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성격의 5요인 모델과 주관적 삶의 질의 관계

        국승희 한국임상심리학회 2004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3 No.4

        본 연구에서는 성격의 5요인 모델(McCrae & Costa, 1985)과 주관적 삶의 질(Quality of Life: QoL)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정신분열병 환자 200명을 대상으로 양성 및 음성 증후군 척도(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NSS)를 이용하여 정신병리를 평가하고, NEO 인성검사(NEO Personality Inventory, Revised: NEO-PI-R)와 Happy-QoL 척도(국승희, 2001)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에서는 정신병리를 통제한 상태에서 성격과 주관적 QoL의 부분상관을 산출하였다. 또한, NEO-PI-R의 하위척도들에 대한 군집분석을 통해 환자들의 성격 프로파일을 군집화한 후, 정신병리를 통제한 상태에서 군집간의 주관적 QoL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신경증적 경향성과 외향성 외의 나머지 세 성격요인들(개방성, 원만성 및 성실성)도 주관적 QoL과 관련이 있었다. 그러나, 하위척도들 중 환상은 주관적 QoL과 전혀 관련이 없었고, 일부 하위척도들은 약한 상관만 있었다. 세 유형의 성격 프로파일이 확인되었는데, 군집 1은 신경증적 경향성의 하위척도들의 점수가 높으면서 나머지 요인들의 하위척도들의 점수는 낮은 집단이었으며, 군집 3은 그 반대의 유형을 보이는 집단이었고, 군집 2는 군집 1과 군집 3 성격 프로파일의 중간에 속하는 집단이었다. 세 군집 중 군집 1의 주관적 QoL이 가장 낮았고, 군집 3의 주관적 QoL이 가장 높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간략하게 논의하였다.

      • KCI등재

        경도 치매와 노인성 우울의 변별에서 네 가지 시계그리기 조건의 효율성

        국승희,허정일,손정락 한국임상심리학회 2008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iciency of four clock-drawing conditions (the free-drawn condition, the pre-drawn condition, the examiner clock condition and the copy condition) for differentiating mild dementia patients from geriatric depressed patients and normal elderly persons. The Clock Drawing Test(CDT), including four clock-drawing conditions, was administered to 25 patients with mild dementia, 25 patients with geriatric depression and 25 normal elderly persons, and all of whom were matched according to age, gender and the education level. The cut-off scores, efficiencies, sensitivities, specificities, positive likelihood ratio(+LR), negative likelihood ratio(-LR), and the Area Under Curve(AUC) for the four clock-drawing conditions were calculated. Additionally, the relative diagnostic efficiencies of the four clock-drawing conditions, with using z test on the AUC, were compared for differentiating mild dementia patients from geriatric depressed patients and normal elderly persons. With the exception of the examiner clock condition, the other clock-drawing conditions well discriminated the mild dementia patients from the geriatric depressed patients or the normal elderly persons. All conditions were not able to discriminate the geriatric depressed patients from the normal elderly persons. The pre-drawn condition was the most efficient for differentiating the mild dementia patients from the geriatric depressed patients or the normal elderly persons. The examiner clock condition showed the worst efficiencies for all the differentiations. Additional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relative diagnostic efficiencies of the free-drawn condition, the pre-drawn condition, and the copy condition. The relative diagnostic efficiencies of the examiner clock condition were the lowest. These results suggest the diagnostic utility of using the free-drawn condition and the pre-drawn condition for differentiating mild dementia patient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low specificity of the copy condition may have influenced its diagnostic utility.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idea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의 삶의 질 평가를 위한 Happy-QoL 척도의 개발: Rasch 모델을 이용하여

        국승희,손정락 한국임상심리학회 2002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1 No.3

        If we want to assess the quality of life(QoL)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c disorder, a scale which includes various constructs of QoL and reflects subjective appraisals of the patients is needed. For those purpos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a QoL scale which includes various domains of the QoL in a sample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c disorder.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363 patients with schizophrenic disorder. A preliminary study using 43 items developed from the existing QoL scales by considering the content and the property of them was performed from the existing QoL scales by considering the content and the property of them was performed with university students. Thirty-six items selected from the preliminary study were administered to the subjects. After carrying out Explanatory Factor Analysis by using x^2-test, the best model for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was selected by referring the RMSEA(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and ECVI(Expected Cross-Validation Index). The Rasch model, one of the item response theories was us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items and the subjects, and the fitness of the items, the subjects, and the number of categories. The results of analyses revealed that a model with five factors was best fitted. The factors were labeled as `economic domain`, `general domain`, `physical domain`, `occupational/social domain`, and `affective domain`. By the item analyses performed two times, the reliability of the items and the subjects was improved, and the fitness of the items, the subjects, and the number of categories (0, 1, 2, 3, 4) showed to be appropriate. Finally, the Happy-QoL Scale composed of five factors having five items in each (total 25 items) was developed. The risk factors predicting low reliability to the response of the QoL scale were the education level and the treatment type of the subjects, and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Happy-QoL scale with GHQ/QL-12(General Health Questionnaire/Quality of Life-12) was goo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issues for future study were briefly described.

      • KCI등재

        Happy-QoL 척도의 교차 타당화: 확인적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국승희,손정락 한국임상심리학회 2003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2 No.3

        Happy-QoL 척도는 정신분열병 환자의 삶의 질(Quality of Life, QoL)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척도이다.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이 척도는 5개 요인(경제적 영역, 일반적 영역, 신체적 영역, 직업/사회적 영역, 정서적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Happy-QoL 척도의 요인모델이 새롭게 표집된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자료에도 잘 부합되는 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상이한 시간간격에서 QoL 척도에 대한 정신분열병 환자의 반응이 시간적 안정성이 있는 지도 알아보았다. 연구자가 제안한 모델은 5개 요인간에 상호 상관이 있는 모델이었으며, 대안모델은 요인간 상관이 없는 모델 및 요인 1(경제적 영역)과 요인 4(직업/사회적 영역), 요인 2(일반적 영역)와 요인 3(신체적 영역)간의 상관을 가정한 모델이었다. 연구대상은 정신분열병 환자 270명이었다. χ2 차이 검증 결과, 대안모델들에 비해 5개 요인간 상관을 가정한 제안모델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주, 2주, 4주 간격 각각에서 Happy-QoL 척도에 대한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반응은 시간적 안정성이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을 간략하게 논의하였다.

      • KCI등재

        아침형-저녁형의 측정을 위한 한국어판 조합척도의 교차 타당화

        이형영,윤진상,국승희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2

        연구목적 : 일주기 리듬의 유형을 분류하는 설문지는 일주기 리듬을 연구하고, 교대근무의 적응력을 예측하기 위해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Smith 등 (1989)의 조합척도를 한국어판으로 표준화한 윤진상 등(1997)의 한국어판 조합척도(Korean translation of Composite Scale : KtCS)를 실제 직장인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 간호사 115명(순환교대 근무자 85명, 주간고정 근무자 70명)과 여대생 247명을 대상으로 KtCS와 생활습관 설문지(Life Habit Questionnaire : LHQ)를 배포하였다. 간호사 군과 여대생 군 각각에 대해 KtCS 점수의 분포도를 검증하고 백분위 10이하의 점수를 받은 군을 저녁형, 백분위 90이상의 점수를 받은 군을 아침형, 그 중간의 점수를 받은 군을 중간형으로 정의하였다. 두 군 각각에서 KtCS 점수의 내적 일치도를 구하고, 요인 분석을 하였으며, 일주기 리듬의 유형에 따른 생활습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 과 : 간호사 군과 여대생 군 각각의 KtCS 점수는 부적으로 편포되어 있었으나 유의하지는 않았고, KtCS의 평균점수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간호사 군에서 Cronbach alpha는 .836이었으며, “취침과 가상의 선호시간”, “아침의 각성”, “기상시간”의 세 요인이 추출되었는데, 문항 11이 요인 1에 추가적으로 부하된 경우 외에는 본 연구의 여대생 군 및 윤진상 등 (1997)의 요인분석 결과와 거의 동일하였다. 여대생 군에서 KtCS의 내적 일치도는 Cronbach alpha .787이었고, “취침과 기상의 선호시각”, “기상시각”, “아침의 각성” 세 요인이 추출되었다. 또한 간호사 군과 여대생 군 각각의 생활습관에서도 일주기 리듬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각성, 수행, 업무 혹은 학습효과가 최고조에 이르는 시간대는 저녁형이 가장 늦고, 다음이 중간형, 아침형 순이었으며, 오전 학습효과는 아침형이, 저녁의 학습효과는 저녁형이 가장 높았으나, 오후의 학습효과에서는 저녁형과 아침형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취침시각과 기상시각은 저녁형이 가장 늦었지만, 총 수면시간에서는 저녁형, 중간형, 아침형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간호사에서 KtCS의 심리측정 속성은 여대생에서의 분포도, 내적 일치도, 타당도가 매우 유사하였고, 윤진상 등(1997)의 연구결과와도 유사하여서, KtCS 활용의 일반화 가능성이 시사된다. Objectives :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questionnaire to classify the circadian rhythm for studying circadian rhythms and predicting shift work adaptability.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general applicability of “Korean translation of Composite Scale : KtCS)” by Jin-Sang Yoon et al(1997), a Korean version of Composite Scale(CS) by Smith et al(1989). Methods : KtCS and Life Questionnaire(LHQ) were administered to 155 nurses(65 rotating shift nurses,, 70 nurses on a fixed day schedule) and 247 female university students. We tested the distribution of KtCS scores and then subjects were categorized on the basis of their KtCS scores into evening(E), intermediate(I), and morning(M) types. Cut-off points for these categories were set at the 10th and 90th percentiles. We obtained the results of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the structure of factors of KtCS. We also compared the difference of life habits according to the circadian rhythm types. Results : In both groups, nurses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distributions of KtCS score were negatively skewed but not significantly and the KtCS mean sco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nurses, Cronbach's alpha was 0.836, and three extracted factors were ‘preferred times of performance and going to bed’, ‘rising time’ and ‘morning alertnes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Cronbach's alpha was 0.787, and the same three factors as nurses were confirmed. However, only item 11 was loaded to factor 1 for the nurse group, whereas it was loaded to factor 2 for the student group. Life habits significantly differed among the three circadian rhythm types. The time of perceived peak alertness(mental and physical) was the latest in the E-type. The quality of academic performance during the morning was the highest in the M-type, and during the evening it was the highest in the E-type, but during the afterno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types. The bedtime and the rising time were latest in E-type, but the sleep length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types in both groups. Conclusion :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KtCS in nurses were very similar to thos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the previous findings of Jin-Sang Yoon et al(1997). This result supports that KtCS can be generally applied.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