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검찰권 행사의 기본원칙에 관한 소고

        경재웅 ( Jai Uhng Kyoung ) 한국경찰학회 2015 한국경찰학회보 Vol.17 No.6

        우리나라 헌법구조는 삼권분립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검찰권은 행정권과 사법권중 어느 국가권력에 기속되는지 논쟁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행정기관에 속하며, 대륙법계에서는 검찰권의 준사법성을 특히 강조하여 “준사법기관”이라 불리고 있다.그러나 중국은 우리나라와 다른 권력집중적 구조인 인민대표대회제도라는 정치제도를 가지고 있다. 인민대표대회제도에서 인민대표대회라는 국가권력기관은 전체 국가기구체계에 있어서 주도적이고 지배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국가행정기관과 심판기관 및 검찰기관은 모두 인민대표대회가 구성하고 이들 기관들은 모두 인민대표대회에 책임을 지며 감독을 받는다. 인민대표대회 아래에 국가행정기관과 심판기관 및 검찰기관을 독립적으로 설치하고, 이들 기관이 행정권, 심판권, 법률감독권을 각각 행사하게 한다. 즉, 검찰기관은 국가의 법률감독기관으로 인민대표대회에는 종속되지만 국가행정기관과 심판기관과는 병렬적인 국가기관으로 독립적인 법률적 지위를 향유하고 있다. 중국 검찰제도는 중국 법률문화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는 독특한 제도이기 때문에 검찰제도의 역사적 발전과정과 특징을 알아보는 것은 중국 검찰제도의 역사적 필연성과 현실적 합리성을 이해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먼저 중국 검찰제도의 발전과정, 근대이전의 검찰제도, 근대적 검찰제도 및 현행 검찰제도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검찰기관이 헌법상의 지위와 조직구조를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중국 검찰제도의 특징 중에서 검찰기관과 검찰관이 검찰권을 행사하는 과정에서 지켜야 할 준칙인 여섯 가지 기본원칙, 즉 법에 의한 검찰권의 독립적 행사의 원칙, 객관공정원칙, 공익원칙, 인권보장원칙, 검찰동일체원칙, 감독을 받는 원칙 등 기본원칙을 구체적으로 고찰하였다. 이 여섯 가지 기본원칙은 검찰권 행사의 기본규율, 법률감독기능의 기본특징 및 국가의 검찰업무에 대한 기본적인 요구를 실현한 것이다. 또한 현재 중국검찰기관의 성격, 지위, 기능과 조직방식 등에 대한 인식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것이며, 검찰기관과 검사가 검찰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지도적 의의를 지니고 있으며, 검찰기관과 검사가 검찰권을 행사하는 정당성을 판단하는 기본기준이 된다. South Korea`s constitution is in principle divided into the legislative, the judicial and the administrative branches. In South Korea, prosecutorial power is under the control of administrative power. Under the continental law, prosecution is called as "quasi judicial authority". Unlike South Korea, China has National People`s Congress which is power centered system. Under National People`s Congress system, National People`s Congress has a leading and governing position. Administrative institutions, justice agencies and prosecution are responsible for National People`s Congress and supervised by National People`s Congress. Administrative institutions, justice agencies and prosecution are established under the supervision of National People`s Congress. Administrative institutions exercise administrative power and justice agencies exercise judicial power and prosecution exercises supervisory power respectively. In other words, prosecution is subordinate to National People`s Congress but has independent legal status as national institution. As Chinese prosecution system reflects characteristics of Chinese legal culture, inquiring historical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prosecution system helps understand historical necessity and realistic rationality of Chinese prosecution system. This paper examined development process of Chinese prosecution system, pre modern Chinese prosecution system, modern Chinese prosecution system and present Chinese prosecution system and constitutional status of prosecution and organization of prosecution. This paper studied six basic principles - principle of independent exercise of prosecutorial power in accordance with law, principle of objectivity and fairness, principle of public interest, principle of safeguard for human rights, principle of uniformity of prosecutors and principle of supervision- which should be observed when prosecution and prosecutors observe in exercising prosecutorial power. The above mentioned six principles reflect a basic need for exercise of prosecutorial power, discipline of exercise of prosecutorial power, supervision on legislation and prosecution affairs. In addition, the principles reflect awareness of nature, status, function and organization of Chinese prosecution and serve as guidance when prosecutors perform their duties and standards that prosecutors judge legitimacy in exercising prosecutorial power.

      • KCI등재
      • KCI등재

        독일의 탐정 산업의 발전 및 운용에 관한 법적 근거 및 규제 방안

        경재웅 ( Kyoung Jai Uhng ) 한국경찰학회 2019 한국경찰학회보 Vol.21 No.6

        ‘탐정(민간조사업)’이란 국가 기관의 수사력이 미치지 못하거나 미흡한 각종 범죄나 사건에 대한 사실관계 조사 또는 실종자 소재 탐지 등에 있어서 사인의 다양한 권리구현을 위해 의뢰인을 대리하여 사실을 확인해 주고 누구나 접근 가능한 정보의 수집을 대행하는 서비스 업을 의미한다. 민간조사업에 대한 논의는 2013년 3월 민간조사업에 관한 법률안 (송영근의원 등 15인)이 발의되었고, 2015년 11월 민간조사업의 관리에 관한 법률안(윤재옥의원 등 10인)이 발의된 이후 우리나라 ‘탐정’으로서 민간조사업에 대한 논의는 아직은 그 성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우리나라와 연역적으로 유사한 점이 많은 독일의 탐정제도에 대한 연구는 탐정제도의 신속한 도입을 위하여 필수적임에도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독일의 탐정제도의 발전과정 및 탐정의 활동 영역 등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았으며, BDD, BID, ZAD 등 독일의 탐정협회를 중심 탐정 산업에 대한 지원 및 향후 발전 계획 등을 확인해 보았다. Detective (private assistance project) means verifying the facts on behalf of clients in order to implement various rights of the cause of death in the investigation of facts or detection of missing persons for various crimes or events that are insufficient or insufficient for investigation by the state agencies. Means a service industry that collects the possible information. Discussion on how to introduce 'detective' as a private investigation system has been conducted for many years through the proposal of legislation, but it has not been able to see the results yet. It is essential. In this paper,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German detective system and the activities of detective activities were examined, and the associations such as BDD, BID, and ZAD were identified to support the central detective industry and plan for future development. It also examined the application of the German Civil Code (BGB), the German Criminal Code (StPO) and other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for the recognition and regulation of the German detective industry. The criteria for the detective's obligations were identified.

      • KCI등재

        개인정보보호 법제에 관한 국제적 동향 검토

        경재웅 ( Kyoung Jai-uhng ) 연세법학회 2023 연세법학 Vol.41 No.-

        오늘날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있어서 빅데이터의 활용은 점점 더 확대되고 있는 반면, 빅데이터의 활용 요구 확대와 다양화 및 전 세계적인 빅데이터의 유통의 증가에 따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한층 더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개인정보의 산업적 측면에서의 활용과 개인정보보호를 어떻게 조화롭게 균형을 이루게 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우리가 해결해야 할 큰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이에 따라 최근 국제사회와 주요 국가들은 이러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개인정보보호 법제를 정비해가고 있다. EU는 개인정보보호 법제의 일반법으로서 GDPR을 2018년부터 모든 회원국에 일률적으로 적용하고 있으며, 정보 주체의 권리로서 정보를 제공받을 권리, 열람권, 정정권 및 삭제권, 정보이동권, 처리제한권, 반대권, 프로파일링을 포함한 자동화된 의사결정 등 매우 폭넓게 보호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최근까지 개인정보보호를 규율하는 연방법률은 없었고, 다만 공공부문에서 프라이버시법이 연방정부기관 등 공공부문이 보유하는 개인정보에 관하여 규율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2022년 6월, 미 하원에서 민간 부문의 데이터 프라이버시를 포괄적으로 규율하는 연방개인정보보호법안(American Data Privacy and Protecton Act)이 발의되어 동년 7월 상무위원회에서 승인되었다. 이 법안은 미국 개인데이터보호 체계의 새로운 법률적 체제를 제공할 것으로 평가된다. 일본은 2015년부터 개인정보보호법의 전면 개정하여 단계적으로 시행하여 최근 2020년 개정 개인정보보호법이 부칙 제12조 제3항에 의거하여 개정되었다. 개정 개인정보보호법은 이전에 비해 개인관련정보의 개념을 신설하는 등 개인데이터에 관한 개인의 권리를 확대하고, 사업자가 지켜야 할 책무를 강화하였으며, 형사처벌규정의 역외적용을 명시하고 있는 등 벌칙규정을 대폭적으로 강화하였다. 우리나라도 2020년 이른바 ‘데이터 3법’을 개정하여 시행하고 있는지만 여러가지 개선할 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개인정보보호법의 최근 국제적 동향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법상 개인정보 이용의 확대에 따른 정보주체의 권리를 더욱 확보할 수 있는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oday, in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use of big data is increasingly expanding. However, the awarenes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s further increasing due to the demand and diversification of big data utilization and the increase in the distribution of big data worldwide. Therefore, the problem of how to harmoniously balance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in the industrial aspect and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s a big task that we must solve. Accordingly, major countries are recently reorganizing thei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s to address these challenges. The EU has been uniformly applying the GDPR to all member states since 2018, which serves as a general law i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egislation. In particular, the GDPR protects a very wide range of information subject rights, such as the right to receive information, the right to read, the right to correct and delete, the right to data portability, the right to restrict processing, the right to object, and automated decision-making including profiling. In the United States, there is generally no federal law regulating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but in the public sector, privacy laws govern personal information held by public sectors, such as federal agencies. However, in June 2022, the US House of Representatives introduced the American Data Privacy and Protecton Act, which comprehensively regulates data privacy in the private sector, and was approved by the Commerce Committee in July of the same year. It provides a new legal framework for the system. Japan completely revised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in 2015 and implemented it step by step, and recently revised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in 2020 according to Article 12, Paragraph 3 of the Addenda. The revise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expands the rights of individuals regarding personal data, such as newly establishing the concept of personal information, strengthens the responsibilities that business operators must abide by, and stipulates penalty provisions such as specifying the application of criminal penalties outside the border. has been significantly strengthened. Korea also revised and implemented the so-called ‘Data 3 Act’ in 2020, but various improvements are pointed out. This study examines the recent international trends i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based on this, suggests improvements to be made in the direction of promoting international consistency while further securing the rights of data subjects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personal information use in Korea'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