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더십으로서의 섬김의 현대적 이해 ­ 牧民心書를 중심으로

        구명숙,김수동 한국사상문화학회 2007 韓國思想과 文化 Vol.38 No.-

        목민심서에서의 봉공(奉公)애민(愛民)진황(賑荒)은 백성들에 대한 ‘봉사와 사랑의 섬김(serving)’을 표현한 것이다. 그 섬김은 세상을 변화시키는 부드러운 힘이다. 오늘날 섬김을 판별하는 기준은 직위명예재산성별이 아니라, 경청공감치유봉사실천배려 등이라 할 수 있다. 목민(牧民)은 수기치인(修己治人)의 영향력을 발휘하는 일이다. 목민의 핵심은 수기와 그것을 토대로 하는 성(誠)에 의한 치인을 이르며, 그 치인은 백성을 기르고 부양하는 일을 의미한다. 다산(茶山)이 생각하는 목민은 관계적 영향력으로서의 인(仁) 즉 효제자(孝弟慈), 서(恕) 혹은 추기급인(推己及人)으로 실천된다. 여기서 목민함은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개인적 섬김이 아니라, 백성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적 섬김으로 이해된다.목민심서에서의 섬김은 도덕적 가치들을 바탕으로 한 변화를 일으키는 혁신의 힘이며, 그것을 행동으로 실천하는 능력이라 볼 수 있다. 이렇듯 유학에 근거한 목민심서에서의 섬김은 현실을 이해하는 사유를 바탕으로 한 경장(更張)과 후생(厚生)의 핵심가치를 포함하고 있다. 목민심서에 나타난 섬김의 대상을 수직적인 차원에서 보면, 아동과 노인에 대한 섬김을 들 수 있다. 수평적인 측면에서 다산이 생각하는 섬김의 대상은 홀아비(鰥), 과부(寡), 고아(孤), 늙어 의지할 곳 없는 사람(獨) 즉 사궁(四窮)이다. 다산의 리더십은 소외된 자, 가난한 자, 병든 자에 대한 사회적 섬김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섬김의 사회적 실천에서 다산이 강조하는 바는 베풂과 모델링이라 하겠다.리더십으로서의 섬김은 소극적인 섬김과 적극적인 섬김으로 볼 수 있는 바, 관질(寬疾)은 소극적인 섬김이며 예방(豫防), 합독(合獨), 권분(勸分), 구휼(救恤), 교화(敎化) 등은 적극적인 섬김의 실천방식이다. 이러한 섬김은 백성의 잠재능력을 길러주며 그들의 삶에 있어서 효과성을 높여주는 일이다. 목민심서에서 보여주는 섬김은 과업과의 균형을 이루고 있고, 동정심으로 백성들을 보살피는 배려 리더십이다. 요컨대 다산이 생각하는 학문의 목표와 리더십 발휘의 단계는 수기(修己) → 제가(齊家) → 치국(治國)에 있다. 이를 위한 실행의 방법은 검약(儉約) → 청렴(淸廉) → 인자(仁慈) → 봉공(奉公)으로 이해된다. 그러므로 리더십 실천의 최종적 단계는 사회적인 섬김 리더십을 적극적으로 함양하고 확산하는 데 있다. Contemporary comprehension of serving as leadership - centering on Mokminsimseo(牧民心書) / Koo, Myong-sookKim, Soo-dong

      • 1920년대 한국 낭만주의 시 연구 : 이상화의 시를 중심으로 Am Beispiel des Gedichtes von Lee Sang-Hwa

        구명숙 숙명여자대학교 독일어권연구센터 1996 독일문화 Vol.3 No.-

        Der Schwerpunkt des vorliegenden Aufsatzes liegt bei der Herausarbeitung der wichtigsten Tendenzen des Werkes von Lee Sang-hwa, dessen Arbeit im Gesammtkontext der koreanischen romantischen Dichtkunst der 20er Jahre gesehen werden muβ. Das wohl wichtigste Moment im Gedichtwerk Lee Sang-hwa's ist die Liebe zu seinen Mitmenschen und seinem Vaterland, Korea. Sein Aufschrei gegen die japanische Besatzung und Unterdru¨ckung ist lauf und deutlich in seinen Gedichten zu vernehmen. Dieser Aufschrei resultiert auch aus der Erkenntnis um die eigene verzweifelte Lage. Lee's Gedichte sind sehr emotional und von einem romantischen Widerstandsgeist beseelt. Seine Gedichte, die teilweise von einer etwas bertrieben wirkenden Wehmut duchzogen sind, atmen den Geist des Romantikers der 20er Jahre. In den 20er Jahren wurde Lee Sang-hwa auch zu einem Mitbegru¨nder der Literaturgruppe 'Weiβe Woge'. Sein Widerstandsgeist und Wille zum Aufbegehren steht aber im Kontrast zu der Realita¨tsflucht, die beiden meisten Mitgliedern dieser Gruppe zu finden ist.

      • KCI등재

        김후란 시에 나타난 ‘가족’의 의미와 현실인식 – 「따뜻한 가족」을 중심으로 –

        구명숙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韓國思想과 文化 Vol.51 No.-

        As discussed in this article, 'Warm Family' in Hoo-Rahn Kim's poems is based on willingness for life and dedication. Thus, it presents calm description of positive recognition of reality that exerts life force. Then, this sentiment is rooted all in love, life and peace. Although Hoo-Rahn Kim is a female poet, she seems to be free from cognition for 'female' She does not seem to express absurd suppression of feminity or question the identity structured by the society. However, her poems do not only present reality-adapting attitude either. Even though her feministic sense is not explicit in her poems, her humanism such as love, peace and affection/compassion for human provide a base for cognition of positive motherhood. Her sentiment of motherhood that embraces rather than confronts will function as a positive possibility, which is an alternative to feminism. If a good poem is written under concrete reality and living language experience, her poems may be more fundamental even though her poems may be personal and abstract, and may lack historicity or sociality. A poem is not about tears but about the end of tears or after, and love is about mutual accomplishment or ascendance. Hoo-Rahn Kim describes such love in her poem through ever lasting self-reflection on existence in positive and healthy way. 오늘날 경제난과 사회적 혼란 속에서 가족의 해체가 늘어가는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여유와 따뜻함을 상실해 가고 있다. 김후란의 시집 「따뜻한 가족」은 이러한 시대의 고통과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원동력이 가족과 사랑이 주는 따뜻함에서 나온다고 보고, 그것을 이루는 근본적인 생명과 모성에 여성의 정체성을 두어 진솔한 서정성을 바탕으로 사랑과 희망, 평화를 노래하고 있다. 김후란 시인의 50년 시작 활동의 한 귀결점으로 볼 수 있는 「따뜻한 가족」에는 진솔한 체험에서 우러나온 모성적 따스함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여기서 ‘모성적’이란 희생, 헌신, 포용, 무조건적 사랑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전통적⋅전형적인 모성애로서 포용과 화해의 정신을 의미한다. 김후란은 이러한 모성과 가족애를 통한 생명과 사랑 그리고 인류사회의 평화와 희망을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모성적 사랑은 구원의 존재인 어머니로서 자연과 동일시되어 작품 곳곳에 나타난다. 모든 것을 평등하게 사랑으로 끌어안고 포용하는 모성은 삶의 근원이며 이러한 모성을 통해서 생명이 살아 있음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김후란의 시는 이처럼 모성적 따스함에서 출발하여 주변의 일상적인 것들에서부터 사회⋅역사 현실에까지 눈을 돌려 열림과 화해의 시각으로 세계를 넓혀 평화를 지향하고 있다. 남성과 여성의 관계도 대립구도로 바라보지 않고, 모성적 정서를 바탕으로 헌신과 화해와 포용의 정신을 강조하고 있으며, 나아가서는 모성애를 사회적 의미로 확장시키고 존재론적 성찰을 통해 긍정적 현실인식을 나타내고 있는 점에서 그 특성이 드러난다. 이러한 모성적 정서의 부드러운 힘은 문화적 페미니즘의 입장에서 볼 때 새로운 시대의 비전이자 대안으로서 기능할 것으로 보인다.

      • 『女子界』 를 통해 본 신여성 담론과 詩

        구명숙 한국여성문학학회 2000 여성문학연구 Vol.4 No.-

        본고는 1917년 발간된 최초의 여성 잡지인 『여자계』를 중심으로 신여성 담론과 시작품을 살펴 본 것이다. 1920년대의 여성 잡지들로는 『여자계』를 비롯하여 『신여자』 『여자시론』 『신가정』 등이 발간되었는데 이들 잡지의 공통되는 특징은 주로 여성을 새롭게 교육하기 위한 논단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는 점이다. 여성 교육을 주장하는 필진들이 대부분 남성들인 점으로 미루어 보아 그 당시 신여성 담론을 이끄는 주체에 해당하는 신여성은 소수에 불과하며, 이러한 활동에 참여하고 호응할 수 있는 신여성의 수도 그리 많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그 중 『여자계』는 다른 여성 잡지들과 비교하여 문학작품이 고루 실려 있는 편인데, 본고에서는 남성과 여성의 시작품을 텍스트 삼아 신여성 담론과 결부시켜 다루었다. 1917년 동경여자유학생친목회를 통해 발간된 『여자계』는 우리 나라의 최초의 여성 잡지라는 의의도 있지만, 그 동안 침묵을 강요받았던 여성들의 목소리를 집약하여 담아낼 수 있었던 중요한 매체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더욱 크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남성들이 잡지 발간을 주도하였으며, 남성적 프리즘을 통해서 여성들의 목소리를 지배하고 있는 아쉬운 점도 묶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자계』의 발간은 여성들의 독자적인 능력으로 언로를 개척하였다는 점에서, 또한 여성 스스로 인간임을 자각하고, 여성 자신들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대부분의 남성 필자들은 주로 여성들의 자각을 촉구하고 근대 교육 문제나 여성문제를 다루고 있지만, 철저한 남성 중심적 태도를 드러내고 있음이 확인된다. 『여자계』에 드러난 남성들의 담론은 여성 교육과 현모양처론에 집중되었다. 일제식민 통치 아래 여성의 교육은 식민지 교육의 목표인 조선인을 지배하고 통치하기 위한 황민화, 우민화 교육의 일환으로 변형되었다. 이러한 식민 교육의 특성은 여성들에게 전통적인 여성성을 강화하는 방법으로 전개되었다. 여성 자신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거나 지위 향상을 위한 것이 아니라 전 국민의 문명 개화를 위해 여성을 계몽시켰던 것이다. 특히 여성 교육의 중요성은 자녀 양육과 훌륭한 2세를 길러 내는 여성의 역할을 충실하게 이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더욱 강조되었다. 교육을 통한 현모양처 만들기는 남성들의 확고한 의지였으며 여성을 어머니의 역할과 자녀 양육으로 한정시킨 것이다. 또한 근대적인 모성성을 강조하기 위해 모성교육이 강조되었는데, 여성을 아내와 어머니로 규정하는 현모양처 주의는 1930년대 말로 갈수록 강화되어 현모양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신여성들이 심하게 비판을 받았다. 신여성들도 남성들이 강요하였던 현모양처 이데올로기는 다른 억압적 기제에 비해 비교적 수용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광수는 끊임없이 여성의 자각과 근대 교육의 필요성을 역설하였지만 근대 교육을 받은 신여성들이 사회에 진출하는 것에는 동조하지 않고, 교육받은 여성들이 가정으로 돌아가 현모양처가 되어야 한다는 모순된 주장을 펼쳤다. 『여자계』에 실린 그의 시 「어머니의 무릎」은 그러한 주장을 은유로 표현해 보인 것이다. 『여자계』에 나타난 남성과 여성들의 공통된 담론들은 자아 각성과 개성적인 삶, 즉 여성도 개성을 존중받으며 인간답게 살아야 한다는 자유와 평등사상에 입각한 내용이다. 대부분의 남성들이 개성적인 인간 삶의 추구를 위한 교육과는 거리가 먼 현모양처 교육이나 모성 교육에 국한하여 목소리를 높였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여성의 자아 각성을 촉구하고 개성적인 삶을 독려하는 담론들이 『여자계』의 지면을 충실하게 채우고 있다. 즉, 여성의 자아 각성과 개성적인 삶을 주장하는 글들은 남성과 여성이 같은 견해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 부분도 남성 필자들이 대부분의 지면을 차지하지만, 일상생활을 통해서 깨달은 여성들과 일본 유학 시절 일찍이 서구 문물을 받아들인 신여성들은 자유와 평등이라는 가치관에 근거하여 ‘여자도 사람’이라는 자각을 당당히 표현하고 있다. 이렇듯 여성의 자아 각성과 개성적 삶에 대한 촉구는 남녀가 공통되게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다름아니라 그 당시 억압받는 여성들에게 새로운 자각을 통하여 인간다운 삶을 살아가게 하기 위한 한 목소리의 제언이기도 하다. 근대적 정신은 인간 개인을 중시하는 개인주의와 인간 이성을 기반으로 한 합리주의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에 못지 않게 돈에 대한 경제주의도 큰 몫으로 작용한다. 여성들의 담론에는 여성 개인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개인주의와 직업과 경제적 자립을 중시하는 경제주의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일제 식민지 정책의 여러 사회적 기제들은 신여성에게 일정한 근대적 여성성을 요구하였다. 근대적 사상은 합리적 개인이라는 인간에 기초한 것으로 이를 받아들인 신여성들은 여성이 우선 하나의 개인으로서, 인간으로서, 자유와 평등한 권리를 가지기 때문에 결혼에서의 자유 선택, 평등한 교육을 받을 권리, 사회에서 일할 권리를 요구하였다. 그러나 여성 해방이나 여성 자각이라는 신여성 담론은 현실적, 제도적으로 반영되지 못하였던 것이 실상이다. 이는 식민 국가의 법적 제도하에서 여성의 위치는 조선조의 종법제도하의 여성의 위치와 별반 달라진 것이 없다는 점에서도 입증된다. 그렇다 하더라도 담론의 변화는 곧 그 사회의 변화를 읽는 척도가 된다는 점에서 신여성 자신들의 담론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나혜석은 여성도 하나의 인격을 가진 인간임을 깨닫고 시대에 항거하며 가부장제에 첫 도전을 감행한 실천적 신여성이었다. 그 모험과 실천의 각오의 일단을 보여주는 시작품이 바로 『여자계』에 실린 『빛』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nstruction of women's discourse from later part of the 1910s to early 1920s presented in the Women's World, a women's magazine first published in 1917. The reasons why this paper examines the Women's World as the primary source are because this magazine was the first women's magazine published by women and because it was the major discourse channel for new women until the New Women was published in 1921. This paper focuses on the discussions about the beginning stage of the discourse of new women by both men and women and then analyzes some poems published around that period. The discourse of new women published in the Women's World has two distinctive aspects. First, men's encouragement for women's self-awareness and self-awareness of women reflected in new women's discourse were spreading at that time. It was about this time when the so-called new women formed the basis for the advancement of the individual self which challenged the norms of traditional and patriarchal society. Second, analyzing the selected poems by both men and women authors published in the Women's World, the writer finds that the male author Lee, Kwang-Soo's Mother's Knees confirms the "wise-mother-good-wife" ideal for women which was taught by colonial education, while the woman writer Na, He-Seok's Light symbolically expresses the author's will to achieve women's right by realizing her own self-awareness and to live a life of dignified human being. This result confirms the findings of the men and women's discourses published in the Women's World. A collective study of women's magazines published during the 1920s and 30s in order to explore their roles and influence on literature of new women and a systematic work of various situations of new women reflected in magazines and other media are left to be done.

      • Histamine에 의한 위궤양 발생기전에 관하여

        구명숙,김광주,김미경A,유경하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1982 梨花醫學誌 Vol.- No.14

        Histamine and Reserpine increased gastric secretion and free acidity, as a result they produced peptic ulceration. Cimetidime, a H_2 receptor antagonist, blocked the increase of gastric secretion and acidity In this experiment, some aspects of histamine, reserpine, and cimetidine on gastric secretion and ulceration in rat were studied. The data reported showes that; 1) Histamine treated group increased gastric volume and free acidity,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group. But total acidity was decreased. Gastric mucosa showed significant gross hemorrhage and ulceration 2) Reserpine treated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gastric volume and pH, slight increase in free acidity. But Total acidity decreased remarkably. 3) In cimetidine pretreated groups, gastric volume, pH, and free acidity were not increased. Total acidity was decreased remarkably. Ulceration of gastric mucosa was slightly occured. In conclusion, histamine and reserpine increased gastric volume and free acidity. They produced peptic ulceration on the mechanism of H^+ion back diffusion. Cimetidine pretreated group blocked gastric ulceration.

      • KCI등재

        한용운 시의 창작환경과 민족정서 형상화 방식

        구명숙 한국사상문화학회 2008 韓國思想과 文化 Vol.41 No.-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ems by Han, Yong-Wun, a poet, a pioneer, a leader of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and a national rights campaigner. Many researches have focused on his idea of buddhism or an ideology of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In this study, several of his works that represent his nationalism are analyzed to show how his stream of nationalist sentiments is formulated. Through this, we can analyzed how these poems encapsulates the ideology of national independence consciousness. His poem, ‘Silence of the Lover,' is taken as an example. There are several unique ways of configuration. First, he expresses 'the lover' as a metaphor of a country or a nation. The expression of 'waiting' is a metaphor of palpable sense of loss, over tones of despair. But at the same time, these expressions also possess confidence, a broad mind, and fearless emotions. Second, the consciousness of absence of 'the lover' was expressed by metaphysical imaginations. He overcomes the realities of life by using metaphysical speculations and paradox. A women's acquiescent nature but strong confession are shaped to add the effect of an aesthetic sense. Third, readers can reconnect innumerable thoughts through his open-ended imaginary metaphor. Fourth, paradoxical question draws ideal thoughts or the realities of life. Finally, he provides a framework and space for generalization of the world and its people. In this study, it is shown that he lived as a leader of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the literature and he successfully captured the spirit of nationalism through poems, which makes it possible for Korean people of that era to share the spirit in secret ways. 한용운은 아름답고 섬세하며 쉬운 언어로 민족의식을 ‘님’의 존재로 말한 시인이다. 한용운은 삶의 방식의 한 방범으로 시를 썼고, 그 시는 어떠한 기교나 감성을 드러내기 위한 수단이 아니었다. 따라서 한용운의 시에 대한 이해는 한용운을 온전히 이해하는 데서 시작해야 한다는 전제에서 그의 생애를 짚어보고 그가 시를 창작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았으며, 그의 시 속에서 가장 크게 자리했던 ‘님’을 어떻게 형상화 해 냈는가를 고찰하였다.한용운의 시는 ‘님’과 ‘역설’에 의해서 그 전체를 아우를 수 있다. 님의 부재에 대한 인식을 형이상학적인 상상력에 의한, 부정과 역설에 의한 변증법적인 세계관으로 그린 그의 기법은 현실의 인식 이상의 사용을 통해서만 이해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세계는 여인의 순종적이면서도 강인한 고백으로 이루어지기에 더욱 아름답게 읽힌다. 한용운에게 님은 ‘민족’이라는 강렬한 존재로 남아 있지만, 그의 시가 가지고 있는 열린 상상력을 활용한다면 독자들은 그 님의 의미를 무수한 세계와 연관 지을 수 있다. 한용운은 현실에 대해 올곧은 정신으로 응전한 신념과 지조 높은 시인으로 ‘부재하는 님’을 끊임없이 노래함으로써 ‘부재’를 존재차원으로 끌어올려 보여준다. 즉 ‘님의 부재’를 감정이나 탄식으로 희석시켜 버리는 것이 아니라, ‘님의 부재’와 ‘임재해야 할 님’을 기다리며 쉬임없이 노래하여 민족의식과 정서를 고취시켰다.한용운은 민족 운동가로서의 삶을 문학으로 실천함으로써, 민족정신과 시의 만남을 성공적으로 형상화하여 우리 민족과 은밀한 소통을 주도해 온 독창적인 시인이었다. 한용운은 그의 시「님의 침묵」에서 조국과 민족을 ‘님’으로 설정하고 상실감과 절망감을 ‘기다림’에 의해서 다스리고 있다. ‘기다림’ 속에는 우리의 민족정서가 켜켜이 어우러져 있다. 즉, 여유와 자신감과 당당함이 내재되어 있으며 반드시 님을 다시 만난다는 희망을 담고 있었다. 한용운이 그의 시에서 주로 다루고 있는 내용은 님의 침묵과 부재를 통한 상실의 정서이다. 그는 님의 부재, 즉 상실에서 오는 슬픔과 한, 그리고 허무의식을 한국인의 기다림의 정서로 형상화함으로써 민족적 동질성을 느낄 수 있게 해주었다. 그러한 관점에서, 그의 시는 개인적 삶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민족공동체적 서정을 노래한 것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정신분석 치료에서는 머리로만 아는 지적 통찰만으로는 치유가 일어나지 않는다고 한다. 오히려 더 중요한 것은 가슴으로 아는 정서적 통찰인데 그것을 얻어야만 치유가 일어난다는 것이다. 한용운의 시에서 끊임없이 노래하는 ‘님’을 통해 가슴으로 아는 정서적 통찰을 얻어당대의 민족의 한을 풀어낼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한용운의 시는 당대를 넘어서고 세속을 뛰어넘는 초월적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그의 시는 현재에도 큰 효용성을 갖는다. 따라서 그의 시가 가진 현재적인 해석이나 가능성 또한 계속 논의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