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마이크로 셀룰러 시스템에서의 16 QAM 신호의 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

        고봉진 國立 昌原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1999 産技硏論文集 Vol.13 No.-

        In this paper, the Optimum Threshold Level(OTL) of 16QAM signal which is considered in AWGN as well as fading depth is derived, and the performance of 16QAM signal is analyzed. And evaluated error performance of 16QAM signal is compared with that of 16QAM signal which considered in fading depth only. From the results, the error performance evaluated by proposed OTL was superior to that of 16QAM signal with OTL, which considered in fading depth only, in the range of low CNR.

      • KCI등재

        자유주의적 관용의 역사적 전개와 그 한계

        고봉진 한국법철학회 2016 법철학연구 Vol.19 No.2

        The term ‘Tolerance’ refers to the acceptance of beliefs, actions or practices that one considers to be wrong but still tolerable. One can’t force if the other don’t want to. Today tolerance is regarded as a virtue. Tolerance is regarded as the means of peaceful coexistence. The most typical example of intolerance is the wars of Religion in the Middle Ages which were fought between Catholics and Protestants. In history relativism appears as a solution. There are no absolute truth. Truth is relative to some particular frame of reference. Tolerance is the highest result of relativism(pluralism). But in my view ‘liberal tolerance’ does not mean the positive(active) acceptance of different beliefs, actions or practices. It means the passive acceptance. It means non-interference with different beliefs, actions or practices. It means ‘leaving alone’ or neglect of duty. Instrumental reason and intensified individualism distort the meaning of tolerance. The meaning of Minority Difference has hardly been discussed in the public sphere. In my view ‘liberal tolerance’ is not sufficient guide for rights and values of minority. This paper deals with a recent critique of the ‘liberal model of tolerance’. In this paper I assert that the liberal model of tolerance fails to recognize rights and values of minority. I suggest replacing the liberal model of tolerance with the appropriate combination of Tolerance and Recognition. 불관용의 시대를 지나 역사는 관용의 시대를 이끌 사상을 원했다. 독단이나 독선을 피하고 신념이나 행동의 이질성을 인정한 자유주의는 인류 최대의 역사적인 유산이 되었다. 자유주의적 관용은 불관용의 역사에서 비롯된 결과물이었다. 필자는 우선 자유주의적 관용이 역사 속에서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런 후에 자유주의적 관용의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필자는 자유주의적 관용의 장점에서 단점으로 시선을 돌려 자유주의적 관용의 한계를 살폈다. 한때는 비판적이었던 것이 이제는 이데올로기적인 것이 되어 버렸다. 필자는 오늘날의 주류 사상인 자유주의 사상과 관용이 접목함으로써 관용이 이데올로기화되어 관용 본래의 의미를 상실하지는 않았는지 살펴보았다. 자유주의 하의 관용은 방해하지 않고 그냥 두는 무관심, 냉담함으로 변할 수 있다. 관용은 심하게 말하면 ‘나와 상관없음’, ‘그대로 내버려 둠’을 의미한다. 더 심하게 말하면 다른 삶에 대한 거부와 폄하를 잠깐 동안 연기하고 유예하는 것이다. 이는 현대 자유주의 사회가 ‘개인주의’와 ‘도구적 이성’이 만연한 사회라는 점에서 더 그러하다. ‘개인주의’와 ‘도구적 이성’이 지배하는 사회에서는 개인은 자신의 이해를 넘어 공동의 이해에는 관심이 없으며, ‘상대주의적 무관심’에 빠진다. 이런 사회에서 ‘관용’이라는 고상한 언어는 더 이상 고상한 어떤 것도 뜻하지 않는다. 또한 관용의 정치는 차이의 장소를 사적인 영역에 한정함으로써 차이가 가진 공적인 속성을 축소시킬 수 있다. 사적인 영역에 한정된 관용 담론은 차이를 사적 정체성의 문제로 후퇴시키며 시민들 간의 소외를 강화시킬 뿐, 공적인 차이의 문제를 제대로 다룰 수 없게 된다. 사적인 영역으로 축소된 관용 담론은 공적인 불평등, 배제, 갈등을 탈정치화하기도 한다. 오늘날 지배적인 이데올로기인 신자유주의 하에서 관용이 이야기되지만, 사실상 약자의 권리, 약자의 가치는 쉽게 도외시된다. 필자는 관용의 정치보다 승인의 정치를 우선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적극적으로 약자의 권리, 약자의 가치를 승인하는 모델이 필요하다. 이런 모델 하에서 관용은 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자유주의 하에는 관용이 우선되지만, 실제로는 (의도한 것은 아니겠지만) 약자의 권리, 약자의 가치는 강자의 권리, 강자의 가치에 뒤처지고, 관용은 그 본래 의의를 잃어버린다.

      • KCI등재

        ‘분배 정의’에 대한 단상(斷想)

        고봉진 한국법철학회 2017 법철학연구 Vol.20 No.3

        In this paper, I argue that building a solid public domain is a just society in the sense that society can be a problem but it can be a solution. In addition, I point out that a wage system that matches the value of workers’ use is required in distribution before redistribution. In this paper, I focus on the weak and claim the justice of redistribution and distribution. Finally, I argue that the justice of distribution is related to the problem of recognition. I proposed the principle of ‘common goods contribution’ as ‘justice in redistribution’. In order to for private property be justified, private goods should contribute to maintaining a solid share. The way to contribute to the sharing is through ‘redistribution of income and wealth’. The contribution of ‘public goods of education and medical care’ is justified for private property. The public policy to solidify common goods makes possible a ‘mature’ society that respects others. I mentioned ‘improvement in consumption efficiency of private goods’, ‘income gap’ and ‘minimum wage system’ as ‘justice in distribution’. In terms of consumption, nothing is as inefficient as private property. Private property is the most inefficient in terms of consumption, given that only a small number of people can fully use it and the majority are exclud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justice in distribution before redistribution. There is a saying that “poverty can not be saved by the nation”, but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he state in the ‘justice of redistribution and distribution’ remains unchanged. Social justice is realized by correcting the problem of a wrong redistribution and distribution. I have witnessed Esping-Andersen’s expression that politics of the welfare state is ‘politics against markets’. Although it is an extreme expression, it tells that the distribution and redistribution should not be left to the market. Between efficiency and fairness, markets and nations need to face each other again, and the state should not give up its role in practicing fairness. A welfare society is a society where markets and nations can adequately fulfill their roles. Society itself is a problem, but it can be a solution. 필자는 본 논문에서 (사회는 문제가 될 수도 있지만 해법도 될 수 있다는 전제에서) 탄탄한 공공 영역을 구축하는 것이 정의로운 사회의 모습이라는 주장을 펼친다. 또한 재분배 이전에 분배에서도 노동가치에 맞는 임금 체계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힌다. 필자는 약자를 위한 공유(共有)와 약자의 사유(私有)에 초점을 맞추어 재분배와 분배에서의 정의를 주장하며, 마지막으로 분배 정의가 인정의 문제와 무관하지 않음을 부언하였다. 필자는 ‘재분배에서의 정의’로 ‘공유 기여의 원칙’을 제안한다. 개인의 사유가 정당화되기 위해서는 탄탄한 공유재를 유지하는 데 사유가 기여해야 한다. 공유 기여는 ‘소득과 부의 재분배’를 통해서이다. 개인의 사유는 ‘교육과 의료의 공공재’에 기여해야 정당화된다. 공유를 탄탄하게 하는 공공정책은 ‘남을 배려하는’ ‘성숙한’ 사회를 가능하게 한다. 재분배 이전에 ‘분배’에서 정의를 확립할 필요가 있다. 필자는 ‘분배에서의 정의’로 ‘사유재의 소비효율성 제고’, ‘적정한 소득 격차’, ‘최저임금제’ 등을 언급한다. 소비의 측면에서 사유재만큼 비효율적인 것이 없다. 여러 명이 충분히 쓸 수 있는 것을 소수만이 누리고 대다수는 배제된다는 점에서 보면, 사유재는 ‘소비 면에서’ 가장 비효율적이다. 한 사람의 어마어마한 부를 빈자에게 적절하게 나누어 줄 수 있다면, 이것보다 더 정의에 부합하는 것이 있을까 싶다. ‘가난은 나라님도 구제할 수 없다’는 말이 있지만, ‘재분배와 분배에서의 정의’에서 국가 역할의 중요성에는 변함이 없다. 부정의한 재분배의 문제, 그것보다 더 부정의한 분배의 문제를 바로잡아야 사회정의는 실현된다. 필자는 복지국가의 정치는 ‘시장에 반하는 정치(politics against markets)’라는 에스핑-안데르센(Esping-Andersen)의 표현에 눈길이 갔다. 극단적인 표현이기는 하지만, 시장에 분배와 재분배를 맡겨 두어서는 안 되고 정치가 나서야 한다는 것을 말해 준다. 효율성과 공정성 사이에서 시장과 국가는 대립해야 하며, 국가는 공정성을 실천하는 자신의 역할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 복지사회는 시장과 국가가 적절하게 자신의 역할을 감당할 때 가능한 사회이다. 사회 자체가 문제이지만 해법도 될 수 있다.

      • KCI등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transition criteria of open channel natural convection flows

        고봉진,Min-Hwan Kim,정범진 대한기계학회 2012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26 No.4

        Natural convect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for a wide range of the Grashof number from 104 to 5 × 109 or for the Rayleigh number from 107 to 1013 in order to seek the proper transition criteria from laminar to turbulent. Using the analogy concept, heat transfer systems were simulated by corresponding mass transfer systems. The copper sulfate electroplating system was chosen as the mass transfer system. The experimental results closely reproduced the McAdams’s correlation for laminar and Fouad’s for turbulent. The Sherwood numbers obtained from the experiment were proportional to the 1/4 power of Rayleigh number or Grashof number at laminar region and the near 1/3 power at turbulent region as the well known theory.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proper transition criteria of the natural convection should be the Grashof number of 109. The originality of this paper comes from the fact that the study deals with very large value of Schmidt number and that by using the analogy experiment methodology, high values of Rayleigh number and Grashof number were achieved with a relatively short test facility.

      • KCI등재

        연명의료중단 규율에 대한 한국법과 미국법 비교 연구

        고봉진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19 法과 政策 Vol.25 No.1

        This paper deals with the ‘justification requirement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prescribed in Korea’s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making Act’, and compares it with the contents of various US states laws (especially California’ law). In Korea,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making Act’ applies the lifetime treatment discontinuation to the patients in the end-of-life course and the patients in the end stage, while the United States permits the discontinuation of life-saving treatment in patients with persistent vegetative state(PVS). In Korea,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making Act’ has AD and POLST as a way to confirm the patient’s intention. This is similar to the Advanced Directive(AD) and the Physician Order for Life-Sustaining Treatment(POLST) in the United States, but there are differences.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Korean law and US law is whether or not to accept a proxy decision through an agent. In Korea, the ‘Health Care Decision Act’ does not recognize the ‘agency decision’. On the other hand, in the United States, the patient can designate an agent for the AD, and not only the patient but also the agent can participate in the preparation of the POLST. In Korea,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making Act’ requires the consent of the spouse of the patient and all members of the direct line within one village. Some state laws in the United States set out the order of people who can make decisions on behalf of patients, and in the absence of such legislation, the courts decided on a proxy decision. In some states, legislation has been created to justify ‘doctor assisted suicide’. This is a completely different part of our country. In this paper, I compare the content of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making Act’ in Korea with the contents of various states (especially California) laws in the United States. The comparative legal consideration was not to judge whether one side is right or the other, but to show that there is a proper discipline in each of the treatment based on Korean and American culture. You can also find out what to learn in the various programs and specific practices in the United States.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연명의료결정법’에 규정된 ‘연명의료중단의 정당화 요건’을 다루고, 이를 미국의 여러 주(특히 캘리포니아주) 법 내용과 ‘전반적으로’ 비교했다. 우리나라 ‘연명의료결정법’은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와 ‘말기환자’에 연명의료중단이 적용되는 반면에, 미국은 ‘지속적 식물인간상태(PVS)’에 있는 환자에게도 연명의료중단이 허용된다. 우리나라 ‘연명의료결정법’은 환자의 의사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사전연명의료의향서’와 ‘연명의료계획서’를 두었다. 이는 미국의 AD(Advanced Directive)와 POLST(Physician Order for Life-Sustaining Treatment)와 유사하지만, 상이한 점이 있다. 대리인을 통한 대리결정을 인정하는지 여부가 한국법과 미국법의 가장 큰 차이다. 우리나라 ‘연명의료결정법’은 ‘대리인을 통한 대리결정’을 인정하지 않는다. 반면에 미국은 환자는 AD에 대리인을 지정할 수 있고, POLST 작성에 환자뿐 아니라 그 대리인도 참여할 수 있다. 우리나라와 달리, 미국에서 대리규정이 활발하게 활용되는 배경에는 프라이버시권을 연명의료중단의 정당화 근거로 보는 데 있다. 우리나라 ‘연명의료결정법’은 환자의 의사가 불분명한 경우에는 환자의 배우자 및 1촌 이내 직계 존비속 전원의 동의가 요구한다. 미국 일부 주법에서는 이 경우 환자를 대신해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사람의 순서를 정해두었고, 이러한 입법이 없는 경우에는 법원의 판결로 대리결정자를 결정했다. 미국 몇몇 주에서는 ‘의사조력자살’을 정당화하는 입법이 만들어졌다. 이는 우리나라와 전혀 다른 부분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우리나라 ‘연명의료결정법’ 내용과 미국의 여러 주(특히 캘리포니아주) 법 내용과 ‘전반적으로’ 비교했다. 우리나라는 ‘인간존엄’ 논의를 통해 연명의료중단의 정당화 내용을 구성함에 있어 조심스럽게 접근하는데 반해, 미국은 ‘인간존엄’ 논의가 (가톨릭, 기독교 종교 차원과 이론 차원에서는 주장되어도) 헌법 차원에서는 제기되지 않기 때문에 우리나라보다는 조금 더 나간 면이 있다. 대신 미국은 ‘자기결정권’을 강조하는 문화가 있다. 이 또한 가족 후견주의를 강조하는 동양 문화와 다르다. 자기결정권 못지않게 가족 후견주의를 중시하는 우리나라와 같은 동양 문화에서는 개인의 ‘프라이버시권’이 미국만큼 강조되지 않는다. 비교법적 고찰을 통해 어느 일방이 옳고 어느 일방이 그르다는 판단이 아니라, 한국과 미국의 문화에 기초하여 ‘연명의료중단’에도 각각에 적합한 규율이 있음을 보이고자 했다.

      • KCI등재

        형법 제3조(내국인의 국외범) 해석론

        고봉진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서울법학 Vol.27 No.1

        The majority and precedents consider the ‘active personal principle’ of Article 3 of the Criminal Act. If the Korean people violate the Korean Criminal Act outside the terri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Korean Criminal Act Code applies even if the act is not guilty in foreign countries. The majority and precedents are based on the grammatical interpretation and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 Among the various measures to reduce the scope of application of Article 3 of the Criminal Act, it is argued that Article 6 Provision Clause is applied in analogy. I think that the analogy of Article 6 Provision Clause is not appropriate. In order for an analogy to be applied, there should be no legal provisions to be applied. But the Article 3 of the Criminal Code already exists. I am careful to introduce ‘teleological reduction’ in Article 3 of the Criminal Act. One of the reasons why it is difficult to make ‘teleological reduction’ in Article 3 is that Article 3 is a general provision, not an particular provision. The reason for adopting teleological reduction comes from the justice demand that different things should be treated differently. The Seoul High Court recently ruled on June 14, 2018 presented a completely different solution from the existing interpretation. The analogy of Article 6 Provision Clause or ‘teleological reduction’ restricts the general clause of Article 3 of the Criminal Code. This is a very stable approach because it is applied uniformly in the bilateral punishment. But this cannot consider the severity of each act in our society properly. The Act is not punishable only because it is allowed in foreign countries. In my view, it is necessary to judge the severity of the act according to the judging criteria of illegality proposed by the Seoul High Court judgment. 다수설과 판례는 형법 제3조가 ‘적극적 속인주의’를 규율한 것으로 본다. 적극적 속인주의에 따르면, 대한민국 국민이 대한민국 영역 외에서 대한민국 형법(형사특별법 포함)을 위반한 경우 그 행위가 행위지에서 죄가 되지 않는다 해도 대한민국 형법(형사특별법)이 적용된다. 다수설과 판례는 문리해석과 역사적 해석을 그 이유로 든다. 형법 제3조 적극적 속인주의의 적용범위를 축소하기 위한 여러 방안 중에, 형법 제6조 단서조항을 유추적용하자는 주장이 대표적으로 제기된다. 필자는 형법 제6조 단서조항 유추적용은 (결론은 차지하고, 논증 구조상) 맞지 않다고 본다. 유추가 적용되려면 적용해야 할 법규정이 존재하지 않아야 하는데(명시적 흠결의 경우이어야 하는데), 적용 규범인 형법 제3조가 이미 존재한다. 형법 제3조를 축소해서 적용할지가 문제되는 목적론적 축소가 문제될 뿐이다. 필자는 형법 제3조에 ‘목적론적 축소’를 도입하는 것에 조심스럽다. 형법 제3조에 목적론적 축소를 하는 것이 어려운 이유 중 하나는 형법 제3조가 개별 조항이 아니라 일반 조항이라는 점에 있다. 목적론적 축소를 도입하는 이유는 ‘다른 것은 다르게’ 처리하라는 정의의 요청에서 나오는 것인데, 개별조항을 고려하지 않은 채 (구체적인 사안을 고려하지 않은 채) 일반조항에 일률적으로 목적론적 축소를 하는 것은 다른 것은 다르게 다루라는 요청과 어울리지 않는다. 최근 서울고등법원 2018. 6. 14. 선고 2017노2802 판결은 기존 해석론에서 제기되는 방식과는 전혀 다른 해결 방안을 제시했다. 우리나라 형법은 처벌하지만 행위지인 외국에서는 허용되는 경우에 위법성이 조각되지는 여부를 살피면서, 국내법이 보호하고자 하는 법익을 침해하지 아니하여 우리나라의 국가안전보장・질서유지 또는 공공복리와는 무관한 경우라는 기준을 제시했다. (입법론 차원에서) ‘열거주의’ 해결방법이 낫지만, (해석론 차원에서는) 위법성조각 판단으로 개별적으로 우리나라 형법이 적용되는 범죄로 파악할지 여부를 심사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형법 제6조 단서조항 유추적용’이나 ‘목적론적 축소’는 일반조항인 형법 제3조의 문언을 제한하여, 쌍방가벌주의 입법을 해석론 차원에서 해결한다. 입법론에서 ‘쌍방가벌주의’, 해석론에서 형법 제6조 단서조항 유추적용이나 목적론적 축소는 일률적으로 적용된다는 점에서 매우 안정적인 접근이기는 하지만, 각 행위가 우리나라 사회에서 가지는 경중을 고려하지 않고 행위지법에 따라 허용된다는 이유만으로 처벌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입법론에서 ‘열거주의’, 해석론에서 서울고등법원 판결이 제시하는 위법성 판단 기준에 따라 해당 행위의 경중을 따지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연명치료중단에서 이익형량의 구조와 내용

        고봉진 한국법철학회 2010 법철학연구 Vol.13 No.2

        Behandlungsabbruch des lebenserhaltenden Massnahmen kann durch die Festsetzung einer bedingten Vorrangrelation gelöst werden: (P P P) C. Als Symbol für die Vorrangrelation soll das Zeichen P verwendet werden. Für die Bedingungen, unter denen das eine Prinzip dem anderen vorgeht, sei C notiert. In diesem Beitrag schlage ich drei Möglichkeiten vor, den Fall des Behandlungsabbruchs des lebenserhaltenden Massnahmen im Wege der Auflösung einer Prinzipienkollision zu entscheiden:(das Recht der Todesentscheidung P das Lebensrecht) C (das Recht der Todesbegrüssung P das Lebensrecht) C (das Interesse des Todesbegrüssung P das Interesse der Lebenserhaltung). Die entscheidende Frage lautet, unter welchen Bedingungen welches Prinzip vorzugehen und welches zurückzuweichen hat. (zit. Robert Alexy, Theorie der Grundrechte, S. 82.)Meiner Meinung nach ist der Begriff der bedingten Vorrangrelation für das Verständnis der vier Urteilen über das Behandlungsabbruch des leben- serhaltenden Massnahmen von grundlegender Bedeutung. Mit der bedingten Vorrangrelation kann man die Struktur und Inhalte der Interessenabwägung beim Behandlungsabbruch des lebenserhaltenden Massnahmen verstehen.

      • 줄기세포주의 국가간 이동

        고봉진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07 생명윤리정책연구 Vol.1 No.1

        The human stem cell lines are very important materials of human stem cell research. By providing high quality materials we can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the stem cell research and therapy. Therefore it is essential for researchers wishing to study the human stem cell and improve the cell therapy to gain high quality materials through import and export. This article deals with the import and export of the human stem cell lines. Many of the sources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are located in countries other than South Korea. So we should establish procedures to help ensure that the import of the human stem cell lines are conducted in an legal manner. At the same time we should develop rules to help ensure that the stem cell research are conducted in an ethical and legal manner. As for the human stem cell research it is a fundamental requirement of using materials that the import and export of human stem cell lines and the human stem cell research should meet the international approved criteria. In this article, the procedures and rules of three countries (Germany, England, the Unites States) are introduced and compared. By comparing the system of three countries, we hope that we can establish our own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