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용가 라반과 독일나치정부의 협력관계 연구 - 1933년부터 1937년까지 독일에서의 활동을 중심으로

        권혜인 무용역사기록학회 2018 무용역사기록학 Vol.48 No.-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Rudolf von Laban and Nazi of German from 1933 to 1937. This study began to answer the question that ‘Did Laban have any relationship with Nazi?’. The result is as follows. Laban joined the Nazi and cooperated, propaganda in 1930 and rewarded with social status, economical support, and got a chance to performance, festivals, lectures organized by Nazi. The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ed to a new 'historical understandings'about Laban's relationship with Nazi and processing of refuge is needed. He joined the Nazi,assisted in their propaganda activities, and received salary from German Empire Culture Center. Also, he remained a propaganda official in late 1937. Second, There was two perspectives about the characteristic of relationship between Laban and Nazi: voluntary and coercive. Laban showed a little ambiguous attitude to Nazi in regards to his arts and propaganda's loyalty. Third, we need various perspectives about the relationships of Laban and Nazi and further study of effect of Laban's art and art activities. 본 연구는 1933년부터 1937년까지 독일에서의 라반과 나치의 협력관계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라반은 ‘1937년 베를린 올림픽 공연을 마지막으로 나치에 협박과 강압을 피해 망명하였다’라는 기록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된 본 연구는 ‘과연 라반이 나치에 협력 하였는가?’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시작되었 다. 이를 위해 당시의 시대적 상황을 고려하여 예술가들의 삶을 살펴보았고 라반과 나치의 협력관계를 ‘1937년 베를린 올림픽의 리허설 공연’, ‘라반의 망명 과정’과 같은 일련의 사건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 다. 기존의 관점과 새로운 관점을 비교연구하며 객관적으로 타당한 근거를 찾고자 하였다. 라반과 나치 의 정치적 협력, 경제적 지원, 사회적 지위의 획득과 같은 사항을 살펴보았고 제한점으로는 라반의 예 술 고유의 영역과 나치와의 관련성은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았다. 연구결과로는 첫째로 1930년대 독일에서 라반은 정치적으로 나치의 선전활동에 참여하였고 둘째로 라반은 나치에 협력하여 사회적으로 지위를 얻고, 경제적으로 지원을 받았으며 국가가 주관하는 공연, 축제, 강연을 이끄는 등의 기회를 제공받았다. 마지막으로 1937년 ‘라반 ‘나치의 탄압’에 의해 망명하였다’ 는 사실은 근거가 부족하며 역사적 관점에서 라반과 나치의 협력관계는 ‘축소 기술’되는 경향이 있다. 연구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라반과 나치의 협력관계와 망명의 과정에 대한 역사적 재인식이 필요하다. 둘째, 라반과 나치의 협력관계의 성격에 대하여 ‘자발적 협조’와 ‘불가피한 이행’이 라는 두 가지 관점을 찾아 볼 수 있다. 셋째, 라반과 나치와의 협력관계를 다각도로 조명하여 그의 예술 활동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무용가 라반의 생애와 삶에 대한 연구를 통해 라반의 사상을 총체적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이다. <

      • KCI등재

        법무부 산하의 특성화 학교인 고봉중‧고등학교에서 음악을 적용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권혜인,이화식 한국음악교육학회 2011 음악교육연구 Vol.40 No.3

        This study’s purpose was to follow "The Study of the Character and Purpose of Art Program for Personality Education in Reformatory School (Lee, Hwasik, 2011)" and to present the curriculum of music for character education in ‘the Gobong Middle‧High School’ which is a subsidiary of the Department of Justice. The curriculum of arts character education is divided four areas; ​​art, music, dance, and drama. Among them, this study focuses on curriculum and teaching of music. This study’s purpose needs to extract the elements of character education and to cultivate these elements. that so music systems divide into experience and representation, understanding area. 이 연구는 ‘소년원학교에서 인성교육을 위한 예술프로그램의 성격과 목표 연구(이화식, 2011)’의 후속 연구로 법무부 산하의 특성화 학교인 고봉중‧고등학교에서 인성교육을 위한 음악과 교육과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인성교육을 위한 예술과 교육과정의 영역을 크게 미술, 음악, 무용, 연극이라는 4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그 중에서도 이번 연구는 ‘음악과’를 중심으로 교육과정과 교수‧학습의 중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성 요소를 추출하고 이러한 요소를 함양할 수 있도록 음악과 내용 체계를 체험, 표현, 이해라는 대영역으로 나누었다. 다시 체험의 하부 영역을 나, 우리, 사회의 범주로 제시하였고, 표현의 하부 영역은 가창, 기악, 창작으로 했으며, 이해의 하부 영역은 음악의 요소와 원리 이해, 음악 문화의 이해, 음악 감상으로 구분하였다.

      • KCI등재후보

        나치의 예술시대, 무용가 라반의 활동에 대한 두 가지 담론

        권혜인 조선대학교 민주평화연구원 2023 민주평화연구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discourse on Rudolf von Laban's (1879-1958) activities under the Ministry of Propaganda in Germany from 1933 to 1937. To this end, 'Movement Chorus', 'The German Dance Festival (1934)' and 'Master workshops (1935)' organized by Laban were examined. The research method is a literature study, and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books, academic journal articles, internet articles, news, magazines, and book reviews. It is comprehensively described by considering the people around Laban, a series of events, and the situation of the time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requires a contextual understanding of Laban's activities in Germany from a value-neutral point of view and studies by placing the two opposing discourses on the same line.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the advocacy/critical views on Laban's activities in Germany are compatible, and in-depth research is needed. Secon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and political situation of Laban at the time and to understand his activities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dance art. Third, it can be said that Laban's activities in Germany from 1933 to 1937 had bo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Laban's reputation in the future. Fourth, Laban and the propaganda department's different views on dance led their relationship to ruin. Finally,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facts that have not yet been actively publicized about Laban's activities, and consider the intrinsic and extrinsic factors regarding the severance of relations between Laban and the Propaganda Department. The next question to think about is the question, ‘Can dance be controlled?’, and follow-up research is needed on this question.

      • KCI등재

        코로나19에 따른 대학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

        권혜인,허가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2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dance courses by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of online dance practical courses at colleges and the experiences of students due to COVID-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provide high-quality lectures to students, and furthermore, to promote the stabilization and activation of non-face-to-face dance education. Methods In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121 college students who took online dance practical course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1 at 5 colleges across the country to explore the average online dance practical courses at domestic colleg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7 closed-type questions in multiple-choice format and 3 open-ended questions in subjective format using the Naver form for a total of 10 questions. Results First, the most preferred platform for learners is ‘real-time class’ through ‘Zoom’. Second, ‘good points of the experience of non-face-to-face dance practice classes are ‘freedom of learning and evaluation’, ‘new learning methods and improved participation’, ‘corona prevention’, and ‘difficult points of non-face-to-face dance practice classes’ ‘Difficulty in learning’, ‘environmental difficulties’, and ‘dissatisfaction with non-face-to-face classes’ are the upper categories. As ‘points to be supplemented in non-face-to-face dance practice classes’, ‘supplementation of class format’, ‘study method complementation of instructors’,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satisfaction with current status’ were found.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real-time class through zoom’ is the most appropriate form and method of ‘non-face-to-face dance practice class’, and the autonomy of the curriculum should be emphasized. In addition, instructors must establish a feedback system and prepare and improve the digital environment for teaching, both in schools, teachers, and learners. It is necessary to have insight into the current situation of college non-face-to-face dance practice classes and the experiences of learne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