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현대 크로아티아어의 정체성과 현 상황

        권혁재(Kwon, Hyok-Ja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5 동유럽발칸연구 Vol.15 No.1

        민족갈등으로 인한 구유고연방의 붕괴는 유고슬라비아지역의 정치적, 사회적 변화뿐만 아니라 이지역의 언어상황에도 새로운 변화를 초래했다. 연방의 최대 공용어(common language) 였던‘세르보크로아티아어(srpskohrvatskil serbocroatian) ’의 종말과 함께 개별 공화국들은 자신들의 지역 방언에 기초한 새로운 표준어확립을 위한 ‘인위적인’언어개혁(language planning)을 시작한다. 이들 공화국중 자신들의 오랜 어문전통 포기하고 남슬라브민족의 통일이라는 명분하에 신슈토방언(Neo-Stokavian)을 표준어로 선택한 크로아티아어는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후계언어중 가장 어려운 언어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현 언어상황이 크로아티아에게 있어서는 자신들의 언어사를 바로 세울 수 있는 좋은 기회이기도 하지만 현대크로아티아어와 포기했던 이전의 어문전통의 복원을 통한 세르비아어와의 차별화와 현대크로아티아어의 근본적인 정체성을 찾아야 o}는 과제가 남아있다. 이 연구는 현대 크로아티아어의 표준화와 관련된 논쟁에서 출발하여 현대크로아티아의 발전과정과 현 상황을 정체성 문제와 관련지어 개관적인 입장에서 분석해 보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some of the debate on the developments of croatian standard language and the “new Croatian". In the summer of 1991 the croatian and serbian government officially declared the end of “Serbocroatian" which is the common language of the former Yugoslavia. Although it is true that “Serbocroatian" was threatened form the time of "knjizevni dogovor(literary Agreement, 1850)" never gained a stable single norm, the language nevertheless had attained the status of an important southslavic literary language and was the most important language in the unified Yugoslav state. After the official break up of Serbocroatian linguistic unity, the language policy of two nations, specially croatian language planners, focuses on the extent of their differentiation under the impact of nationalism. The main question posed in this article is: what has really happened in Croatia regarding the language and linguistic circumstance in the last ten years? Obviously, the attitudes of Croatian twards their language have changed in some measure under the influence of language policy. A brief examination of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s of contemporary croatian standard language and of the language policy demonstrates that its theoretical construction is based upon the intrinsic contradiction between the organic and contractual theory of language. Thus, the recent path of the language from ‘Serbocroatian" to ‘new Croatian" is not accompanied by real scholarly and linguistic explanation; its direction is above all determined politically and ideologically.

      • 크로아티아의 성탄절 놀이에 나타난 민간 신앙적 요소 연구

        권혁재(Kwon, Hyok-Jae)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5 동유럽발칸학 Vol.7 No.-

        성탄절 의식이 외적으로 드러내 보이는 양상은 기독교를 종교로 삼고 있는 민족들 사이에서 많은 유사성을 나타내지만, 민간신앙의 흔적이 생활 곳곳에 남아 있는 발칸반도 지역에 속해 있는 민족들 사이에서는 세계의 다른 민족들의 성탄절과는 구분되는 의식의 양상들이 적지 않게 발견된다. 그러한 측면에서 가툴릭을 주된 종교로 삼고 있는 크로아티아 민족 또한 예외가 아니다. 크로아티아 민족이 성탄절을 전후해 벌이고 있는 다양한 민속적 행위들은 외적인 측면에서 파악할 때, 분명 기독교적 특성의 연장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그 하나하나에 내포되어 있는 의미의 상징들은 결코 기독교적인 것으로만 간주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원시종교의 특질 가운데 하나가 종교로써 갖츄{야만 하는 제요소를 제대로 갖추고 있지 옷한 것이라고 한다면, 크로아티아 민족의 성탄절 의식에서 드러나는 민간 신앙적 측면의 제요소들은 보편적인 개념의 원시종교와는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있다고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종교의 발전과정을 설명할 때, 원시종교로부터 민간신앙(무속)의 단계를 거쳐 보면종교로의 발전과정을 제시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크로아티아 지역의 성탄절의식 속에 담겨 있는 여러 가지 다양한 상정의 체계들은 민간신앙과 보편종교의 결합에 의해 만들어진 흑은 민간신앙으로부터 보편종교로 발전해 나가는 과정에서 생긴 과도기적 잉여생산물이라는 점에서 다른 기독교 민족들의 성탄절 의식과는 구분된다. 이 연구에서는 크로아티아 민족의 세시풍속 가운데 당연히 기독교적 성격을 띠고 있을 것이라고 판단되는 성탄절 의식을 중심으로 그것이 지니고 있는 민간 신앙적 의미를 고찰한다. 크로아티아 민족의 성탄절은 기독교축일의 성격과 함께, 농업올 주요한 생업으로 삼고 있는 크로아티아 민족이 다음 해에는 보다 풍요로운 수확을 얻게 되길 바라는 마음을 세세한 의식의 의미와 상정 속에 함께 담고 있는 복합적 성격의 세시풍속이라고 할 수 있다. 더불어 크로아티아의 성탄절 의식에는 인간으로써 가질 수 있는 기본적 심상 또한 발견된다. 종교의 발전과정을 고려해 볼 때,이는 민간신앙으로부터 보편종교로 발전해 나아가는 과정에서 인간이 지니고 있는 기본적 정서가 기독교적 교리와 결합한 결과라고 가정해 볼 수 있다. This paper take a approach on the impact of folk belief on Christmas function in Croatia. The Christmas rites bear a close resemblance in most Christendom By all appearance most parts of Croatia’s Christmas function conform to Roman Catholic. However, some particular events predicate major influence of pagan belief and faith form primitive slavic society. Various cultural taboos also related to Christmas events provide a basis for rites of primitive religions and slavic folk belief. Religion is a particular system of belief in a god or gods and the activities that are connected with this system. Christma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nnual function in christian religion system But, except for church ceremony, obvious different factor from Catholic doctrines are found in Christmas function of Croatia. Clearly, Christmas function of Croatia is out of accordance with catholic formality, but also, it keeps distance with indigenous belief. Development process of religion can be explained that begin from primitive faith and develops by universal religion via folk belief. The significance and symbol that is filled in current Croatia’s Christmas events is a surplus product that occur at process that develop from popular belief by universal religion. The acceptance of Christianity may seem to destroy pagan belief in Croatia, but many of rites of primitive religions and slavic folk belief have survived and been handed down for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their unique form. Current Christmas function of Croatia reveals a mixture of primitive slavic myth and Catholic formality.

      • 세르비아 · 크로아티아어 인터넷 용어 연구

        권혁재(Kwon, Hyok-Jae)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6 동유럽발칸학 Vol.8 No.2

        세르비아와 크로아티아 인터넷 현황이 특수한 정치적, 사회적 배경으로 다른 유럽지역보다 뒤떨어져있지만, 인터넷은 이미 세르비아나 크로아티아에서 매우 중요한 사회구성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인터넷은 하루에도 수십, 수백 개의 새로운 전문용어를 양산해 내고 있다. 컴퓨터나 인터넷 기술이 영어권 국가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전 세계를 하나로 연결하는 인터넷의 특징상 대부분의 인터넷 전문용어는 영어이다. 결국, 인터넷은 국경을 초월한 세계인의 공동 매체이며 정보 창고이지만 영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접근성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인터넷의 보급과 함께 필연적으로 유입되는 많은 영어외래어 전문용어들의 수용 원칙도 영어권이외 언어학자들에게는 고민스러운 문제이다. 세르비아나 크로아티아도 다양한 방식으로 영어외래어 전문용어를 수용하고 있다. 이 연구는 세르비아․크로아티아어 인터넷 전문용어의 특징과 차용, 조어방법을 실제 사용과 비교하여 분석하고 정리해 보았다. 흥미로운 결과는 세르비아나 크로아티아 모두 공식적인 외래어 차용규범과 실제 언어사용이 일치하지 않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언어 혼란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외래어 수용의 원칙과 조어론에 있어 분명 세르비아어와 크로아티아어는 차이점을 가지고 있지만 인터넷 용어 차용과 사용에 있어 두 언어의 차이는 훨씬 적게 나타난다. This article analyse the basic patterns of the computer and internet terminology by which neoligisms hale been made in present-day Serbian and Croatian language. The focus of attention is primarily on the borrowings of english computer and internet terminology. Due to the technical supremacy of the Anglo-American countries, the English language has acquired an unquestionable predominance in the field of terminologies which is sometimes deplored by purist which it is generally welcomed by pragmatist. There can be no doubt that up to now no national language for special purposes has managed to prevent the penetration of English terms. To what extend does the Croatian / Serbian computer and internet terminology, given here by way of example, accept or modify foreign terms, and where does it replace or complement them by autochthonic expressions? which lexico-semantic relations can there be observed with this domain? In this analysis, neologism of internet terminology are categorized and commented upon according to culturally defined basic areas of life and knowledge in technical innovation and technology of the computer and internet.

      • KCI등재

        세르비아어/크로아티어 어순이동 연구

        권혁재(Hyok-Jae Kwon)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00 동유럽발칸연구 Vol.8 No.-

        The aim of this article consists in an analytical description of the principles of that govern the arrangement of sentence constituents. Except in the case of enclitics, the Serbian/Croatian language display lative "free" word order superficially. The complex mechanism determines, however, the order of elements in this language, i. e., there exist various principles(factors) that control the linear order of the sentence constituents. One of these controlling factors is ‘value of the information’ which sentence constituents have. The division of sentence constituents into rheme-theme and the placement of framing sentence constituents before the rheme is taken as the main principle of the functional division (or placement) of a sentence. By the term of rheme we understand the segment which represents the informational nucleus of the sentence. The grammatical principle that governs the distribution of sentence constituents into a rheme and its topical frame can be expressed by means of the following formula: [topic(subject) + rheme(focused sentence constituents)]. There exists, however, another way of ordering the sentence constituents, governed by various pragmatic factors, such as intonation, the emphasis on the verb, sentential stress, etc. These factors are encoded into the word order and regulate the order of the sentence constituents. Within the framework ‘transactional discourse model’, we can show the ordering system of sentence constituents that depend on the speakers's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discourse situation. Taking the advantages of the two models, I propose a formal ordering rule of the sentence onstituents in Serbian/Croation: P0 > CL > V1 > E1 > V2 > E2 > P1 P0, P1 = sentence constituents with pragmatic factors (ex. Topic or Focus) CL = enclitics V1, V2 = predicate complex E1, E2 = sentence constituents without pragmatic factors

      • KCI등재

        20세기 크로아티아 언어 계획의 유형과 쟁점 연구

        권혁재(Hyok Jae Kwon)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7 동유럽발칸연구 Vol.41 No.4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붕괴 이후, 신생 크로아티아 공화국은 연방의 국가 언어였던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한 축을 이루었던 크로아티아어가 세르비아어와는 완전히 별개의 언어임을 선언하며, 언어 문제를 정치화하기 시작한다. 이 연구는 우선, 언어를 정치화하는 실제 정책과 계획인, 언어 정책과 언어 계획의 개념과 유형을 일반적인 논의를 통해 정리하고 실제 이것들이 20세기 크로아티아에서 어떤 방식으로 전개되고,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91년 이후 국가주도로 진행되어온 크로아티아 언어 계획을 ‘지위 계획(status planning)’, ‘자료계획(corpus planning)’, ‘습득 계획(acquisition planning)’으로 분류하여 크로아티아어의 변화 과정, 새로운 크로아티아어 규범화 과정과 쟁점, 현재의 언어상황을 크로아티아 민족 정체성과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크로아티아 언어 계획 연구는 시대적으로 1991년 크로아티아 독립 국가 설립 이후의 기간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그 결과로 나타나는 현재의 언어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포괄적인 발전과정을 포함하여 설명하고자 하였다. ‘민족 = 언어 = 영토 = 국가’를 동일시하는 유고슬라비아 지역의 언어와 민족 정체성에 대한 복잡한 역사와 크로아티아 언어 계획 사례는 언어 정체성, 언어 정책 및 언어 계획 문제 전반에 대한 광범위한 부분에 대한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Following the collapse of Socialist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Croatian administration was declared to be a separate language, distinct from Serbian, and linguistic issues became highly politicized. This study first summarizes the concepts and types of ‘language policy’ and ‘language planning’, which are the actual policies and plans for language politics, and discusses how these develop in the 20th century in Croatia. Then, the Croatian language plan, which has been led by the state since 1991, is divided into ‘status planning’, ‘corpus planning’ and ‘acquisition planning’. According to this classification, the process of change of Croatian, the process of new normatization of Croatian language and issues, and current language situation are analyzed in connection with Croatian ‘national identity’. It focuses on the period following the creation of an independent Croatian state in 1991, but encompasses broader historical developments to provide a context for understanding the contemporary linguistic situation. The complex history of language standardization in the Yugoslav lands and the emphasis on language planning in Croatia make this an especially interesting case study that offers insight into wider debates about linguistic identity, language policy, and language planning issues in general.

      • 크로아티아 전통의상에 나타난 민족적 다양성 연구

        권혁재(Kwon, Hyok-Jae)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3 동유럽발칸학 Vol.5 No.-

        전통 의상은 그 지역의 역사, 지리 및 의식주의 교차를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민속 문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켜주는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한 지역의 전통 의상 속에는 타 지역 혹은 민족과의 문화적 교류의 양상을 찾아볼 수 있는 의미까지 지니고 있다. 왜냐하면 개별 민족의 전통적인 의상 문화는 오랜 기간 동안 각 민족이 처해 있는 자연적인 환경과 사회적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변화되며, 그러한 다양한 주변 요인들에 의한 변화를 통해 민족 생활의 전반적인 사정에 가장 적합한 의상의 형태와 기능이 갖추어지게 마련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통 의상은 단순한 의상의 개념이나 물질의 개념이 아니라, 민족의 고유한 생활 감정이 고스란히 보존되어 있고 그 민족이 영위하는 생활 전반의 요소들과 융합하게 되며 동일한 복식 체계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 간의 유대를 형성하게 하는 영향력을 지니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1991 년 구(헬)유고연방으로부터 독립한 크로아티아 공화국의 의상 문화를 파노니아 (Panonia) 크로아티아인, 디나르(Dinar) 크로아티아인, 아드리아 (Adria) 크로아티아인의 그것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각각의 지역들에서 전통 의상을 짓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들은 해당 지역에서 풍부하게 산출되는 재료들임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민족적 기원과 침략의 역사는 의상문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했다. 파노니아 크로아티아인의 의상 문화는 인접하고 있는 헝가리, 세르비아의 의상 문화와의 복합적인 성격을 드러내고 있으며, 디나르 크로아티아인의 의상 문화는 보스니아-헤르쩨고비나, 몬테네그로의 그것과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아드리아 크로아티아인의 의상 문화는 지중해 문화권에 속하면서 , 기후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Since traditional dress reflects the interchange of history. geography. and life necessities ‘ it offers a window for understanding folk customs of a region Traditional clothing also makes a good vantage point for analyzing one region' s cultural exchanges with other regions or ethnic groups because traditional clothing style of an ethnic group is shaped based on its surrounded natural and social environment. In other words. for a long period of time. each ethnic group makes adjustments to its clothing style so that it develops the most suitable garment design and functions that meet its natural and social needs. Therefore. traditional clothes mean more than just textiles or materials they are made from. They reflects unique lifestyle of an ethnic group. combines all the aspects of its life. and builds bonds among people sharing the same clothing style. This study divides clothing culture of the Republic of Croatia. which seceded from the Yugoslavia Federation in 1991. into that of Panonia Croatians. Dinar Croatians. and Adria Croatians. It was found out that each region uses locally abundant materials to make traditional clothes and ethnic origins and history of invasions significantly affect clothing culture of the three regions. Panonia Croatian clothing style is the fusion of the clothes of Croatian and those of neighboring Hungary and Serbia while Dinar Croatian clothing culture share similarities with that of Bosnia-Herzegovina and Montenegro. Adria Croatian clothing style belongs to the Mediterranean Culture and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region' s climatic conditions.

      • 보스니아어의 정체성 연구

        권혁재(Kwon, Hyok Jae)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5 동유럽발칸학 Vol.7 No.2

        사회주의 유고슬라비아 연방(이하 구유고연방)의 붕괴는 이 지역의 정치적, 사회적 변화뿐만 아니라 언어상황에도 새로운 변화를 초래했다. 구유고연방의 최대 공용어였던 ‘세르보크로아티아어’ 가 사라진 이후 연방의 개별 공화국들은 자신들의 지역 방언에 기초한 새로운 민족어 확립을 위한 언어정책과 언어개혁에 착수한다. 이들이 목표로 하는 것은 언어적 차별화를 통해 각자의 민족적 정체성을 찾고자하는 것이었다. 연방해체이후 보스니아의 무슬림들은 자신들의 언어적 정체성이 곧 민족적 정체성과 동일시되는 정치적 상황이 발생하자 가장 적극적인 민족주의 언어정책을 실시하였고, 현재 18세기 이후 사라졌던 ‘보스니아어’라는 명칭을 다시 부활시키는데 성공하였다. 1995년 데이턴 협정으로 보스니아 무슬림은 국제적으로 하나의 민족으로 인정받게 된다. 그리고 보스니아 무슬림의 민족적 정체성이 국제적으로 인정된다 는 전제하에 ‘보스니아어’는 이들이 사용하는 민족어이며 공용어이다. 그러나 세르비아나 크로아티아어 언어학계는 ‘보스니아어’라는 용어 자체를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보스니아인’이나 ‘보스니아어’에 대한 논쟁은 두 용어에 대한 서로 다른 해석으로부터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런 배경에서 이 연구는 보스니아어의 정체성 문제를 통시적으로는 보스니아어의 역사적 기원으로부터 출발하여 현재의 언어상황까지 분석하고 공시적으로는 현재 보스니아어가 지니고 있는 세르비아어와 크로아티아어와의 차이점을 객관적으로 평가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some of the debate on the Identity of ‘the bosnian language(bosanski jezik)’. The language situation in Bosnia and Herzegovina is more complex than that of the rest of former Serbo-Croation/Croat-Serbian linguistic community. The language in itself is the least cause of such a state. Now the term Bosnian language is officially used, although Serbs and Croats claim that there is no such thing as a ‘Bosnian language’. Confusion comes from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notion ‘Bosnian’ and ‘Bosnian language’. Two basic ambiguities have been present during the discussion. Is ‘Bosnia’ just another name for the linguistic entity which has traditionally been called ‘Serbocroatian’, or is there a difference, in substance, making it a specific standard language? If it is considered a specific standard language, is it the language of the whole population of Bosnia and Herzegovina or just of the Bosniaks(Bosnian Muslims). In the article is treated this question form two aspects: diachrony(lingustic development and literary tradition) and synchrony(today's standard language). In conclusion can be answered positively in the sense that the process of standardization of bosnian language is still going on. Language policy in Bosnia and Herzegovina will depend on political development. If the political division of Bosnia and Herzegonia continues, there will be a linguistic division as well.

      • KCI등재

        보스니아 민족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줄피카르파쉬치(Aldi Zulfikarpa?i?)의 보스니즘(bo?nja?tvo)을 중심으로

        권혁재(Kwon, Hyok Ja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7 동유럽발칸연구 Vol.19 No.1

        현재 ‘무슬림 보스니아인’을 뜻하는 ‘보슈냐쯔(bo?njac)’라는 명칭은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지역에 거주하는 무슬림 슬라브인을 지칭한 다. 오스만 제국의 발칸 지배와 함께 나타나는 bo?njac 라는 명칭은 보 스니아 지역 거주민을 의미하는 ‘지역적 용어 (regional term)’로 사용 되기 시작하였으나 무슬림 민족주의자들은 이 용어를 보스니아 지역에 서 독자적인 개별 민족으로서 보스니아 무슬림을 의미하는 ‘민족적 용 어(ethnic term)’로 발전시키고자 했다. 이후 보스니아 무슬림은 잔인 한 전쟁을 치루고 나서 1995년 데이튼 협정(Dayton agreement)이후 보스니아지역에서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과 함께 독자적인 하나의 ‘민족(nation)’으로 국제적으로 인정받는다. 이런 무슬림 보스니아 민족 주의 배경에는 19세기 합스부르크 제국의 문화정책으로부터 시작되는 보스니즘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종교적인 차이를 넘어 보스니아 무슬림을 하나의 민족으로 인정하는 보스니즘은 합스부르크 제국의 보스니아 통치관이었던 카라이(Bejamin K?llay)에 의해 시작 되었으나 보스니아 무슬림의 주체적 보스니즘은 줄피카르파쉬치(Adil Zulfikarpa?i?)가 완성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정치적으로 줄피카르 파쉬치는 스스로 자신의 이상과 정책을 펼치지는 못 했지만 현재 보스 니아 무슬림의 정치 상황은 줄피카르파쉬치의 보스니즘이 현실화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줄피카르파쉬치의 보스니즘은 보스니아 지역의 모 든 보스니아 거주민을 보스니아인으로 묶는 개방적 보스니즘을 추구하 였지만 보스니아와 보스니아인의 중심개념은 항상 보스니아 무슬림이 었다. 본 연구는 보스니즘의 형성을 서술하고 표면적으로 개방적 보스 니즘을 표방하지만 또 다른 형태의 민족주의 운동이라 평가할 수 있는 줄피카르파쉬치의 보스니즘을 객관적인 입장에서 분석하였다. During the wars in Bosina and Hercegovian, in autum 1993, an extr parliamentary assembly of Bosnian Muslimpoliticians and intellectuals vote for the replacement of the official "national name"Muslinani withBo?njaci. Since 1994Bo?njaci is the constitutional denomination of the Bosnian Muslims. Amazingly, the academic community did not comment on this momentous change very much as yet. After all, for the Bosnian Muslims this event is extremely important. Adil Zufikarpa?i?, one of the most famous figures on the Bosnian Muslim emigration, spent his whole life promoting the Bosniak national name. However, his national programme differs from the present interpretation ofbo?nja?tvo (Bosniakism) in Bosnia. According to Zufikarpa?i?, the Bosniak name is not limited to the Bosnian Muslims, but open to Bosnian Croats and Serbs, too. In this article his influence on the construction of the national identity of the Bosnian Muslims is shown. As well his personal interpretation ofbo?nja?tvo is analyzed.

      • KCI등재

        보스니아 무슬림의 언어적 민족주의와 정체성 연구

        권혁재(Hyok Jae Kwon)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9 동유럽발칸연구 Vol.43 No.2

        1995년 이후 보스니아 무슬림은 보스니아 공화국에 거주하는 남슬라브 민족이고 이들의 언어가 보스니아어이다. 그러나 보스니아 무슬림 민족과 언어와 관련된 정의는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많은 문제이다. ‘민족’을 한마 디로 정의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민족은 주관적 기준과 객관적 기준의 양면에서 정의되는 경우가 많고, 우리말로 ‘민족’은 문맥에 따라 ‘인종 집단(ethnic group)’ 또는 ‘민족(nation)’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인류 역사에서 하나의 민족이 인위적으로 만들어지고, 새롭게 재창조되고, 상황과 조건에 따라 변화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었다. 어떤 관점에서는, 민족은 특정한 시기와 조건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며, 주변 상황의 변화에 따라 언제든지 새롭게 만들어지고 변화될 수 있는 집단이라 설명하기도 한다. 새로운 민족의 탄생 시기에는 해당 구성원들을 하나로 묶고, 이들에게 민족의식을 부여할 수 있는 이념이 필요하게 된다. 이때 언어는 동일 민족 간에는 동질 성을, 타민족에게는 이질성을 명확히 보여줄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고 이로 인해 언어는 쉽게 민족주의와 연계된다. 본 연구는 민족과 민족국 가형성과정에서 언어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어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20세기 발칸지역에서 발생한 보스니아 무슬림의 사례를 통해 분석해 보았다. After the Dayton Peace Accord in 1995, ‘Bošnjaci(Bosniaks: Bosnian Muslims)’ have been as a ‘South Slavic Nation’ living in the Republic of Bosnia & Herzegovina and their language is ‘bosanski jezik(Bosnian Language)’. However, the definitions related to ‘Bošnjaci’ and ‘bosanski jezik’ are still a matter of controversy. It is very difficult to define ‘nation’ in one word. Ethnicity is often defined in terms of both subjective and objective criteria. In Korean, ‘ethnicity’ can be interpreted as ‘ethnic group’ or ‘nation’ depending on the context. In human history, it was natural for a nation to be artificially created, newly re-created, and changed according to circumstances and conditions. From a certain point of view, it is said that a nation exists in a specific time and condition, and is a group that can be newly created and changed at any time according to the changes in surrounding circumstances. At the time of the birth of a new nation, it is necessary to bind the members together and to give them a sense of national consciousness. At this time, language is the most effective means of showing identity among the same people and dissimilarity to other people, which makes language easier to connect with nationalism.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and the function of the language in the formation process of ethnic and nation state through the case of ‘Bošnaci’ in the Balkan region of the 20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