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문인의 漢詩에 나타난 阿房宮의 심상

        강혜종 열상고전연구회 2019 열상고전연구 Vol.69 No.-

        The present paper examines the image of the Epang Palace in Chinese poetry produced by Joseon writers, focusing on the historical authenticity and aestheticism of the Epang Palace for literary work. This study found that the poetries dealing with Epang Palace as a main material mostly are from the early to mid-Joseon dynasty. The image of Epang Palace stands extremely tall that it can almost touch the sky, and in the bird’s view of having immense space with hallways connecting to all directions with rooms like beehive. From a political perspective, the Epang Palace was considered as the cause for the fall of the Qin dynasty thus recognized as a negative aspect of history that the posterity must be vigilant about. At the same time, the appearance of the Epang Palace with the grandeur and brilliance, dramatic story and tragic fate of disappearing futilely in flames, became a historical lesson and literary aesthetics. Therefore, the Epang Palace was repeatedly illustrated in works of art and literature. The dramatic contrast of the scene in which the magnificent Epang Palace deteriorates into ashes created the imagery as a catharsis by collapsing the aesthetic space that was a symbol of power and lust that have lost the justified of existence.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f poetry by Joseon writers and the “Fu on the Epang Palace” (「阿房宮賦」) of Du Mu (杜牧; “Du Mok” in Korean; 803-852), this study found that many Joseon writers borrowed the contents and expressions in “Fu on the Epang Palace” when composing poetry with the theme of Epang Palace. Also considering the fact that discussions and the interpretation of “Fu on the Epang Palace” mainly occurred in the mid-Joseon dynast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interest, enjoyment, and acceptance of “Fu on the Epang Palace” influenced the production of Epang Palace-themed poetry by Joseon writers. 본고에서는 역사성과 심미성을 지닌 진대의 아방궁에 주목하여, 조선 문인의 한시에 나타난 아방궁의 심상을 검토하였다. 아방궁을 詩題로 하거나 본문의 내용에서 직접적으로 다룬 한시 작품들은 주로 조선 전기에서 중기에 분포하였다. 아방궁은 하늘에 닿을 듯 우뚝 솟아, 공중에서 사방으로 통하는 복도와 벌집같은 수많은 공간이 있는 모습 등으로 형상화되었다. 아방궁은 왕조의 멸망을 불러일으킨 원인으로 꼽히며 후대의 경계가 되는 부정적 대상으로 인식되었지만, 아방궁의 웅장하고 화려한 면모와 극적 서사, 허망하게 화염 속에 사라져버린 비극적 운명은 역사적 교훈성과 문학적 심미성을 아울러 지닌 모티프로서 작품 속에서 반복적으로 형상화되었다. 부려한 아방궁이 화염 속에서 재로 쇠락해버리는 장면은, 존재의 당위성을 상실한 권세와 욕망의 표상인 심미적 공간을 몰락시키는 카타르시스의 기제로서 아방궁의 대비적 심상을 만들어냈다. 본고에서는 조선 문인의 한시에 나타난 아방궁의 심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杜牧(803-852)의 「阿房宮賦」에 주목하여, 본 작품의 내용과 표현이 조선 문인의 아방궁 소재 한시에 차용된 경우가 많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아방궁부」의 해석에 대한 논의도 주로 조선 중기에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조선 문단의 「아방궁부」에 대한 관심과 향유, 수용이 조선 문인의 아방궁 소재 한시 창작에 영향을 끼친 동인이자 아방궁 심상을 형성하는 주요한 요인이라고 볼 수 있었다.

      • KCI등재

        梧淵 金冕運의 생애와 시문학

        강혜종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9 남명학연구 Vol.64 No.-

        Oyeon Kim Myeon-un held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Confucian scholar community in Udo, the eastern Gyeongsang region (east of the Nakdong River) in the 19thcentury. He left a total of 140 pieces of Sino-Korean poetry. Most of his poems were composed to exchange with people around him or chaunsi (次韻詩), poems that rhymes with characters borrowed from other poems. Oyeon’s poetry reveals a literary characteristic and the life of Confucian scholars in the eastern Gyeongsang region who communicated their sincerity and encouragement through poetry. Oyeon’s chaunsi, bounsi (步韻詩), yongunsi (用韻詩), jeungbyulsi (贈別詩), and mansi (挽詩) were important literary methods to express sympathy and communication. Even when he was facing difficulties such as the deaths of people close to him, impoverished in reality, and physically immobile due to an illness, he expressed his thoughts through his poetry. He displayed his works to people around him and actively sought advice, to cultivate his literary talent.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further study from the perspective that he was succeeding the poetic tradition of Nammyung School emphasizing the practical poetry. Furthermore, Oyeon’s reflective works such as jeseoksi (除夕詩), watch-night poems that showed another characteristic of Oyeon’s poetic world. These poems created a style that expressed poetry within a silent scenery with simple and natural words creating a pure and leisurely old-world flavor. This style seems to be emphasizing the revelation of a natural temperament and secluded consciousness of the author. In particular, the subject consciousness of being content amid poverty and taking pleasure in acting honest shows Oyeon’s literary characteristic. This provides an insight that Oyeon succeeded the literary tradition of the Nammyung School which pursued the transcendence of worldly values by overcoming difficulties in the poems. 오연 김면운은 19세기 경상 우도의 유림 사회에서 중임을 맡으며 활발히 활동한 인물로서, 총 88제 147수의 한시를 문집에 남겼다. 그 중 주위의 인물들과 교유하며 짓거나 선유들의 작품에 소회를 붙인 화운시, 증별시, 만시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오연의 시문학은 진심을 전하며 서로를 격려하였던 19세기 강우 지역 유림들의 문학적 특징과 삶의 양식을 잘 보여준다. 이는 시의 실용적 역할을 중시하였던 남명 시관의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더욱 고찰될 필요가 있다. 오연은 특히 만년에 가까운 이들의 죽음을 잇달아 겪고, 궁핍한 현실과 질병으로 운신할 수 없는 어려움에 처해 있을 때, 울적한 소회를 시문학에 적극적으로 담아냈다. 또한 자신의 작품을 주위에 보이고 조언을 구하며 文才를 연마하고자 하였다. 제석시 등 성찰적 작품은 오연 시문학의 또 다른 특징을 보여주었는데, 대체로 정적인 풍경 안에 詩意를 간결한 언어로 표현하여, 沖澹閑雅한 풍격을 만들어냈다. 이는 자연스러운 성정의 발현을 중시하는 시관, 은일적 시세계를 지향한 작자의식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안빈낙도의 주제의식은 처사 문학적 특징을 보여주는데, 이는 자신의 현실적 어려움을 작품 안에서 초극하면서, 세속적 가치의 초월을 지향한 남명학파의 시문학 전통을 계승하는 단서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계유년(1633) 法制策 검토

        강혜종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0 한국민족문화 Vol.75 No.-

        Beopjechaek, the daechaek on legislative measures in 1633 was written when the special state examination was held to celebrate the event of giving Prince Jeongwon who was already dead, the father of King Injo, the title of Wonjong. This paper reviews four pieces of daechaek written by Yu Jeup, Yun Seondo, Ha Jin and Yang Manyong. These writings have significance in terms that they serve as references to examine the key discourse of administration theories in the wake of the political fluctuation,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n the early 17th century. Based on the perspective where, under the reign of King Sejong, the Joseon Dynasty was prosperous, and orders in a form of law books were already established in previous generations, the discourse on the legislative measures of the writings stresses enhancement of proper attitude of the monarch, instead of modification or adaptation of laws. Therefore it can be viewed as an aspect of the administrative theory of the time when the principle emphasizing virtue of a monarch was prevalent with the principles of neo-Confucian justification and righteousness in place. It explains that the legislative discourse also was influenced by the principles of justification and righteousness that required contradictions of reality to be resolved not from systematic perspectives but self-discipline of the king in the midst of conflict between the king who tried to secure legitimacy of royal authority after the Coup of Injo and the subjects. 계유년 법제책은 元宗 追崇의 경사로 설행된 증광시의 執策으로, 17세기 초 국내외의 급격한 정치적 변동 속에서 전개된 법제론과 시무책의 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유의미한 자료이다. 본고에서는 유즙, 윤선도, 하진, 양만용의 법제책 총 4편을 검토하였다. 모든 작품은 구폐 방안으로 법제의 근본인 조종의 마음을 회복할 것을 주장하여, 변통이나 변법이 아닌 올바른 법제 봉행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는 선대 왕조에서 편찬된 법전이 계승되어 과조가 갖추어졌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본말론적 시각에서 법제론을 전개하도록 유도한 책문의 전제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결과였다. 계유년 법제책은 법제정비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현실론에 대응하여, 법제의 근본인 군주의 마음을 돌이켜, 전통적 체제와 가치를 계승하는 것이야 말로 ‘時務’라는 법(제) 담론의 보수적 전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법제 운영 주체의 올바른 태도 제고가 무엇보다 강조된 것은, 주자학적 명분론과 의리론을 바탕으로 군주성학론이 심화되었던 당대 경세론의 한 측면과 종통의 계승 및 정치적 정당성 확보의 필요성이 있었던 인조 정권의 입장이 아울러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古歡堂 姜瑋의 「擬三政捄弊策」에 나타난 작자의식과 서술적 특징

        강혜종 한국문학회 2020 韓國文學論叢 Vol.85 No.-

        This paper explores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the writer’s consciousness found in the “Uisamjeonggupyechaek” which Kang Wi composed in Cheoljong’s effort to seek advice from his vassals about how to handle the 1862 Imsul-Year People’s Revolt. This specificity as an taechaek, an answer to King’s question, which was an unsubmitted document, knowledgeable authentic precedent, elaborate logic and elegant writing style makes it appropriate to use to closely investigate the literary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s policies regarding important affairs. Kang Wi highly regarded Cheoljong’s advice-seeking efforts in the Imsul-Year. He wrote the “Uisamjeonggupyechaeck” as a manuscript devoted to his personal experiences and theory of governance. On the surface, Kang Wi’s motivation for composing this text was due to the strong recommendation of his close ally, Jeong Keon-Jo. However, in reality, it was a strong sentiment that drove Kang Wi, who could not achieve what he had desired in such adverse circumstances, despite his prominent knowledge and great reputation, to express his anger and frustration at the contradictions and irrational political atmosphere of his time. The “Uisamjeonggupyechaeck”, which contains approximately 30,000 characters, consistently asserts that large-scale reforms needed to be made with a focus on Military Policy, thus upholding the original intentions of the old statutes that served as the root of the Three Policies, which are related to land, military and relief work. In this manuscript, Kang Wi uses the reality he had witnessed as strong points to drive his narrative, describing events exactly as they had unfolded. It is a formal and practical text that proposes measures to rectify harmful situations supported by administrative knowledge and logic with rhetorical devices to persuade its reader, the king. Even when faithfully answering chaekje, the King’s questions, Kang Wi did not focus on using typical formal language with its excessive praise or justifications that would often be seen in taechaek written as an exam’s model answer. Rather, he showed a narrative style that evokes empathy by describing the circumstances of the people’s revolt in great detail, using rhetorical devices, such as paradoxes and irony, to appeal to his audience. 본 논문은 1862년 임술민란을 수습하기 위한 구언을 계기로 姜瑋가 지은 「擬三政捄弊策」의 작자의식과 서술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박학한 전고와 치밀한 논지 전개, 유려한 문체, 제출되지 않은 擬作으로서의 특수성은 조선시대 시무책의 문학사적 고찰을 위한 유의미한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강위는 임술년의 구언을 매우 긍정적으로 여겼으며, 「의책」은 자신의 경험과 경세론을 적극적으로 전개한 작품이었다. 「의책」의 저술은 친우 정건조의 강권이라는 외부적 동기뿐만 아니라, 모순된 사회 현실에 대한 ‘發憤’이라는 강한 심정적 동기에 기인한 것이었다. 「의책」은 군정을 중심으로 제도 개혁적 구폐책을 제시하는 실용적인 시무책이라고 할 수 있다. 책문에 종종 보이는 과도한 칭양의 투식어구와 당위론적 서술을 지양하고, 민란의 현장을 상세히 묘사하며, 역설과 전도의 수사법으로 개혁의 당위성을 촉구하는 서술적 특징을 보여준다. 또한 삼정 운영론에 방점을 두도록 유도한 策題의 방향성에 구애받지 않고, 제도 개혁의 논리를 전개하기 위하여 고제의 연혁과 득실, 역대 제도의 변천 과정을 자세히 검토한다. 글의 후반부인 주의와 편종 단락은 전 분량이 군정 개혁과 병권 강화의 당위성을 강조하는 내용으로 채워졌다. 대책의 편종이 군주성학론이나 용인론 등 도학적 경세론에 치우친 서술 경향성을 보이는 것과 달리, 「의책」의 편종은 주의 단락에서 전개된 금포지란의 심화된 논의에 더하여 군주의 병권 강화를 서술한다는 점에서 편종의 정형성을 벗어나고, 글의 전편을 일관된 주제로 전개하는 정합성을 보여준다.

      • KCI등재

        『奏議纂要』연구 – 조선시대 奏議文의 편집 양상 및 편찬 맥락 고찰을 중심으로

        강혜종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1 No.3

        This paper aims to not only examine the selection and deletion of writings from the Chsŏn Dynasty included in Chuŭich'anyo, as compiled by Kyujanggak by the order of King Chŏngjo, but also identify its characteristics as an anthology of representative Chuŭi-ryu prose published by the government of the late Chsŏn period. Chuŭich'anyo, which comprises 8 chapters and 4 volumes (8卷 4冊), contains about 100 writings by 12 Chinese and Chsŏn literati. The writings included in this book, such as sangso (上疏), ch’aja (箚子), and kyesa (啓辭), and other writings written to the king seem to have been edited as a valid and readable reference for the way of governing and sage learning. It seems that the author's speculative stories, redundant content, or other descriptions that are not essential to the context have been deleted.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disagreements in political philosophy and methodology, or sensitive political issues, were also deleted, and the ideas on administrations were retained, editing the original texts. In this process, a tendency was found such that the text was edited in a manner to ensure that the context of the discourse could be understood, while harsh sentences in which the author's subjectivity was deeply involved were deleted. It can be assumed that this reflects the purpose of compiling Chuŭich'anyo and the political views of King Chŏngjo and the people involved in its compilation at the time.

      • KCI등재

        復齋 李彙濬 「三政策」의 서술 양상과 경세론

        강혜종 열상고전연구회 2020 열상고전연구 Vol.72 No.-

        Samjeongchaek were written in 1862 by bureaucrats of Rank 3 and under and Confucian scholars in response to Cheoljong’s request for advice from his vassals about how to resolve Imsul-Year People’s Revolt. To date, 90 volumes of the document have been found, of which 40 are from the Yeongnam region, accounting for the largest share by region. Bokjae Yi Hwi-jun had a strong influence over public sentiment in the Yeongnam region in 1862. His “Samjeongchaek” was selected with the grade of samha. One of his letters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samjeongchaek and his views on how to write them. This study shed light on Bokjae’s “Samjeongchaek”, which is a meaningful piece which details the various aspects of samjeongchaek from the Yeongnam region. Bokjae viewed the samjeongchaek written in 1862 not as kwachaek, taechaek written as model answers for an exam, but as documents presenting relevant ways to rectify harmful situations. He thought that principles, such as selecting the right person for a job, being frugal, and giving strict rewards and punishments, should be included in “Samjeongchaek” and that only those which proposed special measures would be chosen by the royal court. This view is reflected in his “Samjeongchaek”. His introduction is written in a narrative style that is similar to those of gochaek and maintains the basic direction required by chaekje, the king’s question in response to which taechaek are written. It also refrains from mentioning unnecessary precedents. Instead, the narrative stays focused on exemplary cases from Joseon. He also cited chaekje in a number of times and faithfully presented his answer. This style was a product of the fact that Bokjae’s measures for rectifying harmful situations did not propose institutional reforms, but were conservative and partially incorporated views from chaekje. Bokjae considered the state’s grain loan system as the most urgent of the Three Policies related to land, military and relief work. He presented a detailed suggestion for how to run the grain loan system and discussed the need and ways to punish bureaucrats who abused the system. He maintained a conservative stance that argued for the succession and righteous operation of existing systems and opposed the implementation of sachang, village granaries, and hopo, taxes that are used to collect cotton or hemp by ho. He also emphasized that maintaining public morality and discipline through reward and punishment was an important exercise of royal authority and claimed that measures should be taken to rectify harmful situations in order to restore the trust of the people. He argued that corruption was the fundamental cause of the problems with the Three Policies. He vehemently criticized bureaucratic extravagance and bribery that was prevalent in those days and called for strict punishments for bureaucrats who broke the law. Samjeongchaek from the Yeongnam region emphasized the need to increase discipline. While Bokjae’s proposed policy measures were practical compared to the less substantial contributions of others, his stance was considered to be conservative even in the Yeongnam region. 1862년 발생한 임술민란의 수습 과정에서, 철종은 3품 이하의 관료와 유생에게 試策에 응하도록 구언을 내렸다. 이 때 작성된 임술년 삼정책은 총 90여 편이 현전하며, 영남지역의 삼정책은 약 40여 편으로 가장 많다. 본고는 그 중에서 復齋 李彙濬(1806-1867)의 삼정책에 주목하고, 서술 양상과 경세론을 검토하였다. 이휘준은 당시 관인으로 활동하면서 영남지역의 여론을 주도한 인물로, 시책에서 三下의 성적으로 뽑혔으며, 삼정책의 성격과 작성 방식을 밝힌 편지글을 남겼다. 이휘준은 삼정책을 科策과는 다른 시무책으로 인식하였으며, 擇人, 尙儉, 明賞罰 등의 내용 이외에 奇策을 제시해야만 채택될 수 있다고 여겼다. 책제의 지침을 받아들여 불필요한 전고의 인용을 지양하고, 我朝의 사례에 집중하여 서술하였는데, 이는 이휘준의 구폐론이 제도 운영론에 방점을 둔 것과 관련이 있었다. 이휘준은 삼정 중 환정을 가장 시급한 현안으로 여겼고, 환곡의 운영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제시하였다. 또한 사창제나 호포제를 반대하는 등, 舊制의 계승 및 운영 방안에 집중하여 구폐책을 논하는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였다. 왕권의 행사를 통해 상벌로 풍속을 바로잡고 기강을 세울 것을 주장하였으며, 무엇보다 구폐책을 실천하여 백성들의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특히 삼정의 폐단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貪汚를 지목하고, 당대의 사치 풍조에 기인하여 뇌물이 횡행하는 세태를 극렬히 비판하면서, 불법에 연루된 관리들을 엄형으로 처벌할 것을 촉구하였다. 尙儉과 立紀綱의 강조는 퇴계 가문의 이휘재의 삼정책에서도 발견되는 공통점으로, 추후 더욱 비교하여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19세기 公論 형성의 글쓰기 지형 검토 - 문집 소재 奏議類 및 論辨類 산문의 時務論 전개양상을 중심으로 -

        강혜종 한국한문고전학회 2022 漢文古典硏究 Vol.45 No.1

        This study explores the writing topography of the formation of public opinion by examining the development of current affair theory in prose in the 19th century collections of work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norms of the writings to the king were institutionally organized through law codes and rule books. Also the appeals of the Confucian scholars were carefully controlled. Meanwhile, the formation of large-scale public opinion was promoted through writing, such as taechaek on the Three Policies (samjeongchaek 三政策) in 1862 and the memorial in the name of ten thousand men (maninso 萬人疏) afterward. Furthermore,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which diverged amidst the dynamics of international circumstances, interest in current affairs (shimu 時務) was heightened. As a result, literary works that actively expanded upon discussions related to such issues could be found. This paper reviews the writers and writing practices of 19th century prose, focusing on jueui (奏議) prose such sangso and taechaek, and nonbyeon (論辨) prose such as personal opinion (saeui 私議) and dialogue (mundae 問對). In addit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problem of the participation of Confucian scholars who had not been admitted to a government office in political discussions (出位論政) as a limitation placed upon the scope of those who could participate in public opinion formation. Although the social classes eligible to participate in real politics were limited, the current affair theory was developed in multiple layers of writings. Simuso and simuchaek were writing media that contributed to the public sphere in the fierce political dynamics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19th century. These writings were channels of communication between rulers and subjects with political formalities. Especially, samjeongchaek, a representative text on current affairs from the 19th century, was the media for a collection of large-scale public opinion that attempted to explore practical countermeasures. Whereas jueui prose had limitations in description according to political discourse and genre, Kim Yun-sik's 「Sibnyuk saeui」 and Kang Jin-gyu's 「Kiwoo saeui」 examined in this paper, reveal the current affairs theory that was controlled in public writing or show various aspects that more accurately reflect the authors’ viewpoints. Texts written in a style where the authors’ arguments and composition were relatively unrestricted were the public sphere of writing organized by the authors. Anonymous ‘conversation partner’ set up in private writing served as a device for creating a public sphere of writing, supporting the legitimacy of spoken opinions on public affairs and relieving author from the responsibility for being vocal with such opinions. 본고는 19세기 문집에 수록된 대표적인 산문의 시무론 전개 양상을 검토하여, 공론 형성의 글쓰기 지형을 조망해보고자 하였다. 조선후기에는 법전과 규정집을 통한 주의류 글쓰기 규범의 제도적 정비가 지속되고 儒疏의 통제가 이루어지는 한편, 1862년 임술년 三政策이나, 이후 영남 유림의 萬人疏 등, 글쓰기를 통한 대규모의 공론 형성이 도모된다. 또한 19세기 말 국제 정세의 역학 속에서 분기하는 조선의 근대 전환기에는, ‘시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며, 관련 논의를 적극적으로 전개하는 작품들도 발견된다. 본고에서는 19세기 상소, 대책 등의 주의류 산문과 私議, 問對와 같은 논변류 산문의 작자와 글쓰기 현장을 검토하고, 공론 형성 주체의 범주를 제약하는 논리로서 ‘出位論政’의 문제에 주목하였다. 명분상 ‘시무’를 논할 자격은 시무에 대한 직임이 있는 자에게 우선적으로 부여되며, 현실 정치의 참여 계층은 제한되었으나, 다층의 공론장에서 시무론이 전개되었다. 공적 공론장에서 신분으로 증명되던 참여자의 자격 부여는, 글쓰기 안에서 시무론 발화의 정당성을 해명하는 서술로 이루어졌다. 시무소와 시무책은 19세기 조선의 정치적 역학관계 속에서 공적 공론장에 참여하는 글쓰기 매체였다. 이들 글쓰기는 군신 간의 소통 창구로서 정치적 의례성과 문체적 전형성을 답습하면서도, 19세기 대표적인 시무책인 임술년 삼정책의 경우와 같이 대대적인 공론 수렴의 매체로서 기능하기도 하였다. 주의류 산문이 정치적 화법에 따른 입론과 서술 방식의 제약이 강한 문체라면, 본고에서 살펴본 俞莘煥의 「時務篇」, 金允植의 「十六私議」, 姜晉奎의 「杞憂私議」 등의 논변류 산문은 공적 글쓰기 안에서 통제되는 시무론을 드러내거나, 작자의 시각이 더욱 반영되는 양상을 보였다. 공적 공론장 너머의 사적 글쓰기에 설정된 익명의 ‘객’은, 글쓰기라는 공론장을 구성하는 장치로서, 시무론 발화의 정당성을 뒷받침하거나, 발화에 대한 작자의 책임을 덜어주는 역할 등을 수행하였다.

      • KCI등재

        1920년대 잡지의 문학 담론과 ‘고전(古典)’의 좌표: 『개벽(開闢)』의 DB 분석을 중심으로

        강혜종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3 동방학지 Vol.202 No.-

        The classics of Gaebyeok in the 1920s are cited in various articles, such as literary and academic texts, travelogues, and research reports, and are also included as reading materials. However, the concept of the classics tends to be referred to as a means of comparison between modern and world literature or as a symbol of national literature and tradition. As such, it is difficult to find articles whose main focus is on the theory of classical literature itself.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xt and status of classic texts developed both inside and outside the literary discourse of Gaebyeok in the 1920s, and the perception of the classics as canon and tradition. In order to examine the referenc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classic texts across various strata of the articles, the main conceptual key words constituting the discourse of the selected articles were quantified by respective categories before conducting a review of their semantic structures. Also the composition of literary discourse was examined through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literary concept words, and the distribution and network aspects of co-occurrence word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attempts to establish a foundation to look at the compositional context of classical literature and the topography highlighting the status of citations of the classics and by clarifying the context of such references. 1920년대 『개벽』의 고전(적)은 문학 및 학술 관련 기사, 답사기나 보고서, 기행문 등 다양한 텍스트에서 인용되며, 독서물로도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본격적인 고전문학론을 다룬 기사는 드물며, '고전'은 문학 담론 안에서 근대문학 및 세계문학 양식의 비교 대상으로 언급되거나, 전통문화, 민족문학의 관점에서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당대 『개벽』의 문학 담론 안팎의 고전(적)의 문맥과 위상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브랫(brat) 프로그램으로 주요 문학 담론 및 고전(적)이 포함된 선별 기사의 개념어를 항목별로 분류하고 계량화한 후 의미망을 분석하였다. 2장에서는 선별 기사에서 구축된 전체적인 코퍼스를 조망하고, 문학용어의 출현 빈도, 공기어 분포 및 네트워크 등을 분석하며 문학 담론의 구도를 살폈다. 3장에서는 고전(적)의 언급 및 인용 양상에 대한 통계 정보를 토대로, 한시, 시조 등 ‘고전(적)’의 지형과 문맥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1920년대 『개벽』의 ‘고전(적)’은 한문 문헌이 다수를 차지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새로운 문학과 문단, 문인의 역할을 고민하는 당대 문학 담론 안팎에서, ‘고전(적)’은 지식의 근거, 동양/중국/조선의 전통문화·민족문학 유산으로 인식되면서도, 문명화를 위해 타파해야 할 구습으로 타자화되는 양가적 상황에 놓여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주류 문학 담론의 주변부에 놓여있던 고전(적)의 글쓰기적 활용 양상을 통해, 당대 『개벽』의 필자와 독자들이 상당 수준의 한학 지식과 한문학적 소양을 갖추었으며, 다수의 고전(적)을 독서물로 생산하고 향유하였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근대 조선인의 만주 체험 기록에 나타난 언어 인식과 표상 -기행문과 수필류를 중심으로-

        강혜종 연민학회 2023 연민학지 Vol.40 No.-

        본고는 근대 조선인의 만주기행문 및 수필류에서 발견되는 언어 체험의 기록에 주목하였다. 이들 텍스트는 상당수가 신문이나 잡지에 발표된 것으로, 기획된 만주 담론과 필자들이 경험한 만주의 실상 및 감상이 교직된다. 특히 언어 체험은 다수의 글에서 인상 깊은 장면으로 묘사된다. 본고에서는 이들 기록에서 발견되는 만주 공간의 언어가 이국풍(異國風)과 제국의 역학을 비추는 거울이자, 오족협화(五族協和)의 땅으로 선전된 만주국의 허상을 드러내는 균열의 기제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만주 공간에서 위계화된 언어의 현실은 필자의 시각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었다. 언어 현실로 반영된 제국의 역학을 수용하는 관점에서는, 일본어가 명실상부한 국제어로서 오족협화를 실현하는 수단이자 제국의 희망찬 전망을 보여주는 지표로 여겨졌으며, 타자화된 언어는 곧 정치 현실에서 타자화된 국가와 국민의 표상으로 인식되었다. 반면에, 모어(母語)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불통의 상황을 목도하거나 체험하는 과정에서는, 식민지 조선이 처한 현실이 자각되거나 부조리한 구조가 비판적으로 성찰되기도 하였다. 여행 중에 만난 조선인 동포나, 때로는 외국인의 목소리로 감각된 조선어는 식민지 조선과 조선인의 현실을 상기시키는 민족의 표상으로 해석될 수 있었다. 조선어의 지위는 미미하고 때로는 양지로 드러날 수 없는 것이었지만, 조선어는 기획된 만주 서사 이면의 개별 조선인의 삶을 포착하는 수단이자, 재만조선인이 투쟁으로 지켜내야만 하는 ‘민족’의 언어이자 ‘자신’의 언어였다. 조선인의 만주 체험 기록 속의 언어 현실은, 필자의 관점과 텍스트의 성격에 따라 재현되고 해석되며, 만주 공간의 역학 속의 균열과 불협의 단면을 드러내고 있었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records of language experiences found in modern Koreans’ Manchu travelogues and essays. Many of these texts have been published in newspapers and magazines, and the planned Manchu discourse is intertwined with the reality and appreciation of Manchu experienced by the authors. In particular, the language experience is described as an impressive scene in a number of texts. This paper notes that the language of Manchu space found in these writings is a mirror reflecting the dynamics of nations and the exotic atmosphere, as well as a mechanism of cracks that reveal the illusion of Manchukuo, which was promoted as the land of the Harmony of Five Nations. The reality of language hierarchy in Manchu was interpre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uthor's perspective. From the perspective of accepting the dynamics of the empire reflected in language reality, Japanese was regarded as a means of realizing the Harmony of Five Nations as an international language and indicator of the hopeful prospects of the empire, whereas the otherized language was recognized as a representation of otherized nations and people in political reality. However, in the process of witnessing or experiencing a lack of communication when the native language cannot be freely used, the reality faced by colonial Joseon was recognized and the absurd structure was critically reflected. The Korean language, sensed through the voices of Korean compatriots or sometimes foreigners met during travel, could be interpreted as a representation of Joseon and Joseon people, reminding them of the colonial reality. Although the status of the Korean language was insignificant and sometimes it was even a hidden language which could not be used publicly, the Korean language was a means of capturing the lives of individual Koreans behind the planned Manchu narrative and a language of the people that Koreans living in Manchu had to protect with struggle. As such, the language reality in the records of the Joseon people's experience in Manchu was reenacted and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author’s perspective and the discourse of the texts, showing cracks and disharmony in the dynamics of Manchu space.

      • KCI등재

        寬寮 河泳台의 삶과 한시 연구

        강혜종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1 남명학연구 Vol.71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Sino-Korean poetry of Ha Young-Tae, who was mentioned as chusa (處士) in the Confucian scholar community in the eastern Gyeongsang region (east of the Nakdong River). His poetry mainly focuses on sincere appreciation of everyday life and emotions in outdoor activities of such as lecture spaces and scenic spots. Some poetry evoke a high and elegant mood with descending images. However, this sentiment was not too biased, maintaining a contemplative distance from the sceneries, and showed a tendency to be drawn calmly. Also, plain and sincere poetic words seem to be the reason why Kwanryo’s poetry was given the critique of dama (淡雅, clean and elegant) and uyeo (紆餘, relaxed and tranquil) This article tried to elucidate the point of reflection captured in the Ha Young-Tae’s works through the perception of excursions. He toured the scenic spots and wrote travel poems. In his poetry on excursions, consciousness of literati and the traditional practice of contemplating the world and nature were found. Especially the orientation to the correct way seems to have been an important topic in his works based on the life in a period of national crisis as a traditional intellectual. 본고에서는 관료 하영태(1875-1936)의 삶을 개관하고 시문학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하영태는 근현대의 급변하는 시대 속에서 처사로 일컬어진 강우지역의 유림으로, 면우 곽종석과 회봉 하겸진에게 수학하였다. 하영태는 시문학은 수창시, 증시 등의 교유시와 강학 공간, 명승지를 소재로 일상의 진솔한 감상을 읊은 작품이 주를 이룬다. 담박한 아취를 자아내는 주요 작품들의 기저에는 幽寂하고 쓸쓸한 정서가 감지되기도 하지만, 비감은 지나치게 치우치지 않고 경물과의 관조적 거리를 유지하였다. 또한 작품을 억지로 조탁하지 않고, 평이하고 진솔한 시어로 간명하게 시의를 드러내는 자연스러운 면모가, 하영태의 시문학이 淡雅·紆餘라는 평어를 얻게 된 이유로 추측해 볼 수 있었다. 아울러 본고에서는 하영태 시문학에서 포착되는 구도적 성찰 지점을 유람 인식을 통해 해명하고, 당대 강우 유림의 명승 유적에 대한 관심 및 한시 창작의 경향성과 관련지어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하영태의 유람시에는 유람의 흥취뿐만 아니라, 유자적 士意識, 탈속적 지향과 함께 세상과 자연에 대한 원리를 관조하고 수신하는 구도적 실천의 전통이 엿보였다. 함께 검토한 하영태의 「遠遊賦」는 시문학과 장르적 차이가 있지만, 길을 찾아 골몰하고, 경물을 관조하며 세상의 원리와 삶의 지향을 성찰한다는 주제의식에서 접점을 보이고 있었다. 전통 지식인으로서 국난의 시기를 겪고 불우의식을 지녔던 하영태에게 올바른 ‘길’이란 중요한 화두였으며, 유람에서 견문한 경물은 단순한 완상의 대상에 그치지 않고, 구도적 세계를 이루는 구성 요소로서 작품 속에 형상화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