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낱말 풀이를 통해 본 존재론적 차이

        구연상 ( Gu Yeon-sang ) 한국하이데거학회 2009 존재론 연구 Vol.19 No.-

        이 글의 목적은 하이데거가 말하는 “존재론적 차이”의 본질 유래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우리는 먼저 차이의 의미를 분석한다. 이때 분석(分折)한다는 것은 칸트적 의미에서 어떤 것을 그것의 본질 내지 근원에로 되돌려 주는 것을 말한다. 다음으로 우리는 또한 존재론의 의미도 나름대로 한정하고자 한다. 존재론이 존재에 대한 학문을 뜻하는 한, 그것은 “형이 상-학”을 일컫는다. ‘자연 너머’에 대한 학문으로서의 “메타-피직”이 자연과 그 너머의 구별, 즉 존재자와 존재의 구별에 터하는 한, “형이상-학”의 본질을 밝혀내는 일은 존재론적 차이의 본질 유래를 해명하는 것과 같다. 나는 존재론적 차이의 종류를 밝히기 위해 선행적으로 플라톤과 헤겔의 존재론을 분석한다. 그로써 우리는 존재론적 차이가 근거의 관점에서 이해되어 왔다는 하이데거의 주장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나는 하이데 거가 존재론적 차이의 본질 유래에 대한 이름으로 제시했던 “아우스트락(der Austrag)”의 의미를 풀이해 본다. 그 과정에서 “아우스트락”의 번역어 “내어나름”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새로운 옮김말 “날라내기”를 대안으로 제시해 본다. Der Zweck dieses Artikels liegt darin, um die Wesensherkunft von der ontologischen Differenz herauszufinden. Zu diesem Zweck mussen wir erst einmal analysieren die Bedeutung der Differenz. Das Analysieren besagt im Sinne von Kant das, etwas von der Quelle zu erklaren, von der es herkommt. Weiter wollen wir auch begrenzen den Sinn der Ontologie. Die Ontologie als die Wissenschaft vom Sein ist von der Strutur der Onto-Theo-Logik(Metaphysik) charakteriesiert. Um zu erklaren den Ursprung der ontologischen Differenz will ich fragen nach das Wesen der Metaphysik. Ich analysiere die Ontologie von Platon und Hegel, um die Art der ontologischen Differenz zu unterscheiden. So konnen Wir verstehen besser die Behauptung von Heidegger, daß die ontologischen Differenz wird im Hinblick auf den Grund(Logos) verstanden. Ich interpretiere den Austrag, den Heidegger den Namen der Wesensherkunft von der ontologischen Differenz heiBt. Schließlich denke Ich das Problem der koreanischen Ubersetzung von den Austrag.

      • KCI등재

        글쓰기의 목적과 사무침

        구연상(Gu Yeon-Sang) 새한철학회 2009 哲學論叢 Vol.55 No.1

        이 논문은 일차적으로 글쓰기 제도에서 추구된 글쓰기 목적과, 그것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된 글쓰기 이론들에서의 글쓰기 목적을 분석한다. 제도적 글쓰기가 주로 '바른 문장쓰기'를 표면적 목표로 내세우고 있긴 하지만, 그렇다고 글쓰기의 본래 목적이 뜻의 전달에 놓인다는 점을 부정하지는 않는다. 대안적 글쓰기 이론, 고전 수사학이나 신수사학, 그리고 19세기 조선의 달의론(達意論) 등도 이 점에서는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그러나 뜻의 전달이라는 목적 규정은 글쓰기의 실제를 제대로 담아내지 못한다. 글쓰기는, 한 마디로 말하자면, 자신의 사무치는 바를 함께 나누려 하기 위한 것이다. 사무침의 사태는 글을 쓰는 사람이 글을 쓰기 위해 반드시 자기와 대화해야 한다는 단순한 사태에서 드러난다. 글을 쓰기 위해서 글쓴이는 스스로의 생각을 묻고, 스스로의 경험을 길어 올리고, 스스로의 지식을 끊임없이 참조해야 하며, 스스로에게 솔직해지기 위해 애를 써야 한다. 이렇게 자신의 경험 전체에서 길어내어 말글로써 풀어낼 수 있는 것을 일러 "사무치는바"라고 말할 수 있다. 글쓰기는 스스로에게 사무친 바를 글로써 드러내어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하려는 행위이다. 사무침은 말이나 글을 통해 서로의 뜻이나 생각뿐만 아니라 느낌이나 기분과 같은 것까지 함께 나누는 방식의 소통을 일컫는다. 글쓰기의 근본 목적은 '사무침 함께 나누기'에 놓인다. In this paper I will analyze primarily the purpose of writing, that in the current system of writing and in the alternative theories of writing have been persued. 'The goal of the existing writing is to write right sentence, whereas the new assertions of writing are mainly concerned with the communication of means. So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e existing writing is also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o give all around the meaning in the sentence. The rhetoric, that is the art of using language effectively and persuasively, has not opposed the purpose of writing, that the 19th-century daluiron(达意论, the theory of conveying the meaning) had also claimed. In this essay I argue that the fundamental situation in writing based on the "Samuchim.". I assert that it is the fundamental purpose of writing. When we start to write, we must try to fall into conversation with ourselves. The writer questions oneself "what I think about the issue", and he should be constantly honest. Writing itself is an act to convey the expression of Samuchim to other person. In Samuchim-writing we communicate with thinking and feeling or mood each other. The opposite of Samuchim is Being-deafened. When yon are deafened in communication, you can not understand each other. The purpose of writing is based not only on the right sentence but also on the Samuchim.

      • KCI등재

        메타버스(Metaverse)의 우리말 뜻매김

        구연상 ( Gu Yeon-sang ) 한국동서철학회 2022 동서철학연구 Vol.- No.103

        이 글은 잉글리시 낱말 메타버스(Metaverse)를 우리말 ‘너머나라’로 뜻매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로 메타버스에 대한 일반적 의미를 알아볼 것이다. 메타버스는 흔히 ‘초월 우주’로 설명되거나 ‘현실과 가상세계의 융합’으로 규정된다. 둘째로, 메타버스라는 낱말의 짜임새를 밝혀볼 것이다. 메타버스는 메타피직(metaphysics)이 ‘자연을 넘어서는 일’로 해석될 수 있듯이 ‘유니버스를 넘어서는 일’로 여겨질 수 있다. 셋째로, 메타버스의 있음 방식이 어떠한지를 살펴볼 것이다. 메타버스는 데이터 센터와 클라우딩 시스템 그리고 인터넷 등 디지털 기술로 구축되는 3D 공간으로서 사람에게는 오직 ‘디지아나(DigiAna) 방식’으로만 나타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람들이 메타버스에서 살아가는 모습들을 그려볼 것이다. 메타버스는 SNS나 의사소통을 넘어 게임, 회의, 공연, 전시, 업무 협업 등의 갖가지 넘어살이가 모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논의 과정을 거쳐 마침내 메타버스는 ‘넘어살이를 위한 디지아나의 나라’, 한마디로 말해, ‘너머나라’로서 뜻매김될 수 있다. This article intends to define the English word Metaverse as the Korean word ‘go beyond’. To this end, first, we will look at the general meaning of metaverse. Metaverse is often described as a ‘transcendent universe’ or is defined as the ‘convergence of reality and thevirtual world’. Second, we will reveal the structure of the word metaverse. Metaverse can be regarded as ‘overcoming Universe’, just as metaphysics can be interpreted as ‘overcoming nature.’ Third, we will look at how metaverses exist. A metaverse is a 3D space built with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data centers, cloud systems, and the Internet, and can only appear as a ‘DigiAna method’ for people. Finally, we will show people living in a metaverse. The metaverse can go beyond social media or communication, extending to games, meetings, performances, exhibitions, and work collaboration. Through this discussion process, metaverse can finally be meaningful as ‘DigiAna's Universe for Living-beyond’ and in short, ‘A Beyond universe’.

      • 글쓰기와 논술

        구연상 ( Yeon-sang Gu ) 한국하이데거학회 2008 존재론 연구 Vol.17 No.-

        “논술”은 흔히 “논리적 글쓰기”로 풀이되지만, 낱말 자체로 보자면, “어떤 것에 대해 논하는 진술(陳述)”로 풀이하는 게 마땅하다. “논(論)”이란 “어떤 문제에 대해 누군가의 말이나 방법으로써 그것의 의미나 옳고 그름 등을 따지는 것”을 말한다. 따지기는 주어진 문제에 대해 누군가에게 이유를 캐묻고, 나름의 기준에 따라 옳고 그름을 판가름하는 헤아리는 것을 말한다. “진술”이란 숨겨져 있던 어떤 것을 서술된 것 그 자체로부터 밝게 드러내어 서로 함께 나누는 말이라고 할 수 있다. 글짓기는 집짓기의 보기에서 알 수 있는 바처럼 글 자체를 목적으로 한다. 글짓기의 과정은 낱말들로써 문장을, 문장으로써 문단을 이루어나가는 순서를 밟지만, 이 과정은 이미 “글의 얼개(구상)”을 통해 설계된다. 글짓기는 주어진 재료들을 활용하여 새로운 글을 만들어내는 행위이지만, 그 행위 자체는 다시금 의미와 같은 것을 서로 함께 나누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글쓰기는 자신의 신체와 도구들을 사용하여 글을 적어 나가는 일을 말한다. 글쓰기는 생각들을 정돈하여 서로 함께 나누기 위한 방식이다. 글쓰기는 글짓기의 목적에 적합한 형식들을 선택해 나가는 과정이다. 글쓰기는 다양한 해석 가능성을 안고 있는 말의 작품화이다. Writing is usually explained “logical writing”, but it means ‘statement arguing about something’. To argue is to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 in the proposal at question. To distinguish is to ask someone the reason, why he puts his assertion over the problem, and to discriminate right between wrong in given reasons according to own’s criterion. ‘Statement’ is the sentence, that reveals something from predication itself and we talk about it each other. The aim of compositing the sentence is writing itself. Composition has the process, that makes words into sentence, and sentences into paragraph. But this process is regulated through the structure of writing already. Composition is the action that make new writing. The action itself has purposes that intents to share the meaning each other. Writing is the work to write down with writing instrument using own body. Writing is the way to arrange ideas in order to share it together. Writing is the processing, that selects suitable forms for composition. Writing is making a work of words which can be variously interpreted.

      • 빚에 대하여

        구연상 ( Gu Yeon-sang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1 존재론 연구 Vol.25 No.-

        -이 글은 한국말 “빚”의 의미를 체계적으로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빚의 일차적 의미는 ‘쓰기 위해 빌린 것’이다. 이는 빚이 ‘빌림과 빌려줌’의 관계를 통해 생겨난다는 것을 일컫는다. 빌림에는 빎이 속한다. 빎은 누군가 자신에게 없거나 필요하거나 바라는 것을 남에게 달라고 하는 것이다. 빌림이 바로 빎의 목적이 된다. 빌려줌은 이러한 목적을 들어주는 것이다. 빌림의 본래적 뜻은 갚음에 있다. 빚은 ‘쓰기 위해 갚기로 하고 빌린 것’인 셈이다. 갚음은 ‘빌린-것-되돌리기’로서 ‘…을 …로써 갚는다’는 얼개로 짜여 있다. 빚 갚음의 방식은 이 얼개에 따라 ‘그대로 갚음(대갚음, 앙갚음)’과 ‘길미 갚음’ 그리고 ‘안-갚음’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그대로-갚음’은 빌린것을 빌린 것 자체로써 고스란히 되돌려 주는 것을 말하고, ‘길미-갚음’은 ‘빌린 것’을 그것에 길미를 덧얹은 ‘값’으로써 돌려주는 것을 말하며, ‘안-갚음’은 빌린 것 대신 그것에 값하는 행동을 하는 것을 말한다. 빚의 빌림과 갚음은 서로에 대한 믿음에 기초해서만 가능하고, 이때의 믿음은 빚을 통해 서로가 떠맡게 될 짐과 보람을 함께 나누고자 한다는 것을 뜻한다. 서로가 서로를 믿는 빌림에서의 ‘함께 나눔’은 ‘고루-나눔’이다. ‘고루-나눔’은 “균(均)”과 “등(等)”을 포괄적으로 뜻하는 개념으로 ‘모두가 저마다의 몫을 치우침 없이 가짐’을 뜻한다. 이는 ‘고루-나눔’이 올바름에 그 바탕을 두고 있음을 뜻한다. ‘고루-나눔’은 특정한 사회적 계약을 통해 ‘어긋-나누기(불균형)’가 될 수 있다. ‘고루-나누기’가 서로의 짐과 보람을 올바로 나눔으로써 사이를 좋게 만든다면, ‘달리-나누기’는 나눔의 잣대가 한쪽으로 치우침으로써 사이를 벌어지게 만든다. 갚아야 할 것으로서의 빚은 누군가 자신이 ‘빚이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을 때에만 빚이 된다. 사람은 고마움의 빛 가운데 자신에게 주어진 빚을 깨닫게 된다. “나는 고맙다.”라는 말은 “나는 빚이 있다.”라는 뜻을 담고 있다. 하늘과 땅 그리고 그 사이에 있는 것은 모두, 우리가 그것들 덕분에 살아갈 수 있는 한, 고마운 것이다. 빚을 깨달은 사람이 그 빚을 갚고자 할 때, 즉 그에게 갚아야 할 빚이 남아 있을 때, 그는 비로소 빚을 떠맡게 되고 빚을 짊어지게 되며 그 빚에 값하는 삶을 살 의무를 갖게 된다. 이것이 곧 ‘스스로 빚지고 있음을 떠맡는 것’이다. 사람의 삶 전체가 빚에 의(依)한 것인 한 우리는 스스로의 빚을 깨닫고, 그 빚을 고맙게 갚아나가야 한다. 한국말 “빚”은 이러한 삶의 사태를 드러낸다. This paper aims to systematically discover the meaning of a Korean word, “Bit (빚)”, which means “debt” in English. The literal meaning of the word “Bit(빚)” is “a thing that you have borrowed from someone else”, and this is derived from the relation between borrowing and lending. “Borrowing” also includes “begging”, which refers to asking someone to give me what I don’t have, or what I want. Borrowing is considered as the purpose of begging and it is lending that satisfies the purpose. Also, as “borrowing” gets its roots in “repaying”, its noun term “debt” also has a meaning of “something that you owe someone from necessity, on the condition of paying back later”. “Repaying”, however, means not only “returning something” that you have borrowed from somebody, but also doing so “with something”. According to this principle, the act “repaying”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Returning in kind as much as someone have borrowed(그대로-갚음), paying more than what one owes to the lender(길미-갚음), and working off in other kinds worth the debt(안-갚음). Both borrowing and repaying are achieved only if both borrower and lender trust each other. Here “trust” means the willingness to share all the burden and success with each other. “Sharing together”-under the condition that both truly believe each other-can be explained in the term “equally dividing(고루-나눔)” that includes “parity” as well as “equality”, all of which contribute to forming the meaning that “everyone has his or her own part without injustice to anyone”. This is enough to show “equally dividing” is based on the “rightness”. While “equally dividing” makes people live in a good harmony by sharing every burden and success, “unequal division” makes people grow apart from one another, as it applies a biased criteria to sharing. An “equally dividing” can be changed into “unequal division” at any time, all at once, through a certain social contract. The debt, as the thing to repay, gets to its meaning only when someone knows that he or she is indebted to someone else, and this is only possible when the person appreciates to the other. The expression “I appreciate it” or “Thank you” has a extra meaning that “I owe you.” We should be thankful to everything around us, as long as we know that we live in the world depending on them. It is not until we are aware of our duty in our life that we fully appreciate something, realize that we are making debts, and have a willingness to pay them back. Then we get to live our life to the full, in order to repay what I have owed to everything else. This can be summarized as the expression “Taking the responsibility for debts of your own making” and we should be willing to pay our debts back, taking it for the deed. In this way, my paper has shown affairs of our lives,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the Korean term, “Bit(빚)”.

      • 글쓰기의 목적과 사무침

        구연상(Gu, Yeon-Sang)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08 철학과 문화 Vol.17 No.-

        이 논문은 일차적으로 이제까지의 글쓰기 제도에서 추구된 글쓰기 목적과, 그것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되는 글쓰기 이론들에서의 글쓰기 목적을 분석한다. 기존의 글쓰기가‘바른 문장 쓰기’를 목표로 한다면, ‘새로운 글쓰기 주장들’은 ‘뜻의 전달’을 목적으로 한다. ‘바른 글’이 궁극적으로 그 글에 담긴 뜻을 다른 사람에게 두루 전달하기 위한 것인 한, 글쓰기의 근본 목적은 결국 뜻의 전달에 놓이는 셈이다. 설득이나 소통 장애에 대한 치유를 목적으로 하는 고전 수사학이나 신수사학조차도 글의 목적이‘뜻의 전달’에 있다는 것은 반대하지 않는다. 이러한 주장은 서양의 수사학이나 신수사학 등은 물론,19세기 조선의 달의론(達意論)에서도 이미 시도된 바 있다. 반면 이 논문에서 나는 글쓰기의 근본 사태를“사무침”이라는 낱말로써 규정하고,“자신의 사무치는 바를 함께 나누려 함”을 글쓰기의 근본 목적으로 제시하려 한다. 사무침은 글을 쓰는 사람이 글을 쓰기 위해 반드시 자기와 대화해야 한다는 단순한 사태에서 드러난다. 글을 쓰기 위해서 글쓴이는 스스로의 생각을 묻고, 스스로의 경험을 길어 올리고, 스스로의 지식을 끊임없이 참조해야 하고, 스스로에게 솔직해지기 위해 애를 써야 한다. 이렇게 글로써 풀어낼 수 있는 것을 일러 “사무치는 바”라고 할수 있다. 글쓰기는 스스로에게 사무친 바를 글로써 드러내어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하려는 행위이다. 사무침은 말이나 글을 통해 서로의 뜻이나 생각을 함께 나누는 것뿐만 아니라 느낌이나 기분과 같은 것까지 함께하는 방식의 소통을 말하기 때문이다. 사무침은 서로의 마음과 환경과 사정까지 속속들이 갚이 미루어 헤아리는 것, 즉 말이나 글로써 드러난 것과, 그 드러난 것을 통해 짐작할 수 있는 숨겨진 것을 한데 아울러 생각하는 것을 일걷는다. 사무침은 머리와 가슴 그리고 가슴까지 미치는 소통성을 말한다. 사무침의 반대는 먹먹함이다. 먹먹한 말은 우리를 먹통으로 만든다. 먹먹함은 먹어 버린 상태, 또는 삼켜 버린 상태, 따라서 밖으로 나오지 않아 그 정체를 제대로 알 수 없는 상태, 그러므로 말의 경우에는 그 뜻을 도무지 알아첼 수 없는 말을 들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In this paper I will analyze primarily the purpose of writing, that in the current system of writing and in the alternative theories of writing have been persued. 'The goal of the existing writing is to write right sentence, whereas the new assertions of writing are mainly concerned with the communication of means. So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e existing writing is also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o give all around the meaning in the sentence. The rhetoric, that is the art of using language effectively and persuasively, has not opposed the purpose of writing, that the 19th-century daluiron(達意論, the theory of conveying the meaning) had also claimed. In this essay I argue that the fundamental situation in writing based on the "Samuchim.". I assert that it is the fundamental purpose of writing. When we start to write, we must try to fall into conversation with ourselves. The writer questions oneself "what I think about the issue", and he should be constantly honest. Writing itself is an act to convey the expression of Samuchim to other person. In Samuchim-writing we communicate with thinking and feeling or mood each other. The opposite of Samuchim is Being-deafened. When yon are deafened in communication, you can not understand each other. The purpose of writing is based not only on the right sentence but also on the Samuchim.

      • 세계문자 서울선언의 의미와 문자 다양성 보존의 도덕적 원리

        구연상(Yeon-sang Gu)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6 철학과 문화 Vol.36 No.-

        이 글은 세계 문자심포지아 2015 기조강연을 위해 쓰인 것이다. 이 글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오늘날 문자 다양성은 크게 줄어들고 있는데, 그다양성 위기 상황은 5가지 단계로 분석될 수 있다. 2. 문자 다양성 위기의 사상적유래는 서양 현대 문명의 기초로 받아들여진 관용에 놓인다. 3. 관용의 문제점은 ‘서로 살림’의 윤리를 통해 극복될 수 있다. 4. 문자 다양성은 ‘세계문자 평등’을 그 핵심으로 하는 세계문자서울선언의 외침들이 이루어질 때 되살릴 수 있다. This paper is to deliver a keynote speech at 2015 World Script Symposia. Main cont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iversity of written languages has de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risky situation can be analyzed through the five stages. 2) The ideological origins of written language diversity at risk is the tolerance , which is the spiritual foundation of modern Western culture. 3) Challenges of tolerance can be overcome by ethical practices of ‘Mutual Understanding for Coexistence’. 4)The diversity of written languages can increase again, when people make efforts to implement proposals and declaration at World Script Symposia , based on the realization of the equality of the world s written languages.

      • 우리말 갈말 바로쓰기의 원칙(原則)

        구연상(Yeon - sang Gu)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8 철학과 문화 Vol.38 No.-

        이 글은 은희철의 전문용어 간이평가표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우리 말 갈말 바로쓰기’의 원칙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그 6가지 지표 가운데 우리말로 학문하기에 꼭 필요한 것은 의미전달성, 체계성, 개념일치성 세 가지가 꼽힐수 있다. 이 세 가지 조건은 모든 학술어(갈말)가 갖춰야 할 핵심 요소이다. 하지만 우리말 갈말 바로쓰기(만들기)의 첫 번째 원칙은 그 말이 이 세 요건을 갖추지 못했을 ‘모든 갈말을 우리말로 지으라’는 것이다. 둘째는 갈말은 반드시 우리말로 풀이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고, 셋째는 우리말 갈말은 우리 모두가 함께 나눌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This paper is to suggest some principles of the right usage of Korean terminology , based on the analysis of simple terminology checklist made by Eun-Hee Chul. Among the six indicators in the checklist table, it is communicability, systemicity and correspondence between the term and the meaning that are pointed out to be necessary for learning studies in pure Korean language . These three features are the very cores, which can be applied to every academic terminology as a prerequisite. In particular, the first principle to be applied is that newly coined Korean academic terms should be made in pure Korean. The second principle is that newly coined Korean terminology should be explained and/or descripted in pure Korean , while the third one is that newly coined Korean terminology should be easily shared by everyone altogether.

      • KCI등재

        견해 논술의 원리에 대한 철학적 분석

        구연상(Gu Yeon-Sang) 새한철학회 2011 哲學論叢 Vol.66 No.4

        견해는 '보거나 들어서 깨우친 바', 간단히 말해, '보는 바'의 뜻으로 '주어진 어떤 것(사건, 사물)'에 대한 총괄적 앎을 뜻한다. 견해는 보는 사람의 관점과 입장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는데, 그것은 견해에는 '미루어 보는 바'가 속하기 때문이다. 미루어 보기는 식견과 세계관 그리고 가치관에 기초한 종합적 판단으로서 개인이 처한 상황에 따라 고유할 수밖에 없다. 견해 논술은 개인이나 집단 사이의 견해 차이를 조절하여 합의를 이루어내기 위한 글쓰기이다. 논술자는 사회적 문제에 대한 찬반 견해를 올바로 이해하여 올바른 견해를 서술할 수 있어야 한다. 견해 논술의 원리는 이러한 서술을 가능케 해 주는 원리로서 '흐름-잡기'와 '맞춰-나가기'라는 두 가지 요소로써 이루어진다. 먼저, 흐름잡기는 자신의 견해를 서로 다른 견해들과의 대화 가운데에서 일관성을 갖추어 펼쳐나가기 위한 원리를 말하고, 다음에, 맞춰나가기는 서로의 의견을 맞춰보는 가운데 의견이 맞는 것은 받아들이고 틀린 것은 논박(論駁)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견해를 짜 나가는 원리를 말한다. 좋은 견해 논술은 흐름잡기와 맞춰나가기의 원리에 의해 유기적으로 짜인 글로서 그 흐름이 뚜렷하고 다양한 의견들이 가지런히 종합되어 있어야 한다. Here I explain the concept 'an opinion' as 'things realized by seeing or hearing'. In other words, it refers to a 'view', the generally understanding about 'certain events or objects given to someone'. Opinions can greatly differ according to each person's viewpoint or situation. That's because opinions are the result of 'inferring'. Since it requires a synthetic judgement based on one's insight, outlook and value, it is natural that there is a great diversity of opinions inferred in the way of their own. 'Opinion writing', in this moment, plays a role to help individuals or groups to mediate differences of opinions and to reach an agreement, but the writer must be able to express right opinions after fully understanding both pros and cons of certain social issues in advance. We should learn 'the principle of opinion writing' as well, to make such an exposition possible. It consists of the two factors: '흐름-잡기(framework)' and '맞춰-나가기(mediation)': The former applies to argue with consistency in a discussion where a variety of views exist, while the latter does to form and strengthen one's own opinion by accepting common-ground and refuting a disagreement, in the process of discussion. A good opinion writing is the one showing an obvious and constant flow as well as putting various views together, based on the two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