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초기 단편소설선집『천리경(千里鏡)』연구 - 신채호의「익모초(益母草)」서사 전문(全文)의 소개를 중심으로 -

        강현조 ( Hyun Cho Kang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4 어문론총 Vol.62 No.-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fact that it was published in 1912, 『千里鏡 (A Telescope)』is a reprinted and almost exactly the novels in『家庭雜誌(A Magazine of A Home)』and『奬學報(A Magazine of the Encouragement of Learning)』were published in the 1908. Corresponding to a sort of short story anthologies, this book the work of one of the「Jang Ha, Kim and Wan Gil, Choi」was arguably one point called the reprinted text「Ikmocho(A Motherwort)」, known as the first novels in the form closest to the time of the original announcement of Chae Ho, Shin. In『千里鏡(A Telescope)』, there are a total of 12 works are listed, 「Suwon Lee Sangwon」and「Jang Ha, Kim and Wan Gil, Choi」are the intergeneric in 1908『家庭雜誌(A Magazine of A Home)』for second year publication would have been reprinted works of Chae Ho, Shin. And another 8 works are reprinted novels were published in 『奬學報(A Magazine of the Encouragement of Learning)』. In fact, more than 9 works are all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time of the original announcement, and the fact that there is no new information is added or modified work piece by the editor, 『千里鏡(A Telescope)』that time will be posted in 『家庭雜誌(A Magazine of A Home)』and『奬學報(A Magazine of the Encouragement of Learning)』disprove the fact that they can be faithfully reprinted the text of the original work. 「Jang Ha, Kim and Wan Gil, Choi」is self-described as a 6,091 addition to the contents of an existing「Ikmocho(A Motherwort)」. Contrasting results are a common part of the contents of two text except for the fact that some different cases were identified virtually the same. This additional finding was part of a group by the editors rather than the interpolator『家庭雜誌(A Magazine of A Home)』. At the time of the original series will be faithfully reprinted a high possibility that the author``s judgment when considering various contexts. Thus「Jang Ha, Kim and Wan Gil, Choi」may be called the closest text in the original time series of「Ikmocho(A Motherwort)」, at least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narrative in fact the same text in the part corresponding to my thought. Chae Ho, Shin which is already a level of narrative that can be interpreted from a short story worth almost tolerable when writing the first work in the sense that it exhibits high artistic skills enough to be completed in the order of Korean, in that sense, 「Jang Ha, Kim and Wan Gil, Choi」is text that will be able to provide new implications for the study of Chae Ho, Shin’s literature.

      • KCI등재

        <보환연>과 <허영>의 동일성 및 번안 문학적 성격 연구

        강현조 ( Hyun Cho Kang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1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4

        이 논문에서는 난파 홍영후의 창작소설로 알려져 있는 <허영(虛榮)>이 이보다 약 6년 앞서 출판된 신소설 <보환연(寶環緣)>과 내용면에서 거의 유사한, 사실상 동일 작품이라는 사실을 입증하고 더 나아가 두 작품 간의 동일성이 형성된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비교 결과 두 작품이 서사 구조상의 동질성을 공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개별 장면 및 등장인물의 작중 역할 또한 거의 완벽하게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해서는 홍난파가 <보환연>을 표절했거나 <보환연>의 미완 부분을 마저 이어서 썼기 때문에 생긴 결과가 아니라, 두 작품 모두 동일한 원작소설을 모본으로 하여 번안 집필되었기 때문에 생긴 결과라고 보는 것이 보다 타당하다. 이른바 ``일본풍``이라고 부를 수 있는 번안의 흔적이 작품의 곳곳에 남아 있기 때문이다. <보환연>의 지면에 ``저작``이라는 용어 대신 ``편집``이 ``편술``이라는 용어가 사용된 점, 홍난파의 작품이 대부분 번역물이라는 사실들 외에도 실제 작품에서 등장인물들에 대해 일본식 명명법이 사용된 점, 그리고 작중 설정이 한국의 현실과 부합하지 않는 점 등이 그러한 흔적에 해당한다. 실제로 이상과 같은 추론을 입증하기 위해 원작소설을 추적한 결과, 기쿠치 유호(菊池幽芳)의 <유자매(乳姉妹)>가 <보환연>과 <허영>의 원작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자매(乳姉妹)>의 줄거리는 약간의 차이를 제외하고는 <보환연>과 <허영> 두 작품의 줄거리를 합쳐 놓은 것과 거의 동일하다. 이로써 <보환연>과 <허영>이 동일 원작을 모본으로 하여 서로 다른 시기에 집필된 번안 텍스트라는 점이 사실로 확인되었다. 그런데 <유자매(乳姉妹)> 또한 창작소설이 아닌 서양소설의 번안물로서 영국여류작가 샬롯 브레임(Charlotte Mary Brame)의 대표작인 <Dora Thorne>(1871)을 번안한 것이다. 요컨대 <보환연>과 <허영>은 <장한몽>과 마찬가지로 일본을 경유해서 들어온 서양소설의 이중 번역/번안 작품이었던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보환연>과 <허영>의 원작은 확인하였으나 원문 대조를 통한 전반적이고 구체적인 번안의 양상에 대한 고찰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궁극적으로는 <Dora Thorne>에서 <유자매(乳姉妹)>, 그리고 <보환연>과 <허영>으로 이어지는 번안의 경로에 대한 고찰을 포함하여 원작과 번안작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의 비교·대조 및 그 의미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Bo-Whan-Yean(寶環緣)> that had been published in 1913 and <Heo-Young(虛榮)> that had been appeared as a serial in 『Maeilshinbo(每日新報)』(1919) are almost the same. This Coidentity is caused the fact that <Bo-Whan-Yean(寶環緣)> And <Heo-Young(虛榮)> are based on the same original work, actually they are an adaptation of the Japanese novel in the Meiji-Era(1868~1912). The original work of <Bo-Whan-Yean(寶環緣)> And <Heo-Young(虛榮)> is <Chi-Kyoudai(乳姉妹)> written by Kikuchi yuho(菊池幽芳), that had been published in 1904. And <Chi-Kyoudai(乳姉妹)> is also an adaptation of <Dora Thorne>, the famous English novel that had been published in a cheap edition in both Great Britain and United States in the 1800s. As a result, <Bo-Whan-Yean(寶環緣)> and <Heo-Young(虛榮)> have many features as an adaptation and especially the former is notable.

      • KCI등재

        『제국신문』 잡보란 연구-신자료 지면확대판(1907.5.17~1909.2.28)을 중심으로-

        강현조 ( Kang Hyun-cho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7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63

        이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제한적인 접근만이 가능했던 1907년 5월 17일부터 1909년 2월 28일까지의 『제국신문』 발행분 중 잡보란 기사에 대한 통계적 분석 및 같은 시기에 발행되었던 순국문판 『대한매일신보』와의 기사 비교 분석을 통해 이 시기에 발행되었던 여타의 근대초기신문과 구별되는 『제국신문』의 매체적 성격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전문(全文) 입력 파일을 토대로 하여 월별 기사 건수 및 분량 통계를 분석한 결과 신문사의 재정적인 상황과 기사량 사이에 일정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다시 말해 정간 시점에 가까워질수록 기사량은 감소세를 보였다가 재정 문제의 해결로 속간이 이루어지는 시점부터 다시 증가세를 보였다. 이러한 사실은 정론성과 계몽주의적 이념을 표방하는 경향이 강했던 근대초기신문의 경우도 물적 토대의 뒷받침 없이 매체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는 힘들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와 함께 이 논문에서는 의병과 여성 등 특정 주제어를 중심으로 지면확대판 『제국신문』 잡보란 기사와 같은 시기에 발행되었던 순국문판 『대한매일신보』와의 기사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의병’이라는 단어의 경우 등장 횟수 및 분량에 있어서는 『제국신문』과 『대한매일신보』 사이에 큰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지만, 용법에 있어서는 두 신문 사이에 분명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제국신문』은 의병을 비도 혹은 폭도로 지칭하는 경우가 매우 많은 반면 『대한매일신보』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매우 드물었다. 또한 『제국신문』의 경우는 1908년 7월 이후부터는 의병을 부정적으로 규정하는 표현을 일관되게 사용한 데 비해 『대한매일신보』에서는 이러한 표현이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이 같은 사실은 『제국신문』이 『대한매일신보』에 비해 의병에 대해 상대적으로 더 부정적인 인식을 보여주고 있으며 나아가 통감부로 대표되는 일제 당국의 정책에 더 순응적인 경향을 띠고 있었다는 판단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두 신문의 차이가 여성 관련 기사에서 확연하게 드러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긍정적인 내용의 기사에 등장하는 ‘부인’과 ‘녀□’는 물론이거니와 부정적인 내용의 기사에 등장하는 ‘계집’과 ‘쳡’이라는 단 모두 『제국신문』이 『대한매일신보』에 비해 빈도와 분량면에서 월등히 높은 비중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같은 국문 신문이라 하더라도 지면확대판 『제국신문』이 여성 독자층을 좀 더 중시하는 경향을 지니고 있었다는 판단을 통계적으로도 뒷받침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제국신문』이 교육과 계몽을 다룬 긍정적인 내용의 기사뿐만 아니라 선정적이거나 여성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유도할 수도 있는 기사의 산출에도 적극적인 신문이었다는 점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부정적 기사의 경우 서사적 구성을 갖춘 장형화 사례들이 다수 발견되었는데, 조사 결과 약 40건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기사들은 해당 사건에 대한 집중적인 조명과 함께 독자들의 주목을 불러일으키는 효과를 발생시키는데, 여기에는 비판과 경계를 통한 교훈의 전달이라는 계몽적 의도보다는 선정적인 소재와 내러티브의 활용을 통해 독자의의 흥미 내지는 신문 구매 의사를 조장하기 위한 상업주의적 전략이 작용하였을 가능성이 더 크다고 판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 character of 『JeGuk Shinmun』 especially about the miscellaneous paragraphs from May 17, 1907 to February 28, 1909 which is the new materials of the expand space version. First, based on a full set of input files, analysis of monthly accounts and quantity statistics revealed that there is a constant correlation between the financial situation of the newspaper and the quantity of articles. This implies that in the early days of the modern newspaper, which was highly influenced by politics and enlightenment ideology, it was difficult to fulfill its functioning as a medium without financial foundation. In addition, in this paper I conducted a comparison with the specialized input files of the expand space version of 『JeGuk Shinmun』, and 『DaehanMaeilsinbo』 which was published in the same period.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JeGuk Shinmun』 and 『DaehanMaeilsinbo』, but there was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two newspapers in the use of the word of the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The fact is that 『JeGukShinmun』 is relatively more pessimistic about the army than 『DaehanMaeilsinbo』, which makes it more likely that the Japanese authorities were more likely to be more malleable toward the Japanese authorities. Nex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newspapers confirmed that they were clearly revealed in the female news article. Words that indicating women in 『JeGukShinmun』 were equally high in terms of frequency and quantity compared to 『DaehanMaeilsinbo』. The fact is that even though the paper is the same as the Korean version of the paper, it supports the judgment that 『JeGuk Shinmun』 tend to value women's readership more strongly. However, it is important that 『JeGukShinmun』 is active not only about positive articles but also on the production of a sensational article that could lead to negative thoughts. In these negative articles, many cases of dated narrative for mation were found, confirming that the findings were found to be about 40 cases. These articles have generated the effect of arousing the reader's attention to the attention of the reader, which sug gests that it is more likely that the use of selective materials and a commercial strategy to promote readers' willingness to buy a newspaper through the use of provocative materials and narratives rather than the enlightening and the awareness of the lessons learned.

      • KCI등재
      • KCI등재

        이해조 소설의 텍스트 변화 양상 연구

        강현조(Kang, Hyun-cho) 한국근대문학회 2016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7 No.1

        이 논문에서는 『제국신문』에 연재되었던 이해조 소설 작품의 원문과 연재 이후에 출판된 단행본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텍스트 변화의 구체적 양상과 그 의미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서지적 고찰을 통해 지금까지 다소 부정확하거나 불명확한 부분이 없지 않았던 이해조의 작품 집필 과정 및 단행본으로의 정착 과정을 상세히 재구성해 보았다. 그 결과 이해조가 1907년 6월 5일부터 『제국신문』 소설란을 담당한 이래 〈원앙도〉 연재 당시의 1주일간의 휴재를 제외하고는 사실상 거의 매일 지면을 채워나갔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제국신문』과 작가인 이해조가 소설란에 얼마나 큰 비중을 두고 있었는지를 반증한다. 또한 연재 중단 당시의 광고 내용을 고려할 때 이해조는 미리 원고를 완성한 후 분할 연재한 것이 아니라 집필과 연재를 동시에 병행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때문에 거의 전 작품에 걸쳐 연재횟수의 중복 표기 및 횟수 표기 오류가 있었다. 각 유형 및 사례의 조사 및 분석 결과 먼저 단순한 교열 수준을 넘어 작품에 대한 적극적인 개작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작가인 이해조가 직접 개입한 결과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개작으로 인해 등장인물의 성격 및 역할이 변화된다거나 작중 상황이 환기하는 정서적 효과 또는 현실에 대한 풍자의 성격이 강화되는 등의 변화가 나타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쌍옥적〉의 경우는 검열로 인해 작가의 의도와 무관하게 비자발적인 개작을 할 수밖에 없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사실들은 이해조의 『제국신문』 연재 작품과 단행본이 결코 동일한 텍스트로 간주될 수 없다는 점을 반증하고 있다. 따라서 이해조의 소설에 있어서도 텍스트의 다중성이 노정되고 있다는 점을 연구의 기본 전제로 삼아야 할 필요가 있으며, 매체의 전환이라는 계기가 하나의 작품을 형성하는 데 미친 영향은 원전비평적 방법론을 토대로 더욱 엄밀하면서도 실증적인 차원에서 고찰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이 논문의 결론이다. This thesis attempts to determine specific aspects of text change and its meaning in Lee, Hae Jo’s Jeguk Sinmun series using comparative analyses of published books. Based on bibliological information, the series was inaccurately reconstructed, and some details of the writing process of Lee, Hae Jo are uncertain. As a result, Lee, Hae Jo wrote the Jeguk Sinmun daily, beginning on June 05, 1907. This fact proves that the author put significant emphasis on this series and that he wrote his other works while writing the series. This situation resulted in a change in the text of the original Jeguk Sinmun. Significant changes to various regulations created numerous cases of missing details in published works. This was most common for work practices, affecting error correction and adaption for newspapers that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new errors, omitted errors, and errors occurring during the editing process. Each error type was investigated before revision, which likely intervened with the writer’s results. Adapting the nature or role of the characters or situations strengthens the emotional impact of satire. Furthermore, the Ssangokjuck also confirms that involuntary censorship necessitates adaption, regardless of the intentions of the artist. Corrections to the original newspapers are examples of errors caused by the editing process because the text analyzed for this thesis was determined to be the original newspaper series. Lee, Hae Jo’s novels were serialized in Jeguk Sinmun and published as a book series, but they can never be regarded as the same tex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ose multiplicity in the text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text changes in a single work using a critical methodology, which is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 KCI등재

        <금낭이산(錦囊二山)> 연구

        강현조(Hyun Cho Kang) 한국현대소설학회 2008 현대소설연구 Vol.- No.37

        <Kum-Nang-I-San> was regarded as a kind of copy the traditional Korean romance which named <Bo-Sim-Rok> by classical literature researchers. But it is a kind of the hybrid novel written in 1912. It has not only a character of SINSOSEOL(early modern novel), but also a character of KOSOSEOL(traditional romance). However, it has not studied minutely how it`s original text had been built. This study will investigate not only the origin of <Kum-Nang-I-San>, but also consider critically several points raised at the process to fix it. <Kum-Nang-I-San>`s first published text by HOIDONGANGSEOKWAN in 1912, the second copy edition <Bo-Sim-Rok> by SHINGUSEORIM in 1918, and the third copy edition <Myoung-Sa-Sip-Ri> by DONGASEOKWAN in 1918. This study confirmed that <Kum-Nang-I-San> had been published three in book form for 1910`s. The Chinese play, <Cho-Si-Ko-A(The Orphan of Chao Family)>, also seem to effect on <Kum-Nang-I-San>. It is needed to compare these texts closely because they were adapted remarkably. Therefore this study will focus on change of the 1910`s text. Thus researchers should try to find a solution to this problem through a multilateral collaboration.

      • KCI등재

        <귀의성> 판본 연구

        강현조(Hyun Cho Kang) 한국현대소설학회 2007 현대소설연구 Vol.- No.35

        Lee In Gik`s <Gui-e-sung(The Voice of Ghost)> is the important SINSOSEOL(early modern novel) which is marked at the second of a list in the history of Korean novel. However, it has not studied minutely how it`s canon text had been built. This study will investigate not only the origin that <Gui-e-sung(The Voice of Ghost)> was accepted as a canon text by researchers and readers since it was first serialized in MANSEBO, but also consider critically several points raised at the process to fix it. First serialized text in MANSEBO (1906) was published by JUNGANGSEOKWAN in 1907, the second edition by KWANGHAKSEOPO in 1907, and the third edition by DONGYANGSEOWON in 1912. This study confirmed that <Gui-e-sung(The Voice of Ghost)> had been published three in book form Lee In Gik`s lifetime. It is needed to compare these texts closely because they were adapted remarkably. However, this has a lot of controversial points as a canon. Therefore this study will focus on inquiring into the striking differences revealed in adaptation. This fact means that they are not wordy to be approved as a canon text. Thus researchers should try to find a solution to this problem through a multilateral collaboration.

      • KCI등재

        <목단화(牧丹花)>의 개작 양상 연구

        강현조(Hyun Cho Kang) 한국현대소설학회 2010 현대소설연구 Vol.- No.45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e That<Wha-Joong-Wang(花中王)> is the adaptation of <Mok-Dan-Wha(牧丹花)>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former and the latter. The published date of this edition is presumed on the October, 1934. But it is the second edition, the first adaptation was published in 1919. <Wha-Joong-Wang(花中王)> is the adaptation and renewal of <Mok-Dan-Wha(牧丹花)>. It makes several changes in contents by cutting and an addition. First, in <Wha-Joong-Wang(花中王)>, the speech of protagonist in front of the masses is cut off because of political reason. The weakening of the politicalization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interest is the typical feature of Sin-So-Sul(新小說). The intention of the completion is the second feature of <Wha-Joong-Wang(花中王)>·<Mok-Dan-Wha(牧丹花)> has many faults like a cutting off and an omission in the narrative, but in <Wha-Joong-Wang(花中王)> they are corrected by author. Consequentially, <Mok-Dan-Wha(牧丹花)> may have written before the Japanese Government and published serially in the newspaper. This reasoning seems to need more definite evidences.

      • KCI등재

        특집논문 : 한국 근대초기 번역,번안소설의 중국,일본문학 수용 양상 연구 -1908년 및 1912~1913년의 단행본 출판 작품을 중심으로-

        강현조 ( Hyun Cho Kang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2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6

        이 논문에서는 융희 연간과 식민지 초기의 조선에서 출판된 소설들 중 만청기晩淸期의 중국과 메이지 시대 일본의 문학 작품을 원작 및 대본으로 하여 성립된 번역·번안소설들이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많다는 사실을 입증하고, 이것이 당대 출판 자본들의 이윤 획득을 위한 내적 요구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추론을 제기하였다. 가장 대표적인 시기인 1908년 및 1912~1913년을 대상으로 하여 조사 한 결과 번역·번안소설로 확인된 작품이 총 30편에 달했고, 그 수는 추가 적인 발굴 여부에 따라 더 늘어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 세 해의 단행본 소설 총 출판 편수가 112편이라는 사실을 감안할 때 이는 결코 적지 않은 수일뿐만 아니라 사실상 당대의 소설 형성 과정에서 번역·번안소설이 미친 영향에 대한 전면적인 재고찰을 필요로 할 정도로 비중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최근의 연구 결과들은 이 시기에 출판된 번역·번안소설들 중에 적지 않은 수가 기존의 통념과 달리 중국문학작품을 대본으로 하고 있다 는 점을 밝혀내고 있다. 특히 동양서원에서 출판된 김교제의 번역소설들은 모두 중국 상무인서관 『설부총서』수록 작품을 대본으로 하고 있었고, 일본문학작품의 경우는 당시 일본에서 가장 있기 있었던 신파극의 레퍼토리를 중심으로 번역·번안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단순히 작품의 수용 차원을 넘어 출판 기획 자체의 모방 이라는 양상을 띠고 있었다. 동양서원의 경우는 상무인서관의 도서 발행 체제와 표지 디자인까지 모방하는 양상을 보였고, 이 점은 주로 일본문학 작품을 번역·번안했던 신문관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이는 당시 조선의 출판 자본이 외국 출판시장에서 이미 대중성이 검증된 출판 기획 및 작품을 수용함으로써 안정적인 이윤을 확보하려는 의도에서 나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번역·번안소설의 수용 양상에 대한 고찰은 한국 근대초기소설 의 형성 과정에서 나타난 동아시아 3국의 문학적·문화적 교섭 양상을 보 다 구체적으로 조망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앞으로도 또 다른 사례의 발굴을 위한 신소설 작품의 번역·번안 여부 검증 작업이 필요하다고 본다. In this article, it is proved that Korean early modern adapted novels was influenced the Japanese and Chinese literature, especially the year of 1908 and 1912~1913. This means that a publisher`s profit-seeking cause a literal and cultural exchange in a broad way. The number of adapted novels are 6 in 1908, 24 for 1912~1913. This have the heavy portion of the number of publishing works. And many works are an adaption of Chinese novel as well as Japanese novel. For example, 5 works of Kim Kyo Je`s novel published by Dongyangseo won are the book of Sangmuinseokwan, the Chinese publisher in Shang-Hai. And Shinmunkwan`s collections of adapted novel are based on the Japanese novel. Thus the study on the aspect of the acceptance of Chinese and Japanese literature in Korean early modern adapted Novels may show the aspect of the literal and cultural exchange in East-Asian 3 country.

      • KCI등재

        신소설 연구를 위한 시론(試論)

        강현조(Hyun Cho Kang) 한국현대소설학회 2011 현대소설연구 Vol.- No.47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Han-wall(恨月)> as the new material of Sin So Sul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at work and Lee Hae Jo`s work. In this article, it was confirmed that <Han-wall(恨月)> Part 1 was published in 1908, not in 1912 and the author of it is Pak Seong Ok, the journalist of 『Je-Kuk SinMun(帝國新聞)』. He is a newly-discovered writer of Sin So Sul, and his novel belongs to novel of comparatively early period. But it remains to an unsolved question that is who the author of <Han-wall(恨月)> Part 2, because Pak Seong Ok died in 1908 but the work was published in 1913. It is nearly sure that <Han-wall(恨月)> Part 2 is similar to Lee Hae Jo`s novel in the way of description. In addition to that way of description by Lee Hae Jo is discovered not in his works but also another novel. Thus we should continue the investigation of the writer of Sin So Sul. It mat help us to prove the author of the each work and to discover the similarity between Lee Hae Jo`s novel and another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