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법률행위로 인한 관습법상 법정지상권 폐지와 법정임대차 도입- 민법 개정안을 중심으로 -

        권영준 한국민사법학회 2014 民事法學 Vol.68 No.-

        The abolition of the customary superficies and the adoption of thestatutory lease– A study on the Draft of the Civil Code Amendment –Kwon, YoungjoonThe Korean Civil Code (hereinafter “KCC”), which was first enactedback in 1960, is a fundamental norm governing legal relationships amongprivate entities. Since the enactment of the KCC, Korean society hasexperienced drastic changes in various aspects. However, the KCC hasnever been comprehensively amended up to now. Against this backdrop,there has been a constant call for the comprehensive amendment of theKCC. In response, the Ministry of Justice has carried out an ambitiouslegal project of amending the KCC since 2009. As of January 2014, thefinal amendment draft is about to be completed. This article aims toaddress major changes envisaged in the draft specifically concerning theabolition of the customary superficies. Customary superficies, according to the legal precedents, endows abuilding owner the right of superficies even without agreement with aland owner or relevant legal provisions creating such superficies undercertain conditions. The main function of this customary right is to protectpublic interest inherent in the existence of a building. When the ownershipof land and the building thereon, once attributed to the same owner,belong to different owners due to whatever legal reasons including sale orpublic auction, the building owner can claim the right of customarysuperficies against the land owner so long as there is no contract to teardown the building. This is specific legal device to protect building owner권영준 : 법률행위로 인한 관습법상 법정지상권 폐지와 법정임대차 도입 41in a jurisdiction where the ownership of land and a building can beseparated. The customary superficies was first acknowledged in 1916 by ChosunHigh Court. Since then, there has been much debate over whether or notsuch custom had existed in Korea. In particular, there has been heavycriticism on conferring too strong right to a building owner in case of salewhen she could have made a contract with a land owner to securerelevant right to use land. This led to the current draft, which abolishesthe customary superficies in case of sale, while converting the customarysuperficies in case of public auction into legal superficies by creatingadditional provisions to that effect. In the case, the statutory lease contractwill be acknowledged for 10 years after the ownership over land and abuilding belong to different owners. This provides interim protection for abuilding owner, but not as formidable as customary superficies. It remains to be seen whether or not this draft will finally be enactedin the near future. Yet, the draft itself is certainly worthy of beingreviewed from an academic point of view even before its enactment.

      • KCI등재

        미국법상 공동불법행위자 상호간 구상관계

        권영준 한국민사법학회 2013 民事法學 Vol.64 No.-

        Contribution among joint tortfeasors is, after all, a matter of ultimatedistribution of tort liability. In other words, it deals with “suum cuiquetribuere”, namely the justice in attributing to each his own share. In thisregard, the doctrine of contribu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vehiclesby which distributive justice in tort law can be achieved. Against this backdrop, I have addressed various aspects of the U.S. tortdoctrines regarding contribution. Traditionally, the U.S. tort law imposedjoint and several liability on tortfeasors only when there was concertedaction or conspiracy among them. Contribution was not allowed amongjoint tortfeasors even when one of these tortfeasors discharged liability ofother tortfeasors. With time, the U.S. tort law has enlarged the scope ofjoint and several liability by imposing such liability where joint torts hascaused indivisible damages. No-contribution rule was still deemedapplicable for such joint torts. However, as comparative negligence thatreflects the idea of apportionment of liability became dominant overcontributory negligence, no-contribution rule has been modified. Nowadays,a joint tortfeasor is widely entitled to seek contribution. Yet, many statesstill deny the right to contribution in case of intentional torts. As the right to contribution was made largely available, the standard ofdetermining the scope of contribution has become even more important. The Restatement (Third) of Torts on Apportionment of Liability, in itsArticle 8, enumerates factors for assigning percentages of liability amongtortfeasors, such as the nature of the person’s risk-creating conduct and the strength of the causal connection between the person’s risk-creatingconduct and the harm. The diachronic change of the U.S. tort doctrine may be described as ameaningful move toward more elaborate apportionment of liability. Thistrend can be witnessed in the rise of comparative negligence, abdication ofa no-contribution rule, and elaboration on the standard of liabilityapportionment. Recent changes in many states toward restriction on jointand several liability while enlarging the scope of several liability, is alsoanother sign of such trend. The above discourse on contribution is worthy of note from theperspective of Korean law. Korean tort law has acknowledged the largescope of joint and several liability with wide entitlement of contributionright. Although I take this stance as appropriate in principle, someexceptions need to be allowed when equity requires so. In seeking atheoretical grounds for such exceptions in the name of equity, the U.S. tort doctrines may be useful sources for reference.

      • KCI등재
      • 1LP-12 절연그라파이트를 이용한 절연방열컴파운드 제조 및 응용

        권영준,황경준,최원석,류승훈 한국공업화학회 2017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7 No.1

        현재 생활환경에서 많이 사용되는 배터리, 전자제품, 태양광 모듈, 조명에서 발열문제 해결은 중요한 이슈이다. 첨단 절연방열소재로 질화붕소가 잘 알려져 있으나, 그라파이트에 비해 방열성능 및 기계적 강도의 한계점과 높은 제조 단가로 상업성이 낮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절연세라믹을 기화시킨 후 그라파이트 위에 융착시켜 높은 열전도도와 절연성능을 발현하는 절연그라파이트를 제조 하였다. 또한, 이를 고분자와 컴파운딩하여 전자부품용 방열 쉬트, LED 조명 하우징, 태양전지 백시트 및 프레임용 사출물에 적용할 수 있는 절연방열컴파운드를 제조 후 방열 특성을 조사 하였다. 표면 미세구조 분석을 통해 그라파이트에 세라믹이 융착된 것을 확인하였고, 절연 저항 측정 및 LFA를 이용한 열전도도 분석으로 절연 방열 특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 제조된 절연방열컴파운드는 LED 조명 하우징 및 태양전지 프레임 등에 적용되어 제품의 작동 시에 표면 온도가 감소됨을 확인 하여 상업적인 적용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 우리나라 가축사체처리기술에 대한 이론적 고찰

        권영준,권준형,김권철,김주희,홍명하,류영삼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8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05

        우리나라의 경우 비 감염 및 감염가축 처리 및 예방 목적으로 대부분의 사체는 매몰처리 되고 있으며 일부 소각처리 되고 있다. 2013~2016년 동안 백신처방 유무와 관계없이 AI, 구제역 발병에 따른 세계 살처분 대비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AI는 두 번째, 구제역은 첫 번째로 매우 높은 살처분율을 나타내고 있다. 가축사체 처리방법에는 매몰, 소각, 랜더링, 호기호열성, 퇴비화, 알칼리 가수분해, 혐기성 분해 등이 있다. 매몰 방식을 이용한 사체처리의 경우, 정상적으로 진행되었을 경우에도 가축사체의 부패에 따른 침출수 및 악취 발생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2011년부터 호기호열성 처리법이 시도되었으나 여전히 침출수 문제 등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으며, 2014년부터 도입된 AI구제역 발생후 FRP통에 넣어 매몰한 저장조의 매몰 가축사체가 부패가 일어나지 않고 3년이 지나도록 썩지 않고 미라처럼 그대로 있어 재처리가 불가피하며, 정부 예산이 이중으로 낭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소각방법은 소각 후 잔재물이 2~3%로 적게 발생되지만, 장비 구입비가 비싸고, 이동 및 보관 등 유지ㆍ관리가 어려우며, 이동형 소각기에 대한 법률 적용근거 미흡에 따른 사용 전 협의가 필요하기 때문에 현재는 관련 연구가 진행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렌더링 처리방법은 가축사체를 친환경적으로 자원재활용하기 위한 방법들 중 하나로 각광을 받았지만, 동물성 기름과 잔존물이 과다 발생하며, 추가적인 부산물 처리법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기존 사체처리 방식(매몰, 소각, 랜더링 등)들은 침출수 및 잔여 바이러스 유출, 주변 환경오염 유발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을 야기하기 때문에 이를 최소화하고 가축사체를 유용자원으로써 재활용하기 위한 자원화 개념이 도입되어야 하고, 또한 높은 안전성과 내구성, 저렴한 투자비와 유지관리비, 재활용에 따른 경제성과 환경성을 확보할 수 있는 혁신적이고 새로운 사체처리 기술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 RF-Thermal plasma를 이용한 Graphite-Ceramic 융합 절연 방열필러 합성 및 특성 분석

        권영준,장성찬,최원석,채수빈 한국공업화학회 2019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9 No.0

        현대 사회에서 전기전자제품의 경량화, 소형화가 요구됨에 따라 고분자 재료의 적용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일반 고분자 재료를 적용하였을 때 발열을 방출해주지 못함에 따라 기기의 내구성, 효율성이 크게 저하된다. 해결책으로 Graphite, CNT 등의 방열 필러가 적용되는데 전력계통 부품이 적용되는 부분에서 절연 성능이 요구된다. 방열 고분자 복합소재에 널리 적용되는 Carbon계 필러의 경우 열전도성이 뛰어나지만 전기전도성도 높아 절연특성이 요구되는 소재에는 부적합하다. 본 연구에서는 RF-열플라즈마 장비를 이용하여 방열 고분자 복합소재에 널리 적용되는 Graphite 표면에 세라믹을 융착하여 절연 성능과 방열 성능을 동시에 갖는 복합 필러를 합성하고자 하였다. 합성은 Silica aerosol을 무기 바인더로 사용하여 h-BN, Alumina, Talc등을 graphite와 함께 혼합-건조-분쇄하여 RF-열플라즈마 공정에 투입하였다. 표면 분석을 통해 세라믹이 Graphite 표면에 융착된 것을 확인하였고 분체저항을 통해 각 합성물의 절연성능을 측정하였다. 또한 이를 고분자 복합소재에 적용하여 표면저항, 열전도도를 분석하였고 절연성능 및 방열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계속적 계약에 있어서 재교섭조항의 해석

        권영준 민사판례연구회 2014 民事判例硏究 Vol.- No.36

        In a long-term contractual relationship, one can easily anticipate unanticipated contingencies. When such contingencies arise, the clash between stability and flexibility comes up. While one party insists on the the change of a contractual term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circumstances, the opposite party prefers to stick to original contractual terms. Often, parties include a renegotiation clause to cope with such a dispute. However, many fail to address the problem despite renegotiation efforts. The Korean Supreme Court decision on Jul. 24. 2011 (2008da44368) deals with the above issue. In this case, parties entered into a service contract concerning online lottery system and included a renegotiation clause. According to the clause, a change to the administrative regulation on the fee rate of the lottery system was listed as one of the grounds for renegotiation. Later, the prescribed renegotiation clause was invoked since the upper limit of the regulatory notification on the fee rate had been lowered. However, parties failed to reach an agreement on the new fee rate. According to the decision, a court can determine reasonable fee rate in such situation. This decision seems quite exceptional in light of the freedom of contract. Yet, a closer reading of the decision alludes that the Supreme Court was striving to draw such a conclusion from the will of the parties inherent in the renegotiation clause. In this paper, I demonstrated the validity of this decision after a thorough analysis. The text or wording of the renegotiation clause itself does not automatically render such a conclusion. Considering the context of the renegotiation clause and the nature of the contract at issue, however, the Supreme Court has reached a sound outcome. Such an interpretation increases the efficiency of a contract by not destroying the contractual relationship. It also considers interests of both parties by delicately setting a reasonable fee rate in the middle ground, instead of taking an all or nothing approach. It also prevents parties from opportunistic behavior in the wake of a contingency. Generally, a court may not have sufficient information and knowledge to determine detailed contents of the contract. However, in this case, a court was in the proper position to figure out the most reasonable and fair fee rate between two parties with conflicting interests. At the same time, this decision should be regarded as an exceptional one where a judicial paternalism was expanded largely due to special nature of the case. Thus, a rash attempt to apply the conclusion of this case without taking its context into consideration should be avoided. Its indiscrete application may hamper the purpose of the renegotiation clause which deferred an important decision on contractual relationship to the parties. In that regard, this decision has distinctive, yet limited implication. 계속적 계약관계에서는 계약체결시점에는 충분히 고려할 수 없었던 변수들이 발생하곤 한다. 이때 당초의 계약내용을 고수할 것인지(계약관계의 안정성), 아니면 계약내용을 변화된 상황에 맞게 변경할 것인지(계약관계의 타당성) 문제된다. 계약내용의 변경은 통상 한쪽에는 유리하고 다른 쪽에는 불리한 것이어서 어떤 입장을 택하는가에 따라 당사자 사이에 희비가 엇갈린다. 이러한 상황에 대한 대응으로서 당사자는 계약체결 후 일정한 사유가 발생하면 쌍방이 재교섭을 거쳐 계약의 존속 여부 및 내용을 정하도록 하는 재교섭조항을 부가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하지만 재교섭이 결렬되었을 때에는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서 별다른 정함이 없을 때 계약이 어떻게 되는가에 대해서는 명확한 지침이 없는 경우가 많다. 대법원 2011. 6. 24. 선고 2008다44368 판결(이하 “대상판결”)은 이러한 상황을 다루고 있다. 대상판결은 복권시스템 관련 용역계약 이후 용역수수료율 최고한도에 관한 고시가 변경되어 미리 계약에서 정해놓은 재교섭사유가 발생하였으나 재교섭이 결렬되어 새로운 수수료율의 합의에 이르지 못한 사안을 다루고 있다. 대상판결에서는 이때 법원은 분쟁해결을 위해 가장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수수료율을 정할 수 있다고 판시하였다. 얼핏 보면 사적 자치가 지배하는 계약법의 세계에서 당사자가 아닌 법원이 계약내용을 정할 수 있다는 취지여서 상당히 파격적이다. 그러나 대상판결을 자세히 읽어보면 사정변경원칙이나 신의칙과 같이 계약 바깥에 존재하는 해법에 기대기보다는 재교섭조항에 비춰진 당사자의 의사에서 이러한 결론을 도출하려고 하였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이 글에서는 이 사건의 내용을 세세하게 분석하면서 위와 같은 결론의 타당성을 논증하였다. 이 사건 계약의 문언(text)만으로는 재교섭조항의 해석상 재교섭이 결렬될 경우 법원이 합리적 수수료율을 정할 수 있는지 여부는 불명확하다. 그러나 이 사건 계약의 맥락(context), 특히 복권사업과 관련된 이 사건 계약의 공공성과 계속성을 고려한다면 법원이 당사자의 의사에 가장 가까운 합리적 수수료를 정하여 줌으로써 계약관계를 유지시키는 해석이 타당하다. 이러한 해석은 계약관계의 실효성을 보전함으로써 계약의 효율성을 증진하고, 계약 당사자 쌍방의 이익을 균형 있게 고려함으로써 계약의 공정성에 기여한다. 또한 수수료 변경을 예측하고 그 변경 자체는 감수하고자 했던 계약 당사자의 합리적 기대에 어긋나지 않아 계약의 자율성을 본질적으로 해치지도 않는다. 이러한 해석은 객관적으로 계약내용을 변경할 필요성이 있는데도 자신의 이해관계만을 내세워 재교섭에 성실하게 응하지 않는 기회주의적 행태를 방지하는 효과를 거둘 수도 있다. 한편 법원이 원고나 피고가 주장하는 수수료율에 경도되지 않고 규제법령이 제시하는 객관적 상한선에 따라 수수료를 정한 것도 적절한 조치이다. 법원의 후견적 관여에는 종종 법원의 능력과 전문성에 대한 의문이 수반되곤 하지만, 이 사건에서는 법원이 더 중립적이고 객관적으로 수수료를 정할 수 있는 지위에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대상판결에 찬성한다. 다만 이는 어디까지나 이 사건 계약에 특유한 여러 가지 사정들을 고려하여 법원의 후견적 관여의 폭을 상당한 정도로 넓힌 예외적인 결과라는 점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이러한 사건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