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자기조절학습의 단계와 구성요인의 규명

        권성연,강명희 한국교육학회 2003 敎育學硏究 Vol.41 No.3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절학습 현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자기조절학습의 단계와 구성요인, 요인간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과정에 적합한 학습전략 및 학습환경설계를 위한 지침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분석을 토대로 자기조절학습의 단계와 구성요인을 가정하여 자기조절학습의 개념적틀을 상정하였고, 이를 기준으로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인을 측정할 수 있는 단계별 설문지를 개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기조절학습은 전사고, 수행, 평가의 세 단계로 구분될 수 있었으며 전사고 단계에서는 8개, 수행단계에서는 3개, 평가단계에서는 단일 요인이 산출되어 각 단계의 특성을 규정하였다. 또한 요인간의 경로분석 결과 전사고 단계의 자기효능감 요인이 이후 수행 및 평가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임이 입증되었으며 수행 단계의 전략 요인들은 평가단계에서 긍정적 자기평가를 형성하게 하는 주요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 가운데 인지전략은 자기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의지조정전략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이 나타났다. 목차

      • KCI등재

        기업 e-learning 운영표준화 방안 연구

        권성연,나현미,임영택 한국기업교육학회 2004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6 No.2

        e-Learning 운영은 실질적인 교수,학습할동이 진행되는 과정으로서 기업의 e-Learning 성과 향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의 e-Learning 운영 지침(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는 e-Learning 운영표준화

      • KCI등재

        청소년기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친구관계, 교사관계, 자존감,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권성연,신소영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敎育問題硏究 Vol.34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enhancing the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s among life satisfaction and other influencing factors.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used the data of 2,438 students in the 2nd year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1st year of middle school students cohort), and executed the structural regression model analysis among influencing factors on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parenting style influenced the relationships with teacher and peers positively, and these three variables also influenced the adolescents’ self esteem. Second, the self esteem had an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 had a weak influence. The relationship with peers and positive parenting style had no direct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whereas had indirect influence by self esteem on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adolescents’ self esteem to enhance the life satisfaction and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arents, peers and teachers on life satisfaction. we expect these results will use to guide the students for improving their life satisfaction. 본 연구는 삶의 만족과 영향요인 간의 관계 분석으로 청소년의 삶의 만족을 높이는 데 필요한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의 중1 코호트, 제 2차년도(2019)의 자료(2,438명)를 활용하여 구조회귀모형 분석을 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변인은 삶의 만족도를 포함하여 5개 변인으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교사관계와 친구관계에 정적인 영향을 주며, 이들 요인은 모두 자아존중감에도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자아존중감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삶의 만족에 영향을 주며, 교사관계는 미미한 수준의 영향을 주었다. 반면, 친구관계와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삶의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부모와 교사, 친구와의 관계가 삶의 만족에 직・간접으로 영향을 주며, 삶의 만족에 있어 자아존중감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학생들의 삶의 만족을 높이기 위한 학생지도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e-Learning 환경에서 성인학습자의 독립적, 협동적 학습양식에 따른 학습전략 사용 및 학습활동 선호도 분석

        권성연 한국성인교육학회 2009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2 No.2

        본 연구는 e-Learning 환경에서 성인학습자의 사회적 학습양식을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학습양식의 차이가 학습전략의 활용과 학습활동선호에 어떠한 차이를 가져오는지 분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e-Learning으로 대학원 과정을 수강하는 성인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학습양식, 학습전략, 학습활동 선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습양식으로는 사회적 학습양식을 측정할 수 있는 Grasha-Reichmann의 학습양식을 사용하여 독립적, 협동적 학습양식 점수를 산출하고 각 학습양식의 중앙값을 기준으로 상, 하 조합에 따른 집단별 학습전략, 학습활동 선호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독립적 학습양식과 협동적 학습양식의 점수는 유사하였고 두 학습양식의 조합에 따른 빈도를 봤을 때, 독립적, 협동적 학습양식이 모두 낮은 학습자가 가장 많았고 모두 높은 학습자 수가 그 다음을 나타냈다(중앙값 기준). 둘째, 독립적, 협동적 학습양식과 학습전략, 학습활동 선호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독립적, 협동적 학습양식 점수에 따른 학습전략 및 학습활동선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전반적으로 높은 독립적, 협동적 학습양식 점수를 나타낸 집단에서 가장 높은 학습전략과 학습활동선호 점수를 보였고 반대로 독립적, 협동적 학습양식 점수가 낮은 집단의 경우 가장 낮은 학습전략 사용과 학습활동 선호를 나타냈다. 한편, 독립적이거나 협동적인 학습양식 한쪽만 높은 집단 가운데 독립적 학습양식이 높은 집단은 협동적 학습양식이 높은 집단에 비해 인지적, 개인적 차원의 학습전략 점수와 강의듣기, 성찰하기와 같은 개인적 학습활동 선호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토론하기나 조별과제 같은 사회적 학습활동은 협동적 학습양식이 높은 집단의 선호가 높게 나타났다. This research was aimed to analyze adult learners' social learning style, and the differences of learning strategies and preference of learning activities in e-Learning environments by their learning style. For this research, A survey which measured the independent and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learning strategies and preference of learning activities was conducted to the graduate students who attended e-Learning courses.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The first, the mean scores of independent and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were almost same. The second, correlations between two learning styles and learning strategies, preference of learning activities were positive. The third,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s in use of learning strategy and preference of learning activities among groups of learning style. The scores on learning strategies and preference of learning activities were the highest in high-independent, high-collaborative learning style group. On the contrary, the scores on learning strategies and preference of learning activities were the lowest in low-independent, low-collaborative learning style group. The scores of personal and cognitive strategies was higher in high-independent and low-collaborative group than low-independent and high-collaborative group. The scores of preference in personal activities, that is lecture, writing a reflection paper etc. were higher in high-independent and low-collaborative group, but the scores of social activities, that is, discussion, group task were higher in low-independent and high-collaborative group.

      • KCI등재

        대학생의 Gregorc학습양식과 학습전략 사용 및 교수방법선호의 관계 분석

        권성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Gregorc학습양식과 학습전략 및 교수방법 선호와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학습 환경 구성을 위한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Gregorc학습양식, 학습전략, 교수방법 선호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다변량분석을 통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의 학습양식은 구체․순차(CS)형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추상․임의(AR)형이었으며 두 가지 학습양식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학습양식의 비율도 45%에 이르렀다. 다음으로 학습양식과 교수방법간의 관계를 보면 구체․임의(CR)형이 발견탐구학습과 실험실습법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다변량분석에서는 학습양식에 따른 교수방법선호의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학습양식과 학습전략 간의 관계에서는 구체․순차(CS)형이 조직화, 정교화, 시간관리, 노력조절 전략과 정적 상관, 추상․임의(AR)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다변량분석 결과에서도 구체․순차(CS)형과 추상․임의(AR)간에 학습전략 사용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학습자 특성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학습양식의 제 측면을 반영한 균형있는 수업환경의 조성이 필요하며 특히 임의적 특성을 가진 학습자에게 조직화, 구조화를 위한 학습전략 훈련 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T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understand learners\ learning style by GSD and identify the differences of learning strategies and preferences of instructional methods by learning style. For achieving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measuring the learning style, learning strategies and preferences of instructional methods to the undergraduate students in colleg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first, CS was the most frequent learning style, and the next was AR. The dual learning style was about 45%, among this dual learning styles, AR+CR took the highest percentage. The second, the correlations between CR and discovery learning, experimentation were positive but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instructional methods by Gregorc learning style in MANOVA. The third, the correlations between CS and rehearsal, metacognitive, time management were positive, but the correlations between AR and the learning strategies were negative. There were also meaningful differences learning strategies by Gregorc learning style in MANOVA. By these results, we should design the balanced instructional environments addressing the both side of learning styles, and provide the intervention to teach the learning strategies specially for random style learners. Key Words : learning style, Gregorc learnng style, learning strategy, instructional method

      • KCI등재

        토론수업에서 학습자의 협동적, 경쟁적 학습스타일과 자기주도성이 동료평가와 토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권성연 한국열린교육학회 2010 열린교육연구 Vol.18 No.1

        As the advantages and values of discussion were recognized,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implement discussion class effectively. This research was purpos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college students' collaborative and competitive learning style, and self-direction as learner characteristics on level of satisfaction and peer-evaluation. For this research, learners'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at first, then 4-times discussions by groups were implemented in a class during a semester, after that, students took part in a survey related with level of satisfaction in discussion and evaluated their peers in the same group.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The first,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peer-evaluation and level of satisfaction, but competitive learning style didn't have any correlation with peer-evaluation and level of satisfaction, and also there was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self-direction and level of satisfaction. The second, as a result of regression, the only influential factor on peer-evaluation and satisfaction in discussion class was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By these results, we can identify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in discussion class, so this research suggested the facilitate the learners'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in aspects of creating a instructional environments. 본 연구는 토론수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학습자 특성으로서 협동적 학습스타일, 경쟁적 학습스타일, 자기주도성을 상정하여 이들 변수가 동료평가, 토론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생들의 협동적, 경쟁적 학습스타일과 자기주도성을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토론수업을 진행 한 후 토론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같은 조 동료들의 참여 수준과 기여도 등에 대한 동료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협동적 학습스타일이 동료평가, 토론만족도와 절적 상관관계가 있는 반면 경쟁적 학습스타일은 동료평가, 토론만족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자기주도성은 토론만족도와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협동적 학습스타일과 경쟁적 학습스타일 모두 자기주도성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나 경쟁적 학습스타일과의 상관계수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둘째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협동적 학습스타일만이 동료평가와 토론만족도를 설명하는 영향력 있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토론수업에 있어 협동적 학습스타일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학습자의 협동적 학습스타일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성인 학습자들이 인식하는 이러닝 상호작용의 어려움과 활성화 전략 -학습자들이 작성한 온라인 토론 게시글을 중심으로-

        권성연 숭실대학교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2011 평생교육 · HRD연구 Vol.7 No.1

        이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이러닝(e-Learning)환경에서 상호작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전략을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이러닝으로 대학원 수업을 받고 있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상호작용의 어려움과 비활성화 이유, 상호작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전략이라는 주제로 온라인 토론을 진행하였으며 토론 게시글에 나타난 학습자의 인식과 의견에 대한 내용 분석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성인학습자들은 상호작용에서 겪는 어려움과 비활성화 요인으로 인간적, 정서적 친밀성 부재, 상호작용의 비실시간성, 글을 통한 상호작용의 어려움, 소극적 경향과 타인 의식, 피상적 학습으로 인한 깊이 있는 지식 부재를 꼽았다. 상호작용 활성화 전략으로는 상호작용의 어려움과 연계하여 친밀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전략 마련, 실시간 상호작용의 보완적 사용, 흥미롭고 관련성 높은 학습내용, 팀 과제 수행, 교수자의 독려와 피드백, 다른 학습자의 상호작용 활동 내역 공유 등을 들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상호작용에 있어 정서적-심리적 측면을 중시해야 하며, 반응의 즉각성을 높이고 친밀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실시간 상호작용 활용을 고려하고 깊이 있는 지식 구성에 기여할 수 있는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 향상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facilitating strategies for interaction in e-Learning environments. For this purpose, the adult learners who have enrolled the cyber graduate school took part in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 about the difficulties and facilitating strategies in interaction. By content analysis of the postings on discussion board, the results were produced. First, the difficulties and obstacles of interaction in e-Learning were the absence of humane and emotional connection, delayed responses, burden on stating their opinions by just writing, passive attitude and conscious of others, surface learning. Second, the strategies for facilitating online interaction were providing diverse opportunities for feeling a sense of closeness with peers, supplementing the synchronous interaction, providing interesting and relevant contents, designing of group tasks, encouraging feedback from teacher, informing the status of interaction in class.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clusions for facilitating interaction were suggested, they are as in the following : (1)Emotional and psychological dimension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ly for active interaction, (2)Synchronous interaction should be used complementarily for more instant responses (3)Some interventions(guides from facilitator, course design, evaluative feedback of interaction etc) are needed for high level knowledge construction and deep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