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이버문학관의 활용과 교육적 가치에 관한 일고찰

        구자황(Gu Ja-Hwang) 인문콘텐츠학회 2009 인문콘텐츠 Vol.0 No.16

        이 글의 문제의식은 디지털 시대, 디지털 공간에서 이문구(李文求) 문학이 온전한 향수(享受)의 대상이 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나아가 재발견하는 방법은 어디에서부터 출발해야 하는지에 있다. 문학과 문화 향수의 기회를 확대하고, 문학과 예술을 보존하되, 더 많은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노니는 공간의 구성과 활용방법, 그리고 매체적 가능성을 모색해보았다. 이 글은 붐업(boom-up) 차원이 아닌 문학교육, 창작교육의 차원에서, 나아가 평생교육의 장(場)이자 지역문화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실천인문학(實踐人文學)의 수행 공간으로서 이문구 사이버문학관을 제안한다. 이문구 문학은 이미 상당한 정도의 문화콘텐츠를 갖추고 있다. 이에 작가의 유지(遺志)를 받들고, 그러면서도 독자 대중과의 소통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매체 전략, 즉 사이버문학관의 활용이 적절한 형태라고 판단된다. 그리하여 사이버문학관이 제대로 사는 방법의 하나로, 인문콘텐츠의 지평에서 바라 본 사이버문학관의 구성과 모형 등을 제시하였으며, 구체적인 기준과 전략으로 범문단(凡文壇)-산학(産學)클러스터 조성, 지역문화프로그램 접목, 그리고 세방화(世方化,glocalization) 전략 등을 들었다. 사이버문학관은 기존 오프라인 문학관의 내용 및 운영에서 드러난 여러 가지 문제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문구 사이버문학관은 이를 위한 풍부한 콘텐츠를 내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매체전략의 시험대가 될 것이다. This study was launched on to examine requirements to promote, preserve, and rediscover Lee Mun-Gu’s literature, within a digital space of the current digital age. Accordingly the study was to examine methods of constructing and utilizing a cyber space in which literary and cultural appreciation is promoted, culture and arts are well preserved, and simultaneously, more people can visit and entertain themselves. In addition potentials of such cyber space functioning as a medium were also examined. Far from encouraging a mere boom-up effect, it was to present a cyber literature house of Lee Mun-Gu as a workshop space of the practical and substantial literary scene, to provide literary, creative, and life long education as well as to vitalize the local culture. Literary world of Lee Mun-Gu provides substantial amount of culture contents. Respecting author’s intentions as well as enabling a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a new media strategy, the cyber literature house, was considered as the most suitable format. Thus a method to maintain a sustainable and lively cyber literature house was proposed in this study as follows. Suggested were composition and model of the cyber literature house based on the humanities contents, a cluster of ‘pan-literary and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as a specific standard and strategy, convergence with local cultural programs, and a strategy for glocalization. The cyber literature house is expected to solve various problems of the management and contents of the conventional ‘off-line’ literature house. Lee Mun-Gu cyber literature house in particular contains rich contents for a dynamic composition, hence functioning as an experimental site of the new media strategy.

      • KCI등재

        근대 작문의 계보와 이태준의 『문장강화』

        구자황 ( Ja Hwang Gu ) 한민족어문학회 2015 韓民族語文學 Vol.0 No.71

        이 글의 기본 관심사는 『문장강화』의 텍스트 체재와 특장점 그리고 그것을 둘러싼컨텍스트 탐색이다. 이태준의 『문장강화』(1940)는 근대 작문의 형성 전반에 걸쳐 제국과 식민지 간의 치열한 언어·문화적 횡단과 경합을 내포하고 있는 문제적 텍스트이다. 이글에서는 이태준의 조선어 글쓰기가 한국 근대 작문의 형성에 이르는 과정과 양상을 통해 한국 근대 작문에 대한 계보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지적되어왔듯, 『문장강화』는 일본의 작문서를 참조하고 있으며, 일본근대 작문의 중역(重譯)에서 자유롭지 못했던 정황을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이태준의 『문장강화』는 일본 근대 작문의 방법(학)과 각종 체재의 참조 아래 조선어 문장 수립을 독자적으로 설계해갔다는 점이 인정된다. 예문의 구체성과 방법의 실제를 구현한 『문장강화』는 식민지 시대의 공교육이 조선어 문장의 확립과 그 문학적 표현 규범을 마련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나왔다는 점, 조선어 문장의 준거와 성취를 일관되게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본의 저작이나 기존의 독본과는 구별되는 지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태준의 『문장강화』는 기존의 문학사적 평가 외에 언어·문화적 횡단과 경합의 장에서, 특히 한국 근대 작문의 계보와 근대적 글쓰기의 집성이라는 관점에서도 정당한 평가를 받을 권리가 있다. 이 글에서는 『문장강화』의 특장점 및 서술전략으로 구체성과 실제성을 들었다. 구체성은 일반 독자층에게 읽는 문범에서 쓰는 요령을 제공해줄 뿐만 아니라 독본이 텍스트의 나열만으로 전달해주던 행간의 의미를 채워준다는 점에서 『문장강화』의 주된 서술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자의 눈높이를 고려하는 서술 전략은 일반 독자들로 하여금 작문 과정의 이해를 돕고 요령 습득의 지름길로 안내함으로써 『문장강화』의 대중성을 공고히 하였다. ‘퇴고’ 관련 논의는 전형적인 사례이며, 오늘날의 글쓰기 교육에서 전통적인 수정 전략으로 채택할 만큼 자세하고 적실한 논의 수준을 보여준다. 실제성은 기존의 독본과 달리 형식-언어의 작문학적 배치와 설명을 전경화(前景化)하고, 내용-주제의 문학적 배치를 후경화(後景化)하는 가운데, 편지, 기사, 추도문 등의 실용적 양식은 물론띄어쓰기, 문장 부호에 이르는 디테일을 제공한다. 이것은 텍스트의 곳곳에 개성과 교교불군(矯矯不群)의 문학적 글쓰기를 끊임없이 강조하는 것과 함께 일반 독자들의 실제적 쓰기 욕망 너머에 ‘문학중심의 작문강화’를 배치함으로써 조선 문인들의 숨은 욕망을 성취하고자 했던 『문장강화』의 서술전략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태준의 『문장강화』는 신문학의 물질성을 토대로 성취한 근대 조선어 글쓰기의 결절점(結節點)을 보여준다. 동시에 근대 작문과 문학이 한 뿌리의 두 가지로 추구했던 사회적·문화적 실천의 텍스트이다. 더욱이 해방 전후를 관통하면서 이 텍스트의 계보학적 위상과 의미는 증폭되었으며, 오늘날까지도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따라서 이글은 『문장강화』가 근대 초기의 다양한 독본과 교과서 및 작문서를 상업적 목적으로 집대성한 것에 그치지 않는다는 의미, 단행본 텍스트 안에서 논리적 모순에 봉착해 있다는 비판너머에 놓인 의미를 결론으로 강조하였는바, 그것은 『문장강화』가 잡지 연재에서 비롯되었으나 단행본으로서의 ‘완결성’을 갖추고 있으며, 산문(散文) 본위의 조선어 문장 작법을 초점화했다는 점에서 ‘독자성’을 인정할 수 있고, 이전의 독본(讀本) 모형을 정교하게 다듬고 풍부하게 확장함으로써 근대 작문의 ‘전통성’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이다. The basic concern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xt systems, characteristics, and advantages of Lectures on Sentences and the contexts surrounding them. Lectures on Sentences(1941) by Lee Tae-jun is a problematic text to connote the fierce linguistic and cultural crossing and competition between the empire and the colony throughout the overall formation of modern writing.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genealogical research on the modern writing of Korea through the process and pattern of Lee``s writing in Joseon language moving toward the formation of modern writing in Korea. As previous studies pointed out, his Lectures on Sentences consulted some Japanese writing books and reflected the situation of no freedom from the retranslation of modern Japanese writing in a broad sense. However,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his Lectures on Sentences independently designed the establishment of sentences in Joseon language by consulting the methods(methodologies) and all sorts of systems of modern Japanese writing. Lectures on Sentences, which realized the specificity of example sentences and the reality of methods, clearly has some differentiating points from Japanese writing and the old basic readers in that it was published when public education had difficulties with establishing sentences in Joseon language and setting norms for their literary expressions during the colonial days and that it consistently emphasized the criteria and achievements of sentences in Joseon language. It, therefore, deserves fair assessments in the venue of linguistic and cultural crossing and competition and especially in the perspectives of Korean genealogy of modern writing and the compilation of modern writing as well as the old assessments in the literary history. The present study cited specificity and reality as parts of characteristics, advantages, and narration strategies of Lectures on Sentences. Specificity is a major narration strategy of the book in that it offers the know-how of model composition to general readers and also fills up the meanings between the lines, which used to be conveyed only through the enumeration of texts in basic readers. That narration strategy, which considered the level of learners, helped common readers understand the writing process and guided them through the shortcut of obtaining know-how, thus solidifying the popular appeal of Lectures on Sentences. Its discussions about “revision” present a typical case and show such detailed and desperate level of discussion that it can be adopted as a traditional revision strategy in today``s writing education. As for reality, it, unlike the old basic readers, moved the writing arrangement and explanation of form-language to the foreground and the literary arrangement of content-theme to the background and offered details about spacing and sentence marks as well as practical forms including letters, articles, and memorial writings. It derived from the narration strategy of Lectures on Sentences, which tried to fulfill the hidden desire of Joseon``s literary figures by constantly emphasizing the literary writing of individuality and Gyogyobulgun everywhere within the text and placing “literature-based lectures on writing” over the desire for practical writing among common readers. Lectures on Sentences by Lee Tae-jun shows the nodes of modern writing in Joseon language based on the materiality of new literature and, at the same time, is a text of social and cultural practice sought after by modern writing and literature from a single origin. Furthermore, its genealogical status and significance amplified before and after Liberation with its influences remaining even today. The present study thus stressed as a conclusion the meanings beyond the criticisms that it was nothing but a mere compilation of various basic readers, textbooks, and writing books in the early days of modern times for commercial purposes and that it faced a logical contradiction within the text. The study highlighted that it had “completeness” as a book even though it started as a series in a magazine, could have its “independence” recognized by focusing on the prose-based sentence writing in Joseon language, and contributed to the “traditionality” of modern writing by refining the models of old basic readers in a sophisticated manner and expanding them in a rich fashion.

      • KCI등재
      • KCI등재

        성장소설과 청소년 문학의 가능성

        구자황(Gu, Ja-hwang) 우리문학회 2012 우리文學硏究 Vol.0 No.37

        이 글은 성장소설을 활용한 문학교육의 실태를 점검하고, 청소년 문학의 교육 정전으로서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2007 개정 교육과정 이후 국어?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성장소설은 제재가 다양해졌다. 주제 역시 역사, 가족을 다루던 단조로움에서 벗어나 개인의 내면적 갈등, 이성에 대한 사랑, 당대 사회에 대한 비판 등 다양한 현실인식을 보여준다. 그러나 교과서의 단원 구성이나 학습활동 측면에서 볼 때, 경험, 성찰, 갈등의 양상이 성장의 맥락과 본격적으로 연계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성장소설이 교육 정전으로 제대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청소년 문학의 정체성과 독자성에 대한 논의가 선행되어야한다. 이 글에서는 카르스텐 간젤(Carsten Gansel)의 개념을 원용하여, 의도성? 특수성?수용성을 변별적 자질로 하는 청소년 문학의 개념을 수립한 후, 비허구적 텍스트의 총체까지 포함하는 청소년 문학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특히 청소년 문학의 활용방안으로 교과서와 함께 제공하는 도서목록의 강화, 다양한 주제를 확장?수용하기위한 외국 성장소설의 활용 등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글에서는 현행 교과서 검정제도를 해체하는 것보다 교육 정전의 내포와 외연을 확장하면서, 그 안에서 청소년 문학을 포함한 문학교육프레임을 재구성함으로써 교과서의 질을 높이고, 다양화하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보았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literary education with bildungsroman and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youth literature as the education canon. There should be discussions about the identity and independence of youth literature so that bildungsromans can be implemented properly as the education canon in and outside textbooks. By employing the concept of Carsten Gansel, this study established a concept of youth literature with purposefulness, uniqueness, and acceptability as discriminating qualities and raised a need for youth literature containing even the whole non-fictional texts. The study particularly emphasized the utilization and significance of foreign bildungsromans in order to suggest a reading list as a way to utilize youth literature and expand and accept various topics. Finally, it seems more realistic to extend the connotation and denotation of the education canon and enhance the quality of textbooks and diversify them by reorganizing the frame of literary education to include youth literature rather than discarding the current textbook authorization system. Through the process, a textbook system will be established toward the recognition system and further free publication system. It is time to make conscious efforts to break down boundaries between literature inside textbooks and literature outside textbooks through the horizon of youth literature around bildungsromans and to narrow down the difference as much as possible.

      • KCI등재

        수정과 피드백이 글쓰기에서 동인(動因)이 되는 방식을 위한 탐구

        구자황(Ja-hwang Gu) 어문연구학회 2008 어문연구 Vol.56 No.-

          Revision and feedback create a place to meet with the writings of the learners and communicate with their inner worlds. Revision doesn"t just refer to revising a draft by rearranging phrases, correcting a mistake. or improving the vocabulary choices. It"s a very "creative job" that should be connected to feedback on its extension. Thus it"s critical to approach revision and feedback from the perspective of developing thinking abilities to organize meanings and to implement them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of thinking. Communicating with the text and the reality beyond the text, they should be able to completely reflect and create the "creative force" of writing.<BR>  From the perspective that writing was the best way in writing education and that revision and feedback were the essential methods to decide the writing quality even though they didn"t guarantee the best result,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with regard to revision and feedback. It pointed out that the essence of revision and feedback was not quantity but quality and that it"s necessary for revision and feedback to have a minimal "manual" considering strategies, principles, and tools. It"s also noted that revision and feedback were not overall, one-sided delivery of knowledge but "conversational interactions."<BR>  There are two ways to more activate revision and feedback and to materialize them as the motives of writing education ; the first one is to develop tools to vitalize revision and feedback and expand and reinforce programs to connect them with classes. And the other one is to set up a devoted agency of independent status to the overall aspects of writing education and study in connection to actual classes and establish a regular system for revision and feedback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agency.

      • KCI등재

        근대 교과서와 기행문 성립에 관한 연구 -일제 강점기 조선어 교과서에 나타난 명승고적을 중심으로-

        구자황 ( Ja Hwang Gu ) 한민족어문학회 2015 韓民族語文學 Vol.0 No.69

        이 글이 주목한 것은 근대 교과서에 등장하는 이른바 명승고적(名勝古蹟)의 근대적 변용과 그 의미이다. 일제 강점기 조선어과 교과서와 동시대 민간 독본에 나타난 특정 지역이나 장소를 통해 교과서가 공간을 수용하는 방식 및 그것이 갖는 문화사적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 과정에서 근대적 장르로서의 기행문이 성립되는 과정을 살폈다. 백두산은 근대 초까지만 해도 크게 주목 받는 공간이 아니었다. 한일병탄 이후, 제국의 심상지리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조선의 정치 공동체가 근대적 상징체계로 불러낸 것이다. 이 시기 국토와 기행에 대한 문예공론장의 관심은 조선시대부터 내려온 ‘산수유기(山水遊記)’, ‘유산기(遊山記)’의 변용을 유행시켰고, 마침내 근대적 지리 관념 및 언론.교통의 발달을 토대로 상상된 정치 공동체의 미의식을 구현하기 위해 ‘기행문’이라는 신어가 만들어졌는바, 교과서는 이를 새로운 문종으로 적극 수용하였던 것이다. 일제 강점기 조선어 교과서에 수록된 명승고적과 이에 대한 인문지리적 사유 방식은 편찬 주체에 따라 양상이 달라졌다. 총독부가 펴낸 관찬 교과서는 단군과 백두산을 철저히 은폐하는 대신 의도적으로 금강산을 부각시켰다. 근대적 교통망을 홍보하는 한편, 관광을 매혹적으로 선전하면서 제국의 심상지리와 문명화를 체현하는 수학여행이 교과과정으로 적극 권장되었다. 반면 민간 독본에서는 단군과 백두산을 적잖이 언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명승 고적과 관련된 단원이 많다. 실제 교과서를 보면, 이러한 양상은 기행문의 형태로 수용되었는데, 학습자의 집단적 정서를 체험하도록 하는 한편, 민족의 현실과 비애, 나아가 역사 혹은 미의식을 서술하는 방식이 부각된다. 특기할 것은 관찬 교과서가 민간 독본의 제재, 단원, 문종을 의식하면서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했다는 점이다. 관찬 교과서와 민간 독본의 구성 원리는 유사한 점이 많다. 하지만 기행을 매개로 한지리, 장소에 관한 서술과 이를 사유하는 인문지리적 서술방식은 엄연한 차이를 보이는데, 때로는 양측의 교과서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때로는 조선 독자들을 대상으로 경합하는 장면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modern transformations of the scenic spots and places of historic interest found in the modern Korean textbooks and also their meanings. The study examined the ways that the modern Korean textbooks compiled by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reading books accepted and thought of certain geographies and places or spaces and their meanings, looking into the nature of literature and travel(essays) formed and differentiated in the process. Mt. Baekdu did not garner much attention until the early modern times. After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the colonial intellectuals had the discourses of Joseon Tongsa and cultural nationalism in response to the imagined geography of the empire, and those discourses made Mt. Baekdu emerge as a modern symbolic system. They created a new expression of “travel(essays” to transform the old “Sansuyugi” and “Yusangi” and implement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a modern nation-state based on the modern geographic concepts and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The textbooks actively accepted it as a new literary genre. There were similar and different patterns in the scenic spots and places of historical interest included in the textbooks during the Japanese rule and also the ways of thinking of their spaces. The textbooks compiled by the government put a thorough ban on Dangun and Mt. Baekdu and intentionally highlighted Mt. Geumgang. Processing sightseeing to be attractive based on the modern traffic network and allowing the students to personify the imagined geography and civilization of the empire, school trips were actively recommended as part of the curriculum. The private reading books mentioned Mt. Baekdu a lot and contained many units related to places of historic interest such as Mt. Geumgang. They had the students experience the collective sentiment in the actual units of textbooks and highlighted ways of describing the reality, grief, history or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people. That was the way they stood against the imagined geography of the empire or possessed it exclusively through geographies and places. It is interesting that the textbooks compiled by the government were conscious of the materials, units and literary genres in their private counterparts and actively accepted them. Although the textbooks compiled by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reading books had different principles of composition, they exchanged influences and competed against each other in the ways of describing and thinking of geography and space via travel.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재의 구성에 관한 일고찰

        구자황(Ja-hwang, Gu) 어문연구학회 2012 어문연구 Vol.74 No.-

        이 글에서는 주요 대학 교재에 나타난 구성 체제의 특징을 토대로 중등 교육과정의 쓰기 교육과 변별되어야 할 대학 글쓰기 교재의 구성 요소를 검토하였다. 이어 대학 글쓰기 교재의 구성 원리 및 관련 사항을 논의하였다. 교재 구성의 체제는 필수/중핵 영역과 선택/심화 영역을 각 대학이 표방하는 교육 이념과 목표에 따라 유연하게 설계하는 방식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대학의 교양교육 체제에서 글쓰기 관련 심화ㆍ연계 과목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또한 글쓰기 교재의 구성 원리에서는 통합적 쓰기의 문제가 핵심이다. 사실상 읽기 교재에 가깝거나 텍스트 중심의 글쓰기를 극복하는 교재여야 한다. 따라서 읽기와 쓰기의 연계 원리가 모호하거나 불철저하게 구현되고 있는 교재의 한계를 넘어 ‘사회 문화적 맥락’, ‘독자 환경’, ‘담화 공동체적인 특성’을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통합적 쓰기를 고민할 시점이다. 평가의 문제, 읽기 자료의 다각화 및 정교화 논의 역시 이런 맥락에서 언급하였다. 과다한 이론과 유형을 담고 있는 현행 고등학교 독서ㆍ작문 교과서의 내용 체계는 현실적으로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화법, 작문, 독서, 문법의 각 영역 간 연계와 심화 역시 요구된다. 아울러 고등학교에서의 글쓰기 및 학습활동이 주로 모둠 활동 및 역할 분담 형태로 진행되는 점을 감안하면, 대학의 글쓰기는 개인별 글쓰기가 강화되어야 한다. 고등학교의 읽기가 부분을 수록하거나 파편적 읽기로 제시될 수밖에 없는 형태이기 때문에 대학에서는 긴 호흡의 읽기, 나아가 하나의 완결된 텍스트 전체를 대상으로하는 읽기, 그리고 읽기와 쓰기를 연계한 학술적 담화공동체의 통합적 글쓰기로 정향(定向)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essential areas or elements for the organization of a teaching material for college writing, reviewed its components that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writing education in the secondary curriculu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major college teaching materials in terms of organizational system, and discussed the organizational principles and concerned matters of a teaching material for college writing. The organizational system of a teaching material should flexibly design the required/core areas and elective/enrichment areas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ideologies and objectives of each college. Essential to that is the development of enrichment and connection courses related to writing in the college system of liberal education. The core of the organizational principles of a writing teaching material is integrated writing. A teaching material should actually be close to a reading teaching material or help to overcome text-based writing. It is time to contemplate integrated writing to actively consider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readers’ environments,” and “discourse community characteristics” beyond the limitations of teaching materials in which the connection principle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are vague or embodied incompletely. It was in that context that the study discussed the issue of evaluation and the diversification and sophistication of reading materials. The current high school reading and composition textbooks should be reorganized in their content systems realistically as they contain an excess of theories and types. It is also required to achieve connection and enrichment among the narration, composition, reading, and grammar domains. Considering that writing and learning activities usually take place in the forms of group performance and role division in high school, individual writing should be reinforced in college. Since high schools cannot help offering only partial and fragmentary reading, colleges should be oriented towards long-breath reading, reading the entire texts, and integrated writing in an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based on connection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 KCI등재

        해방기 독본 문화사를 보는 시각

        구자황(Gu, Ja-Hwang) 우리문학회 2017 우리文學硏究 Vol.0 No.56

        이 글의 목적은 해방기 출판 및 독본 문화의 한 장면을 실증적으로 복원하고, 그 의미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새로 발굴한 위정(爲正) 신영철(申瑛澈)의 『신문장강화(新文章講話)』(1950.2)를 소개하고, 편찬 과정 및 성격, 특성 등을 규명함으로써 해방기 독본의 계보와 위상에 관한 시각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신문장강화』는 해방기 새로운 주체와 환경을 기반으로 대중적 눈높이에 맞게 쓴 독본 텍스트이다. 『신문장강화』는 글쓰기 이론 및 기술에 해당하는 〈문리편(文理篇)〉과 각종 문장의 갈래와 동서양의 산문 전통을 설명한 <문장편(文章篇>을 나누어 구성하였다. 이 독본 텍스트의 본질은 이론과 실제를 겸비한 문장론 구축이며, 해방기 자료 위주로 문범을 구성한 당대성(contemporaneity)에 있다. 특히 신영철의 『신문장강화』는 당시 이태준의 『문장강화』가 갖고 있던 권위와 ‘상징권력’, 그리고 문학 중심의 미문주의(美文主義)와 선명하게 대별되는 지점에 있다. 비문학 중심의 언어심리학과 실용주의 작문관을 표방함으로써 해방기 독본 문화사의 다층성을 보여준다. 신영철의 『신문장강화』가 표방한 ‘새로움’, 즉 ‘新’의 의미는 해방기를 가로지르는 언어 주체로 ‘청년’을 호명한다는 점이다. 해방기 언어 주체를 청년으로 대표 호명하고, 국민적 교양 수준에 맞는 전작(全作) 독본 텍스트를 기획․편찬한 것이 『신문장강 화』이다. 독본 문화사의 계보로 보자면, 신영철의 『신문장강화』는 이윤재의 『문예독본』, 이태준의 『문장강화』보다 최남선의 『시문독본』 쪽에 가깝다. 근대 초기 최남선이 추구했던 ‘시문체(時文體)’에 대한 문제의식은 일제 강점기 신문학의 성과를 토대로 이윤재, 이태준에 의해 ‘문학어’를 상상하는 독본 및 강화로 나타났다가 해방 후 신영철에 와서 다시금 ‘민족어’에 대한 열망으로 되살아나는 궤적을 보인다. 『신문장강화』가 보여준 체제나 구성 원리는 현대의 문장론이나 교양서 수준의 글쓰기책과 크게 차이 나지는 않는다. 오히려 외국이론의 도입으로 기술적이며, 기능적인 요소들이 강화되었다 뿐이지 오늘날의 글쓰기책은 한국 재래의 문장론 전통, 언어심리학, 사회문화적 맥락에 대한 고려가 오히려 후퇴한 듯하다. 그러므로 이론과 방법의 바탕은 다소 거칠지만 새로운 말과 글을 향한 열정의 텍스트, 『신문장강화』의 고투(苦鬪)를 기억할 필요가 있다. 신영철이 추구했던 문장론의 과학성, 그가 바라마지 않았던 진실한 사상의 글쓰기는 이제 현대 작문학이 고스란히 감당해야할 책무라 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restore a scene from the publication and basic reader culture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nd investigate its meanings.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introduced the newly discovered Shinmunjangganghwa(February, 1950) by Shin Yeong-cheol and examined its publication process, system, and characteristics, trying to broaden the view of basic readers’ genealogy and statu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Shinmunjangganghwa was a book of culture for new people and sought to be a writing book for the public, it consisted of the Context, covering writing theories and techniques and Sentence, explaining the various types of sentences and the prose traditions of East and West. The essence of this basic reader text was to establish a system of sentence theories and practices, and it achieved contemporaneity by presenting model compositions based on contemporary materials. In addition, it represented non-literature-based practical writing against the backdrop of a literature-based elegant prose principle and literary writing in which Lee Tae-jun’s “symbolic power” operated. In the genealogy of basic reader culture, Shin’s Shinmunjangganghwa is closer to Choi Nam-seon’s Shimundokbon than Lee Yun-jae’s Munyedokbon and Lee Tae-jun’s Munjangganghwa․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of the “current style of writing” sought after by Choi Nam-seon in early modern times was followed by basic readers and lectures intended to imagine a “literary language” by Lee Yun-jae and Lee Tae-jun based on the achievements of new literature during the Japanese rule and then by Shin Yeong-cheol’s aspiration for a “national language” after Liberation. The meanings of “newness” as advocated in Shin’s Shinmunjangganghwa can be summarized as the new language environment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with youths as a subjects of the new environment; the original basic reader text at the national culture level was represented by youths. Its orientation toward “practical writing” is fundamentally opposite to the “literary writing” sought after by Lee Tae-jun’s Munjangganghwa and one of the clear signs of “newness” as advocated by Shin.

      • KCI등재

        교과서의 발견과 국민ㆍ민족의 배치

        구자황(Ja-hwang, Gu) 어문연구학회 2011 어문연구 Vol.70 No.-

        교과서의 등장은 교육 당국의 정책과 이념을 실제 텍스트로 구현하고, 표준적 지식을 보급ㆍ재생산한다는 점에서 근대적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근대적 교과서의 출현은 교육을 통한 권력 및 제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글은 근대 전환기 교과서를 통해 조선과 일제가 어떤 국민ㆍ민족을, 어떤 방식과 의미로 호명했는지 살펴보았다. 근대 전환기 국민과 민족의 개념이 배치되는 과정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교수ㆍ학습의 주체들이 국민을 호명하는 방식과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국민ㆍ민족을 둘러싼 담론이 길항ㆍ교섭하는 양상과 의미를 파악하기 위함이었다. 이를 위해 본격적인 일제의 식민지배 이전에 개발한 3종의 교과서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조선 최초의 근대 교과서였던 『국민소학독본』(1895)과 일본의 교과서 체제 및 편집 기술이 수용된 『신정심상소학』(1896), 그리고 근대 사립학교 교과서인 『고등소학독본』(1906)이 그것이다. 그 결과, 근대적 학제와 교과서 제도가 마련되면서 실제 텍스트에서는 국민 혹은 민족 담론이 대립과 혼종의 양상을 연출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조선적 시선이 관철된 텍스트의 경우, 편집 및 개발 주체의 양가적 가치가 길항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일제의 학정 잠식 혹은 지배적 시선이 개재된 텍스트의 경우, 일본의 근대지를 번안ㆍ이식하면서 식민 지배를 위해 ‘정형화 작업’이 진행되었음이 드러났다. 이는 국어 교과서의 교과 목표, 체제, 문종, 제재 등이 수립되는 과정과 동시에 진행되었다. 일제의 입장에서 보면, 조선어 교과와 교과서는 의사전달을 위한 도구가 아니라 최소한의 문해력을 전제로 국체 인식과 국가의 이념을 위한 수양과 단련의 매체였다. 반면 식민지 조선인에게 교과서란, 최소한의 문해력은 물론 근대지의 세례를 경험하고, 나아가 비판적 문해력과 계몽서사를 전유할 수 있는 매체였다. 조선의 학부가 역사와 인물(위인)을 호명해서 국민과 민족의 이미지를 구축했듯이, 일제는 충량한 신민을 창출하기 위해 일본의 역사를 들어와 새로 쓰고, 조선의 과거를 활용해서 덮어쓰기를 시도하였던 것이다. 이렇듯 근대 전환기 교과서는 각각의 입장에서 새로운 역사쓰기와 국민 창출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창(窓)이었던 셈이다. The emergence of textbooks claims certain modern significance in that they set out to implement the policies and ideologies of educational agencies in real texts and distribute and reproduce standard knowledge, which means the emergence of modern textbooks was closely related to power and institution through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textbooks from a modern transitional period to understand in what ways Joseon and the ruling Japanese called which people and race. It also empirically examined the process of deploying the concepts of nation and people and identified the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of teaching and learning calling the nation during a modern transitional period in order to understand the patterns and meanings of discourses on nation and people competing against and negotiating with each other. Analyzed in the study were three kinds of textbooks developed before the full-blown colonial ruling by Japan they were 『Gukminsohakdokbon』(1895), which was Joseon’s very first textbook, 『Sinjeongsimsangsohak』(1896), which embraced Japan’s textbook systems and edition techniques, and 『Godeungsohakdokbon』(1906), which was a textbook for private schools.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introduction of modern education and textbook systems led to the confrontation and confusion of discourses on nation and people in real texts. Especially, the texts where Joseon’s perspectives were applied showed the ambivalent values of the subjects of edition and development were competing against each other. The texts where the ruling Japanese’s perspectives of encroaching upon or dominating Joseon’s educational system demonstrated that they engaged in the “stereotyping operation” for colonial ruling by translating and implanting Japan’s modern knowledge. It happened simultaneously with a process of establishing the objectives, systems, literary schools, and subject matters of Korean textbooks. The ruling Japanese saw the Korean subject and textbooks as a medium of cultivation and training for the perception of national polity and the ideology of nation based on the premise of minimal literary rather than a tool of communication. On the other hand, the Joseon people tried to utilize them as a medium not only to obtain minimal literary, but also to experience the benefits of modern knowledge and exclusively possess critical literary and enlightening narrative. As the Joseon faculties called history and figures(great men) and established an image of nation and people, the ruling Japanese attempted to rewrite with Japan’s history and cover and write with Joseon’s past in order to produce loyal subjects for Japan. In a modern transitional period, the textbooks were windows for the two sides to demonstrate their new history writing and creation of nation.

      • KCI등재

        문학교육에서 바라본 일제강점의 기억과 체험 : 일제강점기 제도권 문학교육 -교과서와 민간 독본의 양상을 중심으로-

        구자황 ( Ja Hwang Gu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1 문학교육학 Vol.34 No.-

        Although there had been several changes to the educational policies around the Educational Ordinances by the ruling Japanese, the one unchanged basic foundation throughout the period was "making compliant subjects" out of the ruled with the Japanese educational basis of "utility" and "simplicity" at the root. That is, the ruling Japanese made textbooks in the minimal practical and cultural level in order to make compliant colonial subjects out of the ruled even through the people of colonized Joseon had comprehensive desire for modern knowledg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yles and background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aesthetic circuits in the mainstream literary education through the official textbooks published by the ruling Japanese and the writing materials published by the Japanese faculty. It noticed that the latter made use of literary materials, sought after literary skills, and searched for a need for literary education. The latter took different directions while their styles were somewhat similar to those of the textbooks during the Japanese rule, which was clearly contrasting against the official textbooks being trapped in the route to mass produce compliant subjects through the "elimination of literature" and thus in the magnetic field of "average literary skills." Writing in Joseon Language in Secondary School(1928), which was a writing textbook in secondary school, clearly displayed the features of literature or literary education. It succeeded the lineage of language nationalism by reflecting the contemporary revival movement of Shijo and put a consistent emphasis on individual expressions, specific actual feelings, and the meanings of individuality. The ultimate goals of the book, which covered activities to understand ego and the world through writing and individual writing, were "critical literary skills" and further "literary abilities" beyond "average literary skills." Study Book for Writing in Joseon Language(1931) was a teaching material for writing in Joseon language for primary school students and usually presented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in the pursuit of creation and appreciation. In the book, "creation" was another word for expression. It illustrated that creation was expressing one`s thoughts and feelings truly in writing rather than verbally and that it was individual and literary writing. "Appreciation," which was another core element emphasized in the book, was an effective way to train oneself in individual and literary writing and a preliminary stage. During the Japanese rule, the mainstream literary education shared asynchrony with the official textbooks, the basic readers from the private sector, and even the countless Cheokdoks outside school in hybrid or competing patterns. The Japanese educational ideology, however, advocated "utility and simplicity" and "average literary skills" and directed textbooks toward the routes of culture and practical use, thus alienating literature. The textbooks related to writing of the times require attention in many ways since they developed problematic consciousness of literary masters and materials, were made by Joseon teachers, and were taught in the mainstream. As the critical views of the world and the needs for affective and aesthetic consciousness were reflected in textbooks, the writing books(or study books) that were another form of "Basic Reader" built aesthetic circuits through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