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7世紀 通信使 筆談唱和集의 出現과 初期 形態

        具智賢(Koo, Jea-hyou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0 동양한문학연구 Vol.30 No.-

        이 연구는 1636년 병자통신사행의 필담창화집을 대상으로 하여 조선과 일본의 문사들의 필담창화 배경을 재구하여 17세기 필담창화집의 성립과 초기형태를 추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시기는 양국 문사의 필담창화가 촉발되었을 뿐 아니라 독자적인 필담창화집이 처음 성립된 때이다. 그 배경에는 일본 京學派 문사의 등장과 사행단 내 吏文學官과 書記 직임의 신설이 있었다. 필담창화집 가운데 접반관의 수행원이었던 和田靜觀窩의 󰡔朝鮮人筆語󰡕는 조선인을 만나 원하는 글을 얻어내는 과정이 세세히 기록되어 있어 하나의 교본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 교토에 은거한 시인 石川丈山의 󰡔朝鮮筆談集󰡕은 권칙에게 자신의 시집을 건네고 최고의 평가를 얻어내는 과정이 실려 있어, 조선인과의 성공적인 소통방식을 보여준다. 이 2종의 기록은 다음 통신사행 때 출간되어 대중에게 읽혔으며, 조선인의 시문을 열망하던 18세기, 필담창화집의 원형이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collection of written conversations and poems that were exchanged from the "Byeongja" diplomatic mission (丙子通信使行) of 1636 and extract information regarding the establishment and early form of the collection by reconstructing the background of the written conversations and poems exchanged between scholars in Joseon and Japan. This is the period when the exchange of letters began between scholars in both countries and a unique collection was first compiled. In the background of these activities is the appearance of Confucian scholars in Japan and, within the Joseon envoy group, the establishment of a new foreign diplomatic position called "Imunhakgwan" in charge of diplomatic documents and a clerical staff position. Among the collection of letters, "Joseon People’s Handwriting" by Wada Seikanka, who was an attendant of the Jeopbangwan, an official in charge of receiving and entertaining foreign envoys, is a useful text because it records in detail the process of meeting Joseon officials and obtaining their writings. "Collection of Letters with Joseon" by Ishikawa Jojan, a poet who lived in retirement in Kyoto, also records how he gave his collection of poems to Joseon officials and received the highest praise from them. It is another example that shows a successful case of communication with Joseon people. These two types of records were published at the time of the next diplomatic mission and read by the public, and they became the archetype for the collections of diplomatic letters in the 18th century when there was great longing for the poetry and prose of Joseon people.

      • KCI등재
      • KCI등재

        XML을 활용한 디지털 용어사전 편찬을 위한 데이터 모델 연구

        구지현(Koo, Jea Hyoun),김영선(Kim, Young-Seo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48 No.-

        인터넷의 발달로 종이 사전보다는 디지털 사전의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웹상에서 서비스되는 기존의 전문용어사전들은 용어의 의미를 기술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XML 전자문서를 기반으로 하는 하이퍼미디어 정보시스템 환경에서는 이미지ㆍ동영상 등 다양한 시청각 자료를 담을 수 있고, 연관된 정보나 관련 웹사이트를 하이퍼링크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논문은 XML 전자문서를 활용한 용어사전을 편찬하기 위한 데이터 모델을 제시하였다. 외교 용어는 용어에 대한 설명만으로는 그것이 갖고 있는 지식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없다. 조선과 일본의 교류 속에서 산출된 외교 용어는 이미지나 동영상 자료ㆍ관련 웹사이트ㆍ한문으로 기록된 원전(原典) 텍스트 등 유관한 정보를 중심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관련성 중심으로 지식을 접하면 다양한 정보를 폭넓고 효율적으로 습득하게 된다. 다양한 관련 자료를 제공하는 디지털 사전은 외국의 학자들도 이용할 수 있다. 인터넷을 통하여 한문 원전 텍스트와 관련 자료가 제공되기 때문에 외국의 학자들이 국경을 초월하여 한국의 지식 자원을 접할 수 있다. 앞으로 제작되는 디지털 사전은 해당 사전의 특성을 살리면서도 디지털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한 형태로 편찬될 것이다. Digitalized dictionaries are replacing paper dictionarie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ternet. Web-based dictionaries for professional terms, however, have been limited in its servicing with no more than the meanings of terms. In the XML electronic document based hyper-media information system, diverse types of audio-visual resources can be delivered, including images and videos, and related information and websites can be offered by hyperlink. This paper presents a data model for producing a dictionary of professional terms by use of XML electronic documents.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held in diplomatic terms cannot be explained by mere descriptions of the terms. Diplomatic terms used in the exchanges between Joseon and Japan need image, video, related Web sites, original Chinese text and other related information to be fully communicated. Knowledge approached in the context of relevance can lead to the more variegated knowledge acquisition in broader and more effective ways. Digitalized dictionaries offering a wealth of related resources can attract foreign scholars. Delivered together with original Chinese text on the Internet, the dictionary will activate exchanges of quality knowledge with foreign scholars across the borders. Future digitalized dictionaries will be produced in the form of maximized merits of digitalized dictionaries combined with the features of the conventional dictionaries of professional terms.

      • KCI등재

        이형상의 일본지리지 『동이산략(東耳散略)』 연구

        구지현(Koo, Jea-Hyou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과학연구 Vol.0 No.44

        『동이산략』은 18세기 초 이형상이 저술한 일본지리지이다. 그는 동래부사시절 왜관 설치에 따른 여러 가지 폐단을 겪었다. 이런 경험은 일본에 대한 경계의식을 불러왔고 다른 한편으로는 실질적인 외교업무 지침서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게 만들었다. 『동이산략』은 이전 지리지는 물론 중국 문헌까지 광범위하게 참고하였다. 다양한 문헌을 섭렵한 결과 선별된 정보는 일본 지리와 적의 전법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저자의 교정을 거쳐 수록되었다. 아울러 현실적인 필요에 의해 왜관 및 쓰시마에 대한 기술이 보강되었다. 이는 임진왜란 이후 작성된 각종 문서들과 왜관을 통한 전문(傳聞)을 바탕으로 정리된 것들이다. 개인적인 저술임에도 이보다 늦은 시기 사역원 역관들을 중심으로 편찬된 『통문관지』보다 더 풍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점에서 이형상의 탁월한 정보 수집능력을 알 수 있다. 『동이산략』은 변방 대비 뿐 아니라 새로운 의례까지 망라한 종합적인 일본 관련 정보를 담고 있다. 일본 사행 경험 없이 동래부사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된 지리지이지만 풍부하고 정확한 내용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지리지 작성의 새로운 경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The Tongilsallyak is an early 18th century text of Japan’s geography written by I Hy?ngsang. Having experienced many travails following the installation of a Japan House during his time as commander of Tongnae instilled a cautionary attitude towards Japan as well as the need for a practical guide book for diplomacy. The Tongilsallyak referenced a wide range of Chinese sources, proofread and edited by the author in order to accurately understand Japan’s geography and war strategies. In addition, it was supplemented with descriptions of Tsushima Island and the Japan House out of actual necessity. These were based on various documents written after the Imjin invasion and secondhand accounts from the Japan House. These individual accounts, which contain more information than the later compiled T"ongmun"gwanji for government interpreters, show the superior information collection skills of I Hy?ngsang. Not only did the book contain information for border defense, but it also included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new Japanese ceremonies. Despite having no experience attending a diplomatic mission, the fact that an accurate and rich geographic guidebooks was written based on his experience as commander of Tongnae signifies its importance as part of a new trend in such guide books.

      • KCI등재

        임진왜란(壬辰倭亂) 피로인(被虜人)에 대한 회답겸쇄환사(回答兼刷還使)의 인식 변화

        구지현(Koo, Jea Hyoun) 동악어문학회 2014 동악어문학 Vol.63 No.-

        조선은 일본에 3차례의 회답겸쇄환사를 파견하였다. 1607년 외교가 재개된 첫 번째 사절에게 일본은 많은 배려를 베풀었다. 쓰시마와 막부에서는 적극적으로 협조하였고, 이에 따라 고국으로 돌아가려는 많은 피로인들이 사신을 따라 조선으로 돌아왔다. 이미 귀국을 거부하고 일본에 정착하려는 포로들이 생겨나긴 했지만, 사신 일행은 그들을 놓아주지 않는 일본인만을 비판할 뿐이었다. 1617년 상황은 달라져 있었다. 사신들에게는 막부나 쓰시마와의 교섭 외에 피로인에게 귀국의 정당성을 알리며 설득하는 과제가 늘어난 것이다. 쇄환을 위해 데려온 포로가 다시 돌아가 버리거나 따라왔다가도 마음이 변해 가버리는 일이 속출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전히 피로인은 설득의 대상으로 데리고 돌아가야 할 조선인이었다. 1624년 회답겸쇄환사에게는 자발적으로 돌아가겠다고 찾아오는 피로인이 드물 정도가 되었다. 이미 세대가 바뀌어 완전히 일본 습성에 젖은 포로들이 등장했다. 사신의 눈에 잔류한 조선인은 금수이거나 오랑캐가 되어 버린 것이었다. 1636년과 1643년에도 극소수의 쇄환이 있기는 하였으나 본격적인 포로의 쇄환은 1624년으로 막을 내렸다. 잔류한 조선인은 일본 내에 조선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였다. 통신사로 사절 명칭이 바뀐 후, 조선인의 후예임을 밝히며 사신을 방문하는 사람이 생겨났다. 그러나 이들은 더 이상 실절한 조선인으로 간주되지는 않았다. 그들은 더 이상 조선인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Joseon (朝鮮; an ancient kingdom of Korea) dispatched her embassies to Japan (who were delegates to give her replies on the Japan"s national literature and to repatriate Joseon captives) three times. Japan provided generous considerations and scrupulous cares to the first Joseon embassies after 1607 when diplomatic ties between Joseon and Japan were re-established. The Tsushima feudal regime passionately cooperated with the envoys, allowing a lot of Joseon captives to repatriate to Joseon, accompanied with the envoys. Some wanted to stay in Japan by refusing to go back to their home country, but the delegates merely criticized a few Japanese who rejected to free the captives. However, the year of 1617 saw totally-different stories. The envoys made efforts not only to negotiate with the tycoons and the feudal clan but also to persuade the Joseon captives to return home, meaning they faced increasing tasks to convince them through explanation on legitimate extradition. It"s because a few captives often went back to Japan or some frequently changed their mind about repatriation and ran away. However the captives were the Joseon people who were the subjects of persuasion and extradition. Less and less people wanted to go back to Joseon, so rarely did captives visit the embassies (dispatched in 1624) of their own accord to repatriate to Joseon. A generation had passed since the war, the remaining captives and their descendents were assimilated to Japan. From the perspectives of envoys, the remaining captives were reckoned as brutes or barbarians. Only a few went back to Joseon in 1636 and 1643, but the full-scale extradition came to an end in 1624. The remaining Joseon people formed their identity as Joseon offsprings in Japan. After the formal name of the delegates changed to ‘Tongsingsa(通信使)’, a few visited the embassies by introducing “they are the descendents of Joseon captives”. However, they were not considered as the Joseon captives, because they were Joseon people no longer.

      • KCI등재

        동아시아 문화교류와 통신사 필담창화집 ; 1763년 필담자료를 통해 본 에도에서의 문사 교류 -『경개집(傾蓋集)』 서문에 보이는 인식을 중심으로-

        구지현 ( Jea Hyoun Koo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1 동방학지 Vol.153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Gyeonggaejib(傾蓋集), a collection of literary exchanges written in 1763. This paper also investigates the perception of Japanese scholar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regarding their exchanges of poetic writings with Koreans during the feudal Edo period. Since Gyeonggaejib includes writings of important scholars who were active in Linke(林家) during that period, and who were thus relatively free of the control from Tsushima and able to observe Korean scholars closely, the book can be considered a significant historical document. Shibui Taishitsu(澁井太室) argues in his introduction that exchanges of poetic writings must regain their original role as a device of friendship, rather than being one only on surface but in reality being used for competition. The introduction by Kimura Horai(木村蓬萊), on the other hand, tries to clarify misunderstandings of the literary competence of Korean scholars, while the introduction by Seki Shoso(關松窓) explains how exchang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scholars produced mutual understanding. These writings show how Japanese scholars, who have closely observed Koreans, were able to re-evaluate their inaccurate criticisms and show a tendency to self-correct their distorted views. That there were certain classes of Japanese scholars who were willing to collaborate with Koreans, just as there were Korean scholars who made efforts to understand their Japanese counterparts, signifies that there has always been a possibility of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scholars of the two countries.

      • KCI등재

        17세기 통신사(通信使) 필담(筆談)에 나타난 한일간 서적 교류의 모습

        구지현 ( Jea Hyoun Koo ) 한국한문학회 2011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47

        본 연구에서는 17세가의 필담창화집을 대상으로 하여, 한일 양국 문사들이 직접적인 만남에 등장했던 구체적인 서적의 목록과 이에 대한 대화의 내용을 분석해서 조선과 일본 지식인들 사이에 지식의 유통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졌는지 고찰해 보고자 한다. 현재 남아있는 필담집을 통해 조선 문사와 일본 문사 사이에 서적을 교환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지식 정보에 대한 탐색의 과정에서 일본 문사들은 조선에서 간행된 희귀본을, 조선 문사들은 조선에서 구하기 어려운 중국본을 구하고자 했을을 알 수 있다. 한편 서적의 증여도 발생하였다. 일본인의 경우, 자신의 문명을 떨치기 위해 자신의 시집이나 문집을 선물하기도 하고 일본에서 간행된 漢籍을 순수한 선물로써 주었다. 조선인의 경우, 여행 도중이라 책을 많이 지니지는 못했지만 사적으로 지참했던 책을 요청에 따라 증여한 예가 보인다. 서적을 둘러싼 필담의 양상을 살펴보면, 초기 기술지식을 전수받기 원하는 과정에서 일본학자들이 기술서적을 언급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양국 문사의 신분적 이질성으로 인해 조산 문사가 제공할 수 있는 정보란 매우 한정적이었다. 17세기 후반 일반 유자의 등장으로 비교적 경전해석에는 밝았던 조선 문사들이 지식제공자로 설 수 있는 여지가 생겨났다. 그러나 瀧川恕水의 경우에서 보듯 전문지식인과는 거리가 멀었던 조선 문사와의 서적필담은 왜곡될 가능성이 농후하였다. 17세가의 서적 교류는 상대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거치게 되고, 18세기 한문담당충의 확립과 확대에 따라 더욱 다채로운 경향을 보이게 되는 양국 문사 교류의 바탕이 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pildam-changhwa-jip(book of responsory writings or conversational exchanges in writing) of the 17th century and consider how the distribution of knowledge took place between the Joseon and Japanese intellectuals by analyzing the list of specific books that emerged in the direct meetings between the literary men of Joseon and Japan and the details of their conversations about such books. We can confirm through the pildam-jip existing today the way in which books were exchanged between the literary men of Joseon and Japan It can be garnered that in the process of explor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 Japanese men of letters sought to obtain rare books published in Joseon while the Joseon literary men wanted to obtain Chinese book shard to find in Joseon. These men also exchanged books as gifts. The Japanese gave their own works of poetry or collections of writings in order to publicize their civilization, and they also gave as pure gifts Chinese character books published in Japan. In the case of the Joseon men. instances are seen where they gave their personal books as gifts when requests were made, although they did not have many books with them since they were travelling, When the pildam surrounding the books is examined, there are instances where the Japanese scholars mention books on technology in the course of seeking to receive initial technological knowledge. But because of the status differences between the literary men of each country the information that the Joseon literary men could provide was very limited. With the emergence of the general Confucian scholar class in the latter half of the 17th century the Joseon literary men were relatively knowledge able about interpretations of classic texts and therefore were capable of serving as provider of knowledge. But as shown in the case of Takigawa Jyosui, the pildam about books with the Joseon men of letters who were far from being specialists was thick with the possibility of distortion. The exchange of books in the 17th century went through trial and error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other party. As it showed a greater variety of tendencies following the establishment and expansion of the scholar class in charge of Chinese classics, the exchange of books became the foundation of exchange of literary men between the two countries.

      • KCI등재

        1763년 필담창화를 통해 본 조선과 일본의 시문창화 인식 변화

        구지현 ( Jea Hyoun Koo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49 No.-

        1763년 癸未/寶曆통신사는 조선 후기/에도 시대 통신사를 통틀어 가장 많은 기록을 남긴 사행이었다. 조선쪽 사행록은 12종이 전하고, 현전하는 필담창화집은 30 여종이 넘으며 간본과 필사본이 다양한 형태로 남아있다. 이 자료를 토대로 당시 조선과 일본 문사들이 통신사가 계기가 된 시문창화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매우 상이한 점을 알 수 있다. 제술관 및 서기가 중심이 된 조선 문사는 외교 임무 수행의 성격이 강했다. 시문창화를 통해 자기 나라의 문화를 드러내야 한다는 의무와 응대를 그르침으로써 국가의 위신을 떨어뜨리지 않아야 한다는 경각심이 일관되게 드러난다. 그렇기 때문에 시문과 필담에는 양국의 우호를 확인하는 내용이 많이 담기게 된다. 사행록에 종종 보이는 문장으로 오랑캐를 교화한다는 입언은 말에 그칠 뿐, 그들은 수많은 일본 문인을 상대하여 창화시를 만들어내기도 바쁜 상황을 맞이하여 끝까지 성실히 임무를 완수하려는 태도를 보인다. 반면 조선 문사의 관료적 성실성은 새로운 조류를 좇는 일본 문인들에게 비판할 단초를 제공하게 되었다. 일본 문인들은 한문학적 지식을 관장하여 주군을 위해 사용하는 고용인의 성격이 강했다. 따라서 조선 문사와의 필담창화는 그들의 기량을 드러내는 좋은 기회로 활용되었다. 필담창화 능력은 일종의 기술이었고, 조선인과 만남은 기술을 겨루는 장이 된다. 주로 전투로서 양국 문인의 창수 행위가 설명되고, 시문은 무기로 표현되는 경우가 발견된다. 비록 필담창화는 우호를 얘기하고 있다 하더라도 서문에서는 ``문전(文戰)``이라는 인식이 강하게 드러난다. 더 나아가 조선인과의 시문창화를 신공왕후의 삼한 정벌과 도요토미의 조선 침략에 비유하는 호전적인 인식도 나타난다. 일본 문인들은 조선인들이 보지 못하는 필담창화집의 서문에서 시문창화를 통해 거둔 성과를 위와 같은 비유를 통해 과장되게 상찬하였다. 이 과정에서 외교적 금기를 범하는 것에 구애받지 않았으므로 역사적 사실의 왜곡과 과장이 일어날 소지를 내포하고 있었다. 양국 문사는 신분적 입장이 달랐고 시문창화를 통한 효용도 달랐다. 같은 자리에서 필담창화를 나누었으나 각자 주목하는 부분이 달랐다. 조선 문사는 선린우호라는 외교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임무였다. 반면 일본 문인에게는 자신들의 한문 능력을 입증해 보이고 때로는 한문학적 지식을 습득 혹은 점검할 수 있는 기회였으므로, 조선 문사와는 달리 개인적인욕구를 실현시키려는 의지가 강했던 것이다. The Gyemi/Horeki Tongshinsa of 1763 was the diplomatic mission that left the greatest volume of records in the history of Tongshinsa sent to Japan during the late Joseon/Edo period. On the Joseon side, 12 volumes of mission journal sand over 30 volumes of the pildamchanghwajip(book of responsory writings) have been passed down to this day and printed and hand-transcribed copies remain invarious forms. When we examine, based on these documents, the perception of the literary men of Joseon and Japan regarding shimunchanghwa(responsory poetry and prose), the opportunity for which had been opened by the Tongshinsa,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nature of the Joseon delegation with its core made up of Jesulgwan(officials in charge of writing) and Seogi(official scribes) was strongly defined by its diplomatic mission. The responsibility of showing their national culture through shimunchanghwa and the cautiousness about behavior that may ruin the reception and possibly damage national prestige are consistently displayed. Hence a great amount of detail verifying the friendly relations between the two nations are contained in the shimun(poetry) and pildam(conversation through writing). The sentence about "civilizing the barbarians" seen occasionally in the mission journals ends as being just words, and the delegates, facing a sit uation where their hands were full meeting and composing changhwashi(responsory poetry) with numerous Japanese men of letters, displayed the attitude of diligently completing their task. But this bureaucratic diligence of the Joseon literary men provided an entry of criticism for Japan`s men of letters who were seeking new trends. The literary men of Japan have strong characteristics of "hired hands" who controlled and used Chinese literary knowledge to serve their lords. Hence pildamchanghwa with the Joseon literary men was used as a good opportunity to display their talents. The pildamchanghwa ability was a type of skill, and the meeting with the Joseon men became an arena of competition. The changsu(exchange of responsory writing) by the literary men of both countries were described mostly in terms of battle, and nstances where the compositions are expressed as weapons have been found. Even if pildamchanghwa discusses friendship, the perception of "literary battle" is strongly revealed in the preface. Further more, a belligerent perception is shown where shimunchanghwa with the Joseon literary men are compared to Queen JIngu`s conquest of Samhan and Toyotomi`s invasion of Joseon. In the preface of the pildamchanghwajip which the Joseon literary men could not see, the literary men of Japan discriminately praised with exaggeration the results attained from shimunchanghwa through comparisons like those mentioned above. Since in this process they were free from concern about breaking a diplomatic taboo, it contained the likelihood of distortion and exaggeration of historical facts. The literary men of the two countries differed in terms of social position and the utilization attained through shimunchanghwa. Although they engaged in pildamchanghwa in the same room, each group paid attention to different parts. T he task of the Joseon literary men was to achieve the diplomatic goal of good-neighborliness. In contrast, for the literary men of Japan, the encounter was an opportunity to prove their ability in Chinese literature and at times to acquire or verify their knowledge of Chinese literature, and as such, unlike the Joseon men of letters, their will to realize personal desires was strong.

      • KCI등재

        조선 시대 동중서(董仲舒)의 이미지 형성 양상

        구지현(Jeahyoun Koo) 동아인문학회 2016 동아인문학 Vol.37 No.-

        본고는 전한시대의 학자인 동중서라는 인물의 이미지가 조선 문인의 문장에 관통하여 형성된 이미지의 양상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한나라의 유교적 정치이념의 기초를 확립한 것으로 평가받는 동중서는 조선 건국 초기부터 신흥사대부들은 맹자의 뒤를 이은 도학의 전수자로 여겨졌다. 이후 양명학에 대한 이단 논쟁이 격렬해지면서, 맹자 – 동중서 – 한유로 이어지는 이단 척결의 계통이 만들어지고, 동중서는 이단으로부터 “斯道”를 지킨 선유(先儒)의 이미지가 강화되었다. 시작품에서는 ≪사기(史記)≫의 기록에서 연유한 “下帷不窺園”의 학자 이미지가 자주 활용되었다. 특히 수로를 통해 지나게 된 동중서의 사당은 바로 그 학자의 이미지를 가장 잘 연상할 수 있는 장소가 되었다. 이러한 각고의 노력은 유학의 도통을 전수하고 황제에게 유도를 설파할 바탕이 되었고, 후학이 따라야할 유학자의 모범 이미지로 수용되었다. 시간이 흐를수록 동중서는 전한을 대표하는 유자(儒者)로 표양되었다. 특히 한나라 때의 재자인 가의와의 비교를 통해 그의 순정함이 드러나도록 표현되었다. 법가사상을 따라 패도를 숭상했던 가의와 달리 동중서는 공자를 스승삼아 유도를 계승한 순유(醇儒)로서, 공자와 맹자를 이어 한유에게 전수되는 도의 계승자로 자리매김 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age of pre-Han China scholar Dong Zhongshu as constructed by Chosŏn literati through their writings. Dong, who is judged to have established Confucianism as the political ideology of Han China, was regarded as the successor of Confucianism after Mencius by Chosŏn’s new ruling Neo-Confucian elite. After criticism of the Yangming School as heterodoxy intensified, Mencius, Dong Zhongshu, and Han Yu were labeled as the lineage eradicating heterodoxy, reifying Dong’s image as one of the first Confucian scholars that preserved orthodox Confucianism. The image of Dong as a scholar ensconced behind a lowered curtain inside of his room, which originated from a line in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was often used in poetry. In particular, the image of passing by Dong’s ancestral shrine by water transport was a location most frequently associated with the scholar. These images of Dong’s devoted efforts in transmitting Confucianism and promoting it to the emperor became the basis of his image, and thus he became a model to be followed by later Confucian scholars. As time passed, Dong was extolled as the quintessential Confucian of pre-Han China. He was compared with the Han dynasty scholar Jia Yi in order to demonstrate the purity of his mind. In contrast with Jia Yi, who revered hegemony as a follower of Legalist thought, Dong was regarded as the successor to Confucius and Mencius for adopting the former as his teacher and acting as a forthright Confucian scholar, as was recognized as the transmitter of Confucianism that linked them with Han Y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