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진행성 위암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 전후에 실시한 국소온열치료

        계철승,최일봉,장지영,김인아,Kay Chul Seung,Choi Ihl Bohng,Jang Ji Young,Kim In A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6 No.1

        목적 : 수술후 재발한 위암 및 원격전이가 없는 진행성 위암환자에서 방사선 치료전과 방사선 치료후에 실시한 항암온열요법의 효과를 비교해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7월부터 1996년 11월까지 20명의 진행성 위암환자 및 위암수술후 복강 내에서 재발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방사선치료와 온열 치료를 시행하였다. 이 환자들중 방사선치료전에 온열치료를 시행한 환자(PreHT group)는 13명, 방사선치료후에 온열치료를 시행한 환자(PostRT group)는 7명이었다. 환자들의 남녀 비는 PreRT group과 PostRT group이 각각 2.3:1과 2.5:1이였고, 평균 연령은 각각 54.1세와 52.8세였다. PreRT group과 PostRT group의 경우 위암 수술후 복강 내에서 재발한 환자가 각각 9명과 4명이었고, 원격전이가 없는 stage IV의 환자가 4명과 3명이었다. 방사선치료는 주 5회씩 하루에 180-300cGy로 총 3000-4500cGy까지 조사하였으며, 온열치료는 8 MHz의 라디오 주파를 이용하여, PreRT group의 경우에는 매일 방사선치료전에 30분간 시행한 후 10분 이내에 방사선치료를 하였으며, PostRT group의 경우에는 방사선치료후 10분 이내에 온열치료를 시작하여 40-60분간 주 1-2회 시행하였다. 결과 : 대상이 된 전체 환자들의 반응율은 $33.3\%$였으며, 이 결과는 PreRT group과 PostRT group이 모두 동일하게 나타났다. 평균수명과 1년 생존률은 각각 10.3개월과 $16.5\%$였으며, 치료방법에 따른 환자들의 평균수명은 PreRT group과 PostRT group이 각각 6.8개월과 7.7개월이었고, 1년 생존율은 $9\%$와 $34\%$였으며, 이 결과는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정도는 아니었으나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52). 그 외에 환자들의 연령, 성별, 총 방사선조사량, 온열치료의 횟수, 치료후의 반응정도등과 환자들의 생존율과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술후 복강 내에서 재발한 경우와 원격전이가 없는 Stage IV인 원발성위암의 경우를 비교해 보았을때에도 환자들의 생존율에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 : 저자들의 경우에는 방사선치료와 온열치료를 병행함에 있어서 방사선 치료후에 온열치료를 시행했을때, 방사선치료전에 시행한 경우보다 생존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의 다른 예후인자들에 따른 생존율의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대상이 된 환자들의 수가 적고 추적관찰기간이 짧은 관계로 방사선치료와 온열치료의 병행순서에 따른 치료효과의 명확한 비교를 위해서는 본 연구에는 포함되지 않았던 좀 더 이른 병기의 국소진행성위암(stage IIIA 혹은 IIIB)환자들을 포함한 더 많은 수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장기적인 추적관찰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o improve the therapeutic results of postoperative recurrent disease and inoperable disease of stomach cancer, we used the thermoradiotherapy.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results and compared the results of hyperthermia before radiotherapy and those of hyperthermia after radi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 From July 1994 to November 1996, we treated twenty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stomach cancer and recurrent stomach cancer with thermoradiotherapy. We divided those patients into two groups : hyperthermia before radiotherapy group (PreRT group : 13 Patients) and hyperthermia after radiotherapy group (PostRT group : 7 patients). We performed radiation therapy with the total tumor dose of 3000-5040cGy in a traction of 180-300cGy and 5 fractions per week. Hyperthermia was performed with 8 MHz radiofrequency apparatus. PreRT group patients were treated daily for 30 minutes before the radiation therapy within the interval of ten minutes. And PostRT group patients were treated with 1-2 sessions Per week for 40-60 minutes after the radiation therapy within the interval of 10 minutes. Results : Overall response rate was $33.3\%$. This response rate appeared the same in both groups. Mean survival and 1 rear survival rate were 10.3 months and $16.5\%$. In PreRT group, mean survival and 1 year survival rate were 6.8 months and $9.0\%$, and in PostRT group, mean survival and 1 year survival rate were 7.7 months and $34\%$.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ognostic factors and therapeutic results. Conclusion : The thermoradiotherapy was a safe treatment method in advanced and recurrent gastric cancer when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 Because the number of patients we treated was small and the follow up period was short. we were not able to draw any conclusions about the therapeutic efficacy of the sequence of radiation therapy and hyperthermia. Therefore, further clinical trials of thermoradiotherauy for stomach cancer appear to be warranted.

      • KCI등재
      • SCOPUSKCI등재

        간외 폐쇄성 황달 환자에서 고식적 방사선치료의 결과

        계철승(Chul-Seung Kay),장홍석(Hong-Suk Jang),김성환(Sung-Hwan Kim),유미령(Mi-Ryeong Ryu),김연실(Yeon-Shil Kim),정수미(Su-Mi Chung),윤세철(Sei-Chul Yoo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7 No.3

        목 적 : 수술이 불가능한 복강내 악성 종양으로 간외 폐쇄성 황달이 있는 환자에서 시행한 고식적 방사선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인자들에 대하여 분석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84년 4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근치적 절제술이 불가능한 복강내 악성 종양으로 인한 간외 폐쇄성 황달로 본 원에서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72명의 환자들 중 방사선조사량이 10 Gy 미만이었던 13명을 제외한 59명의 환자들에 대하 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이 된 환자들은 위암이 21명(35.6%), 췌장암이 12명(20.3%), 간외 담도암이 15명 (18.6%), 기타 종양이 11명(18.6%)이었다.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경우는 31명(52.5%)이었으며, 이들 중 27명(87.1%)이 선 암이었다. 외관상 황달을 주소로 내원한 경우는 47명(79.7%), 간기능 검사상 황달이 발견된 경우는 12명(20.3%)이었다. 복통은 29명(49.2%)의 환자에서 동반되었다. 경피적 담도배액술을 시행했던 경우는 24명(40.6%)이었으며, 항암화학요법 이 병행된 경우는 32명(54%)이었다. 방사선치료는 증상완화를 목적으로 6 혹은 10 MV의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였고, 총 방 사선조사량은 10.8∼55.8 Gy(중앙값 37.8 Gy)였다. 결 과 : 전체 환자의 중앙 생존 기간은 7.80±1.15 개월이었다. 고식적 방사선치료의 반응률에 대해서는 황달의 경우, 경피적 담도배액술을 시행한 환자와 시행하지 않은 환자를 비교해 보았을 때 반응률은 각각 81.8%와 66.7%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또한 치료 후 1∼2주사이의 혈중 총빌리루빈의 감소 비율이나 혈중 총빌리루빈치가 50%까지 감소하는데 걸리는 기간, 그리고 총빌리루빈치가 정상화되는 데까지 걸리는 기간등 황달이 회복되는 정도에 따라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통증의 경우에는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경우가 방사선 단독치료에 비하여 통증의 완화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p<0.05). 그러나 경피적 담도배액술을 시행했던 경우에는 오히려 통증의 반응률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환자의 나이, 성별, 질환, 조직학적인 차이에 따른 방사선치료 결과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생존율 분석에서는 Karnofski Performance Stat us (KPS)에 따른 환자의 임상 수행 능력이 높았던 경우(KPS>70)와 총방사선조사량이 35 Gy 이상이었던 경우에 생존율이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으며( p<0.05), 또한 증상의 완화가 이루어진 경우에 생존율이 증가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p<0.05). 치료와 관련된 합병증으로는 경피적 담도배액술을 시행한 경우 세균성 담관염이 12명(50%)에서 나타났으며,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경우에 치료와 관련된 합병증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결과들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외부 방사선치료를 시행함으로써 복강내 악성종양으로 인한 폐쇄성 황달로 인한 증상들을 완화시킬수 있었으며, 대상이 된 환자들 모두가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였음에도 불구하고 임상 수행 능력이 높았던 경우, 35 Gy 이상의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경우, 그리고 치료 후 증상의 완화가 있었던 경우에 생존율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환자의 특성에 따라 이러한 고식적 치료들과 여러 가지 방사선치료의 기법들을 적절하게 운용함으로써 증상의 완화는 물론 생존율의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지만, 이에 대해서는 좀 더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external radiation therapy and the prognostic factor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rapeutic results of malignant extrahepatic biliary obstruction (EHBO). Methods and Materials : We analyzed the results of t he external radiation therapy in 59 patients of inoperable malignant EHBO who had been treated with more than 10 Gy of external radiation therapy from April 1984 to December 1996. There were 21 stomach cancer (35.6%), 12 pancreas cancer (20.3%), 15 extrahe patic biliary cancer (18.6%) and 11 another cancer (18.6%). Their pathologies were confirmed in 31 patients (52.5%). They divided into 27 adenocarcinoma and 4 nonadenocarcinoma. Their chief complaints were jaundice in 47 patients (79.7%) and abdominal pain in 15 patients (49.2%). Twelve patients had slightly increased bilirubin level in liver function test without jaundice. We treated twenty four patients (40.6%) with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PTBD) and 32 patients (54%) with systemic chem otherapy (CT). We performed external radiation therapy (ERT) upto 10.8∼55.8 Gy (median 37.8 Gy) with palliative aim. Results : Overall median survival duration was 7.80±1.15 months. The response rates of jaundice were 81.8% in PTBD group and 66.7% in non - PTBD group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improving rate of jaun dic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decreased ratio of total bilirubin level. But abdominal pain was more decreased in CT group than non-CT group (p<0.05). Th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were high performance status (Karnofski Performance Status >70), total radiation dose more than 35 Gy and good response of pain after therapy. There were increased in bacterial cholagitis in PTBD group and gastrointestinal complications in CT group. Conclusion : External radiotheapy could improve jaundice and abdomi nal pain in malignant EHBO patients. Overall survival duration was prolonged in patients with higher performance status and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with more than 35 Gy of total radiation dose. In the future, we expect not only better palliative role but also the prolongation of survival of using the ERT combined with other treatment method. But to achieve certain conclusion, we need futher study consisted with many kinds of treatment methods including new technologies in RT.

      • SCOPUSKCI등재

        절제 가능한 직장암에서 수술전 방사선 치료의 효과

        계철승(Chul Seung Kay),최일봉(Ihl Bong Choi),장지영(Ji Young Jang),김인아(In Ah Kim),신경섭(Kyung Sub Shinn),이종서(Jong Suh Lee),장석균(Suk Kyun Chang),최규용(Kyu Young Choi),김영하(Young Ha Kim),김준기(Jun Gi Kim),전정수(Chung Soo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5 No.1

        목 적 : 절제 가능한 직장암 환자에서 수술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예들(대상군)과 동일한 임상병기에서 수술만을 시행했던 예들(대조군)사이의 수술후 병리 조직학적 소견들을 비교하여 수술전 방사선 치료의 효과에 대하여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7월부터 1996년 4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모병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수술전방사선치료를 받았던 19명의 환자중 수술을 시행받은 1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를 과거에 수술만을 시행했던 31명과 후향적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진단 당시 이들의 임상병기 분류는 Thomas Jefferson(TJ) system을 이용하였다. 수술전 방사선 치료는 매일 180-200 cGy로 주 5회, 총 방사선 조사량 4500-5000cGy까지 시행하였으며, 방사선 치료가 끝나고 평균 4주후에 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후 병기 결정은 Modified Astler-Coller(MAC) system을 이용하였다. 방사선 치료후 임상 병기에 따른 수술후 병리학적 병기와 소견을 관찰하고, 이 결과를 수술전 동일한 임상 병기를 지녔던 대조군의 병리학적 소견과 비교하였다. 병리학적 소견으로는 종양 세포의 혈관 침범, 림프관 침범및 신경조직주위 침범여부 등을 관찰하였다. 통계학적 방법으로는 chi-square test를 사용하였다. 결 과 : 대상이 되었던 19명중 16명에서 종양의 위치에 관계없이 방사선 치료후 항문보존적 근치수술을 시행할수 있었으며, 방사선 치료후 1명(6.3%)의 환자가 병리조직학적으로 완전반응을 보였다. 방사선 치료후에 항문보존적 근치수술을 시행했던 대상군과 수술만을 시행했던 대조군사이의 임상적 병기와 수술후 병기를 비교해 보면 TJ stage Ⅱ였던 경우, 9명의 대상군중에서는 완전반응을 보인 1명을 제외하고는, 8명 모두가 MAC stage B로 나타났으며(88.9%), 17명의 대조군에서는 B인 경우가 11명(64.7%), C인 경우가 6명(35.3%)이었으며, TJ stage Ⅲ였던 경우, 7명의 대상군에서는 MAC stage상 B인 경우가 4명(57.1%), C인 경우가 3명 (42.9%)이었고, 14명의 대조군에서는 B인 경우가 4명(28.6%), C인 경우가 10명(71.4%)이었다. 따라서 수술전 방사선 치료를 시행했던 예들에서 병리학적 병기가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방사선 치료후 MAC stage C 소견의 급격한 감소가 보였다 (p=0.049). 병리학적인 소견으로 종양세포의 혈관 침범, 림프관 침범과 신경조직 주위 침범등이 대상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모두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동일한 임상 병기에서 수술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군과 수술만을 시행한 군 사이의 수술후 병기는 수술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경우에 비하여 병기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병리학적으로 종양세포의 림프관 침범 소견이 감소된 것은 방사선 치료군에서 수술후 MAC stage C 소견이 감소된 것과 일치되는 소견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절제 가능한 직장암 환자에서 수술전 방사선 치료를 하는 것이 효과적일수 있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좀 더 명확한 결론을 얻기 위해서는 더 많은 수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장기적인 추적관찰을 하는 연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pathologic effects of preoperative radiotherapy on the resectable distal rectal cancer, we analyzed the results of postoperative pathologic findings for the patients with preoperative radiotherapy and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ly 1995 to April 1996, we treated sixteen patients of resectable rectal cancer with preoperative radiation therapy and curative surgery. At diagnosis, Thomas Jefferson (TJ) system was used for the clinical stage of the patients. We treated the patients with conventional radiation therapy of 4500∼5000cGy before surgery. The surgery was carried out 4 weeks after completion of radiation therapy. Modified Astler Coller (MAC) system was used for the postoperative pathologic stage. We analyzed the pathologic stages and findings according to preoperative clinical stage and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similar clinical stages. Results: All patients were treated with sphincter preservation surgery after preoperative radiation therapy. Pathologic complete response (CR) was shown in 1 case (6.3%). We compared the results between preoperative radiation therapy group (Preop.RT group) and surgery only group (control group). In TJ stage II, among nine patients of Preop.RT group, 8 patients (88.9%) were in MAC stage B except 1 CR patient, but among 17 patients of control group, 11 patients (64.7%) were in MAC stage B and 6 patients (35.3%) in MAC stage C. In TJ stage III, among 7 patients of Preop.RT group, 4 patients (57.1%) were in MAC stage B and 3 patients (42.9%) in MAC stage C. Among 14 patients of control group, 4 patients (28.6%) were in MAC stage B and 10 patients (71.4%) in MAC stage C. Above results showed that postoperative pathologic stage was decreased in Preop.RT group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49). The postoperative pathologic findings (blood vessel invasion, lymphatic vessel invasion, perineural invasion) were decreased in the Preop.RT group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group. Bu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only in lymphatic vessel invasion (p=0.019). Conclusion: The postoperative pathologic stages and adverse prognostic pathologic findings were decreased in preoperative radiation therapy group. The lymphatic vessel invasion and MAC stage C findings were abruptly decreased in preoperative radiation therapy group. The preoperative radiation therap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resectable rectal cancer. The patients group in our study was very small and long term follow up was not done. Therefore, further study about this issues is needed .

      • KCI등재

        방사선치료 후 재발한 골반암에서 토모테라피를 이용한 고식적 재치료

        계철승(Chul Seung Kay),유은정(Eun Jung Yoo),김지훈(Ji Hoon Kim),노덕영(Duck Young Ro),김기준(Ki Ju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1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8 No.3

        Purpose: W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the effect of irradiation using helical tomotherapy in recurrent pelvic tumors that underwent prior irradiation. Materials and Methods: Fourteen patients with recurrent pelvic tumors consisting of rectal cancer (57.1%), cervical cancer (35.7%) and cancer with an unknown origin (7.1%) were treated with tomotherapy. At the time of irradiation, median tumor size was 3.5 cm and 7 patients complained of pain originating from a recurrent tumor. The median radiation dose delivered to the gross tumor volume, clinical target volume, and planning target volume was 50 Gy, 47.8 Gy and 45 Gy, respectively and delivered at 5 fractions per week over the course of 4 to 5 weeks. Treatment response and duration of local disease control were evaluated using the Response Evaluation Criteria in Solid Tumors (ver. 1.0) and the Kaplan-Meyer method. Treatment-related toxicities were assessed through Common Terminology Criteria for Adverse Events (ver. 3.0). Results: The median follow-up time was 17.3 months, while the response rate was 64.3%. Symptomatic improvement appeared in 6 patients (85.7%). The median duration time of local disease control was 25.8 months. The rates of local failure, distant failure, and synchronous local and distant failure were 57.1%, 21.4%, and 7.1%, respectively. Acute toxicities were limited in grade I or II toxicities, except for one patient. No treatment related death or late toxicity was observed. Conclusion: Helical tomotherapy could be suggested as a feasible palliative option in recurrent pelvic tumors with prior radiotherapy. However, to increase treatment effect and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is outcome, a large clinical study should be performed. 목 적: 방사선 치료 후에 방사선조사범위내에서 재발한 골반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나선형 토모테라피를 이용한 재치료를 시행한 후 그 효과 및 안전성에 대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대상 및 방법: 총 1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녀 비는 1:1이었고, 평균연령은 51세였다. 직장암이 8명, 자궁경부암이 5명, 원발부위를 알 수 없는 경우가 1명이었다. 13명의 환자들이 재발 전에 수술을 받은 적이 있고, 환자들의 골반부위에 조사된 방사선량의 중앙값은 50.4 Gy였다. 재발 당시 종양크기의 중앙값은 3.5 cm (2.0∼7.5 cm)였으며, 재발이 발견된 후 항암화학요법을 먼저 받은 경우가 9명, 고강도초음파치료를 받은 경우가 1명이었다. 나머지 4명은 재발 후에 다른 치료는 시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토모테라피를 이용한 재치료를 받았다. 재치료 당시 종양으로 인한 통증을 호소한 환자는 7명이었으며, 종양 표지자가 증가해있던 경우는 8명이었다. 최초 방사선 치료와 재치료의 간격은 중앙값 19.9개월(5.0∼75.4개월)이었다. 토모테라피를 이용한 재치료시 육안적종양체적, 임상적표적체적 및 계획용표적체적에 총4∼5주간 20∼25회에 걸쳐, 각각 중앙값 50 Gy, 47.8 Gy 그리고 45 Gy의 방사선이 조사되었다. 치료 전 매일 초고압전산화단층촬영(megavoltage computed tomography)을 통하여 X, Y, Z축 및 회전각도에 대한 online correction을 시행하였다. 치료 후 반응평가는 Response Evaluation Criteria in Solid Tumors ver. 1.0을 이용하였으며, 국소종양조절기간은 치료 종료 후 Kaplan-Meyer법으로 계산하였고, 치료 후 합병증의 평가는 Common Terminology Criteria for Adverse Event ver. 3.0을 이용하였다. 결 과: 추적기간의 중앙값은 17.3개월(3.0∼38.3개월)이었으며, 영상학적반응율은 64.3%(완전관해, 7.1%; 부분관해, 57.2%)였다. 치료 전 통증이 있었던 7명의 환자 중 6명에서 통증이 완화되어 85.7%의 통증완화율을 보였으며, 종양 표지자가 증가되어 있던 8명 중 5명(62.5%)에서 감소가 일어났다. 국소종양조절기간은 중앙값 25.8개월(95% 신뢰구간, 6.12∼45.5개월)이었으며, 치료 후 국소재발이 8명(57.1%), 원격전이가 3명(21.4%) 그리고 국소재발과 원격전이가 동시에 일어난 경우가 1명(7.1%)이었다. 합병증으로는 대부분 grade I 혹은 II의 급성 피부염, 직장염, 방광염 등이 나타났지만, 만성 합병증이나 grade IV 이상의 급성 합병증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 론: 방사선치료 후 방사선조사 범위 내에서 재발한 골반암에서 나선형 토모테라피를 이용한 재치료는 비교적 안전하고 효과적인 고식적 치료법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치료 효과를 좀 더 높이기 위해서 혹은 적은 환자수, 다양한 질환 그리고 후향적 분석이라는 본 연구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전향적 임상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SCOPUSKCI등재

        진행성 위암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 전후에 실시한 국소온열치료

        계철승(Chul Seung Kay),최일봉(Ihl Bohng Choi),장지영(Ji Young Jang),김인아(In Ah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6 No.3

        목 적 : 수술후 재발한 위암 및 원격전이가 없는 진행성 위암환자에서 방사선 치료전과 방사선 치료 후에 실시한 항암온열요법의 효과를 비교해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7월부터 1996년 11월까지 20명의 진행성 위암환자 및 위암수술후 복강 내에서 재발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방사선치료와 온열 치료를 시행하였다. 이 환자들중 방사선치료전에 온열치료를 시행한 환자(PreRT group)는 13명, 방사선치료후에 온열치료를 시행한 환자(PostRT group)는 7명이었다. 환자들의 남녀 비는 PreRT group과 PostRT group이 각각 2.3:1과 2.5:1이였고, 평균 연령은 각각 54.1세와 52.8세였다. PreRT group과 PostRT group의 경우 위암 수술후 복강 내에서 재발한 환자가 각각 9명과 4명이었고, 원격전이가 없는 stage Ⅳ의 환자가 4명과 3명이었다. 방사선치료는 주 5회씩 하루에 180-300cGy로 총 3000-4500cGy까지 조사하였으며, 온열치료는 8 MHz의 라디오 주파를 이용하여, PreRT group의 경우에는 매일 방사선치료전에 30분간 시행한 후 10분 이내에 방사선치료를 하였으며, PostRT group의 경우에는 방사선치료후 10분 이내에 온열치료를 시작하여 40-60분간 주 1-2회 시행하였다. 결 과 : 대상이 된 전체 환자들의 반응율은 33.3%였으며, 이 결과는 PreRT group과 PostRT group이 모두 동일하게 나타났다. 평균수명과 1년 생존률은 각각 10.3개월과 16.5%였으며, 치료방법에 따른 환자들의 평균수명은 PreRT group과 PostRT group이 각각 6.8개월과 7.7개월이었고, 1년 생존율은 9%와 34%였으며, 이 결과는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정도는 아니었으나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52). 그 외에 환자들의 연령, 성별, 총 방사선조사량, 온열치료의 횟수, 치료 후의 반응정도등과 환자들의 생존율과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술후 복강 내에서 재발 한 경우와 원격전이가 없는 stage Ⅳ인 원발성위암의 경우를 비교해 보았을때에도 환자들의 생존율에는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저자들의 경우에는 방사선치료와 온열치료를 병행함에 있어서 방사선 치료후에 온열치료를 시행했을때, 방사선치료전에 시행한 경우보다 생존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의 다른 예후인자들에 따른 생존율의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대상이 된 환자들의 수가 적고 추적관찰기간이 짧은 관계로 방사선치료와 온열치료의 병행순서에 따른 치료효과의 명확한 비교를 위해서는 본 연구에는 포함되지 않았던 좀 더 이른 병기의 국소진행성위암(stage ⅢA 혹은 ⅢB)환자들을 포함한 더 많은 수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장기적인 추적관찰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o improve the therapeutic results of postoperative recurrent disease and inoperable disease of stomach cancer, we used the thermoradiotherapy.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results and compared the results of hyperthermia before radiotherapy and those of hyperthermia after radi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 From July 1994 to November 1996, we treated twenty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stomach cancer and recurrent stomach cancer with thermoradiotherapy. We divided those patients into two groups : hyperthermia before radiotherapy group (PreRT group : 13 patients) and hyperthermia after radiotherapy group (PostRT group : 7 patients). We performed radiation therapy with the total tumor dose of 3000-5040cGy in a fraction of 180-300cGy and 5 fractions per week. Hyperthermia was performed with 8 MHz radiofrequency apparatus. PreRT group patients were treated daily for 30 minutes before the radiation therapy within the interval of ten minutes. And PostRT group patients were treated with 1-2 sessions per week for 40-60 minutes after the radiation therapy within the interval of 10 minutes. Results : Overall response rate was 33.3%. This response rate appeared the same in both groups. Mean survival and 1 year survival rate were 10.3 months and 16.5%. In PreRT group, mean survival and 1 year survival rate were 6.8 months and 9.0%, and in PostRT group, mean survival and 1 year survival rate were 7.7 months and 34%.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ognostic factors and therapeutic results. Conclusion : The thermoradiotherapy was a safe treatment method in advanced and recurrent gastric cancer when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 Because the number of patients we treated was small and the follow up period was short, we were not able to draw any conclusions about the therapeutic efficacy of the sequence of radiation therapy and hyperthermia. Therefore, further clinical trials of thermor adiotherapy for stomach cancer appear to be warranted.

      • SCOPUSKCI등재

        The Results of Radiation Therapy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계철승(Chul-Seung Kay),장홍석(Hong-Seok Jang),김학준(Hack-Jun Gil),윤세철(Sei-Chul Yoon),신경섭(Kyung-Sub Shin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4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2 No.2

        가톨릭 의과 대학 부속 강남 성모 병원 치료 방사선과에서는 1983년 3월부터 1990년 1월까지 방사선 치료를 받았던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 266명중 추적 조사가 가능하고 조사 선량이 40 Gy이상이었던 116명에 대하여 방사선 치료후의 반응율과 생존율, 그리고 방사선 치료와 관련된 합병증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후향성 분석을 시행하였다. 환자들의 성별은 남자가 104명, 여자가 12명이었다. 환자들의 연령은 33세부터 80세까지였으며 중간 값은 53세였다. 추적 기간은 2개월부터 78개월이었으며 중간 값은 18.8개월이었다. AJC 병기분류에 따라, Ⅱ기에 속했던 경우가 18명(15.5%), Ⅲ기가 79명(68.1%), Ⅳ기가 19명(16.3%)였다. Karnofsky의 수행 능력으로 환자들의 전신 상태를 표시 하면, 50 이하가 6명(5.2%), 50에서 60사이가 12명(10.4%), 60에서 70사이가 46명(39.6%), 70에서 80사이가 51명(44.0%)이었고 80이상인 경우는 1명(0.8%)이었다. 치료별로 보면, 60명(51.7%)은 외부 방사선 치료만으로 치료하였으며, 33명(28.4%)의 환자에서는 방사선 치료와 화학 요법을 병행하였다.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는 23명(19.8%)이었으며, 이들 중 5명(4%)에서는 화학 요법이 병행되었다. 관해율은 완전 관해와 부분 관해를 합쳐서 92.5%였다. 병기별 Ⅱ기, Ⅲ기와 Ⅳ기에서의 1년 생존율은 각각 38.9%, 27.8%와 11.5%였으며, 2년 생존율은 Ⅱ기, Ⅲ기, Ⅳ기에서 각각 11.1%, 20.8%, 10.5%였다. 치료 결과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로는, 수행 능력, 치료 선량, 환자의 연령, 조직학적 형태, 치료에 대한 반응율과 수술 혹은 화학 요법의 병행 여부등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나 이 들중 수행 능력과 방사선 치료후의 반응 정도가 환자의 생존율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p<0.05). From March 1983 through January 1990, two hundred sixty six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were treated with external radiation therapy at the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Kangnam St. Mary's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eligible 116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with radiation dose over 40 Gy and had been able to be followed up. There were 104 me and 12 women. the age ranged form 33 years to 80 years (median : 53 years). Median follow up period was 18.8 months ranging from 2 months to 78 months. According to AJC staging system, there were 18(15.5%) patients in stage Ⅱ, 79 (68.1%) patients in stage Ⅲ and 19(16.4%) patients in stage Ⅳ. The pathologic classification showed 72(62.8%) squamous cell carcinomas, 16(13.8%) adenocarcinomas, 7(6%) large cell carcinomas, 5(4%) undifferentiated carcinomas, and 16(13.8%) unknown histology. In Karnofsky performance status, six(5.2%) patients were in rage below 50, 12(10.4%) patients between 50 and 60, 46(39.6%) patients between 60 and 70, 51(44.0%) patients between 70 and 80 and only one (0.8%) patients was in the range over 80. Sixty (51.7%) patients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RT) alone. Thirty three (28.4%) patients were treated in combination RT and chmotherapy. twenty three (19.8%) patients were treated with surgery followed by postoperative adjuvant RT, and of 23 patients aboe, five (4.3%) patients were treated with postoprative RT and chemotherapy. Overall response according to follow-up chest X-ray and chest CT scans was noted in 92.5% at post RT 3 months. We observed that overall survival rates at 1 year were 38.9% in stage Ⅱ. 27.8% in stage Ⅲ, and 11.5% in stage Ⅳ, and 2 year overall survival rates were 11.1% in stage Ⅱ, 20.8% in stage Ⅲ and 10.5% in stage Ⅳ respectively. We evaluated the performance status radiation dose, age, type of histology, and the combination of chemotherapy and/or surgery to see the influence on the results following radiation therapy as prognostic factors. Of these factors, only performance status and response after radiation therapy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P<0.

      • 뇌수막종에서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방사선수술 효과

        계철승(Chul Seung Kay),윤세철(Sei Chul Yoon),정수미(Su Mi Chung),유미령(Mi Ryung Ryu),김연실(Yeon Sil Kim),서태석(Tae Suk Suh),최규호(Kyuho Choi),손병철(Byung Chul Son),김문찬(Moon Cha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9 No.2

        목 적 :뇌수막종 환자들을 대상으로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방사선수술을 시행한 결과에 대하여 환자의 임상적 증상과 방사선학적 추적검사를 통해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8년 7월부터 1998년 8월까지 20명의 뇌수막종 환자들을 대상으로 6 MV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여 방사선수술을 시행하였다. 20명의 환자들 중 4명(20%)은 남성, 16명(80%)은 여성이었으며, 평균연령은 51세(22∼78세)였다. 종양의 뇌내 위치는 측시상동 부위(parasagittal area)와 접형골 부위(sphenoid wing)가 8례(40%)로 가장 많았다. 방사선 수술 전에 시행한 신경외과적 수술의 횟수를 보면 1회 시행한 경우가 11례, 2회가 2례, 3회 시행한 경우가 1례였으며, 수술을 시행하지 않고 방사선수술만을 시행한 경우는 6례였다. 종양의 평균 부피는 5.72 cm3 (0.78∼15.1 cm3)였으며, 2차 시준기(secondary collimator)의 지름의 중간 값은 2 cm (1∼3 cm)이었다. 종양변연부의 평균조사량은 19.6 Gy (9∼30 Gy)였다. 추적관찰기간은 2.5∼109개월로 중앙값은 53개월이었다. 결 과 :방사선학적 검사와 신경학적 검사상 모두 반응률은 95%였다. 방사선추적검사상 종양의 부피가 줄어든 경우는 5례(25%), 종양의 부피에 변화가 없는 경우는 14례(70%), 그리고 종양의 부피가 증가된 경우가 1례(5%)였다. 종양의 부피가 증가된 1례를 제외한 19명의 환자중, 4명의 환자에서 추적 영상 검사상 중심부괴사의 소견이 보였다. 임상적 증상의 호전여부에 따른 신경학적인 검사상 증상의 호전이 있었던 경우는 9명(45%), 증상의 변화가 없었던 경우는 10명(50%)였다. 증상이 악화되었던 1명(5%)의 환자는 수술을 시행하여, 방사선 괴사의 소견을 보였다. 결 론 :뇌수막종 환자들에서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방사선수술은 부작용 없이 시행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o evaluate the role of linac based radiosurgery (RS) in the treatment of meningiomas ,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results of clinical and follow up CT/MRI studies . Methods and Materials : From the 1988 July to 1998 April, twenty patients of meningioma had been treated with 6 MV linear accelerator based radiosurgery. Of the 20 patients , four (20%) were ma le and 16 (80%) were female. Mean age was 51 years old (22∼78 years old). Majority of intracranial location of tumor for RS were parasagittal and sphenoid wing a rea. RS was done for primary treatment in 6 (30%), postoperative res idual les ions in 11 (55%) a nd regrowth after surgery in 3 (15%). Mean tumor volume was 5.72 cm3 (0.78∼15.1 cm3) and secondary collimator s ize was 2.04 cm (1∼3 cm). The periphery of tumor margin was prescribed with the mean dose of 19.6 Gy (9∼30 Gy) which was 40∼90% of the tumor center dose. The follow up duration ranged from 2.5 to 109 months (median 53 months). Annual CT/MRI scan was checked. Results : By the follow up imaging studies , the tumor volume was reduced in 5 cases (25%), arrested growth in 14 cases (70%), and increased s ize in 1 case (15%). Among these respons ive and stable 19 patients by imaging studies , there showed loss of contrast enhancement after CT/MRI in four patients . In clinical response, nine (45%) patients were cons idered improved condition, 10 (50%) patients were stable and one (5%) was worsened to be operated. This partly resulted in necros is after surgery. Conclusion : The overall control rate of meningiomas with linac based RS was 95% by both imaging follow- up and clinical evaluation. With this results , linac based RS is cons idered safe a nd effective treatment method for meningio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