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복지 프로그램 차원의 증거기반 활동에 대한 이해 : 증거확보, 증거인증, 증거전파의 통합적인 접근 중심으로

        공계순 ( Gye Soon Kong ),서인해 ( In Hae Seo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4 사회복지연구 Vol.45 No.4

        최근 사회복지에서 증거기반실천이 중요해지고 프로그램 차원의 증거기반 인증제의 도입이 시도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 프로그램 차원의 증거기반활동의 이론적인 특징과 접근 유형을 규명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국내외의 실태를 살펴보고, 한국에서의 프로그램 증거기반 활동의 방향성과 과제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연구자들은 먼저 프로그램 차원의 증거기반활동의 특징을 규명하고, 이러한 개념적인 특징에서 나타나는 증거활동의 3가지 차원, 즉 증거확보, 증거인증, 증거전파를 분석기준으로 설정하여, 관련 문헌에서 나타나는 증거기반활동의 경향을 분석한 결과, ‘평가활동 중심의 증거확보와 개별 전파활동’, ‘개발활동 중심의 증거확보와 협력적 전파활동’, ‘증거 인증을 통한 제도적인 전파활동’을 찾을 수가 있었다. 이러한 경향들에서 증거확보, 증거인증, 증거전파활동이 서로 밀접하게 상호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된 3가지 증거활동 측면에서 국내의 사회복지프로그램 증거기반활동의 실태를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외국과는 달리 우리나라의 프로그램 차원의 증거기반활동은 증거확보, 증거인증, 증거전파의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인증활동도 우리나라 프로그램 증거활동의 여건과 수준을 고려하여 진행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프로그램 차원의 증거기반활동과 관련된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explore an integrated approach of evidence based program 서인해activities in Korea, which is used as analytic framework for the accreditation of EBP programs recently initialized by Korean government in the area of the social work.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s criticised the current concepts of the evidence based practice(EBP) and evidence based programs(EBPs) in that it is not appropriate for the explanation of the EBPA in the social work programs. The researchers constructed a concept and its related key features for diverse and complicated evidence based activities appeared at the sequential development faces of the social work programs. On the basis of the new concepts, they analyzed the tendencies of the evidence based activities in the related literatures covering program evaluation, development, dissemination, and innovation etc. As the result, they found the three noticeable tendencies emerged as follows: an “evaluation focused evidence development activities”, development focused evidence development activities, and accreditation focused evidence dissemination activities. Furthermore, they examined the situations of the evidence activities in Korea. They suggested an integrated approach and tasks of the evidence activities in the social work program in Korea.

      • KCI등재

        사회복지기관에서 프로그램 개발의 순환적인 활동에 대한 실증적 연구: 수용, 개발, 전파를 중심으로

        공계순 ( Gye Soon Kong ),서인해 ( In Hae Seo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0 사회복지연구 Vol.41 No.3

        본 연구는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활동의 연속성을 전체적인 시각에서 이해하려고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사회복지기관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 개발활동의 기관내외부의 순환적인 흐름의 특징을 기술하고, 이러한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틀은 복지관의 개발활동의 순환적 특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이론적 맥락과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구성되었다. 복지관의 개발활동의 순환적 활동과 관련된 3개의 종속변수(수용, 개발, 전파)와 개인, 조직 및 환경, 개발과정과 관련된 17개 의 독립변수들을 구성하였으며, 각 종속변수에 따라 독립변수들을 차별적으로 적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2009년도 외부 지원단체의 공모사업에 선정된 복지관의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개발 및 수행을 담당한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2009년도 그들이 개발하고 수행한 프로그램 활동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최종분석에는 195부의 응답이 포함되었다. 통계분석을 위해 기술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기술분석의 결과, 복지관의 외부 프로그램 수용, 기관에서 프로그램 개발, 개발된 프로그램의 전파활동은 생각보다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다중회귀분석의 결과, 종속변수로 설정된 프로그램의 3개 개발활동들이서로 밀접하게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개 개발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서는 개발자의 모험 감수, 외부 환경의 격변성에 대한 인식, 기관의 혁신권장 분위기, 프로 그램 집행기간, 프로그램 관련문헌정보 수집정도, 동료관계, 기관장 및 상관의 참여 등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의 학술적 함의와 실천적 제언이 제시되었다. Despite the rapidly increased concern on the circularity of the program development activities in the social service agencies,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about the phenomena.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program development in the process of adopting, developing, and disseminating the social programs and to figure out the factors influencing differences in the 3 activities in social service agencies. The researchers constructed an explanative model including each 12-13 independent variables with 3 consecutive dependent variables on the basis of reviewing the related literature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predict the features of the program development using 195 questionaries responded from social workers in community service centers. As the result of the descriptive analysis, the two noticeable features are found; (1) the agencies have very actively adopted outside programs, developed appropriate programs for the agency, and disseminated the programs into other agencies in the community. (2) there are some positive aspects of the factors in related to the process of the program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the three dependent variables of the adoption,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are very closely interconnected with each others, showing the evidence of the circularity in the agencies. In addition, the 5 independent variables at the value of p .01 are statistically related with the circularity of the three dependent activities. The implication of major findings were discussed in academic and practical perspectives in Korea, including future research works in the area.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에서의 사례관리실천 방안에 관한 연구

        공계순 ( Gye Soon Kong ),서인해 ( In Hae Seo ) 한국가족복지학회 2009 한국가족복지학 Vol.14 No.4

        지역아동센터는 2004년 종합적인 아동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아동복지시설로 법제화되면서 양적으로 급속하게 성장해오고 있는 가운데 질적으로도 운영의 체계성과 전문성을 갖출 것이 요구되고 있다.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의 대부분은 저소득 가정 및 가족기능이 약화된 가정의 아동들로 복합적인 욕구를 가지고 있어서 포괄적인 서비스를 지역사회차원에서 발굴·연계해 주는 사례관리의 실천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에서의 효과적인 사례관리실천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의 사례관리의 필요성과 방향성을 제시하고, 사례관리의 주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각 구성요소별로 지역아동센터에서 가능한 여러 대안들을 살펴보며, 현재의 지역아동센터의 여건에 비추어 가능한 방법을 중심으로 지역아동센터에서의 사례관리의 운영방안과 보다 성공적인 사례관리를 위해서 앞으로 주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영역이나 과제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지역아동센터에서의 사례관리의 주요 방향으로는 아동 및 가족에 대한 통합적인 접근, 아동 및 가족의 욕구에 기초한 개별화, 아동의 성장과 발달을 위한 연속적인 보호, 아동 및 가족의 적극적인 참여, 강점관점 등이 제시되었다. 사례관리의 구성과 운영에 대해서는 사례관리의 주체기관, 사례관리의 대상자 선정, 지역사회자원동원, 사례관리 담당자 및 주요 역할을 중심으로 논의하고 있다. 결론에서는 지역아동센터에서의 체계적인 사례관리실천을 촉진하기 위해 필요한 노력에 대한 제언과 앞으로의 연구과제 등을 제시하고 있다. In spite of the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community children`s centers since 2004, they have been continuously criticized for their administrative systems being poorly organized and the quality of services provided to the children being inadequate for the needs of the children and their families. Moreover, many children enrolled at community children`s centers are from impoverished families, single-parent families, and/or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ies. Therefore, they tend to have multiple needs and problems. These kinds of circumstances provoke the field of social work in Korea to consider case management practice as a pivotal duty for the center in providing comprehensive services to children and their famili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theoretical features of effective case management practice at the community children`s centers. The study presents the principles of case management for the centers: (1) integration of children and family, (2) individualized services, (3) comprehensive and successive services, (4) participation of children and parents, and (5) strength perspective.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s the possible alternatives in terms of the four major components of case management: (1) case management agency, (2) target client, (3) community resources, and (4) case manager. Finally, the study discusses the major tasks for developing effective case management at the centers and future research areas related to case management at the centers.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생활복지사의 직무환경과 직무만족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공계순 ( Gye Soon Kong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0 한국가족복지학 Vol.15 No.4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생활복지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이론적 연구모형을 바탕으로 나이, 직무환경적 특성(보상, 업무량, 역할갈등, 전문적 발전기회), 직무만족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구조를 살펴보았다. 강원도, 충청남도, 대전시에 소재한 192곳의 지역아동센터에 근무하는 생활복지사를 대상으로 우편설문조사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회신율은 100%였으며, 최종분석에는 208명의 응답이 포함되었다. 통계분석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나이는 이직의도에 직접 및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상과 발전기회는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통하여 이직의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량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둘 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할갈등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도는 보상과 이직의도, 발전기회와 이직의도 사이의 영향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직의도에 대한 총 효과는 직무만족도, 전문적 발전기회, 나이, 보상, 역할갈등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이직을 줄이기 위한 실천적 방안과 차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job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of front-line welfare workers in Community Child Centers in Korea. Exogenous variables included in the study are worker`s age, rewards, work load, professional developmental opportunities, role conflict. Job satisfaction is considered as mediating variabl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mail questionnaires sent to the front-line welfare workers, and 208 papers were included for final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Worker`s age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s turnover intention. Reward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al opportunities do not directly affect turnover intention, but affect indirectly through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Work load does not affec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Role conflict directly affects turnover intention. Job satisfaction plays full mediating variables in relationship between rewards and turnover intention, and between professional developmental opportunities and turnover intention.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for reducing front-line welfare workers` turnover intention and for future studies of turnover among workers in Community Child centers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소진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

        공계순 ( Gye Soon Kong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0 한국가족복지학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데 있다. 지역아동센터에서 근무하는 시설장 및 생활복지사를 대상으로 우편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지 회수율은 88.5%이고, 최종 통계분석에는 346명의 응답내용이 포함되었다. 소진을 야기할 수 있는 변인군으로 종사자의 인구학적 특성, 근무환경 특성, 직무수행상의 고충요인이 포함되었다. 직무수행상의 고충요인은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주요 업무 및 역할과 관련된 25개의 문항을 요인 분석하여 도출된 5개의 요인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통계분석방법으로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소진의 각 하위요인(정서적 탈진, 비인격화, 성취감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군들의 종속변수에 대한 설명력의 증가를 알아보았으며, 어느 변수가 소진의 각 하위요인에 영향력이 높은지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정서적 탈진에 대해서는 근무환경특성이 가장 설명력이 높았으며, 역할갈등, 나이, 센터근무기간, 보상, 아동지도상담 고충 순으로 정서적 탈진에 영향을 미쳤다. 비인격화에 대해서는 근무환경특성이 가장 설명력이 높았으며, 아동지도상담고충, 역할갈등, 직원관계, 부모가정지원고충 순으로 비인격화에 영향을 미쳤다. 성취감감소에 대해서는 직무수행상의 고충요인이 가장 설명력이 높았으며, 아동지도상담고충, 부모가정지원고충, 관련기관협력고충, 직원관계, 맡은 업무수 순으로 성취감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아동센터의 종사자의 소진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burnout of community child care center workers in Korea. Questionnaires were sent via mail both to head executives and to front-line welfare workers, and 346 papers were included for final analysis. The independent variables considered in the study are work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x, ag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job position, years of service at the center), working conditions (number of children, work hours, number of jobs, role conflicts, autonomy, rewards,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and job-related difficulties in five areas (guiding and counseling children, support for parents,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other organizations, resource development and connectivity, and documenting administrative records and case records). Job-related difficulties were measured by conducting factor analysis for 25 item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Emotional exhaustion is influenced by role conflicts, age, years of service, rewards, and difficulties in guiding and counseling children. Depersonalization is influenced by difficulties in guiding and counseling children, role conflicts,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and in supporting parents and families. Personal accomplishment is influenced by difficulties in guiding and counseling children, in supporting parents and families, in building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other organizations, in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and number of jobs.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prevention of burnout among workers in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 KCI등재
      • KCI등재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의 이직의도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공계순(Gye Soon Ko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05 한국아동복지학 Vol.- No.19

        본 연구는 아동학대 예방센터 상담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전국의 지방아동학대 예방센터 상담원을 대상으로 우편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에 포함된 응답자는 117명이다. 연구에 포함된 변수로는 상담원의 인구사회학적 인 특성, 조직 및 직무관련 요인인 승진, 보수, 업무량, 역할갈등, 역할 모호, 상사 및 동료관계, 신변안전 위협, 그리고 소진의 하위개념인 정서적 탈진,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인격 화, 개인적 성취감감소 등이다. 연구모형으로서는 이직의도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뿐만 아니 라 소진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주요하게 고려하였으며, 통계 분석으로는 회귀분석과 경로분석이 실시되었다. 효과분석으로 이직의도에 가장 영향력이 큰 요인으로 나타난 것은 소진의 하위개념 중 하나인 정서적 탈진이며, 그 다음으로 상사와의 관계, 근무기간, 성별, 신변위협에 대한 인식, 업무량, 연령, 학력 순이다. 정서적 탈진을 많이 경험할수록, 상사와의 관계가 만족스럽지 못할수록, 센터근무 기간이 길수록, 업무량이 많다고 생각할수록, 남성상담원이 여성상담원보다, 신변에 대한 위협을 더 많이 느낄수록, 대졸자가 대학원졸업 자보다 더 이직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직완화 방안과, 후속 연구를 위한 방안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ssociated with turnover intention of child protective service workers working in the Korean Child Abuse Prevention Centers nationwide. The following categories of factors associated with turnover intention were examine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rganization and job related characteristics, and burnout. Social survey method using questionnaire by mail was used for collecting data. A series of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ubscale of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Direct relationship and in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dependent variable were presented in Path Diagram, and the Effect Size of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were calcula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ollowing. Child protective workers experiencing higher degree of emotional depletion and lower degree of support from supervisor reported higher degree of turnover intention. Also, age, education level, lengths of work in the centers, risk of violence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variables associated with turnover intention. Major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previous research findings. Several suggestion were made for retention of child protective workers and for future studies of turnover among workers in child abuse prevention centers.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활동의 경향성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 참여주체, 정보수집, 개발과정을 중심으로

        서인해 ( In Hae Seo ),공계순 ( Gye Soon Ko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3 사회복지연구 Vol.44 No.4

        우리나라에서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관련 학문이 도입된 지 20여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본 연구는 기존에 진행된 이론연구의 추가적인 현장 조사 연구로서, 사회복지기관들의 프로그램 개발활동의 경향성이 우리나라 실천 현장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된 연구 분석틀은 3가지 분석영역인 개발활동참여주체(누가), 개발활동에 활용된 지식(무엇으로), 개발활동 과정 지속성(어떻게)이며, 이러한 3가지 영역 속에 들어있는 두 가지 대칭적 활동경향을 토대로 구성된 4가지 개발활동의 경향성, 즉 지식주도형, 현장중심형, 통합형, 무관심형이었다. 조사대상은 전국의 복지관에서 두 곳의 외부 프로그램 공모사업에 지원·선정되어 수행된 220개 사회복지 프로그램 사례이며, 프로그램의 개발 및 수행을 책임진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서 이루어졌다. 최종분석에는 196개의 사례가 포함되었으며, 통계분석으로서는 실태분석에 적용되는 기술 분석기법들이 적용되었다. 분석결과, 현장의 사회복지 기관들의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활동에서 다양한 특징과 경향성들이 발견되었다. 우리나라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활동에서는 대체로 정보수집활동은 보편적 정보보다는 지역적 정보를 더 많이 수집하는 경향이 있으며, 기관외부 관련자들 보다는 기관내부 종사자들이 더 높은 참여활동을 하고 있으며, 기획단계뿐만 아니라 집행과정에서도 지속적인 개발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활동의 3가지 영역의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프로그램 개발활동의 경향성을 전체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통합형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무관심형, 현장중심형, 지식주도형 순서로 나타나고 있었다. 연구자들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활동에 대한 실천 및 정책적인 함의와 과제를 논의하였다. As almost 2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foreign knowledges of the program development introduced to the field of social work in Korea, the study was undertaken to describe the approaches of the social work program development activities in Korea in terms of (1) who are involved, (2) what kinds of information are collected, and (3) how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process are interrelated. On the basis of the three foci, the researchers attempted to identify the four types of the models, which were resulted from their theoretical study conducted in 2009.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were sent to each social worker in charge of developing the 196 social work programs implemented with financial assistance of the two main Korean funding organizations.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in the analysis of the 196 cases; more local knowledge than universal knowledge, and more local participators than outside participators, continuity in the both processes of the design and the implementation. In addition, the most dominant approach in the cases is considered as the Convergent Model, which tends to develop a program in the combination of the knowledge and people oriented approaches. The second one is the Indifferent Model, which features less activities in utilizing knowledge, collaborating with local and outside participators, and interrelating activities in the processes of design and implementation. The third one is the People Oriented Model, which focuses more on local knowledge, local people`s participation, and the development activities of the implementation process. The least dominant model is the Knowledge Based Model on universal knowledge, outside experts, and design oriented planning.

      • KCI등재

        메타분석연구에서 나타난 프로그램 구성요소의 실태 : 증거기반 프로그램 개발의 관점에서

        서인해 ( Seo In Hae ),공계순 ( Kong Gye Soo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8 사회복지연구 Vol.49 No.3

        메타분석을 프로그램 개발 측면에서 조사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18년간 발표된 메타분석연구논문에 나타난 프로그램 구성요소의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 구성요소의 증거수준’을 파악하여 프로그램 개발활동에서 어떤 의미를 주는가를 탐색하였다. 연구대상은 2000년부터 2017년 6월 현재까지 전국주요학술지에서 검색된 사회복지, 심리, 상담, 보건 영역의 110개 메타분석연구논문(5,781개 프로그램 평가논문)이며 분석방법은 내용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된 메타분석논문은 인구대상, 문제, 프로그램 유형에서 범위를 좁혀 연구하는 경향이 많았지만, 여러 이질적인 유형을 포함하여 분석하는 경우도 상당했다. 통계분석방법에서는 프로그램 효과성에 대한 이질적 배경이 되는 요인을 설명할 수 있는 조절효과분석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메타분석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선정은 연구자의 임의적인 선택도 매우 많았으며, 특정한 구성요소들 중심으로 편중되게 조사하는 경향이 있었다. 프로그램 구성요소의 효과성과 관계된 통계적인 유의성 비율에 대한 분석결과에서는 대상자의 연령과 문제 심각성, 제공자의 전문성, 개입강도와 개입활동내용이 높은 수준의 ‘프로그램 구성요소 증거수준’을 보여주고 있었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프로그램 메타분석의 유용성을 높이기 위한 과제도 제시되었다. In the absence of a research study on meta-analysis in terms of program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meta-analysis research studies which has been conducted for 18 years, and is to identify the level of program component evidence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work program. In order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study analyzed the feature and usefulness of the 110 meta-analysis studies(5,781 program evaluation studies)published from 2010 to June 2017 in major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the areas of the social welfare, psychology, counseling and health.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110 meta-analysis studies tended to narrow down the scope of the population, problems, and program types, but they also included a lot of heterogeneous types. In the statistical methods, there were relatively few studies to explain the factors behind the heterogeneity of program effectiveness. In addition, researchers tended to select program components arbitrarily with bias on specific components. The important program components with the statistical validity are as follows; the age of the subjects, the severity of the problem, the expertise of the providers, and the strength and activities of the intervention, The academic meanings of the study results was discussed,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as presented to increase the usefulness of the meta-analysis for program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