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 문학(文學) : 한국전쟁기 노천명과 모윤숙의 전쟁시 비교 연구

        구명숙 ( Myong Sook Ko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1 No.-

        노천명과 모윤숙 시인은 1930년대부터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가부장적인 억압적 사회제도 속에서 남성 시인들의 후원 없이 감상주의를 극복하고 독자적인 여성시의 체계를 세우는데 초석을 놓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현대시문학사에서 여성시의 큰 줄기를 형성한 대표적인 시인인 노천명과 모윤숙이 한국전쟁이라는 격동적 풍랑을 맞아 그 현실을 각자 어떻게 시 작품으로 형상화해 내며 대응해 나갔는지를 한국전쟁기(1950.6.25-1953.7.27)에 발표한 시작품들을 대상으로 비교. 분석하여 그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노천명과 모윤숙의 전쟁기 현실 대응 양상에는 두 시인이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노천명이 ‘부역문인’사건에 따른 옥고에 매달려 자기 부정적인 면에 치중해 있었던데 비해 모윤숙은 외향적 시각으로 전쟁을 바라보며 승리에 대한 염원과 전쟁 독려와 애국심 고취에 몰두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노천명과 모윤숙이 전쟁의 상흔을 바라보는 시각은 유사하게 나타난다. 즉, 조국애와 생명과 평화와 자유를 갈망하는 점에서 공통점을 나타내 보이고 있는 것이다. 전쟁의 상흔에 대한 그들의 시는 전쟁으로 인해 고통당하는 상이군인과 피란 가는 이웃들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또한 전쟁에 나가 돌아오지 않는 남편을 기다리는 여인에게 다가가 위로하며 세심한 관찰을 하는 인간애를 보여준다. 전쟁터의 파괴와 죽음과 폭력의 공간에서 창작된 노천명과 모윤숙의 전쟁시 작품들은 폐허와 혼돈, 죽음, 암흑세계, 전쟁에 대한 허무감과 비탄의 요소가 내재해 있다. 그들의 작품은 전쟁의 극단적 상황에서 목적 지향적이고 애국적 감정의 토로로 민족을 하나로 뭉치게 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으며, 전쟁의 참혹한 상흔을 구체적으로 묘사해 보여 생명의 의의와 존재의 소중함을 깨닫게 하였다. 또한 전쟁자체의 비극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면서 전쟁으로 희생된 사람들에게 연민과 옹호를 보내며 그들의 희생을 장중한 호소력으로 경건하게 노래하여 사기를 북돋웠다. 전쟁의 상흔을 그린 시작품에 나타난 주제의식은 상처투성이인 조국이 다시 평화를 찾아 안정된 삶을 추구하는 것으로 동일성을 보이며, 전쟁 현실 상황에 대해 사실적인 표현과 격정적이고 절박한 외침을 반복한 도식적인 형상화 방식도 상호 유사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Cheon-myung Roh and Yoon-sook Mo are the two representative female poets who had constituted a huge stream of female poetry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Poetry Literature. Since the 1930s, these two poets began to write in earnest. They both are receiving an evaluation to lay the foundation stone in establishing an independent system of the female poetry, despite the patriarchally oppressive social norms, and overcoming sentimentalism. Although they had been grown in similar surroundings and educational backgrounds and they deployed their works of art during comparative place and time, they showed contrasting tendency from the very early career of literature. While Cheon-myung Roh was a feminine poet who pursued introverted and detailed poetic world, Yoon-sook Mo was rather a masculine poet who created extroverted and passionate poems. From early years, Cheon-myung Roh was a poet who expressed solitude and nostalgia, describing simple and female delicate feelings with sensuous language. She represented understated esthetics by not directly revealing her emotions. On the other hand, Yoon-sook Mo can be appreciated as a virile poet, paying attention to the nation and the people, drastically jumping into the public area of political and social participation, attaching to the ruling class, and showing an innate respect for authority. This study, as comparing their poetical compositions published during the Korean War Era (June 25, 1950 to July 27, 1953), aims to illuminate how these two original and unique poetic worlds respectively embodied the reality in the form of poetry to respond to the reality of turbulent wind and waves during the Korean War. The conclusion is as follow. First, Roh and Mo revealed their position to encourage the war, elating the victory, in lack of experience about tragic war. On the other hand, they implicitly criticized the war as vividly describing wounds of war-being destroyed living foundation, and accusing the tragic reality. Their works that encouraged the war and elated the victory similarly showed inflammatory and direct expression. Second, Cheon-myung Roh had shown immature appearance against the social awareness by expressing excuse and self-torture for serving time in prison on suspicion of forced labor during the 6.25. War (the Korean War) without having an insightful introspection. Meanwhile, Yoon-sook Mo revealed an ambivalent attitude as an intellect as claiming to support nationalism while showing her inner world being lack of consciousness as an intellect. Third, Cheon-myung Roh expressed feminine and personal grief even when using the Korean War experience as a raw material for her poem as she went through the period upheaval of the Korean War. Yoon-sook Mo is differentiated by singing amor patriae with masculine passion using a male narrator. Yoon-sook Mo displays courage and vigorous spirit as she suggests a vision for Korea as globally influential, leading nation of world peace. Such broad perspective is distinguished from Cheon-myung Roh`s passive attitude focusing on her personal life and matters surrounding her. Finally, although the two poets demonstrate different standpoints regarding how to understand and cope with realities of war period, they both displays similar sensitivities and perspectives on imprinted wounds of war. The reality of battlefield is directly connected to violence and death as symbolized by explosion and flame. Both poets focus on the tragedy of war itself and display sympathy and vindication for war victims. Also, they share common ground in depicting wounds of war in detailed descriptions of ruin, chaos, death, darkness, and futility in order to bring realization for the meaning of life and preciousness of existence.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 문화(文化) : 한국전쟁기 여성시 연구

        구명숙 ( Myong Sook Ko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6 No.-

        한국전쟁기(1950. 6.25-1953. 7.27) 시문학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은 주로 전쟁시의 개념과 범위, 분류 등을 통하여 체계적인 연구를 시도한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 연구를 토대로 아직 시도하지 않은 한국전쟁기 여성시를 대상으로 특히 남성적 서사와 사고가 부각되었던 ‘전쟁’의 시간 속에서 여성시인들은 어떤 인식을 가졌고 전쟁의 현장을 어떻게 그리고 있는지 여성시인들의 작품을 면밀히 분석하여 고찰하고, 전쟁기 한국 여성시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전쟁기에 여성시인들은 전쟁의 현실을 고발하면서 사실적인 묘사를 통해 현장감을 나타내 주고 전쟁으로 인한 죽음, 이별, 피난, 고통 등의 비극적 상황을 적용하여 전쟁에서 겪는 인간의 내면적 고통과 인간성 말살의 비극을 형상화하였다. 그동안 한국 전쟁기 여성시에 대해서는 주로 모윤숙, 노천명, 김남조, 홍윤숙을 중심으로 논의되어왔지만 본고에서는 조애실, 노영란의 작품도 발굴하여 전쟁시의 범주에 포함시켰다. 또한 기존의 논의들은 전쟁기 한국 여성시의 특징에 대해서는 부각시키지 않았으며 모윤숙의 시 「국군은 죽어서 말한다」를 언급하는 정도에 그쳐있다. 그러나 당시의 여성시인들은 각기 다른 경향을 보였으며, 그러한 특성을 통해 여성문학의 다양한 모습을 형성하였다. 모윤숙은 피난의 현실을 형상화하거나 국군이나 유엔군을 칭송하면서 고마움을 표현하고 있고, 노천명의 시들은 부역사건과 연관된 내적 갈등을 형상화하고 있다. 또한 김남조의 시들은 여성성과 종교성을 결합해 사랑과 구원의 의미를 밝히면서 전후 극복과 치유의 문제에 집중하였으며, 홍윤숙의 시들은 전쟁의 상처로 불모의 땅이 되어버린 조국에 대한 안타까움을 목숨의 향연을 통해 극복해 보려 하였다. 또한 조애실은 전쟁의 비극을 회피하지 않고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태도를 보인다. 그러한 맞대응의 이면에는 내적 아픔이 배어있다. 노영란은 전쟁으로 인해 갈라진 민족의 현실을 안타까워하면서 통일의 희망을 꿈꾸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전쟁기 여성시인들의 시세계를 통해, 전쟁이라는 혼돈의 시기에 여성시라는 가장 주변화 되었던 문학의 현실이 단순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요약하면, 전쟁기 여성시의 특징으로는 조국의 평화와 국군과 유엔군에 대한 찬양, 전쟁의 상흔, 생명보호와 모성애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전쟁이라는 역사적 격동기의 한복판에서 여성작가들은 한국 현대사의 목격자로서 또는 체험자로서 글쓰기를 지속하였다. 이들은 전쟁의 현실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전쟁의 상처에서 비롯된 두려움과 불안을 내면화하면서도 끊임없이 여성으로서 전쟁을 겪어내는 삶의 방식을 모색하고 개인적 혹은 시대적 가치관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그들의 말대로 전쟁이라는 살풍경 속에서 가족의 생명과 보호를 책임져야 했던 여성들은 자신의 시각으로 당대 현실을 기억하고 복원해 나갔으며 남성 중심의 거시적인 역사의 흐름 속에서 누락된 일상적 삶의 역사적 의미를 증명해줄 수 있었다. Studies on poetic literature created during Korean War (1950.6.25-1953.7.27) have been a popular subject matter among Korean scholars. Former studies hold significance in that they attempted to operate systemized and organized study through categorizing the war poetries by themes, time periods, imageries, and so on. Based on previously done studies, this paper will examine the specificities of women`s poetries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by analyzing and contemplating the poetries of the female poets who took active parts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literature, with the concentration on what perceptions were kept by the female poets during the time of the war, in which the masculinity in thoughts and views was magnified. During the wartime, female poets primarily incubated poems containing the vivid sense of realism and tension to provide the reality of war representing the signs of the time. Major tools utilized by the poets were realistic and bold depiction of the battlefield as well as tragic situations caused by the war such as death, parting, fleeing, and pain caused by war. Studies made so far mainly mention only the poems of Yoon-Sook Mo, Chun-Myung No, Nam-Jo Kim, and Yoon-Sook Hong. However, this article will re-illuminate works of Ae-Shil Cho and Young-Ran No and include them in the boundaries of war poems. The existing discussions have not given salience to the specifications of women`s poetries during the Korean War; they surcease upon mentioning Yoon-Sook Mo`s poem: “A soldier speaks upon death”. However, female poets during the war period display individualized unique tendency; through those propensity they formed a variety of features of women`s literature in Korean literary history. Yoon-Sook Mo projects the reality of refuges and expresses her gratitude to the Korean armed forces and the UN troops by giving praises to the army. Chun-Myung No`s poems mainly focus on projecting the internal conflicts related to the forced labor. On the other hand, Nam-Jo Kim combines feminity with Christian faith in pursuit of revelation of the true meaning of love and salvation she emphasizes on the restoration and healing after the war. Yoon-Sook Hong`s poems attempt to deal with the wounded and patriotic heart that rises upon witnessing the barren soil of the homeland. In contrast to the sympathetic poets mentioned above, Ae-Shil Cho remains relatively objective to the tragic reality of the war. Although she does not turn away from the truth, however, the subtle pain heartache of the poet is ex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criminations. Young-Ran No moans for the tragic division of the country yet she dreams for the hope of reunification of Koreas. These poetic worlds of the female poets who were actively working during the wartime reveal the fact that even though the women`s literature had received the least attention throughout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t has been appealing its unique significance that has never been quite simple to explain. In short, the prominent features of poetries written by female poems during the wartime are: peace of the homeland, praise toward the Korean armed forces and UN troops, battle-scarred and, protection of lives, and maternal instinct that arose during the time. In the middle of the turbulent era of Korean history, ladies of letters continued writing as a witness as well as the party concerned of Modern Korean history. They not only depict the reality of the Korean War through vivid descriptions but also continuously seek different ways of life to overcome the given circumstances during the wartime by internalizing the fear and insecurities they felt as women. Through their literature work these female poems exhibit the change of the values of the time. The female poets who were demanded to protect the lives of their family during the war restored the memories of the reality of that time with their own perspectives and achieved to prove the historical meanings of ordinary lives that were omitted in macroscopic and an do centric accounts of history.

      • KCI등재

        『독일, 겨울이야기』와 『조선 겨울이야기』의 비교 연구

        구명숙 ( Myong Sook Koo ) 한국비교문학회 2012 比較文學 Vol.56 No.-

        In this article, I compare and analyze the similarities of German poet Heine`s epic 『Germany, Winter Story』to Namki Huh`s 『Chosun Winter Story』. Namki Huh is a Korean-Japanese Diaspora poet who mainly worked in Japan. Even though he was renowned in Japan, his nationality prohibited him from playing an active role in the center of the Japanese literary circle and from being famous. Because he was a Korean-Japanese Diaspora poet, Huh was not properly reputed in Japanese society. On the other hand, his work tends to be too strongly pro-North Korea to nest in Korean literary world. The language barrier was another obstacle to reconcile with Korean literary circle; the poet wrote poetries in Japanese for a long time. However, even though Huh wrote poetries in Japanese, the target included not only the Japanese but also the Koreans. For he was Korean, the poetic nature of Huh`s work lied in bringing Korean sentiment and soul to the work-it would not be wrong to consider the poet considered Korean readers when creating. This paper contemplates the similarities of Namki Huh`s 『Chosun Winter Story』 and Heine`s 『Germany, Winter Story』 focusing on the history and the contemporary situations of the motherland which two poets were singing through their poems, for the two share similar title, form, and contents. The topic can be concluded as following: Firstly, the German poet Heinrich Heine and Korean poet Namki Huh shared the similarities in their identity as a Diaspora poet who had left their homeland and lived in foreign countries. Also, Namki Huh`s representative poetical works 『Chosun Winter Story』 borrowed the title from Heine`s 『Germany, Winter Story』 -from the title itself, Huh`s work seemed to be affected by Heine`s. The overall composition of the collection also borrowed Heine`s form of travelogue-epic poetry. Secondly, in terms of the content of poems, both poets criticized their motherland`s politics lagging behind. The poets living in exile sharply criticized their homelands` feudality and autocracy as well as political and social realities of being backwater, based on their love and longing for the homeland. Also, Namki Huh utilized the motif of sleep from Heine`s work; he urged the public to wake up and to be enlightened to join and lead the revolution. Same as Heine, in Huh`s 『Chosun Winter Story』, he depicted his mother as merciful that guards not only the motherland but also the poet. Thirdly, in terms of expressive technique, while Heine covered the reader`s eyes with satire and irony with the purpose of avoiding the censorship, Huh utilized ordinary and straightforward expressions enabling the reader to easily understand the content. Namki Huh considered the public reader, aiming for demagogic effect and describing his ideology without hesitation or manipulation. Since he wrote his poets in Japanese targeting Japanese reader at first, it is assumed that his expressions were more liberal. Namki Huh expressed his love and patriotism by longing for reunification of Korea and criticizing only South Korea. However, he was standing in pro-North Korean side; his biased ideologies contrasts to Hiene`s universal patriotism based on liberalism. Namki Huh appeared to be limited in that he only supported what he adhered to and criticized and attacked the other side with outspoken and unfiltered expressions; in 『Chosun Winter Story』, he only dealt with one side`s story instead of covering both North and South Korean realities. Despite restrictive circumstances, Huh deserves to praise for his literary attempt to embrace 『Germany, Winter Story』 and to show unique travelogue- epic verses as well as to try to write Korean poetries. A wide range of interpretation and analysis obtained from corresponding to both Heine`s and Huh`s works expand their mutual poetic fields beyond Asia and Europe creating a new dimension afterwards. The study, however, has not yet included aspects of reception and influences of Heine in Japan in its early stage. I expect that follow-up studies extend the scope of examination of Namki Huh`s acceptance of Heine and their co-relation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 : 문학(文學) ; 한용운 시의 창작환경과 민족정서 형상화 방식

        구명숙 ( Myong Sook Ko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8 韓國思想과 文化 Vol.41 No.-

        한용운은 아름답고 섬세하며 쉬운 언어로 민족의식을 ``님``의 존재로 말한 시인이다. 한용운은 삶의 방식의 한 방범으로 시를 썼고, 그 시는 어떠한 기교나 감성을 드러내기 위한 수단이 아니었다. 따라서 한용운의 시에 대한 이해는 한용운을 온전히 이해하는 데서 시작해야 한다는 전제에서 그의 생애를 짚어보고 그가 시를 창작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았으며, 그의 시 속에서 가장 크게 자리했던 ``님``을 어떻게 형상화 해 냈는가를 고찰하였다. 한용운의 시는 ``님``과 ``역설``에 의해서 그 전체를 아우를 수 있다. 님의 부재에 대한 인식을 형이상학적인 상상력에 의한, 부정과 역설에 의한 변증법적인 세계관으로 그린 그의 기법은 현실의 인식 이상의 사용을 통해서만 이해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세계는 여인의 순종적이면서도 강인한 고백으로 이루어지기에 더욱 아름답게 읽힌다. 한용운에게 님은 ``민족``이라는 강렬한 존재로 남아 있지만, 그의 시가 가지고 있는 열린 상상력을 활용한다면 독자들은 그 님의 의미를 무수한 세계와 연관 지을 수 있다. 한용운은 현실에 대해 올곧은 정신으로 응전한 신념과 지조 높은 시인으로 ``부재하는 님``을 끊임없이 노래함으로써 ``부재``를 존재차원으로 끌어올려 보여준다. 즉 ``님의 부재``를 감정이나 탄식으로 희석시켜 버리는 것이 아니라, ``님의 부재``와 ``임재해야 할 님``을 기다리며 쉬임없이 노래하여 민족의식과 정서를 고취시켰다. 한용운은 민족 운동가로서의 삶을 문학으로 실천함으로써, 민족정신과 시의 만남을 성공적으로 형상화하여 우리 민족과 은밀한 소통을 주도해 온 독창적인 시인이었다. 한용운은 그의 시 「님의 침묵」에서 조국과 민족을 ``님``으로 설정하고 상실감과 절망감을 ``기다림``에 의해서 다스리고 있다. ``기다림`` 속에는 우리의 민족정서가 켜켜이 어우러져 있다. 즉, 여유와 자신감과 당당함이 내재되어 있으며 반드시 님을 다시 만난다는 희망을 담고 있었다. 한용운이 그의 시에서 주로 다루고 있는 내용은 님의 침묵과 부재를 통한 상실의 정서이다. 그는 님의 부재, 즉 상실에서 오는 슬픔과 한, 그리고 허무의식을 한국인의 기다림의 정서로 형상화함으로써 민족적 동질성을 느낄 수 있게 해주었다. 그러한 관점에서, 그의 시는 개인적 삶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민족공동체적 서정을 노래한 것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정신분석 치료에서는 머리로만 아는 지적 통찰만으로는 치유가 일어나지 않는다고 한다. 오히려 더 중요한 것은 가슴으로 아는 정서적 통찰인데 그것을 얻어야만 치유가 일어난다는 것이다. 한용운의 시에서 끊임없이 노래하는 ``님``을 통해 가슴으로 아는 정서적 통찰을 얻어당대의 민족의 한을 풀어낼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한용운의 시는 당대를 넘어서고 세속을 뛰어넘는 초월적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그의 시는 현재에도 큰 효용성을 갖는다. 따라서 그의 시가 가진 현재적인 해석이나 가능성 또한 계속 논의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ems by Han, Yong-Wun, a poet, a pioneer, a leader of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and a national rights campaigner. Many researches have focused on his idea of buddhism or an ideology of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In this study, several of his works that represent his nationalism are analyzed to show how his stream of nationalist sentiments is formulated. Through this, we can analyzed how these poems encapsulates the ideology of national independence consciousness. His poem, ``Silence of the Lover,`` is taken as an example. There are several unique ways of configuration. First, he expresses ``the lover`` as a metaphor of a country or a nation. The expression of ``waiting`` is a metaphor of palpable sense of loss, over tones of despair. But at the same time, these expressions also possess confidence, a broad mind, and fearless emotions. Second, the consciousness of absence of ``the lover`` was expressed by metaphysical imaginations. He overcomes the realities of life by using metaphysical speculations and paradox. A women`s acquiescent nature but strong confession are shaped to add the effect of an aesthetic sense. Third, readers can reconnect innumerable thoughts through his open-ended imaginary metaphor. Fourth, paradoxical question draws ideal thoughts or the realities of life. Finally, he provides a framework and space for generalization of the world and its people. In this study, it is shown that he lived as a leader of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the literature and he successfully captured the spirit of nationalism through poems, which makes it possible for Korean people of that era to share the spirit in secret ways.

      • KCI등재

        마종기 시에 나타난 경계인 의식과 죽음 의식

        구명숙 ( Myong Sook Koo ) 한민족문화학회 2011 한민족문화연구 Vol.36 No.-

        시력 50여 년의 마종기의 시세계는 ‘경계인(境界人)’적 운명에 처한 슬픔이 그의 시의 핵심을 이루며 그의 문학의 창조적 힘임을 알 수 있다. 그의 시 작품들은 독자들의 많은 관심 속에서 주목을 받고 있지만 그에 대한 연구는 아직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고에서는 마종기 시의 근간을 이루는 경계인 의식과 죽음 의식을 통해 그의 시세계를 살펴보았다. 마종기의 시들은 경계인 의식과 죽음 의식이 따로 떨어져 있는 시들이 아니라 그것이 함께 길항하고 공존하고 있다고 하겠다. 그의 경계인 의식은 변경의 고독으로 그의 실존을 괴롭혀 왔지만 그 고통과 아픔을 마종기는 문학을 통해 승화시켜 왔다. 그의 ‘죽음 의식’은 ‘초월적 죽음’이었다고 하겠다. 초기시부터 ‘경계인 의식’에서 빚어진 고통이 그의 시집 『이슬의 눈』에서는 삶과 죽음을 하나로 보고 초월하는 경지에 이르게 되며, 디아스포라로서 경계를 초월하고 마침내 참자유를 찾게 된다. 그의 후기시들은 그를 한평생 따라다녔던 고국 지향성 및 고국욕망을 비워내는 과정과 연결되어 있다. 특히 그의 시집 『이슬의 눈』에 와서는 친혈육인 동생 종훈의 죽음에 대한 애절한 응시가 두드러지며, ``미국인들의 죽음’(「게이의 남편」)에 깊은 관심을 표명한다. 그 같은 용서와 화해는 지상의 존재자들에 대한 박애(博愛), 기독교적 휴머니즘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그리고 초기 시부터 추구해 왔던 생명사상이 타자에 대한 사랑으로 이어진다. 마종기는 결국 지상에 존재하는 무수한 타자들과 천상적 평화를 나눌 수 있는 화해의 길을 모색하고 있는 것이다. 마종기의 시는 죽음의 절망에 함몰되지 않고, 감상에 젖어들지 않는다. 죽음은 신성하고, 죽음 후에 남겨진 사람들 역시 그 살아 있음으로 해서 신성하다. 죽음과 삶이 하나로 인식되면서 초월성을 보인다. 외롭게 변경을 떠돌던 마종기의 시는 죽음을 초월하면서 비로소 그의 시세계의 경계인 의식을 뛰어넘게 되고, 따뜻한 공감과 깊은 사유의 공간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Jong-gi Mah`s poetical journey reveals the poet`s fundamental locomotion that originates from the sorrow of being a marginal man. Although his poetry has attracted many readers, the study on the poet or the words has not been carried out in earnest. In this thesis the transcendency of Jong-gi Mah`s poetries are closely studied through his self-awareness as a marginal man and perception of death. His poetries embrace consciousness of both marginal man and death; the two different concepts coexist and compete one another at the same time. Mah`s understanding of death is to return to the natures of his homeland and to remain there eternally. Mah`s self awareness as a marginal man always has challenged the poet`s existence with struggle of being alone, However, such pain has sublimed through Mah`s religion called literature. Since his early years, the pain of being a marginal man has ripened the poet`s mentality and intellect. The pain reaches to the stage where Mah is able to perceive life and death as one as it is represented in his one of the most excellent poems, "Eyes of the dew." The pious structure that consistently widens and deepens his world finally wins Mah`s freedom. Mah`s later works are more connected to the procedure of emptying his desire for homeland which has followed Mah for his entire life. Especially in "Eyes of the Dew," Mah`s contemplation to his younger brother Jong-hun`s death as well as the sympathy towards "American Deaths" (from "Husband of a Gay") is remarkable. In these works his cosmopolitan contemplation stands out as well. Such forgiveness is realized through love for all existence on the earth as well as christian humanity. Mah`s love for the others develops and reaches to the point where his idea of life fully blooms. Jong-gi Mah eventually begins to seek the way to reconciliate with countless others on the earth in order to share heavenly peace. Mah`s poetry is neither destroyed nor sentimentalized by the fear of death. Death is pious as much as the people left to live are pious for their aliveness. Mah emphasizes that the sorrow for deaths should not be sentimentalized through words, that the sorrow should in fact be explored with vigilance. Mah`s poetry in which the author has wandered fringe lands finally exceeds the sense of a marginal man when it transcends death; at last the poetry becomes able to provide room for deep contemplation and sympathy.

      • KCI등재

        고정희 시에 나타난 타자성 연구

        구명숙 ( Myong Sook Koo ) 한민족문화학회 2009 한민족문화연구 Vol.28 No.-

        고정희는 1980년대 한국의 여성문학이 본격적으로 꽃 피기 시작한 시기에 등장하여 선두에 서서 시대와 맞서 싸운 시인이었다. 그는 민중시인으로, 여성운동가로, 저널리스트로 활발한 활동을 전개해왔지만 특히 여성해방시인으로서 성모순에 대한 치열한 고발과 성평 등 실현과 타자성을 선구적으로 고취하여왔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고정희의 페미니즘시를 중심으로, 그의 시에 나타난 타자성과 그 극복의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고정희는 『평등 없는 너희 집이 흉가가 되리라』는 작품 등을 통해 가부장적인 착취 안에서 타자로서 소외된 삶을 살아온 여성에 대한 깨우침을 인식시키는 한편 그 부당함에 대해 항변하고 있다. 이 작품은 단순한 한풀이의 노래가 아니라 여성의 불평등한 삶에 대한 강한 고발과 타자의식을 담은 시이다. 시인은 여성 해방을 위한 고발과 함께 집권층과 가진 자에 대한 비판은 가하면서 평등세상을 추구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는 평등한 삶을 깨뜨리고 착취하는 집단에 대하여 `흉가가 되리라`, `임종을 맞으리라`는 가혹한 형벌을 원한다. 그리고 그동안 전통적으로 여성에서 요구되었던 `씨받이 역할과 청지기역할, 복종하고 순종하고, 희생만하는 여성의 모습을 고발하고, 타자로서의 여성의 삶을 총체적으로 드러내며 저항하고 있다. 여성은 가부장제 하에서 주체적 삶을 상실한 채 철저히 객체화된 존재이며, 타인 지향적인 희생적 삶으로 점철된 존재라는 것을 인식하고 “여자가 주인 되는 정치평등 경제평등”을 이룩한 사회, 즉, 여성도 타자를 넘어 중심이 되고 자유와 평등을 누리는 함께 사는 세상의 공생ㆍ공존을 강조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사회적억압이 존재하는 현실 속에서도 고정희는 여성의 가치를 포기하지 않고 대안으로서의 여성상을 만들어낸다. 시「여자 해방염원 반만년」의 “어머니 공덕 빌어 여성해방 어룹니다”에서 볼 수 있듯이, 여성성의 가치를 인식하며, 여성이 주체가 되는 여성해방을 무엇보다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고정희는 화해와 용서와 사랑을 타자성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그는 타자화 되어 억압 받고 소외된 삶에 대해 저항하지만 점차 극복의지를 보인다. 정치, 사회, 경제, 역사에서 소외당하는 타자를 무한한 사랑으로 감싸 안으며, 가부장제도의 남성중심의 부권사회에 의해 결국 여성을 타자로 만드는 남성까지도 구원하고 끌어안는 어머니의 마음에서 극복의 대안을 찾아낸다. 이는 여성 스스로 자신의 여성성, 그리고 모성성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여성성의 긍정적인 힘을 굳게 믿으며 여성을 타자화하려는 사회의 불합리성에 도전하며 주체적인 삶을 이끌어낼 수 이?고 보는 것이다. 고정희는 여성의 문제를 타자의 문제로 인식하면서, 사회에서 소외당한 존재의 상징적인 대상으로서 여성을 설정하였고, 여성을 가부장적인 부정적 세계를 극복할 수 있는 긍정적인 존재로 세워 놓았다. 그리고 고정희는 여성주의 시각으로 남성중심주의의 불평등을 공격하면서 여성해방은 평등세상을 구현하는데 있다고 보았다. 즉, 양성평등을 바탕으로 인간 구원과 인간성 회복의 차원에서 타자성을 극복하려는 것이었다. 그러한 타자성 극복이 상생의 길임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Jeong-Hee Ko was a political poet, an activist for women`s liberation movement and journalist in 1980`s, when woman`s literature has begun to flourish in Korea As a poet for women`s liberation movement, she pioneered in the area of gender conflicts and equality and sustained objectiveness in her poems. This analyzed the objectiveness in her feministic poems and her efforts to overcome gender conflicts. Two of her works were analyzed “Pyong-Deung-Up-Neun Neo-Hee Jip-I Hyoong-Ga-Ga Doe-Ri-Ha (Your house without equality i1 perishY`and “Yoe-Ja Hae-Bang Yum-Won Ban-Man-Nyun (Half millennia hoping for women`s liberation)” women as symbolic entity that is alienated from the society. Also wonrn were viewed as positive entity that can overcome the negative aspect of patriarchy. By embracing the male-dominant patriarchal system and even the males that alienated females, she found her way to overcome it in maternal affection. This way, she succeeded in active deploynrnts of her life, challenging social inconsistency for alienating women. In this sense, for her distinctive viewpoint to women to save human and restoration of humani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국사상(韓國思想)(문학(文學)) : 김후란 시에 나타난 "가족"의 의미와 현실인식 -『따뜻한 가족』을 중심으로-

        구명숙 ( Myong Sook Ko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韓國思想과 文化 Vol.51 No.-

        오늘날 경제난과 사회적 혼란 속에서 가족의 해체가 늘어가는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여유와 따뜻함을 상실해 가고 있다. 김후란의 시집 『따뜻한 가족』은 이러한 시대의 고통과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원동력이 가족과 사랑이 주는 따뜻함에서 나온다고 보고, 그것을 이루는 근본적인 생명과 모성에 여성의 정체성을 두어 진솔한 서정성을 바탕으로 사랑과 희망, 평화를 노래하고 있다. 김후란 시인의 50년 시작 활동의 한 귀결점으로 볼 수 있는 『따뜻한 가족』에는 진솔한 체험에서 우러나온 모성적 따스함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여기서 `모성적`이란 희생, 헌신, 포용, 무조건적 사랑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전통적·전형적인 모성애로서 포용과 화해의 정신을 의미한다. 김후란은 이러한 모성과 가족애를 통한 생명과 사랑 그리고 인류사회의 평화와 희망을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모성적 사랑은 구원의 존재인 어머니로서 자연과 동일시되어 작품 곳곳에 나타난다. 모든 것을 평등하게 사랑으로 끌어안고 포용하는 모성은 삶의 근원이며 이러한 모성을 통해서 생명이 살아 있음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김후란의 시는 이처럼 모성적 따스함에서 출발하여 주변의 일상적인 것들에서부터 사회·역사 현실에까지 눈을 돌려 열림과 화해의 시각으로 세계를 넓혀 평화를 지향하고 있다. 남성과 여성의 관계도 대립구도로 바라보지 않고, 모성적 정서를 바탕으로 헌신과 화해와 포용의 정신을 강조하고 있으며, 나아가서는 모성애를 사회적 의미로 확장시키고 존재론적 성찰을 통해 긍정적 현실인식을 나타내고 있는 점에서 그 특성이 드러난다. 이러한 모성적 정서의 부드러운 힘은 문화적 페미니즘의 입장에서 볼 때 새로운 시대의 비전이자 대안으로서 기능할 것으로 보인다. As discussed in this article, `Warm Family` in Hoo-Rahn Kim`s poems is based on willingness for life and dedication. Thus, it presents calm description of positive recognition of reality that exerts life force. Then, this sentiment is rooted all in love, life and peace. Although Hoo-Rahn Kim is a female poet, she seems to be free from cognition for `female` She does not seem to express absurd suppression of feminity or question the identity structured by the society. However, her poems do not only present reality-adapting attitude either. Even though her feministic sense is not explicit in her poems, her humanism such as love, peace and affection/compassion for human provide a base for cognition of positive motherhood. Her sentiment of motherhood that embraces rather than confronts will function as a positive possibility, which is an alternative to feminism. If a good poem is written under concrete reality and living language experience, her poems may be more fundamental even though her poems may be personal and abstract, and may lack historicity or sociality. A poem is not about tears but about the end of tears or after, and love is about mutual accomplishment or ascendance. Hoo-Rahn Kim describes such love in her poem through ever lasting self-reflection on existence in positive and healthy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