解’와 ‘漸修證의 체계’ 부분으로 나누어서 원각을 증득하는 과정을 논하고 있다. ‘圓覺의 頓信解’에서는 圓覺의 本有함과 無明의 本無함을 논하고, ‘漸修證의 체계’에서는 상·중·하근기의 수증으로 분류하여 논하고 있다. 종밀은 上根機의 수증론을 화엄교학에 의지해서 설하고 있다. 특히 法界觀은 杜順의 『華嚴法界觀門』을 의지해 설하고 있다. 中根機의 수증론에서는 三觀(奢摩他·三摩鉢提·禪那)을 설하고, 또 이 삼관을 홑[單修]으로 닦거나 겹[複修]으로 닦는 25輪을 시설하고 있다. 下根機의 수증론에서는 도량을 꾸미고, 기간을 정하여, 加行하는 관법을 別修三觀·遍修三觀·互修三觀으로 나누어 논하고 있다. 이와 같이 『원각경』은 本有圓覺이며 本無無明임을 단박에 信解하는 頓機의 중생을 위해 설해진 경전이지만 점차로 수행하는 漸機의 중생도 포섭한다고 설하고 있어서 각각의 근기에 알맞은 모든 수행법을 다 설하여 회통시키고 있는 경전임을 논하고 있다. The Yuan-jue-jing (圓覺經, The sūtra of Perfect Enlightenment) explains that all beings have the nature of perfect enlightenment, but the ignorance (Avidyā) appeared suddenly and the illusory mind comes to them. The sūtra teaches all beings to practice for going back to the originally pure state of the perfect enlightenment through removing the illusory mind. This thesis will study the theory of cultivation and realization in the Yuan-jue-jing pivoting on the thought of Master Guifeng Zongmi who had a great interest in the Yuan-jue-jing early and tried so hard to interpret it. The Buddha said various methods of practices and teachings, so the Yuan-jue-jing is one of few sūtras considered to describe minutely the system of cultivation and realization according to the spiritual abilities of high, medium, and low. This thesis will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and treat process how to gain the perfect enlightenment. The first part is the sudden faith and understanding (頓信解) of the perfect enlightenment, so it discusses the original existence (本有) of the perfect enlightenment and the original existence of ignorance. The second part is the gradual cultivation and realization of the perfect enlightenment, then it deals with the theory of cultivation and realization of high, medium, and low capacity. Zongmi teaches the theory of cultivation and realization of the high spiritual ability by the Huayan teaching. He especially explained the insight of Dharma-realm depending on the Hua-yan-fa-jie-guan-men (華嚴法界觀門 Insight of Hua-yan Dharma-realm) written by Master Dushun. Then He accounted for the three kinds of contemplations (三觀-śamatha, samāpatti, dhyāna) and the twenty-five wheels in the medium spiritual ability. Also, in the low spiritual ability, he suggested what to do for the extinction of karmic obstacles such as adorning the practicing site, the repentance in front of the Buddha and so on. Thus, the Dharma is the one flavor, but there is difference between practitioners. Therefore this thesis will analysis that the Yuan-jue-jing proposes the suitable ways of practice for each spiritual abil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