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근로가치관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권혜림 한국경찰연구학회 2015 한국경찰연구 Vol.14 No.1

        이 연구에서는 경찰공무원이 그들의 일을 통하여 실현하기를 원하는 가치, 즉 개 인이 중시하는 근로가치관의 특성을 파악하고, 근로가치관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전국의 경찰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할당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총 739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 22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내적 근로가치관은 연령, 계급, 근무부서, 재직기간에 따라 일정한 차이 를 보였고, 외적 근로가치관은 성별, 연령, 계급, 재직기간에 따라 일정한 차이를 보 였다. 특히, 연령이나 성별에 따른 근로가치관 차이는 선행연구와 상반된 결론이 도 출되기도 하였는데, 이는 타 직업군과는 다른 경찰공무원만의 특수성이 반영된 결과 로 보여진다. 또한 내적 근로가치관 중 업무 자부심, 조직 관심, 활동 선호성과 외적 근로가치관 중 수입과 명성, 승진 관심은 조직효과성에 일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경찰공무원들이 외적 근로가치관보다는 내적 근로가치관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더 높으며, 조직효 과성에 미치는 영향력도 내적 근로가치관이 높다는 연구결과는 경찰공무원 개개인의 내적 가치관을 중시하는 인적자원 관리체계가 확립되어야 한다 는 점을 시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ce officer's Value( Intrinsic work value, Extrinsic work valu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Police officers’ perception on the work value has been measured, and then how their perception on the work value affects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has been examined. 1,100 police officers from korea was selected as subjects and 762 police officers among them responded to the survey and used 739 police officers' response in actual analysis. Here, statistical techniques used in data-processing with SPSS for Windows 22.0.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in the Intrinsic work value are highly related to the Age, Rank, Working institution and Years of police career. And in the Extrinsic work value are highly related to the Sex, Age, and Years of police career. The influence of the Intrinsic work value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significant as Pride, Concerns about Organization, and Activity Preference had showed. And The influence of the Extrinsic work value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significant as Economic income/Social Status and Status Upgrade had showed. Intrinsic work value, rather than Extrinsic work value, were more influential to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hich suggested that the police needs to the Human resources management focusing on the Intrinsic work value.

      •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정서적 고갈 수준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권혜림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2 경찰학논총 Vol.7 No.2

        경찰은 정서적인 노동이 요구되는 직업에 해당되며, 경찰업무는 대개 서비스 직 무에 해당하고 특수한 근무여건 및 상황 등에 기인해 높은 정서적 고갈을 경험하 게 되는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관련연구는 미비한 수준이다. 이 연구에서는 경찰공무원들이 어느 정도의 정서적 고갈을 경험하고 있는지 실 증적으로 진단해 보았다. 아울러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직업적 특성에 따라 정서적 고갈의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이유 등을 고 민해 보았다. 또한 경찰공무원의 정서적 고갈이 실제로 직무태도에 어떠한 영향력 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반적인 정서적 고갈의 정도는 평균값보다 조금 낮은 수준이었고, 여자경찰관이 남자경찰관에 비해 높은 정서적 고갈을 경험하고 있었다. 또한 20, 30대 젊은 경찰관이 나이가 많은 40, 50대 경찰관 보다 정서적 고갈을 많이 느끼 고 있었다. 계급별로는 비간부급 경찰관의 정서적 고갈이 간부급 경찰관이 비해 높 았으며, 외근직에 근무하는 경찰관이 내근직에 근무하는 경찰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정서적 고갈을 경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정서적 고갈과 직무 태도와의 관련성에서는 정서적 고갈이 직무만족에 부(-)적 영향을, 이직의사에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찰조직 관리자는 구성원의 업무태도와 감정 변화를 잘 파악하여 정서 적 고갈이 심화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이를 해소시킬 수 있는 격려와 조언 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경찰공무원 감정이 한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조직전 체의 문제라는 의식전환이 필요하며, 체계적인 관리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 다. 아울러 경찰공무원 스스로도 정서적 고갈 등을 극복하기 위한 자신만의 대처 방안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차별경험이 지위비행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권혜림 한국사회안전범죄정보학회 2020 한국범죄정보연구 Vol.6 No.1

        이 연구는 청소년의 스트레스, 차별경험이 지위비행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충청북 도에서 실시한 청소년정책 기본계획 수립 연구의 데이터를 2차 자료로 활용하였다. 먼저 청소년의 지위 비행과 자살생각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는데, 남자가 여자청소년 에 비해 지위비행의 유형 중 음주와 흡연경험이 높게 나타났다. 자살생각은 성별 차이가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지위비행에 비해 자살생각을 해 본 청소년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 청소년의 지위비행과 자살생각에 스트레스와 차별경험이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이항 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한 결과, 청소년의 음주에는 나이차별경험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흡연에는 가정생활 스트레스, 학업성적스트레스, 그리고 가정환경차별경험, 학업차별경험, 성별차별경험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자살생각에는 가정생활스트레스, 교우관계, 나이차별경험과 외모차별경험이 유의미한 관련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비행 감소와 자살 예방을 위한 함의 및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고 있다. This research used the data which was collected for the study of primary planning and establishment of adolescent policies in Chungcheongbuk-do Province, as a secondary data resource. Firstly, it explored the gender differences in status delinquency and suicidal ideation among the adolescents. As for status delinquency, experiences of drinking and smoking were selected in this research. The result showed that male adolescents reported higher level of experience in drinking and smoking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The gender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uicidal ideation, but the adolescents reported the experience of suicidal ideation more frequently than that of status delinquency. Next, a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 stress and the experience of being discriminated influence the status delinquency and suicidal ideation among the adolescents. The result showed that age and experience of being discriminated influenced the act of drinking. In addition, stress from family life and from academic achievement, experiences of being discriminated from family environment, from academic achievement, and from gender showed its influence on the act of smoking, respectively. Also, stress from family life, from peers, from their age, and from their appearan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uicidal ideation. Lastly, it suggested policy implications to reduce juvenile delinquency and to prevent them from suicide as well as the limitation in the research.

      • KCI등재

        공중보건모델을 활용한 아동학대 예방 대책에 관한 연구

        권혜림 한국사회안전범죄정보학회 2021 한국범죄정보연구 Vol.7 No.2

        아동학대 사건통계를 분석한 결과, 주로 가정 내에서 부모에 의해 발생되는 특성상, 알려진 것 보다 많은 학대가 있음이 추측 가능하다. 아동학대 대책으로서 학대부모에 대한 처벌은 아동의 이익을 침해하 거나 재학대를 가져올 우려가 있기에 피해아동에 대한 보호조치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야 할 것이다. 아동학대는 아동이나 부모 개인적 특성이나 부모자녀간 관계적 특성 등으로 단순히 설명되어지는 것이 아니며, 일시적ㆍ단편적인 대안으로 쉽게 해결될 수 있는 문제도 아니다. 따라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을 통해 아동학대가 사회문제이자 심각한 범죄라는 인식 개선부터 학대발생 우려가 높은 가정이 나 대상에 대한 예측과 조기개입을 통한 사전예방, 그리고 발생된 범죄에 대한 처벌과 피해아동 보호를 통한 재발방지 등 총체적인 예방 전략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국내에서 발생하는 아동학대의 실태를 살펴보고, 공중보건모델에 기반을 두고 예방대책을 1차적, 2차적, 3차적으로 구분하여 접근해 보았다. 단계별ㆍ심층적 논의를 시도해봄으로써 사건이 발생 되기 이전의 일상생활부터 우범자나 우범환경에 대한 예측 및 점검, 더 나아가 범죄자에 대한 처벌과 재범예방을 위한 교정적 측면까지 다각적으로 살펴보았다.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ld abuse based on official crime statistics, it is possible to predict that there will be many hidden crimes because child abuse is mainly caused by parents at home. In addition, punishment for parents who commit abuse is likely to cause repeated abuse of their childre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recurrence of abuse only when it is organically combined with protective measures against the victim child, not severe punishment of parents for abuse. Child abuse is not simply explained by person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or parents or relational characteristic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lso, it is not a problem that can be easily solved as a temporary and fragmentary alternative. Therefore, a comprehensive prevention strategy is needed, and first, education for the general public needs to improve the perception that child abuse is a social problem and a serious crime, and second, prediction and early intervention of families or objects that are highly likely to occur. Finally, there are reasonable punishment and treatment for criminals, and prevention of recurrence through practical protection of the victim child. This study analyzed the actual condition of child abuse and approached preventive measures in a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manner based on the public health model. In-depth discussions were attempted step by step. From the daily life before child abuse occurred to the prediction and inspection of the environment of criminals or criminals, and furthermore, the correctional aspects for punishment and prevention of recidivism for criminals were examined in various ways.

      • KCI등재

        기혼 경찰공무원의 직장 -가정 갈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권혜림 한국경찰연구학회 2010 한국경찰연구 Vol.9 No.4

        가정생활 및 개인적 생활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양 영역 사이의 균형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게 되었고, 최근 들어 직장-가정 갈등에 관한 이론적 · 실무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직장과 가정 양 영역에서의 역할양립을 곤란하게 만드는 다양한 상황과 이유에 관심을 가지고, 갈등해결 필요성과 균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 연구는 경찰공무원이 타직종 종사자들에 비해 가정과 직장역할 양립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조직적 · 업무적 특수성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관련연구는 거의 없다는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직장-가정 갈등의 정도와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특히 인구사회학적 · 근무환경적 특성별 직장-가정 갈등의 정도를 파악하고, 직장-가정 갈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직장→가정 갈등은 성별과 연령, 결혼기간 그리고 근무기관과 부서, 근무방식, 계급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가정→직장 갈등은 성별, 연령, 결혼기간, 자녀 수 그리고 계급과 재직기간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직무만족은 결혼기간과 자녀 수, 근무기관과 부서, 근무방식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직장-가정 갈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에서는 직장→가정 갈등(β=-.095, p<.05)과 가정→직장 갈등(β=-.105, p<.01) 모두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장과 가정에서의 역할양립에 어려움을 겪는 경찰공무원일수록 직무만족이 낮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결국 직무만족을 높여 조직성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라도 경찰공무원의 직장-가정 갈등 해결에 조직이 적극적으로 지원, 해결하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 KCI등재

        디지털 환경에서 영유아와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실행과 효과

        권혜림,이완정 한국보육지원학회 2022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8 No.1

        Objective: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which emphasize parents’ direct interaction with young children even when using digital devices. For this purpose, parents’ play beliefs and their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were evaluated by taking a pre-test and post-test.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arents of young children attending child care cent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covariate analysis(ANCOVA) to find out if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test scores after controlling the pre-test as a covariate to minimize possible errors between groups before the experiment. Results: Parent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which emphasized parents’ direct interaction with young children when using digital devices, showed higher increases of play support beliefs and parent-child interaction than the comparative group.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in order to develop digital fluency from early childhood, parents should avoid indiscriminate use of digital devices at home, maintain direct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even when giving them digital devices to play with, and support healthy growth by way of continuing sensitive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 KCI등재후보

        미혼 성인 여성의 심리적 특성이 데이트 폭력 피해에 미치는 영향

        권혜림 한국사회안전범죄정보학회 2021 한국범죄정보연구 Vol.7 No.1

        데이트 폭력은 다른 폭력범죄와 달리 상식수준에서 이해하기 힘든 가해자와 피해자가 존재한다. 명백 한 범죄임에도 사랑을 변명거리로 삼는 치졸한 가해자와 명백한 범죄피해임에도 사랑이라는 틀 안에 스스로를 가두고 눈 감아 버리는 피해자가 존재한다는 점이다. 이 연구는 나날이 심각해져가는 데이트 폭력의 문제점을 진단함에 있어서 피해여성의 불안정한 심리 특성에 주목하였다. 특히, 폭력피해를 경험했음에도 관계를 단절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더 심각한 범죄 피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피해자의 낙관적 편향 또는 이타적 망상을 살펴보았다. 연구에 활용된 자료는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여성대상 폭력에 관한 연구데이터를 2차 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불안정한 성인애착이나 낮은 자아존중감이 데이트 폭력 피해를 높이고, 피해상황에 노출이 된 경우 관계지속을 선택할 것이라는 연구가설은 일부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피해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 및 방지를 위해서는 실제로 겪은 폭력보다는 피해자가 피해사실을 어떻게 인식하느냐가 더 중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데이트 폭력에 대한 피해자의 심리내적 특성과 변화과정에 대한 심층적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Unlike other types of violent crimes, it is hard to understand the offenders of dating violence and their victims with common sense. In other words, the offenders are shameful in terms that they take advantage of their relationship in committing the violence in the name of love, whereas the victims lock themselves up in the violent relationship with denial of their victimization. It is obvious that the act of dating violence itself is a crime, but their victims ignores the act of dating violence with their perspective of love. The study focused on the unstabl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victimized females in diagnosing dating violence, which is getting worse recently. In particular, this study explored the optimistic biases or altruistic delusions of the victims, which makes them not only unable to end their relationship but also exposed to the possibility of further more serious victimization. This study used the data of violence against the women which was collected by the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as a secondary source. Examining the hypothesis, it was partially supported that factors of unable adult attachment and low level of self-esteem increased the victimization of dating violence, and make the victims to remain in their relationship in case of being victimized in dating violence. Thus, it is far more important for victims how they perceive their damage than to what extent they was victimized in order to respond and prevent the dating violence actively. For this reason,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more deepened approach to the intern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victims of dating violence and the process of changes in their mind.

      • KCI등재

        수사경찰의 성범죄에 대한 2차피해 인식요인 탐색

        권혜림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

        Police officers in charge of investigating sexual assault cases are likely to have suspicions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on to find out the truth about the case, which leads to secondary victimization to the victims, and these concerns are often unveiled as social problems. This study suggested the research question that what the causes of secondary victimization derived from the police officers in charge of sexual assault investigation 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restoration of the trust of the police by preventing or minimizing the secondary victimization of sexual assault cases in the investigation process. Amo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police officers, rape myth, tolerance n violence and hostile gender discrimination influenced suspicion and prejudice, and rape myth and hostile gender discrimination affected the lack of sensitivity. Among the workplace-related characteristics, the duration of employment and experience in sexual assault cases affects the lack of sensitivity. In addition to the revision of the law and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of sexual assault, the prejudice against the sexual assault inherent in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the police officers in charge of the sexual assault cases should be improved. 수사경찰관들은 업무 특성상 사건의 진위를 가려내기 위한 과정에서 지나친 의심을 지닐 가능성이 높고, 이는 2차피해로 이어질 우려가 있으며, 실제로 이러한 우려가 종종 사회적 문제로 드러나기도 한다. 이 연구는 ‘성폭력수사를 담당하는 경찰관들이 2차피해를 유발하는 요인은 무엇인가?’라는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탐색된 영향요인들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여 수사과정에서의 성폭력 2차피해를 방지 또는 최소화하여 경찰의 신뢰회복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경찰공무원 개인적 특성 중에서 강간통념, 폭력허용도, 적대적 성차별이 의심과 편견에 영향을 미쳤으며, 민감성부족에는 강간통념과 적대적 성차별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관련 특성 중에서는 재직기간과 성폭력 사건 담당경험이 민감성 부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성폭력사건 수사과정에서 2차피해를 감소ㆍ예방하기 위해서는 성폭력 사건 관련 법 개정과 제도 개선뿐만 아니라 담당 경찰관들의 성인지감수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일반인들의 스토킹 행위 범죄성 인식에 대한 연구

        권혜림 한국사회안전 범죄정보학회 2022 한국범죄정보연구 Vol.8 No.2

        Stalking is a crime that is difficult to clarify with everyday acts such as expression of affection or courtship. 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regulate, research on the public's perception of stalking is important. In a society with attitudes and beliefs that belittle and tolerate stalking behavior, it is difficult for the general public to properly recognize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As a result of examining how much ordinary people perceive stalking-related behavior as a crime, it was found that the negative perception of all stalking behavior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positive perception. However, despite the other party's refusal, the positive perception of contact or gift giving was somewhat high. In particular, compared to other acts, there was a high positive perception in that for love, the courage to continue courting even if rejected was necessary. This means that there is still an attitude in our society to justify stalking behavior through romantic relationships or active courtship.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by gender in all stalking behaviors. It was found that men had lower criminality awareness of behavior than women. This suggests that men tend to regard stalking as a minor event that occurs in someone's courtship process and in close relationships rather than a serious criminal case compared to wome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necessary to prepare policies or education that reflect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the general public at various levels. This effort will eventually contribute to more effective stalking prevention. 스토킹은 애정표현이나 구애 등 일상 행위와 명확한 구분이 쉽지 않은 범죄이므로 이를 효과적으로규제하기 위해서는 사회의 구성원들이 스토킹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연구가 중요할것이다. 스토킹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거나 정상적인 것으로 바라보는 태도와 신념이 존재하는 사회 내에서 구성원들은 스토킹 문제의 심각성을 제대로 인식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연구분석 결과, 먼저 스토킹과 관련된 행위에 대한 동의여부 정도를 분석함으로써 범죄성에 대한일반인들의 인식을 살펴보았는데 모든 스토킹 행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긍정적 인식에 비해 훨씬높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상대방의 거부의사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연락이나 선물공세 등에 인식이나 ,사랑을 쟁취하기 위해서 상대가 거절해도 구애를 계속하는 용기가 필요하다는 부분에서 다른 행위에비해 긍정적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스토킹 행위를 낭만적 관계나 적극적인 구애로 정당화하려는태도가 우리 사회에 여전히 존재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모든 스토킹 행위에 있어서 성별로 유의한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여성에 비해 남성이 행위에대해 긍정적으로 동의함으로써 해당 행위들에 대한 범죄성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성이여성에 비해 스토킹을 심각한 범죄사건이 아닌 누군가의 구애과정에서 그리고 친밀한 관계에서 발생하는 대수롭지 않은 사건으로 여기는 경향이 강함을 시사한다. 결국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일반인들이 지닌 다양한 수준의 인식과 태도를 반영한 정책이나교육마련 등이 마련된다면 더욱 효과적인 스토킹 방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