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질소화합물로 개질된 폴리에스터 직물의 흡수성능 평가

        권민영,최형민,홍철재,Kwon, Min-Young,Choi, Hyung-Min,Hong, Cheol-Jae 한국섬유공학회 2009 한국섬유공학회지 Vol.46 No.3

        Polyester fabric was modified with two nitrogen compounds, i.e., choline chloride(CC) and ethylenediamine(EDA) to enhance its absorbency. Thermosol fixation at $220^{\circ}C$ was used for CC treatment whereas a simple immersion at $25^{\circ}C$ and $35^{\circ}C$ was employed for EDA. To evaluate the absorbency, spreading area of water drop on the specimen was measured with the computer-interfaced image analysis system. We developed semi-empirical model to rationalize the absorbency results. Dyeing with acid dyes and tensile strength test were carried out to characterize the modified polyest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CC treatment could be highly feasible in hydrophilic modification of polyester without reduction in mechanical property that was often shown with a conventional alkaline treatment such as EDA.

      • KCI등재

        교통카드데이터를 활용한 교통약자 대중교통 환승통행패턴 분석: 버스 지하철 간 환승을 중심으로

        권민영,김영찬,구지선,Kwon, Min young,Kim, Young chan,Ku, Ji sun 한국ITS학회 2021 한국ITS학회논문지 Vol.20 No.2

        전 세계적으로 고령인구가 급증하고 이에 따라 이동에 불편을 겪는 교통약자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국내에서는 이동편의시설 설치 확대 등 교통약자에 대한 양질의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 중이다. 기존 대중교통 이동편의시설 설치는 역사의 면적, 층수, 시설 미확보역 등의 양적인 측면을 기준으로 우선적 확대·설치되고 있다. 하지만 양적 기준 보다는 실제 이용자 기준의 설치 필요 지역에 이동편의시설을 확보하는 것이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에 더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 기반의 교통카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교통약자의 환승취약지점을 도출하고자 했다. 스마트카드 거래내역 데이터를 가공하여 환승통행데이터를 구축하고 이용자별 환승통행패턴 분석 및 환승통행시간 차이가 큰 경로를 기준으로 환승취약지점을 도출했다. 분석 결과 일반 이용자보다 교통약자의 환승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과 교통약자의 환승통행시간 차이와 시설물 개수와의 상관관계는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현장 조사 결과 환승통행시간 차이는 시설물의 단순 개수보다는 해당 환승최단경로 내 이동편의시설의 부재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교통약자를 위한 이동편의시설 확대 시 실질적 이용자 기반 데이터 분석을 통한 환승취약지점을 기준으로 우선적 시설 확보 시 교통약자의 이동편의가 보다 더 향상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worldwide is rapidly increasing and the mobility handicapped suffering from inconvenient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is also increasing. In Korea and abroad, various policies are being implemented to provide high-quality transportation services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and budget support and investment related to mobility facilities are being expanded. The mobility handicapped spends more time for transit transfer than normal user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ransit service is also lower. There exist transfer inconvenience points of the mobility handicapped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long transfer distances, absence of transportation facilities like elevators, escalators, et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ransfer inconvenience points for convenient transit transfer of the mobility handicapped using Smart card Big data. This study process traffic card transaction data and construct transfer travel data by user groups using smart card big data and analysis of the transfer characteristics for each user group ; normal, children, elderly, etc. Finally, find transfer inconveniences points by comparing transfer patterns between normal users and the mobility handicapp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find transfer inconvenience points for convenient transit transfer of the mobility handicapped using Smart card Big data. In addition, it can be applicated of Smart card Big data for developing public transportation police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be used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transit transportation for mobility handicapped.

      • KCI등재후보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간호서비스에 대한 방문간호사의 인식

        권민영(Kwon, Min Young),임지영(Lim, Ji Young),이영휘(Lee, Young Whee),김화순(Kim, Hwa Soon) 한국보건간호학회 2010 韓國保健看護學會誌 Vol.24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nurses’ perception of visiting nursing services of long-term care insurance. Method: The descriptive survey study involved 188 nurses selected by the convenient sampling of visiting nurses who participated in professional education sessions. Results: Of the 188 participants, 149 (79.3%) were aware of long-term care insurance. Awareness of aspects of long-term care services was 78.7% for facility service, 77.7% for ordinary visiting care service, 85.1% for visiting nursing service and 77.7% for visiting bathing service. Concerning visiting nursing service provision, the majority of the study subjects considered nurse-aid not to be the appropriate route for delivery of services including nasogastric tube exchange, tracheostomy tube management and stitch removal. Conclusion: Continuous evaluation and research on the standards and requirements of the nursing workforce is needed to secure and maintain the high quality of visiting nursing services. Exhaustive studies concerning task division and workforce separation according to nursing services type and level of difficulty should be done to develop the appropriate job description for visiting nursing service staff.

      • 신호교차로에서의 우회전 운영방안 연구

        권민영(KWON, Min Young),김영찬(KIM, Young Chan) 대한교통학회 2017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6 No.-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신호교차로에서의 우회전 운영에 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따라 적절한 우회전 운영 방안을 정립 및 제시하는데 있다. 현장 조사 결과 국내 우회전 전용 신호기는 다양한 종류 및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관련 규정이나 기준도 마련되어 있지 않다. 또한 우회전 신호기에서 사용하는 적색신호의 의미가 도로교통법 상에 명시된 적색 원형 등화의 의미에 위배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운전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고 이에 따른 사고 발생의 위험도 존재한다. 국내는 기존에 적신호시 우회전을 허용함으로서 우회전 운영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최근 우회전 교통류에 대한 제어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이에 관한 제도 및 운영 방안 정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회전 운영과 관련한 기존 연구를 고찰하고 해외 여러 국가의 우회전 운영 관련 지침을 검토하여 국내 우회전 운영방안을 정립하고 제시한다. 우회전 비보호 운영시에는 적색 신호의 의미를 우회전 차량에 대하여 일단 정지 후 진행할 수 있도록 명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회전 보호 운영을 위한 우회전 신호기 설치 시 우회전 전용차로가 하나 이상 확보된 경우에만 설치할 수 있도록 규정해야 한다. 또한기존 신호기와 우회전 신호기의 차별성을 위하여 삼색 화살표 신호기를 우회전 전용 신호기로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우회전 운영방안을 비보호, 보호, 보호·비보호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각 유형별 구체적인 신호기 운영 방안을 제시한다.

      • KCI우수등재

        택시 DTG 빅데이터를 활용한 교통류 특성 분석

        권민영(KWON, Minyoung),김영찬(KIM, Youngchan) 대한교통학회 2018 대한교통학회지 Vol.- No.-

        택시 DTG 데이터는 운행위치, 속도 등의 운행 정보를 10초 단위로 수집하는 택시 운행기록 정보로서 현재 서울시에 등록된 7만2천여 대의 택시에서는 연간 1,300억 건의 이동정보가 수집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택시 DTG 데이터의 대부분은 실시간 소통정보 생성 및 택시 차량 관리용도 외에는 활용되지 않고 있다. 하지만 택시 DTG 데이터는 실제 차량 데이터로서 교통류 분석 등의 활용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택시 DTG 빅데이터를 통해 산출한 주요도로와 현재 주요 서울시 주요도로 관리 축을 단순 비교 ‧ 분석 하여 기존 주요도로축을 검증 및 확인하고 추가적으로 선정 가능성이 있는 도로를 검출하고자 했다. 분석방법은 DTG 데이터를 가공하여 각 링크별 통과차량대수를 산출하고 통과차량대수가 많은 상위 링크를 산출한다. 결과 값으로부터 주요 도로를 산출하고 기존 서울시 주요 간선도로 관리축과 비교 분석한다. 결과적으로 DTG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산출된 주요도로가 기존과 상당부분 일치했다. 하지만 통과차량대수는 많은 것으로 관측되나 기존 간선도로 관리축에 포함되지 않은 도로들이 추출되었다. 이는 도산대로, 사평대로 등 통과교통량 상위 200개 추출 링크 기준 5개 도로, 상위 500개 추출 링크 기준 추가 4개 도로이다. 이는 향후 주요도로축 선정 시 고려되어야 할 부분으로 보인다. Taxi DTG (Digital TachoGraph) data is the operation record of personal or corporate taxi cabs belonging to the city government. The DTG data includes many informations such as locations of getting on and off the taxi, travel speed etc. About 72,000taxies registered in the city of Seoul are gathering 130billion traffic information data annually. Currently, most of the DTG data are being discarded except for generating traffic information and vehicle control purposes. However,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Taxi DTG data, actual vehicular traffic data, in traffic operation field such as traffic flow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ajor arterials in Seoul using taxi DTG big data and to compare with existing major arterials used in the city of Seoul. We extracted traffic volume and speed of each link by processed DTG data and identify major road and compare with the current major arterials used in the city of Seoul. As a result, Although most of the derived roads were consistent with the existing management arterials, there was some road that was not included in existing management targets. This is 5roads extracted by the top 200links and 4 additional roads by top 500links. The road seems to be considered when selecting major roads in the future.

      • KCI등재

        염화칼슘 농도에 따른 복자기의 생장 및 생리적 반응 특성

        권민영 ( Min Young Kwon ),김선희 ( Sun Hee Kim ),성주한 ( Joo Han Su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8 No.5

        겨울철 눈이 내린 도로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해 염화칼슘을 제설제로 사용하는데 이것은 용해되어 도로주변의 수목에 피해를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겨울철 제설제로 이용되는 염화칼슘 처리에 따른 복자기의 생장과 생리적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생장 특성, 광색소함량, 광합성 효율, 엽록소형광반응을 측정하고 식물체 및 토양 분석을 하였다. 실험구는 무처리(대조구), 9mM(0.5%), 18mM(1.0%), 54mM(3.0%)의 총 4개의 처리구로 나누어 용해액을 신초가 나기 전, 일주일 간격으로 2회 500ml씩 살포하였다. 염화칼슘 처리 결과, 처리 후 30일째 염화칼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0.5% 처리구부터 총엽록소함량, 광합성율, 증산율, 기공전도도, 광계Ⅱ활성이 감소하였고 특히 3.0% 처리구에서 두드러졌다. 반면, 엽록소a/b는 염화칼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고 수분이용효율은 1.0% 처리구에서부터 증가하였다. 처리 후 50일째 3.0% 처리구는 고사하여 측정할 수 없었고,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엽록소a, 엽록소b, 총엽록소함량, 광계Ⅱ활성, 광계Ⅱ광화학효율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Ca2+와 Cl-이 잎과 토양에 축적되어 수분의 흡수와 전자전달의 방해에 기인한 것으로 염화칼슘 처리구에서 수고생장율의 50% 이상 저하를 가져왔다. 염화칼슘의 처리 농도와 시기에 따른 차이는 있었지만 모든 염화칼슘 처리구에서 생장율은 감소하고 생리적 활성은 둔화되었고 이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심해졌다. To prevent freezing of the road by fallen snow, Calcium chloride(CaCl2) as a deicer is used to very often and it can be harmful to roadside tre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lcium chloride(CaCl2) as a deicer on growth and physiological traits of Acer triflorum according to different concentration of CaCl2 . We measured growth, chlorophyll contents, gas exchangement characteristics, chlorophyll fluorescence and mineral nutrition concentration in plant and soil.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mposed of four treatments including 0mM(control), 9mM(0.5 %), 18mM(1.0 %), 54mM(3.0 %). Before germinating new shoot, the dissolution of CaCl2 was irrigated twice interval of a week. At 30 days after treatment, all treatments decreased total cholorophyll content, photosynthetic rate, transpiration rate, stomatal conductance and photochemical efficiency(Fv/Fm)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CaCl2 and especially, they significantly reduced in 3.0 % treatment. In contrast, chlorophyll a/b ratio increased with an increase of CaCl2 concentration and water use efficiency increased in 1.0 % and 3.0 % treatments. At 50 days after treatment, all treatments were decreased in chl a, chl b, total chlorophyll content, carotenoid content, photosynthetic capacity, photochemical efficiency(Fv/Fm) and quantum yield of photosystemⅡ(ΦPSⅡ) compared with control and 3.0 % treatments were withered. Ca2+ and Cl- were accumulated in leaves and soil, which inhibited water absorption and electron transport and it caused the reduction of height growth rate more than 50 %. Although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according to time and CaCl2 concentration, all treatments decreased in growth rate and physiological activity slowed down. As time passed, these results got worse. Therefore we need to take a measure earlier in order to minimize damage of trees.

      • KCI등재

        플레이스 브랜딩 기반, 행복감 창출을 위한 빛 성격의 다학제적 고찰 연구

        권민영(Kwon, Min Young),이선정(Lee, Sun J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4

        기술의 혁명적 발달로 현시대는 사람들이 물질적 풍요를 누림과 동시에 정신적 풍요를 추구하는 시대로 도래하였다. 현재 소비 트렌드 또한 단순히 물건을 구매하는 것보다 정신적 경험을 선호하는 탈 물질적 소비로 변모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환경의 변화는 인간의 감각적 경험과 행복감 등의 정서적 반응이 이루어지는 공간 디자인방식에도 영향을 주고 있으며 행복과 불가분의 관계인 공간의 선택에도 깊이 관여한다. 이에 오늘날 다수의 기업에서도 이러한 트렌드를 파악하고 있으며 플레이스 브랜딩을 통해 판매 중심의 역할이었던 자사의 공간을 감각적 체험을 중심으로 한 공간디자인을 시도하고 있으나 양상에 대한 체계적 연구와 정리가 필요하다. 오늘날 브랜딩 공간에서 경험할 수 있는 감각적 체험에는 많은 요소가 있지만, 본 연구는 빛에 의한 이용자의 심리적 경험에 주목하였다. 빛은 공간의 분위기를 활성화하는 매개체로써 공간과 인간의 정서적 관계 형성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플레이스 브랜딩을 장소와 행복의 차원에서 재검토하고, 소비자의 행복감 창출을 위한 관점에서 빛의 성격을 바라보며 이를 플레이스 브랜딩 전략을 위한 기초 연구로 제안하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내외 철학, 심리학, 디자인학 분야의 다학제적 문헌 연구를 병행한 질적 연구를 기반으로 플레이스 브랜딩, 행복감, 빛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푸 투안을 비롯한 학자들의 장소에 대한 사유를 바탕으로 플레이스 브랜딩의 개념과 조건을 고찰한다. 둘째, 앞서 고찰한 내용을 토대로 심리적 행복감이 플레이스 브랜딩 전략에 어떠한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지 검토하고자 장소와 행복감의 관계성을 분석한다. 이에 앞서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행복감의 정의를 명료화한다. 셋째, 연구 분석된 행복감의 정의를 토대로 행복감과 빛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공간에서 빛에 의한 인간의 심리적 지각 특성을 각각의 대표적 사례와 함께 분석한다. 또한 빛과 인간의 심리적 공간 지각에 관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인간의 정서적 반응을 가장 활성화하는 빛의 요인을 도출한다. 이어 도출된 특성들을 토대로 행복감 창출의 관점으로 재검토하고 이에 따른 빛의 성격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플레이스 브랜딩의 목적은 선택받는 장소이자 기억에 남는 장소를 만드는 것으로, 장소와 개인 간의 정서적 관계 형성은 필수적 요소다. 둘째, 심리적 안정감과 같은 행복감은 그 장소를 사람들에게 정서적 쉼터로 느끼게 하여 긍정적 장소 경험을 부여한다. 또한 이는 장소에 대한 기억의 지속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장소 애착과 충성도를 형성하는 데 관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인간의 정서적 반응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빛 요인은 빛의 방향 변화로 나타났다. 넷째, 행복감 창출의 관점으로 바라본 지각된 빛의 성격은 빛에 의해 지각된 영역성, 차단성, 표상성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행복감 창출의 관점에서 바라본 빛 요소 활용 방안이 브랜드에 대한 기억의 지속성을 높이고 나아가 브랜드의 가치 향상을 이룰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소비자의 행복감 창출에 대한 장소적 가치는 브랜드마다 추구하는 방향성이 다르기에 모든 곳에서 적용하기란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코로나 블루’와 같은 심리적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플레이스 브랜딩을 활용한 소비자의 행복감 창출은 시기적으로 필요한 정서 전략이라 사료된다. With the advent of an era in pursuit of spiritual wealth along with economic growth, the modern society is free to choose a space, which is inextricably linked with the quality of life. In this regard, companies are setting up their space, which used to be the center of problem solving through place branding, as a place where other values are created, and are establishing various strategies to increase the brand value. With this trend, this study focused on the perception effect of light among the many methods to build a place experience that creates a sense of happiness as a strategy for place brand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place branding in terms of place and happiness, and to propose it as a place branding strategy by looking at the use of light ele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creating a sense of happiness. First, through literature studies in domestic and foreign fields such as philosophy, psychology, and design, the concepts, functions, and effects of place branding, happiness, and light were examined, and they proved that they have a meaningful mediation. In addition, the focus of the study was dealt with the use of light elements to create happiness through the analysis of prior research. In this study, we were able to prove that place branding, euphoria, and light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The purpose of place branding is to create a place to be chosen and memorable, so it is essential to form an emo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place and the individual. Therefore, a sense of happiness such as a sense of security makes the place feel like an emotional shelter, forming a positive place experience, increasing the persistence of memories, and strengthening people’s attachment to and loyalty to the place. The light factor t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human emotional response appeared as the contrast between light and shadow. Based on this, the characteristics of using light ele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creating happiness were derived as territoriality perceived by light, blocking perceived by light, and representation perceived by light. It may be difficult to apply the place value where happiness is created in all places because the direction pursued by each brand is different. However, it is believed that creating a sense of happiness using place branding to overcome psychological problems such as the current ‘corona blue’ is an emotional strategy that is necessary at a timely. Therefore, this study prepared the possibility that the use of light ele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creating a sense of happiness can increase the persistence of memory for the brand and improve the brand value.

      • KCI등재

        1:5,000 산림입지토양도의 제작과 활용 및 향후 발전 방향

        권민영 ( Minyoung Kwon ),김가은 ( Gaeun Kim ),정진현 ( Jinhyun Jeong ),최창은 ( Changeun Choi ),박관수 ( Gwansoo Park ),김춘식 ( Choonsig Kim ),손요환 ( Yowhan Son ) 한국산림과학회 202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0 No.4

        산림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산림입지환경에 대한 종합 데이터베이스의 기반이 되는 산림입지토양도가 필요하다. 국내에서 그동안 1:25,000 산림입지도가 제작되어 사용되어왔으나 높은 정밀도와 개별 목적에 특화된 산림입지 정보를 갖춘 대축척 산림입지토양도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2009년부터 2021년까지 1:5,000 축척의 산림입지 토양도 제작사업이 진행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 1:5,000 산림입지토양도 제작 과정과 주요 결과, 활용 방안과 향후 발전 방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산림입지토양도 제작은 표준매뉴얼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조사 및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토양형, 토심, 토성별 전국 단위 지도가 작성되었다. 산림입지토양도 자료는 다양한 주제도 제작의 기초가 되며, 산림재해의 방지 및 예측과 환경용량 평가 등에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앞으로 산림경영 선진화와 디지털 사회로의 전환에 맞추어 산림입지토양도의 제작 방법을 발전시키고 그 활용방안도 다각화시킬 필요도 있다. 이를 바탕으로 국가 산림기본계획 목표 달성을 위한 다양한 정보 제공, 산림 빅데이터 확보 및 국가 발전 계획에 상응하는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의 실현 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o improve on the efficient management of forest resources, it is necessary to create a forest soil map, which represents a comprehensive database of forest lands. Although a 1:25,000 scale forest site map has been used in Korea, the need for a large-scale forest soil map with high precision and information on forest lands that is specialized for individual purposes has been identified. Moreover, to keep pace with the advancement in forest management and transition to a digital society, it is essential to develop a method for constructing new forest soil maps that can diversify its use. Therefore, this paper presented a developmental process and used a 1:5,000 scale forest soil map to propose future directions. National maps showing the soil type, depth, and texture were produced based on the survey and analysis of forest soils, followed by the Forest Land Soil Map (1:5,000) Production Standard Manual. Alternatively, forest soil map data were the basis on which various other maps that can be used to prevent and predict forest disasters and evaluate environmental capacities were developed. Accordingly, ways to provide appropriate information to achieve the national forest plan, secure forestry big data, and accomplish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that corresponds to the national development plan are proposed based on results from the current stud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