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진도 지역어의 비모음화 재고

        강희숙 국어학회 2019 국어학 Vol.0 No.91

        이 글은 국어 비모음화의 방언지리학적 분포 및 분화 양상의 윤곽이 아직도 뚜렷하지 않다는 문제점에 착안하여, 전남의 서남부 지역어에 해당하는 진도 지역어의 비모음화 양상을 재고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해당 방언의 실체를 정확하게 보여주는 자료가 새롭게 확보되고, 그러한 자료에서 비모음화 같은 음운론적 특성이 기존의 것과는 전혀 다른 모습을 보인다면,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방향에서의 기술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인식에 따른 것이다. 기존 연구, 예컨대 강희숙(1996)에서는 진도 지역어의 경우, 비모음화가 매우 제한적이어서 ‘ㄴ’에 의한 비모음화만, 그것도 ‘어근+접사’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단어의 파생 층위를 제외하면 거의 대부분 형태소 내부에서만 실현된다는 기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기갑(2009)에 반영된 진도 지역어 비모음화의 실현 양상을 분석한 결과, 이 지역어에서 실현되는 ‘ㄴ’에 의한 비모음화는 질적인 차원에서 볼 때 경상도 방언과 큰 차이가 없을 정도로 상당히 활발하게 실현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ㅇ’에 의한 비모음화는 형태소 내부에서만 실현되되, ‘ㄴ’에 의한 비모음화와 동일하게 후행모음이 ‘i’나 ‘j’를 조건으로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요컨대 진도 지역어에서는 모음 ‘ㅣ’와 ‘j’계 이중모음 앞이라는 제한된 환경에서이긴 하지만 ‘ㄴ’에 의한 비모음화와 함께 ‘ㅇ’에 의한 비모음화가 둘 다 실현되고 있다. 이와 같은 언어적 사실은 국어 비모음화의 개신과 지리적 분포 및 확산 양상에 대해 좀 더 정밀한 관찰과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시도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아동기 성폭력피해여성의 삶에 대한 사이코드라마 기반 내러티브 탐구

        강희숙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2023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Vol.26 No.1

        This study explored a narrative based on psychodrama about the lives of female victims of childhood sexual violence. From October to December 2022, the research participant attended seven psychodrama sessions, which lasted about two hours once a week,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once. Data collection was analyzed by collecting transcripts and interview data from each session. The life story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revealed in the course of the inquiry was a child who had nowhere to put his mind, complicated family affairs, life that began to twist after that day, and betrayal from people he trusted. The meaning of the psychodrama experience is the time to open one's heart and the time to comfort oneself. It was the expectation of reunion with the adopted son, and the realization of the importance of famil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아동기 성폭력피해여성의 삶에 대해 사이코드라마 기반으로 내러티브 탐구를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2022년 10월부터 12월까지 주 1회 약 2시간 씩 진행한 사이코드라마에 7회 참석하였으며, 1회에 걸쳐 심층 면담을 하였다. 자료 수집은 매 회기 녹취록과 인터뷰 자료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내러티브 방식으로 분석되었다. 탐구과정에서 나타난 연구 참여자의 삶의 이야기는 마음 둘 곳 없었던 아이, 복잡한 가정사, 그날 이후 꼬이기 시작된 인생, 믿었던 사람들로부터 받은 배신 등이었다. 사이코드라마 경험의 의미는 마음 문을 열 수 있는 시간, 자신을 다독일 수 있는 여유가 생김. 입양 보낸 아들 재회에 대한 기대, 가족의 소중함을 깨달음 등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소설 <태백산맥>의 화용론-담화 표지 ‘와, 웨, 잉’을 중심으로-

        강희숙 한국언어문학회 2006 한국언어문학 Vol.5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and analyze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and the pragmatic functions of discourse markers ‘wa(와), we(웨), ing(잉)’ of the Jeonnam dialect found in Cho Jeong-Rae's novel, <Taebaeksanmaek>. In this study, I argue that these three discourse markers exhibit certain pragmatic functions by means of connecting ending markers of sentences at the end of a speech as a whole. I also find that there are syntactic and pragmatic differences among these discourse markers. First of all, ‘wa(와)’ is connected with ending markers representing the lowest honorific level and functions as a discourse marker ascertaining and emphasizing the truth of a speaker's words. Another discourse marker ‘we(웨)’ is used along with ending markers representing the lower honorific level and functions as a discourse marker implying a speaker's negative attitude and regret for the most part. Finally, ‘ing(잉)’ is free from restraints of honorific level and mood, and functions as a discourse marker emphasizing the speaker's claim and expressing the speaker's close friendship with a listener.

      • KCI등재

        광주·전남 지역 출신 대학생의 언어적 불안정과 방언 전환(dialect shift)

        강희숙 한국방언학회 2015 방언학 Vol.0 No.21

        This research put concern on the sociolinguisitic analysis of the facts those can cause linguistic insecurity and the aspects of dialect shift comes from it, regarding the linguistic insecurity that can occur as a result of dialect contact which students of Gwangju and Jeonnam origin who entered universities in Seoul experience in new life space. The data had been collected from 65 students who are from Gwangju and Jeonnam area and in attendance at universities in Seoul by questionnaire method and interview. Some of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in regard to linguistic insecurity, it is confirmed that 63.8% of respondents had experience of being pointed out with their dialect by their acquaintances. According to the gender, female students were more pointed out than male students. Students from Gwangju were more pointed out than those from Jeonnam area. And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liberal arts had more experiences of being pointed out than students in science major. Second, in dialect contact situation, the linguistic factors which became the target of pointing out or teasing were appeared in all grammatical levels: phonology, lexicon, syntax, and discourse. Especially the highest frequency was shown on the intonation of phonological level. Third, in regard to aspects of the dialect shift comes from linguistic insecurity the 75.4% of respondents experienced the linguistic shift, and the shift of intonation was most drastic. In result,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ce in empirically showing that the bigger the linguistic insecurity a student experienced, the easier the dialect shift occurs. 본 연구에서는 서울에 있는 대학에 진학한 광주․전남 출신 대학생들이 새로운 생활공간에서 경험하게 되는 방언 접촉의 결과 야기될 수 있는 언어적 불안정(linguistic insecurity)과 관련하여, 언어적 불안정을 일으킬 수 있는 요소는 무엇이며, 그러한 불안정의 결과 나타나는 방언 전환의 양상은 어떠한지를 사회언어학적으로 분석하는 데 관심을 두었다. 자료의 수집은 서울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광주․전남 지역 출신 3, 4학년 학생 65명을 대상으로 한 질문지법과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 성과를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적 불안정과 관련하여, 조사 대상자의 63.8%가 주변 사람들에게서 사용하는 방언에 대해 어떤 식으로든 지적을 받았음이 확인되었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성장 지역에 따라서는 전남 지역보다 광주 지역에서 성장한 조사 대상자가, 전공 계열에 따라서는 인문계열 학생들이 그러한 경험을 더 자주 하였다. 둘째, 방언 접촉 상황에서 주변 사람들에게서 지적을 받거나 놀림의 대상이 된 언어 요소는 음운과 어휘, 통사, 담화 등 문법의 전 층위에 걸쳐 나타나되, 그 가운데서도 음운론적 층위의 억양이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였다. 셋째, 언어적 불안정이 요인이 되어 나타날 수 있는 방언 전환의 양상과 관련해서는 조사 대상자의 75.4%가 언어 변화를 경험하였으며, 그 가운데서도 억양의 변화가 가장 크게 일어났음이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언어적 불안정의 경험 정도가 클수록 방언 전환도 빠르게 일어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