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수치스런 몸의 역사 : 보이지 않는 역사적 원천과 풍속 통제의 자연화

        권명아 ( Kwon Myoung-a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8 민족문학사연구 Vol.66 No.-

        역사적으로 볼 때 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청소년에 대한 과잉 통제는 모두 일제시기부터 이어진 파시즘 통제의 전형적인 ‘적폐’이다. 하지만 한국 사회에서 소수자 인권이나 청소년 인권은 여전히 ‘시기상조’이거나 ‘나중에’ 논의할 사안으로 간주한다. 이는 소수자에 대한 통제를 도덕적 교화나 ‘당연한 규율’로 간주해온 오랜 역사의 산물이다. 촛불 집회, 탄핵, 대선으로 이어진 국면에서 차별금지법 제정이나 소수자 인권이 나중에 처리할 사안으로 여겨진 건 특정 정치 집단의 가부장성과 남성 중심성에서 비롯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처럼 소수자 차별을 도덕적 교화로 여기면서 ‘사회통념’을 먼저 생각하는 심성 구조는 한국 사회에 널리 퍼져있고, 아주 오랜 역사적 과정을 거쳐 집단 무의식에 가까운 형태로 자리 잡았다. 이런 역사적 과정에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지만, 무엇보다 풍속통제가 백 년 넘게 지속한 것이 지배적 심급으로 작동한다. 파시즘 증오 정치의 산물인 풍속 통제가 백 년 넘게 지속하면서 풍속 통제는 사회 통념으로 전도되었고, 개인의 도덕과 사회 윤리가 되었다. 풍속 통제가 발생한 역사적 원천이 보이지 않게 되고 자연화 된 긴 역사적 과정을 거치면서 파시즘은 한국 사회의 도덕과 사회 통념이 되었다. 2017년 군대 내 ‘게이 군인 색출’ 사건은 일본의 식민지 지배에서 만들어진 파시즘 법제가 어떻게 한국 사회의 도덕이 되어버렸는지를 잘 보여준다. 특정 가치관이 자연화 되어도 이를 비판하고 변화시키기 어려운데, 파시즘 법제가 자연화 되고 그 이념이 사회 근간이 되어버린 상태에서는 이 문제를 공론화기 어렵다. 소수자 차별은 파시즘 적폐의 긴 역사적 산물이며, 이러한 적폐 청산이야말로 한국 사회의 변화를 위해 반드시 공통의 의제가 되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반차별 담론은 공통성의 차원에서 구축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현재 소수자 차별은 공통성보다는 소수자 당사자들 저마다의 특수 문제로 여겨진다. 사태가 ‘특수 집단 문제’로 분리되어 버리면 실상 문제의 핵심은 사라지게 된다. 이렇게 차별을 공통의 차원이 아니라 특수한 문제 집단에 해당하는 사안으로 분리해서 통제를 정당화하는 것이 풍속 통제의 원리라는 점에서 이러한 전도에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다. 풍속 통제가 백년 넘게 지속하면서 한국 사회에서는 청소년 인권 침해는 교육의 이름으로 정당화되고, 성 소수자를 특수 집단으로 간주하여 ‘찬반의 대상’으로 만드는 것이 정치적 입장이 되며, 장애인이나 특정 질환자를 강제 수용하는 것도 자연스럽게 여긴다. 이 연구는 최근 몇 년 간 소수자 차별을 도덕, 교육, 교화 등의 이름으로 정당화하는 담론구조와 경향을 사례로 풍속 통제가 혐오 발화와 증오 정치의 원천이 되어버린 상황에 비판적으로 개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This article is focus on the history of so called ‘shamed body’ from colonial period till 2018 in Korea, especially focus on the history of naturalization of the legal system of con-trolling “풍기문란(風紀紊亂/corrupting public moral).” In Korea racial discrimination, sexual discrimination and social discrimination all this structure of discrimination are deeply related historical experience. Excessive control over juvenile and sexual minority is originated specific forms of Korean historical fascism, espe-cially the legal system of controlling “풍기문란(風紀紊亂/corrupting public moral).” The term “the act corrupting morality” is too arbitrary to become a legal standard; these kinds of ‘“undeterminable determinations” became legal terms after 1926 in Germany (as Georgio Agamben figured out) and Japan. After World War Ⅱ, the legal system of con-trolling “풍기문란(風紀紊亂/corrupting public moral)” was abolished as the representative fascist legal system not only in Germany but also in Japan and was reduced to being the so-called ‘“pink industry.” However, in Korea this legal system of controlling “풍기문란 (風紀紊亂/corrupting public moral)” was not abolished after liberation but was strength-ened during the Cold War era. During the Cold War era, the legal system of control over “풍기문란(風紀紊亂/corru-pting public moral” was served as the idea of legitimizing the coercive oppression of in-dividuals’ lives. Although the legal system of control over the “풍기문란” had a decisive effect on Korean society,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regarding this issue. This lack of research is due to the lack of availability of ‘primary sources, an issue that is relevant to the control over the “풍기문란.” As I point out in my book, 풍속 control is a type of bio-politics regarding “pathos and affect.” One of the important effects of this 풍속 control is constructing “shame work” inside and outside one’s body. This is the reason why the one who experienced 풍속 control felt the affect of shame. In this sense of shame, forceful oppressive of 풍속 control was transformed into an intimate sense of shame. By doing this, resistance was eradicated from the subject. In that sense, 풍속 control is the governance that tries to eradicate resistance of the body in order to incapacitate the subject. In these circumstances, 풍속 control is regarded as the governance regarding “the improper act” or “corruption of morality” that has existed since the colonial period.

      • KCI등재
      • KCI등재

        K적인 것의 기원과 K차별 - 차별 대응 제도와 교육, 사회통념 개념의 변화를 중심으로 -

        권명아 ( Kwon Myoung-a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1 石堂論叢 Vol.- No.80

        혐오나 차별에 대한 학술적 논의가 담론적으로 확장된 것과 달리 정책적으로는 ‘사회적 합의’라는 문턱에서 멈추기를 반복하고 있다. 또 차별과 혐오에 대한 정책 기조가 일관성이 없고 정파적 이해관계나 특정 사안을 돌파하기 위한 타협과 절충 수단으로 전락하면서 정부가 차별을 더욱 부추기는 경향도 강화되고 있다. 이런 차원에서 현재 차별과 혐오 대응에 있어 중요한 지점은 차별과 관련한 전문가 그룹(인권 활동가, 지원 단체, 관련된 연구자 등)의 지속적인 담론 형성과 구체적 사안을 널리 알리는 일 그리고 국가 정책에 대한 비판적 견제를 통해 정책 일관성을 형성하는 일이다. 국가인권위원회를 비롯하여 차별에 대응하는 정책, 교육, 대안을 연구해온 전문 기관의 공통된 진단은 현재 한국 사회에 만연한 차별 통념을 변화시키는 일이다. 차별 통념은 차별을 차별이라고 인지하지 못하거나, 혹은 자연스럽고 익숙하게 생각해서 차별이라고 깨닫지 못하는 사회적 인식 구조를 뜻한다. 전문가들의 이런 상황 진단과 달리 정부는 줄곧 ‘사회적 통념’을 변화시키려 하지 않고 ‘사회적 통념’을 절충이나 타협의 근거로 내세우고 강조하는 정책 기조를 반복하고 있다. 이런 어긋남은 정책의 모순을 일으킬 뿐 아니라, 차별을 정당화하거나 차별 선동을 합법화하는 근거를 국가가 제공하게 되는 심각한 문제로 이어진다. Unlike the discourse expansion of academic discussions on hatred or discrimination, politically, it is repeated to stop at the threshold of “social consensus.” In addition, the government's tendency to further encourage discrimination is increasing as its policy stance on discrimination and disgust is inconsistent and has degenerated into a means of compromise to break through political interests or certain issues. At this point, the key point in responding to discrimination and hatred is the formation of continuous discourse by groups of experts (human rights activists, support groups, related researchers, etc.) and policy consistency through critical checks on national policies. The common diagnosis of specialized institutions that have studied policies, education, and alternatives to cope with discrimination, including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is to change the prevailing concept of discrimination in Korean society. Discrimination is a social perception structure in which discrimination is not recognized as discrimination, or recognizes discrimination because it is natural and familiar. Unlike expert's diagnosis of the situation, the government has been repeating its policy stance of emphasizing “social conventional wisdom” as a basis for compromise or compromise without trying to change “social conventional wisdom.” This contradiction not only creates a contradiction in policy, but also leads to a serious problem that the state provides a basis for justifying discrimination or legalizing discrimination incitement.

      • KCI등재

        논문 : 소년범, 작가, 음란범 -죄 많은 아이와 냉전 키드의 탄생과 종말

        권명아 ( Myoung A Kwo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1 민족문학사연구 Vol.47 No.-

        풍기문란자들은 역사의 문서고와 문학사의 자리에 ``악명``의 형태로만 존재하는 이들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다스릴 수 없는 자들"(ungovernables)의 전형이기도 하다. 이 글 은 냉전 체제하의 풍기문란의 구조를 소년보호라는 장치의 구축과 이를 통해 형성되는 죄 많은 아이라는 비행(非行)의 주체성을 통해서 고찰하였다. 냉전 체제하에서 풍기문란과 관련된 장치들은 4월 혁명의 ``실패``를 경유하면서, "죄 많은 아이"라는 냉전의 ``아이``를 생산하는 메트릭스가 된다. 물론 풍기문란이 청소년 보호나 관리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여 기서는 주로 청소년 보호와 풍기문란, 그리고 소년보호라는 새로운 ``보호기제``가 구성되는 과정을 중심으로, "죄 많은 아이"라는 냉전적 주체성이 구성되는 맥락을 살펴볼 것이다. 장정일은 포스트모더니즘의 ``대표 작가``로 간주되어 왔지만, 이런 맥락에서 본고에서는 장정 일을 대표적인 ``냉전 키드``의 사례로 고찰할 것이다. 장정일은 냉전 키드가 어떻게 죄 많은 아이라는 분열적 주체성을 획득하게 되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기록을 우리에게 제공하는 대표적 사례이다. This dissertation is starting from the cross road of a murder of one boy in 1960 at Masan, and a birth of one boy in 1963 at Daegoo. The destiny of two boys are the kind of the oracle of the cold war era``s Korean`s destiny, especially of the boys. By this oracle the destiny of the boys in the cold war era is determined. Under this determination the boys got the position of "the convicted boy." The position of the boys who run out in the street with the passion in 1960 became the "problem child" who have to disciplined by the social incubation systems, like youth custody. In this change of the position the passion of the boy running across the street became the criminal mind.

      • 문예영화와 공유기억(commemoration) 만들기 ―한국전쟁의 경험과 역사의 재구성

        권명아 ( Kwon Myoung-a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3 한국문학연구 Vol.0 No.26

        Recent studies about Korean war exhibits a tendency to four direction. The first is a series of studies regarding the 'origin of Korean War'. This kind of studies are primarily concern about political mechanism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which was effected by the world power. The second is the total research about the real aspects of Korean War, which is intended to include not only political aspect but also social, cultural aspects. The third is the research regarding the difference way of experience which produced by the diversity of positionality. The fourth is the research about the way of reproduction and appropriation of experience of Korean war. This type of research primarily concern about the ideological state apparatus(this concept was originated in Louis Althusser). This study is based on this preceding research. This study is especially focus one the way of reproduction and appropriation of the experience of Korean war. This these primarily concern about the way of reproduction and appropriation of the experience of Korean war which produced by ideological state apparatus: the cultural policy, education of the national History, and making national commemoration. Since 1950's the film industry adhered to a national undertaking. In 1960's literary picture was mass produced. The mass production of literary picture was resulted from compromise between state apparatus and the cultural industry. The literary picture have been play an important part in reproduction and appropriation of experience of Korean war, and making revision of the past, making commemoration.

      • KCI등재

        정동의 과잉됨과 시민성의 공간

        권명아(Kwon, Myoung-A)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서강인문논총 Vol.0 No.37

        시민성과 여기서 배제된 존재들, 그리고 사회 상태와 자연 상태에 대한 형상적 사유들은 다양한 문학 작품 속에서 만날 수 있다. 이 글은 시민적인 것의 경계라는 문제를 문학과 영화가 제공하는 형상적 사유의 힘을 매개로 다시금 생각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방법은 문학과 예술이 제공하는 형상적 사유의 힘이 시민적인 것의 경계와 관련된 다양한 이론적 쟁점들을 보다 구체적인 방식으로 우리에게 전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한국 근대문학에서 흔히 발견되는 홍수의 메타포가 이러한 시민적인 것의 경계 구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함께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홍수의 표상은 시민성의 영역과 여기서 배제된 다스려질 수 없는 자들 사이의 힘 관계를 상징적으로 함축하며, 이를 정동의 과잉됨이라는 차원에서 재해석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근대 서사에서 홍수의 표상은 정동의 과잉됨(흘러넘치는 힘)과 그 ‘힘’에 대한 불안과 공포, 그리고 이에서 비롯되는 다스려야만 한다는 당위적 요청과 관련하여 다시 고찰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더 나아가 이러한 표상 체계에서 정동의 과잉됨은 ‘홍수’와 같은 넘쳐흘러 인간적인 것, ‘사회’, ‘시민성’의 경계를 문란하게 만들어버리는 ‘자연적인 것(자연 상태)’의 힘으로도 출현한다. 그런 점에서 홍수에 대한 공포와 ‘강’을 다스리려는 집요한 욕망은 ‘자연적인 것’에 대한 근대적 시민의 지배 욕망 뿐 아니라 ‘다스릴 수 없는 자들’을 제어하고 지배하려는 근대적 시민의 욕망과도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 이는 다스릴 수 없는 자들과 시민 사이에서 벌어지는 생명을 건 투쟁이 ‘강’을 둘러싼 투쟁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함의를 지니는 것이기도 하다. The threshold of the civic and the ungovernables is relate with that of the civic and the natural state. The imaginary thought of that threshold of the civic and the ungovernables had been produced for a long time in the work of art, especially the work of literature. This thesis focus on the rethinking the threshold of the civic and it’s topology. Especially I try to contemplate about the metaphor of the deluge as a projection of fear about the excess of the affect.

      • KCI등재
      • KCI등재

        사랑의 담론과 정치적인 것 -근원 회귀의 반복과 신인류 생산의 사이에서-

        권명아 ( Myoung A Kwo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1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3

        이 글의 논의 대상은 사랑의 담론을 통해 정치적 주체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일련의 이론적 논의와 문학적 실천들이다. 인류 역사상 사랑만큼 많이 말해진 것도 없으련만, 이 시점에서 유독 사랑이 문제적으로 떠오르는 이유는 무엇일까에 대한 질문과 나름의 대답을 찾아가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사랑의 담론은 최근 들어 보편적 사랑(진리라던가 윤리와 같은 층위를 함축하는)이라는 차원에서 다시금 떠오르고 있다. 이렇게 도래한 사랑이 윤리, 주체화, 정치적인 것과 관련해서 과연 어떤 길을 내어줄 것인지, 이를 판단하는 문제는 아직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여기서는 이와 관련하여 사랑의 담론이 근원적인 것과 새로움의 사이, 종말론적인 퇴행적 에너지와 신인류 생산이라는 긍정적 에너지 사이를 오가는 위험 속에서 위태롭게 출현하는 중이라는 점에 집중해보았다. 현재 정치적인 것, 문학, 윤리와 관련해서 사랑의 담론은 바로 이러한 위험성 속에서 출현 중이다. 사랑과 정치적 주체화의 관계, 특히 문학적인 것이 여기서 차지하는 바의 함의와 관련해서는 다양한 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글의 논의는 사랑의 담론이 정치적 주체화를 위한 새로운 논의에서 차지하는 함의를 축소하거나 부정하려는 취지와는 무관하다. 다만 이 글은 사랑의 담론을 새로운 정치적 주체를 생산할 수 있는 윤리적 가능성이 내장된 장소로 호출하기 위해 검토해야 할 기본적인 전제들을 살펴보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또 이 글에서는 《소립자》와 《1Q84》에서 사랑의 담론이 혁명, 윤리, 주체화와 관계 맺는 양상을 비교 검토하고자 한다. 《소립자》는 68혁명의 함의와, 68적인 것의 몰락을 주제로 하고 있고, 《1Q84》는 ``전공투`` 세대의 정치적 주체화와 그러한 혁명의 가능성이 ``몰락``한 시대에서 윤리와 정치적 주체화는 어떻게 가능한가를 묻고 있다. 또 한국에서 혁명과 실패, 그리고 여기서 부상하는 사랑의 담론의 성격이 가장 원형적으로 발생한 것은 4월 혁명에 대한 서사들에서이다. 4월 혁명과 사랑의 담론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동시대 전세계적으로 발생한 여타의 혁명과 사랑의 담론의 관계를 비교 고찰할 필요가 있다. 이 작업은 매우 방대한 참조를 필요로 하는 것이기에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소립자》와 《1Q84》를 여타의 사랑의 담론과 비교해서 고찰하는 것에 논의를 국한하였다.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relations of the narrative of love and the political in this days. After 90`s, so called ``post`` era, so many things are in danger or in crisis: the political, the theory, the philosophy and the literature. Especially in front of the crisis of ``the survival`` caused by various kind of the violences, so many scholars feel keenly the necessity of the new logic of ethic. Now a days the term of Love is regarded as the important method for making the new logic of ethic. In this paper I try to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the narratives of love in the field of the theory and the literature. Especially I focus on Alain Badiou, Terry Eagleton and Kim Yong Min, Lee Jeoung Young and try to comparative reading with 1Q84 OF Haruki Murakami, and Les Particules elementaires of Michel Houellebecq.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