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의 읽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구조모형 분석

        곽경화 ( Kyeong Hwa Kwak ),김영실 ( Young Sil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환경인쇄물 읽기능력, 어휘력, 낱자지식, 음운인식과 읽기능력의 관계를 논리적으로 연결하여 인과적 경로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G시에 소재하고 있는 7개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4세반 유아 217명이다. 연구결과 첫째, 환경인쇄물읽기능력은 유아의 읽기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휘력은 읽기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낱자지식과 음운인식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낱자지식과 음운인식은 읽기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인쇄물 읽기능력과 읽기능력 간의 관계에서 낱자지식과 음운인식이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어휘력과 읽기능력 간의 관계에서 낱자지식과 음운인식이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를 위한 효과적인 읽기지도 프로그램 구성 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By logically connecting the relations among environmental print reading ability, knowledge of vocabulary, letter knowledge, phonological awareness, and reading ability, this study examines the causal path between these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7 four-year-old children from 3 kindergartens and 4 day care centers located in K city, Jeollabukd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environmental print reading ability had a direct impact on young children’s reading ability. Knowledge of vocabulary didn’t have a direct bearing on reading ability, but had indirect influences through letter knowledge and phonological awareness. Both letter knowledge and phonological awareness were shown to have direct impacts on young children’s reading ability. Second, letter knowledge and phonological awarenes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print reading ability and young children’s reading ability. Letter knowledge and phonological awareness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of vocabulary and young children’s reading ability.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c material in developing effective reading program for young children.

      • KCI등재

        3, 4세 유아들의 이름글자 쓰기 발달 분석

        곽경화(Kwak, Kyeong-Hwa),김영실(Kim, Young-Sil)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4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3, 4세 유아들의 이름글자 쓰기의 발달 단계를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전라북도 J, I, G시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에 다니고 있는 3세 유아 170명과 4세 유아 252명, 총 422명을 대상으로 이름글자 쓰기를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은 2013년 3월 12일부터 3월 23일까지인 신학기가 시작된 직후에 실시하여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되는 이름쓰기 교육의 직접적인 영향을 최소화하였다. 이름글자 쓰기자료는 한글의 특성을 반영한 이름글자 쓰기 단계기준에 맞추어 0단계에서 10단계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3세 유아의 이름글자 쓰기 발달은 0단계에서 10단계까지 고루 퍼져있어 연령 내 개인차가 존재하였다. 둘째, 4세 유아는 대부분 자신의 이름글자를 정확하게 쓸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령 간 이름쓰기 단계는 3세와 4세 간 차이를 보였다. 넷째, 개인별 이름글자를 구성하고 있는 자모음 수와 이름쓰기 단계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evelopmental stages of 3- and 4-year-old children’s name ? writing. For this research, name ? writing samples were collected, from 422 children ? 170 3-year-olds and 252 kids aged 4 ? at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located in J. I and G cities in Jeollabuk-do. The name ? writing samples were conducted from March 12 through March 23 in 2013, right after the opening of the new semester, to minimize the impacts name writing education at the institutes would have on the children’s name letter writing skills.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made based on a 0 to 10 scale, which had been devised to categorize the name letter writing developmental stages by accommod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lphabet. This study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dividual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3-year-old kids in their name letter writing skills, which spread evenly throughout the entire developmental stages. Second, most of the 4-year-olds were found to be able to write their name letters correctly. Third,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two age groups in the developmental stages of name letter writing. Fourth,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name letter writing developmental stages and the number of consonants and vowels in individual children’s names.

      • KCI등재

        3, 4세 유아의 이름글자지식과 환경인쇄물 읽기, 단어읽기능력과의 관계

        곽경화(Kyeong Hwa Kwak),김영실(Young Sil Ki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6

        본 연구의 목적은 3, 4세 유아의 연령에 따른 이름글자지식과 환경인쇄물 읽기능력, 단어읽기능력을 살펴보고 이름글자지식과 환경인쇄물 읽기능력 및 단어읽기능력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G시에 소재하고 있는 2개의 유치원에 재원 중인 3, 4세 유아 70명이다. 연구결과 첫째, 3, 4세 유아의 이름글자지식, 환경인쇄물 읽기능력, 단어읽기능력은 4세 유아의 평균점수가 3세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3, 4세 유아의 이름글자지식, 환경인쇄물 읽기능력, 단어읽기능력 간에는 모두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다 나은 유아 문해 교육의 실현을 위한 교육 방향을 설정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bilities of 3- and 4-year-olds to recognize letters in their names, identify environmental print, and read words. The study focuses on determining age-based differences as well as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three types of abilities. Participants consist of 70 children enrolled in two kindergartens in G City, North Jeolla Province. The study finds that 4-year-old children earned higher scores on average than the 3-year-olds in name-letter recognition tests, environmental print identification tests, and word reading tests suggesting. Significant age-based differences in this category; The study also finds that these three types of abilities are found to be related with one another. It is hoped that these findings will be used effectively to establish directions to improve literac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KCI등재

        이름글자를 활용한 그룹게임이 유아의 음운인식과 읽기능력, 읽기흥미에 미치는 영향

        곽경화(Kwak Kyeong-Hwa),김영실(Kim Young-Sil)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에게 가장 친숙한 글자인 이름글자를 활용한 그룹게임을 구성하고 이를 적용하여 유아의 음운인식과 읽기능력, 읽기흥미에 미치는 교육적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K시에 소재하고 있으며 규모와 지역적 특성이 비슷한 2개 어린이집의 만 4세 유아 38명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이름글자를 활용한 그룹게임을 10주간 실험집단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이름글자를 활용한 그룹게임은 음운인식, 읽기능력, 그리고 읽기흥미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group games using young children’s name letter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group games on the their phonological awareness, reading ability, and reading interes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8 four-year-old children from two child care centers in K city, Chulabuk-do. They had similar backgrounds in terms of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nd class size. For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group games using young children’s name letters specially developed for this study were applied for 10 weeks. It was found that the group game using young children’s name letters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phonological awareness, their reading ability, and their reading interest.

      • KCI등재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 관련 활동 분석

        곽경화 ( Kyeong Hwa Kwak ),김지운 ( Ji Woon Kim ),박수경 ( Su Kyoung Par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누리과정 3,4,5세 교사용 지도서의 213개 음악 관련 활동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각 활동의 누리과정 관련요소를 분석하고 음악 관련 활동 목표 및 내용에 나타난 음악적 개념과 음악적 태도, 음악의 활동 유형을 분석하였다. 또한 음악에 사용된 곡의 형태(장르, 음역, 박자, 조성, 형식)와 활동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누리과정 관련요소는 예술경험 영역의 내용범주 중 예술적 표현하기의 내용인 음악으로 표현하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악 관련 활동의 목표에 나타난 음악적 개념은 진술되지 않거나 리듬이 제시된 경우가 많았고 음악적 태도는 창의적 표현과정 즐기기, 음악의 활동 유형은 노래 부르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음악 관련 활동 내용에 나타난 음악적 개념은 진술되지 않거나 리듬이 제시된 경우가 많았고 음악적 태도는 창의적 표현과정 즐기기, 음악의 활동 유형은 노래 부르기가 가장 많이 제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곡의 형태 분석 결과 음악의 장르에서는 한국음악, 창작동요가 가장 많았고 음역은 8도(c1-c2)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박자에서는 홑박자 중 4/4박자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조성에서는 장조 중 다장 조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형식에서는 한도막 형식(8마디)이 가장 많았고 그림·사진·동화와 PPT를 활용한 가사판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보다 나은 유아 음악교육의 실현을 위한 교육 방향을 설정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analyzes music-related activities for three-, four- and five-year-old children in the ``Nuri curriculum teacher guidebooks``. To this end, the research analyzes musical concepts, musical attitude, types of musical behaviors and elements as they appear in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curriculum`s music-related activities. In addition, musical forms in instructional media such as genre, range and type are analyzed. The target of this study is 213 music-related activities in Nuri curriculum guidebooks for each age group. The result are as follows. With regard to the objectives for the music-related activities, rhythm is presented the most in the musical concept. For the musical attitude, having an interest in music is cited the most, and singing songs appears most often in musical behavior. Similarly, when it comes to the contents of music-related activities, rhythm appear often in the musical concepts. Enjoying the process of creative expression is frequently applied for musical attitude and singing songs for musical behavior. When musical forms were analyzed, children`s songs account for the biggest part of the musical genres of Korean music. In addition, C8(C-C′) of the range is most frequent, and 8 and 16 measures appear most often in terms of type. Lastly, sound source are used most as the activity materials, and with regard to the elements related to Nuri curriculum, artistic expression achieved through music is the most frequent among the content category of artistic experiences.

      • KCI등재

        전래동요놀이가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 및 사회정서발달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이영자(Lee Yeong-Ja),곽경화(Kwak Kyeong-Hwa),최진숙(Choi Jin-Suk)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전래동요놀이가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 및 사회정서발달과 놀이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 N시에 소재한 A어린이집과 B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2세 영아 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1주에 2회씩, 8주간 전래동요놀이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음률신체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영아의 의사소통능력 및 사회정서발달과 놀이성을 측정하기 위해 이영자, 이종수, 신은수, 곽향림, 이정욱(2002)의 ‘1, 2세 영아발달 평가도구’ 중에서 의사소통에 해당하는 부분을 발췌하여 사용하였고, 김호인(2010)의 사회정서발달 척도와, 이화용(2012)의 놀이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3.0 Windows program을 통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래동요놀이는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 및 사회정서발달과 놀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 사회정서발달, 놀이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전래동요놀이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로서 현장에서 전래동요놀이가 지속적으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raditional nursery rhymes on communication, social-emotional development and playfulness of 2-year-old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 2-year-old children who were enrolled in daycare center A and day care center B located in N city, Jeollanam-do. The study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groups into a comparison group where rhythmic physical activities were completed based on the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and an experimental group where traditional nursery rhyme play were implemented twice a week for 8 weeks. As for research instruments, the part corresponding to communication among the ‘1st and 2nd-year-old children development evaluation tools’ of Lee Young-ja, Lee Jong-su, Shin Eun-su, Kwak Hyang-rim, and Lee Jeong-wook(2002) was extracted and used as a research tool to measure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toddlers, and Kim Ho-in(2010) and the playability scale of Lee Hwa-yong(2012)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as subjected to independent sample t-test through SPSS 23.0 Windows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raditional nursery rhymes have a positive effect on communication, social-emotional development and playability of 2-year-old children.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s of traditional nursery rhyme play to enhance communication,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and playfulness of 2-year-old children, and it is expected that traditional nursery rhyme play can be used continuously in the day care center.

      • 사진찍기를 활용한 쌓기놀이 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 및 공간표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은혜(Han, Eun Hai),김영실(Kim, Young-Sil),곽경화(Kwak, Kyeong-Hwa)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7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7 No.10

        본 연구는 사진찍기를 활용한 쌓기놀이 활동이 만 4세 유아의 공간능력 및 공간표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효율적인 공간에 관한 수학교육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으로 전라북도 G시에 소재한 2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4세 유아 38명을 선정하여 유아 19명씩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배정하였다. 실험집단 유아를 대상으로 사진찍기를 활용한 쌓기놀이 활동을 10주 동안 1주일에 한 가지 주제로 2일에 걸쳐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진찍기를 활용한 쌓기놀이 활동은 만 4세 유아의 공간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진찍기를 활용한 쌓기놀이 활동은 유아의 공간표상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진찍기를 활용한 쌓기놀이 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 및 공간표상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활동임을 시사하는 바이다. 또한 사진찍기를 활용한 쌓기놀이 활동을 고안함으로써 유아가 이해하기 쉬운 공간개념 이해의 맥락을 제시하였고 유아들이 보다 흥미롭게 공간개념에 관심을 갖게 되는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ducational effects of children’s spatial ability and representational ability by designing block play with photography and applying it to four year-old children. The research objects was four-years-old children who was belong to two daycare centers. Both located in G city. The research objects was divided as experimental group that consists of nineteen children from A daycare center and as controlled group that has also nineteen children from B daycare center. Total was thirty eight.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block play with photography for ten weeks. The collected data analyzed by SPSS. 18.0 Window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lock play with photography positively affects spatial ability of four-years-old children. Second, block play with photography positively influences on spatial representational ability.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better understanding of spatial concepts for children by designing block play with photography. Plus, this study contributes to providing one of the clues in order for children to be curiously interested in spatial area. Block play with photography is expected to be employed for children’s spatial concepts in children education area.

      • KCI등재

        어머니 대상의 베이비싸인 교육이 어머니-영아 상호작용과 영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김유나 ( Kim Yu Na ),김영실 ( Kim Young Sil ),곽경화 ( Kwak Kyeong Hwa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5

        본 연구는 어머니 대상의 베이비싸인 교육이 어머니-영아의 상호작용과 영아의 어휘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북 J시에 거주하는 생후 9∼10개월의 영아와 그의 어머니 20명이다. 연구도구로 김현(2008)의 어머니-영아 상호작용 평정척도와 배소영(2003)의 MCDI-K(The MacAuthur Communitive Development Inventory - Korea)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보조자 훈련, 예비검사, 예비연구,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맨 휘트니 U 검증(Mann - Whitney U Test)을 통해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 대상의 베이비싸인 교육이 어머니-영아의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어머니 대상의 베이비싸인 교육이 영아의 어휘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베이비싸인 교육이 어머니와 자녀의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을 도와 양육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되고 영아의 어휘력을 높이는데도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baby sign education for mothers on mother-infant interaction and infant's vocabulary. The subjects of study were 20 infants of 9 to 10 months of age and their mothers in J city, Jeollabuk-do. As study tools, this study used the mother-child interaction scale developed by Kim Hyeon (2008). For infant’s vocabulary, Bae So-Yeong (2003)’s MCDI-K (The MacAuthur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y-Korea) was utilized.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procedures of research assistant training, preliminary test, preliminary research, education for teachers in the experiment group, pre-test, treatment, post-test. The data were analyzed by Mann-Whitney U Test using SPSS 18.0.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aby sign education for moth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mother-infant interaction. Second, baby sign education for moth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infant’s vocabular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baby sign edu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enhancing the quality of nursing by helping the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mother and the child, and also enhancing the vocabulary of the infant.

      • KCI등재

        부모의 놀이참여태도가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백승선(Baek, Seung-Seon),최진숙(Choi, Jin-Suk),곽경화(Kwak, Kyeong-Hwa)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부모의 놀이참여태도와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부모의 놀이참여태도가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전라북도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3~5세 유아 250명과 그들의 부모 25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모의 놀이참여태도 전체 및 하위요인인 민감하게 놀기, 반응적으로 놀기, 즐겁게 놀기는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자아존중감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부모의 놀이참여태도는 부모의 인식에 따라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부모의 놀이참여태도의 하위요인 중 민감하게 놀기와 반응적으로 놀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부모의 놀이참여태도와 유아의 또래유능성, 자아존중감 간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고,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자아존중감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부모의 놀이참여태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attitude of play participation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their self-esteem. Also this study is to debunk how parent s attitude of play participation influence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their self-esteem. For this study, data has been collected from 250 children who aged from 3 to 5 and 500 their parents who were registered to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North Jeolla province. As a result, first, sensitive playing, responding playing, fun playing that are part of or whole of parent s attitude of play participation were related to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their self-esteem. Second, Depending on the parents perceptions, the parents attitude of play participation created the meaningful difference on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their self-esteem. Third, the gradual returning analysis shows that as cause elements, sensitive playing and responding play that are part of parent s attitude of play participation influenced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their self-esteem. These results may contribute to developing parent education that would support to know how to participate in play and the importance of parent s attitude of play participation.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마음이해교육이 마음이론, 수용 및 표현언어, 이야기이해 능력에 미치는 효과

        인정이 ( Jeong Yi In ),김영실 ( Young Sil Kim ),곽경화 ( Kyeong Hwa Kwa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5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마음이해교육이 마음이론, 수용 및 표현언어, 이야기이해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북 G시의 O유치원에 재원중인 4세 유아를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20명씩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에는 12주 동안 마음이론 요소가 있는 그림책을 선정하여 읽어주고 사실적 정보 모으기, 그림책 다시 읽어주기 및 공감적 정보 모으기, 극놀이 표현 및 공연-감상하기를 실시 한 후 유아의 마음이론,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능력, 이야기이해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마음이해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마음이론, 수용언어 능력과 표현언어 능력, 그리고 이야기이해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보다 나은 유아 마음이해교육의 적용을 위한 교육 방향을 설정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ory of Mind (ToM),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identify the thoughts, feelings, and intentions of others, begins to develop in very young children. Research has pointed out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in which development in ToM is lacking or deficient. Studies on how to remedy developmental deficiencies and/or promote positive development through early childhood programs and activities are ongoing. This study reports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uch a program using picture books. Subjects were 40 children, all four years of ag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20 and a control group of 20 from two kindergartens at O school in G city, Jeollabuk-do. For twelve weeks, a picture book having much material on ToM elements was selected and read to the experimental group every week, followed by a factual-information-collecting activity and then, a re-reading of the picture book, a sympathetic information-collecting activity, and performance and enjoyment of role play expression activities.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ubjects made significant gains in ToM indicators in their ability to use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and in story comprehension. These results provide basic theoretical data for developing and using activities and programs promoting positive development of ToM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