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데이터 기반 사회의 과학기술철학

        고인석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1 철학·사상·문화 Vol.- No.37

        이 논문은 데이터 기반 사회로 진입하는 오늘의 현실에서 과학기술철학이 취할 태도와 진행 방향을 전망하고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빈 학단의 프로토콜 문장 논쟁을 참고하면서 데이터의 존재론적 지위를 검토한다. 데이터는 대상의 물리적 흔적이라는 의미에서 객관적이지만, 대상의 특정 측면에 주목하여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주체의 개입을 필수적으로 요청한다. 이러한 검토에서 아무리 방대하고 충실한 데이터 뭉치에도 포섭되지 않은 실재의 측면이 있다는 것과, 데이터 자체도 포퍼의 의미에서 반증 가능하다는 인식론적 함의를 확인한다. 과학기술철학은 자연화에 대한 태도를 기준으로 두 갈래의 전망을 갖는다. 하나는 자연화의 가치를 적극 긍정하는 노선이고, 다른 하나는 자연화의 한계에 주목하면서 과학기술에 대한 메타적-반성적 탐구에 주력하는 노선이다. 두 노선은 상충하면서도 각각 과학기술철학의 고유한 가치를 실현하는 상보적 속성을 지닌다. 과학기술철학의 전문가 공동체는 지적 분업을 통해 이런 두 갈래의 임무에 부응할 수 있다. 단, 이러한 분업의 실천은 적정 수준 이상의 공동체 규모와 활동성을 필요조건으로 요청한다. This paper discusses and proposes the stance that the philosophy of science and technology shall take in the data-driven society. With this purpose in mind, I examine the ontological status of data, upon which the data-driven society will depend in decision making, referring to the protocol-sentence debate in early 20th century. Data are objective in the sense that they are traces of objects, produced by physical interaction. But they need intervention of the subject who initiates creation of data by paying attention to a specific aspect of the object. This line of analysis reveals that there are always aspects of reality that are not subsumed in the data-set available, however it may be comprehensive, and that the data themselves can in principle be falsified in Popper’s sense. We can identify two perspectives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and technology that are differentiated by the stances toward the program of naturalization. One is pro-naturalization view that affirms the power and value of naturalization. In this view, philosophy of science and technology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reality while collaborating horizontally with domains of science. The other view acknowledges philosophy as coordinator of the sciences and technologies. In this latter view, philosophy embraces the value issues as central concern and concentrates on meta-inquiry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Although these two views stand upon conflicting concepts of philosophizing, each conceives an indispensable task for realizing the unique values of philosophy. A philosopher cannot go both ways, but the community of the philosophers of science and technology can meet the two-pronged mission through an appropriate division of labor.

      • KCI등재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인지능력 향상의 전망

        고인석 새한철학회 2020 哲學論叢 Vol.102 No.4

        Is it possible to enhance the human cognition by putting a chip that runs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brain? What conditions should be met in order for this cognitive enhancement to be realized? This paper attempts a contribution to the assessment of human enhancement employing the power of AI by discussing the conditions under which AI can function as a part of the cognitive system of a human being. For this, the paper investigates three cases: (i) Prosthetic forearm connected to the central nervous system so that it moves as intended, (ii) the AlphaGo chip installed in the brain of a Baduk player, (iii) translator-AI chip installed inside of the cranium. The first case does not amount to cognitive enhancement, though it demonstrates a domain of practical utilization of AI-brain connection. The second case triggers a question “Who/what determines and controls?”, while one concludes that it will be possible to realize certain degree of enhancement in terms of probability. Discussion of the third case reveals that the goal of the project can be accomplished by a specific route, which is not, however, the cognitive enhancement this paper has been considering. It will be impossible to employ AI as an integral part of human cognitive system, until we formulate the way human brain encodes and decodes the meaning of linguistic expression. 인공지능 칩을 뇌에 장착함으로써 인간의 인지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까? 이런 향상이 실현될 수 있으려면 어떤 조건이 충족되어야 하는가? 이 논문은 인공지능이 인간 인지체계의 일부로 작동할 수 있을 조건을 따짐으로써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인지능력을 향상하는 일을 전망하는 데 일조하려 한다. 이 일을 위하여 이 논문은 중앙신경체계에 연결되어 생각대로 움직이는 의수의 경우, 뇌에 알파고 칩을 장착하고 바둑을 두는 사람의 경우, 그리고 외국어 통・번역 인공지능을 작동하는 칩을 두개골 안에 이식한 사람의 경우를 차례로 검토한다. 생체공학 의수는 인공지능으로 사람이 더 똑똑해지는 경우는 아니지만 인공지능이 인지체계의 작동을 보완하는 실질적인 활용의 가능성을 함축하고 있다. 뇌 안에 이식된 알파고 칩에 관한 검토는 모종의 확률이 개입하는 인지능력 향상이 가능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지만, 그 과정에서 결정과 제어의 주체에 관한 물음을 촉발하고 이로 인해 ‘인간이 인공지능을 활용한다’는 구조를 재고하게 한다. 통・번역 인공지능의 경우에 대한 검토는 이 기술을 활용할 수 있게 할 특정 방식을 전망하게 하지만, 그 방식은 그 사람의 인지능력 자체를 향상하는 것이 아니다. 인간의 뇌가 언어의 의미를 어떻게 처리하는지 해명되기 전까지는 통・번역 인공지능을 인간 인지체계의 일부로 활용하는 일이 불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지방의회 입법과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고인석 한국법학회 2019 법학연구 Vol.76 No.-

        The expansion of the legislative functions and roles of local councils is underway with the development of our local autonomy. Despite the continued expansion of local decentralization, the scope and scope of local autonomy legislation have been limited by the limits of the "Constitutional law" and "Local Autonomy Act" and local autonomy related laws. The continued expansion of self-government and fiscal power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o local governments has not led to the expansion of the realm and scope of autonomous legislation. In addition,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local autonomy and the proper reflection of the needs of residents in local autonomy are being hampered. In self-governing legislation, the following are suggested as reasons for the emergence of poor legislation and populist legislation: First, the limitations of the "Constitution", “Local Autonomy Act” and “local autonomy-related statutes”, Second, lack of participation by residents due to lack of public relations in the self-governing legislation process, Third, the lack of human resources in the legislative support organization of local councils, Fourth, lack of expertise in a local assemblyman and legislative support personnel. The improvement of the legislative process of local councils can be pursued through improvement of the legislative system, readjustment of legislative theory and legislative standards, and legislative evaluation system, and improvement of the legislative process system. The readjustment of the legislative process of local councils could lead to improvements in the qualitative self-governing legislation to promote the rights and interests of residents. 지방의회 입법기능과 역할의 확대는 우리 지방자치의 발전과정과 그 흐름을 함께 하고 있다. 지방분권의 지속적 확대에도 「헌법」 및 「지방자치법」과 지방자치관련 법령상의 한계로 자치입법의 영역과 범위가 한정되어 온 것이 현실이다. 중앙정부로부터 지방자치단체로의 사무권한과 재정권의 지속적 확대의 진행이 자치입법의 영역과 범위의 확대로 이어지지 못하면서 지방자치의 질적 개선과 지방자치에 있어서 주민자치권의 주체인 주민의사의 적극적 반영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자치입법의 내용과 질에 있어서 부실입법과 포퓰리즘 입법의 등장의 원인으로는 첫째, 「헌법」 및 「지방자치법」과 지방자치관련 법령상의 한계, 둘째, 자치입법과정에 있어서 홍보와 주민참여채널의 부족으로 인한 주민참여의 미흡, 셋째, 지방의회 입법지원기구의 취약성, 넷째, 지방의원 및 입법지원인력의 전문성부족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지방분권형 「헌법」 및 「지방자치법」과 지방자치관련 법령의 개정을 통한 자치입법의 지위의 강화, 둘째, 자치입법의 개선을 위한 자치입법이론과 입안기준 및 입법평가제도의 내실화, 셋째, 자치입법과정상의 정책세미나, 토론회, 입법공청회의 활성화 및 입법예고제도의 현실화, 넷째, 자치입법평가제도의 적용, 다섯째, 지방의회 입법지원기구의 인력 및 조직의 확대, 여섯째, 지방의원 및 입법지원인력의 입법교육활성화를 통한 전문성 강화 등을 제시할 수 있다. 지방의회 입법과정은 크게 법제도적 개선, 입법이론과 입안기준 및 입법평가제도의 정비, 입법과정체계의 개선 등을 통하여 도모할 수 있으며, 지방의회 입법과정의 정비는 주민의 권익보장과 지방자치의 내실화를 위한 질적 자치입법의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생명과학은 물리과학으로 환원되는가?

        고인석 범한철학회 2005 汎韓哲學 Vol.39 No.4

        While biology has a long tradition as an autonomous science, its development in the second half of 20th century seems to support the Carnap-Oppenheim-Putnamian view on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science which implies the reducibility of the biological to the physical. Is the theories of biology reducible to those of physical science? This article analyses this question in three parts: 1) Investigation of the vitalism-mechanism debate in 19th century and its settlement. 2) Conceptual analysis of teleological, mechanical, and organicist view of the living world. 3) Ernst Mayr's ‘ultimate causation’ is compared with Daniel Dennett's notions of ‘skyhook versus crane’. The organicist perspective seems to give the most comprehensive view on the biological world, even if the mechanist view brings high efficiency to some research field. Further, the physico-chemical reductionist approach fails to encompass the evolutionary aspect of species and populations which is essential for biological thinking. 생명을 지닌 것들 즉 유기체에 대한 연구는 오랫동안 생명 없는 물리적 대상에 대한 연구와는 상이한 탐구 방법과 전제들을 지닌 독립적 영역으로 존립해 왔다. 그러나 지난 반세기 동안 생물학이 보여준 발전의 양상은 빈 학단의 구성원들이 구상했던 물리과학 기반의 환원적 통일이 공허한 상상만은 아니라는 인식을 일깨우기에 충분한 것이었다. 이 논문은 오래된, 그러나 심물 관계에 관한 그것 못지않게 여전히 현실적인 이 물음을 다룬다: 생명과학은 물리과학으로 환원가능한가? 이 논문은 생기론-기계론의 논쟁사에 대한 간략한 고찰에서 출발하여 생명현상에 대한 현대의 생물학적 이해의 바탕에 깔린 존재론적 기반으로서의 유기체론을 검토하고, 마이어가 생물학적 설명의 특징을 서술하기 위해 끌어들인 궁극인과의 개념을 검토한 뒤 그것의 특성을 전통적인 목적인의 개념 및 데닛의 개념쌍 ‘skyhook-crane’과 비교한다. 생명현상을 물리과학적 접근방식을 통해 서술하고 설명하는 일은 국소적으로 높은 효율성을 나타내고 또 설명 구도의 광범위한 통일을 달성한다는 의미의 경제성을 드러내지만, 생명현상 전반 특히 진화의 역사와 생명현상의 다양성에 대한 고려라는 측면에서 볼 때 부적절성을 노정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