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econd fundamental form of a hypersurface immersed in S²ⁿ+¹

        KON, Masahiro,LEE, Sung-Baik,KIM, Nam-Gil,KI, U-Hang 경북대학교 위상수학 기하학연구센터 1995 硏究論文集 Vol.5 No.-

        Som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the second fundamental form of a hypersurface immersed in a unit sphere to be parallel are given. Moreover a characterization theorem of hypersurfaces with constant two or four principal curvatures is proved.

      • KCI등재

        근대 한국종교의 공공성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김봉(金?坤)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8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6 No.-

        근대 한국종교의 공공성은 국권이 피탈된 일제 치하에서, 민족운동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잘 드러난다. 1900년대 일제의 침략이 가속화되자 근대 한국종교에서는 종교가 정치적으로 이용되거나 탄압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정교분리를 선언하였다. 그리하여 교리가 심화되고 교단이 체계적으로 정비되는 등 근대종교로서의 모습을 띠게 되었다. 그러나 1910년대 일제의 정치적 탄압과 함께 삶의 구조가 왜곡되고 종교행위마저 자유롭지 않자, 근대 한국종교에서는 국권을 되찾으려는 운동에 적극 나서게 되었다. 더욱이 1917년 러시아혁명과 1918년 미국 윌슨 대통령에 의해 민족자결주의가 제창되자, 근대 한국종교에서는 민족운동의 사상적 기반으로 적극 수용하였다. 이에 근대 한국 종교에서는 1919년 일제의 식민지적 지배에서 벗어나기 위해, 천도교 측에서는 비폭력 만세시위 운동을 전개하였고., 대종교 측에서는 무장투쟁을 선언하였으며, 보천교는 천제와 같은 비밀스런 종교적 행위를 통해 독립을 쟁취하려고 하였다. 3.1운동을 전후하여 근대 한국종교는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을 위해 노력하였다. 대종교인들은 1911년 이래 상해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고 있었기 때문에,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될 때 많은 인물이 참여하였다. 천도교도 한성정부와 노령정부가 통합된 1919년 9월 이후 본격적으로 대한민국임시정부에 참여하였다. 보천교도 일제의 지배에서 벗어나 새로운 개벽 세상을 연다는 포교론의 실현과 독립운동을 통한 외연의 확장을 위해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적극 지원하였다. 다만 1921년 이후 천도교가 이승만의 위임통치론 등에 반발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불신하였고, 보천교도 일제의 회유공작에 넘어감으로써 임시정부와 이들 종교와의 관계가 점차 소원해지게 되었다. This research aimed at determining the efforts of modern Korean religion to build a new nation and investigating the desire or ideology for a new nation in modern Korean religion based on the activities of religious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or Manchuria military government. Publicness of modern Korean national religion strongly appeared in the process of active movement on the colonial condition where national sovereignty was robbed. As Japanese invasion was accelerated in 1900s, modern Korean religion proclaimed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to prevent pro-Japanese or suppression of religion due to political activity. There, deepening and systematization of religious dogma was prepared and the religious body was organized, however as Japan intensified suppression in 1910s, modern Korean National religion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to regain national sovereignty. However, with the political repression of Japan in the 1910s, when the structure of life was distorted and the religious activities were not free, the modern Korean religion became active in the movement to regain national rights. Furthermore, when the Russian Revolution of 1917 and the national self - determinationism of President Wilson of the United States were put forward in 1918, it was accepted as the ideological basis of the national movement in the modern Korean religion. In modern Korean religion, in order to escape from colonialism of Japanese imperialism in 1919, the Cheondogyo side developed nonviolent demonstration campaign, the Daejonggyo side declared armed struggle, and Bocheongyo tried to win independence through secret religious activities such as. After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modern Korean religions sought to establish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Since Daejonggy have been carrying out independence movements in Shanghai since 1911, took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since there was no big difference in Cheondogyo in respect of building an independent nation,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since September, 1919, when Hanseong government and Noryeong government were unified. Also, Bocheongyo, modern Korean religion, also supported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in order to expand its outreach through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propagand of new civilization outside Japan"s domination. However, after 1921, by Chondogyo rebeling against Rhee Syng-man"s mandate ruling and distrusting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and Bocheongyo moving on to a conciliatory measure of the Japane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se religions became increasingly deserted.

      • KCI등재
      • KCI등재

        원불교의 政敎同心과 시민적 덕성

        김봉(金?坤)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0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4 No.-

        본고는 일제 강점기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원불교의 정교동심의 추이와 민주주의 시대에 사회 전체의 보편적 선을 추구하는 시민적 덕성과의 상관관계 및 그 의의를 밝히기 위해 작성되었다. 소태산 박중빈은 일제 강점기에 민족이 약자의 상태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정치와 종교가 힘을 합쳐 새로운 문명국가를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가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정치형태는 자유롭고 평등한 민주공화국이었다. 그는 민주공화국에 필요한 정신적 토대로서 일원상(一圓上)의 인격과 사은사요(四恩四要)의 시민적 덕성을 제시했다. 일원상의 인격은 민주공화국에서 의사소통과 공론의 형성을 가능하게 정신적 원리이며, 사은사요는 은혜와 생명력이 가득한 대자유의 세상과 인간평등, 지식평등, 교육평등, 생활평등의 대평등의 세상을 실현하는 시민적 덕성이 되기 때문이다. 1945년 해방이 되자 정산 송규는 원불교를 이끌면서 국가건설에 적극 참여하였다. 특히 정산은 1945년 10월『건국론』을 발표하여, 새로운 국민정신의 토대위에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발전방안을 마련하였다. 자립과 공공성을 중시하고, 교육과 훈련, 약자가 강자로 되는 진화상의 요법을 제시하였는데, 정교동심과 사은사요의 덕성을 다양한 형태로 반영하였다. 이어 1961년에는 일원주의와 사은사요에 바탕을 둔 삼동윤리를 제창하여 원불교의 세계화를 주장하였다. 대산 김대거 역시 정교동심을 적극 실천하였다. 사은사요의 시민적 덕성의 기초위에 정신, 청소, 식사, 의복, 주택, 생산, 시책을 통한 7대 새 생활 운동에 나섰고, 세계평화를 돕기 위한 종교연합운동과 평등한 세계평화의 기초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1980년대 민주화시기에는 광주민주화운동이나 6.10 항쟁에 대해 대진급의 시기를 맞이하여 원한을 풀고 함께 새 세상에 나가자고 하였다. 사은사요의 정신을 반영하여 정치적인 갈등과 아픔을 치료하기 위해 노력한 것이다. 1990년대 이후 본격적인 시민사회를 맞이하여, 원불교는 생활세계에서부터 정치, 인권, 여성, 통일운동 뿐만 아니라 자연, 환경, 인류평화 등 전 지구적 영역에까지 폭넓게 시민운동에 참여하고 있다. 자연과 환경, 인간을 동시에 살리게 하기 위해 천지, 부모, 동포 법률 사은에 대한 보은을 통해 우주적 공공성으로까지 확장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일원상의 인격과 사은사요는 민주공화국의 정신적 원리이자 주요한 시민적 덕성이라고 할 수 있는 바, 향후 보다 적극적인 해석과 실천적인 규범 제시를 통해 시민종교이자 공공종교로서의 원불교의 위상을 확고히 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rrelation and its significance between the development of the Harmony of Politics and Religion(政敎同心) in Won Buddhism and the civic virtue pursuing the universal good of the entire society in the democratic age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until today. Sot`aesan, Park Jung-bin thought that politics and religion work together and build a new civilized country in order for the people escape from the state of the weak in the Japanese occupation. His ideal political form was the free and equal democratic republic. He put high value on the personality of Ilwonsang (One Circle) and the civic virtues of the Fourfold Grace and the Four Essentials as a spiritual foundation for the democratic republic. Because the personality of Ilwonsang (One Circle) is the primary mental source of communication and the formation of public opinion in the Democratic Republic, and the Fourfold Grace and the Four Essentials is the civic virtues that realizes the world of the great freedom full of grace and vitality and the world of the great equality of human equality, knowledge equality, education equality, and living equality When the country was liberated in 1945, Chŏngsan, Song Kyu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construction while leading Won Buddhism. Chŏngsan published a Theory for the Founding of a Country in October of that year and prepared the development measures of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on the basis of the new national spirit. In particular, he valued not only spiritual independence but also the independence and the publicness in various fields, he suggested evolutionary therapy which the weak becomes the strong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It was, of course, reflected the virtues of the Harmony of Politics and Religion and the Fourfold Grace and the Four Essentials in various forms. In 1961 Chŏngsan advocated the globalization of Won Buddhism by proclaiming the Ethics of Triple Identity based on Ilwonism and the Fourfold Grace and the Four Essentials. Daesan also actively practiced the Harmony of Politics and Religion by succeeding Sot`aesan and Chŏngsan. On the basis of the civic virtues of the Fourfold Grace and the Four Essentials, he joined the new life movement of Won Buddhism, launched a religious united movement to help world peace, advocated the foundation of equal world peace can be established when the Four Essentials is practiced. During the period of democratization in the 1980s, Daesan asked to resolve our deep sorrow and go forward to the new world together for the period of great advancement regarding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the June 10 Uprising. It showed that he tried to heal political conflicts and pain by reflecting the spirit of the Fourfold Grace and the Four Essentials. In the wake of the full-fledged civil society since the 1990s, Won Buddhism is widely involved in civic movements. from the world of living to the realm of global and cosmic publicness including politics, human rights, women, unification, nature and the environment. It means that trough the rewords of the Fourfold Grace of the heaven and earth, parents, compatriot, and law is expanding into the cosmic publicness to save nature, environment, and human beings at the same time. As such, the personality of Ilwonsang (One Circle) is the first mental principle in the Democratic Republic, the Fourfold Grace and the Four Essentials is an important civil virtue, it will be necessary to strengthen the status of Won Buddhism as a civil religion and a public religion through more active interpretation and suggestion of practical norms.

      • KCI등재

        대종교(大倧敎)의 종교성과 공공성 연구

        김봉(金?坤)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7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2 No.-

        본고는 대종교의 오대종지(五大宗旨)와『삼일신고(三一神誥)』를 중심으로 대종교의 종교성과 공공성에 관해 살펴본 것이다. 종교의 공공성은 종교의 사회참여와 타자와의 연대를 의미하는 것인데, 대종교는 일제식민지 지배체하에 개인적인 종교적 영성의 확대를 추구하면서 자신을 넘어서서 이웃과 민족, 세계로 자아를 확대하여 홍익인간의 이념을 완성한다는 공공성의 가치를 적극적으로 추구하였다. 바로 이러한 대종교의 종교성과 공공성이 구체적으로 서술되어 있는 것이 대종교의 오대종지이고 이것을 교리로 체계화한 것이『삼일신고』였기 때문이다. 1909년 1월 15일(음력) 설립된 대종교는「단군교포명서(檀君敎佈明書)」를 통해 오래전부터 있었던 단군신앙을 토대로 종교가 개창되었음을 선언하였다. 이후 대종교는 「단군교오대종지포명서(檀君敎五大宗旨佈明書)」를 통해 국조신앙과 민족 주체성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일본의 침략이 가속화되면서 종교적 가치를 우선시하고 세계 보편종교를 지향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1912년『삼일신고(三一神誥)』에서 천신 숭배와 영성의 수행을 중시하는 기본적인 교리가 마련되었고, 1917년『삼일신고』를 풀이한 주석서와 삼신에 관한 기록인『신사기(神事記)』를 간행함으로서 대종교의 교리가 완성되었다. 이러한 대종교의 신관과 인간관은『삼일신고』에서 제시한 삼신일체와 삼진귀일로 정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종교관은 기존의 유, 불, 선 삼교나 기독교와 회통될 수 있는 측면이 많다. 특히 다른 종교와의 회통을 강조한 서일(徐一)은 안으로는 도를 추구하면서 밖으로는 다른 종교와 연합하여 교육운동과 독립운동에 투신할 수 길을 마련하였다. 또한 대종교에서는 성통공완(性通功完)을 통해 자신의 인격 수양 뿐만 아니라 홍익인간(弘益人間)의 이념을 실천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하였다. 「단군교오대종지포명서」에서는 제국주의에 반대하고 인류가 함께 평화로운 길을 가야 한다고 하였으며, 천신에 대한 보본(報本)을 통해 종족을 사랑하고 산업에 부지런히 종사하자고 하였다. 이는 인류 공영의 기반을 함께 만들고자 하는 것으로서, 박은식(朴殷植)의 경우에도 제국주의를 배격하고 평등주의를 주장하였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religiosity, and publicness in Daejonggyo(大倧敎), Centered on Five Principles(五大宗旨) and 『Samilshngo(三一神誥)』. The publicness of religion means the social participation of religion and the solidarity with others. The Daejongyo actively pursued the value of publicness to pursue the expansion of individual religious spirituality in the Japanese colonial rule, expanding self to the neighbors, the nation, and the world to complete the idea of devotion to the welfare of mankind(弘益人間). This is because the religion and publicity ar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ive principles of Daejonggyo and the system of the doctrines is 『Samilshngo(三一神誥)』. Daejonggyo was established in January 15(the lunar calendar), 1909, which proclaimed 「Dangun gyopomyeongseo」 that the religion was established based on Dangun religion, which had existed long. Since then, Daejonggyo emphasized national religion and national independence through 「Dangungyo Odaejongjipomyeongseo」. However, as the Japanese invasion was accelerated, it religious value and aimed for the global universal religion. Through this process, a basic doctrine, which highly regarded worship for Cheonsin and spiritual cultivation based on 『Samilshngo』, was prepared in 1912, and the religious dogma of Daejonggyo was completed through publication of the commentary that explained 『Samilshngo』 in 1917, and 『Shinsagi』, a record about Samsin. Such view God view and human view of Daejonggyo can be arranged as Samsinilche and Samjingwiyil, suggested in 『Samilshngo』, and such religion view has lots of aspects that are in common with the existing three religions,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and Christianity. Particularly, Seo-il, who emphasized harmony with other religions, prepared a way to contribute to educational movement and independence movement by uniting with other religions externally while pursuing Tao internally. Also, Daejonggyo suggested a way to practice the idea of devotion to the welfare of mankind(弘益人間), besides one’s own mind cultivation through Seongtonggongwan(性通功完). In 「Dangungyo Odaejongjipomyeongseo」, he opposed imperialism and insisted humankind should go a peaceful way, suggesting love for the race through Bobon(報本) for Cheonsin and diligent engagement in industry. This was to jointly create the base of co-prosperity of humankind, Park Eunsik also rejected imperialism and insisted on equalitarianism.

      • KCI등재

        호남유생 경회(景晦) 김영근(金永根)의 화서학(華西學) 수용과 위정척사사상의 전개

        김봉(金?坤)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8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7 No.-

        본고는 조선조 말과 일제강점기에 주리론과 수양론을 확립하고 위정척사운동을 전개하였던 경회 김영근의 화서학 수용과 위정척사사상을 검토한 것이다. 호남지역에 화서학파가 성립된 것은 최익현의 제주도와 흑산도 유배, 김평묵의 지도 유배, 그리고 오남 김한섭의 강진에서의 강학활동이 계기가 되었으며, 이 지역을 풍미하였던 노사 기정진 학파와 함께 주리론과 위정척사사상으로 호남지역 사상계를 이끌어갔다. 경회 김영근은 위정척사사상을 가지고 있었던 부친의 훈도하에 김한섭(金漢燮)으로부터 경학과 역사서를 수학하였으며, 김한섭으로부터 ‘경회(景晦)’라는 호를 받고 평생 주자학을 목표로 공부하였다. 이어 그는 1882년부터 전라도 지도에 유배되어 있었던 화서학파(華西學派)의 종장 김평묵(金平黙)을 찾아가 사제관계를 맺고 위정척사에 대한 뜻을 더욱 굳히게 되었다. 김영근은 이항로(李恒老)와 기정진(奇正鎭)의 주리론을 계승하여 리(理)가 주(主)가 되고 기(氣)가 종(從)이 되는 주리설을 확립하고, 유학의 종자를 보존하면 언젠가는 유학의 시대가 올 것으로 전망하였다. 그는 또한 격물치지를 통해 지혜를 기르고 심신을 수양하고자 하였는데, 특히 고요한 마음의 바탕 위에 시비를 분별하고, 죽기를 각오하고 지키는 강인한 의리 정신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김영근은 이러한 주리론과 수양론의 바탕위에 철저히 위정척사의 길을 걸었다. 그는 당색을 무조건적으로 따르는 세론을 비판하고, 시비분별에 따라야 한다고 충고하였다. 조정의 동도서기 정책에 대해서도 정덕과 이용을 분리시키는 정책이라고 비판하였다. 그는 위정척사를 위해서는 김한섭처럼 살신성인의 자세가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일제에 의해 국권이 침탈되자 여러 차례 망명을 시도하였으며, 마지막까지 도의를 회복하기 위하여 인도공의소(人道公議所)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는 화서학의 정신을 계승하여 일제에 굴하지 않고 끝까지 주리론과 위정척사사상을 견지하고 실천하였던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acceptance of the acceptance of Hwaseohak(華西學) of Honam confucian scholar Gyeonghoe (景晦) Kim Yeong-geun who established Chuli theory(主理論) and Suyang theory(修養論) in the Joseon Dynasty and Japanese imperialism and developed Wijeongcheoksa movement and Wijeongcheoksa ideology(衛正斥邪思想). Myeonam(勉庵) Choi Ik-hyeon(崔益鉉) exiled to Jeju-do and Heuksan-do, Jungam(重菴) Kim Pyeong-muk(金平黙) exiled to Ji-do, and Onam(吾南) Kim Han-seop"s pursuit of study in Gangin became an opportunity of establishing the school of Hwaseo(華西) Lee Hang-ro(李恒老) in Honam province, which led the ideology in the Honam province with Chuli theory and Wijeongcheoksa ideology with the school of Nosa(蘆沙) Gi Jeongjin(奇正鎭) who was one of the most powerful in the region. Kim Yeonggeun studied Chinese classics and history books from Kim Han-seop(金漢燮) under his father with Wijeongcheoksa ideology and received the pen name of "Gyeonghoe (景晦)" from Kim Han-seop and studied the doctrines of Chu-izu for life. In 1882, he visited Kim Pyeong-muk who was the master in Hwaseo school exiled to Ji-do in Jeolla province had the teacher-pupil relation and strengthened his will to Wijeongcheoksa ideology. He then succeeded Chuli theory of Lee Hang-ro and Gi Jeong-jin and established Chuli theory(主理論) that Li(理) becomes a master and Ki(氣) becomes a servant, it was expected if preserving the seeds of Confucianism, the time of Confucianism would come. He tried to have wisdom and nurture the mind and body through Gyeokmulchiji(格物致知) in particular, he insisted on a strong sense of righteousness ready to die by distinguishing between right and wrong on the basis of a calm mind. Kim Yeong-geun followed thoroughly Wijeongcheoksa ideology based on Chuli theory and Theory of Self-cultivation(修養論), He criticized public opinion following the party belief unconditionally and said they should obey depending on distinguishing between right and wrong. He opposed the policy of Dongdoseogi(東道西器) of the court and the policy of separating Jeongdeok(正德) and Iyong(利用). He emphasized the attitude of a martyr like Kim Han-seop from the viewpoint of Wijeongcheoksa, attempted to come as an exile many times under Japanese rule, and developed the activities of Indogonguiso(人道公議所). He inherited the spirit of Hwaseohak and kept Chuli theory and Wijeongcheoksa ideology on undaunted by Japanese imperialism.

      • KCI등재

        簡牘자료로 본 중국 고대의 奴婢

        신성(辛?坤) 한국고대사학회 200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4

        본고는 최근 출토된 진한시대의 簡牘에 나타난 노비의 모습을 추적해 보려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자료는 『里耶秦簡』의 호적류 簡牘과 『張家山漢簡』의 〈二年律令〉 및 〈奏?書〉이다. 이런 簡牘자료에 나타난 관노비의 민간 매각 과정을 검토하여 이것이 사노비 발생의 주요 원인임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券書의 성격을 검토하여 노비를 매매하는 절차에서 매매가 합법적 효력을 가지기 위한 근거가 무엇인지를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주인이 노비를 가부장적 가족질서 내에 두기 위해 자신의 호적에 노비를 등재시키는 방식을 秦代와 漢代의 호적류 簡牘을 통해 세밀히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노비가 주인의 재산으로서만 존재했던 것이 아니라 가부장의 권한이 미치는 ‘家’의 구성원으로서 ‘家人’으로서의 성격도 아울러 가지고 있음을 밝혀냈다. 주인은 노비에게 마치 부친이 자식에게 ‘孝’를 강요하듯이 가족윤리를 강제하고 있었고 국가는 법률적으로 이것을 보장해주었다.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주인에 대한 예속도가 강하여 설사 노비가 방면된다고 하더라도 곧바로 서민이 되는 것이 아니라 주인이 사망하기 전까지는 여전히 ‘家人’으로서의 의무를 다해야 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