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관의 다양한 공간 활용이 관람객 수에 미치는 영향

        강한이 ( Hanyi Kang ),권경민 ( Kyoung Min Kwon ),신형덕 ( Hyung Deok Shin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5 유라시아연구 Vol.12 No.2

        This study extended the literature on complex cultural space and empiricall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existence of complex cultural space in art museums on the number of visitors. Recently, art museums are struggling to attract visitors by making multi-purpose spaces in the boundary of museum in the sense that they could serve visitors in various ways in addition to exhibiting and showing contents. Thus, research on the effects of this kind of complex cultural space would be necessary an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spond to this quest. First, this study found 145 art museums listed in Cultural Facility Yearbook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n 2012, and we used 129 art museums with the information of the usage of their space on their webpages for this study. We found that museums, parks have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s on number of visitors. However, theaters and cafes had no such positive effects on the number of visitors. This result implies that cafes, seemingly most popular complex spaces, did not actually help attracting visitors to art museums, but more art-related facilities such as museums may work better. This may be because cafes outside museums can substitute for cafes inside art museums, but museums inside the art museums can be substituted from nowhere. This study contributes to art museum management area in that art museum should focus on art-related functions when they consider utilizing additional complex cultural space. 본 연구는 기존의 복합문화공간에 대한 문헌을 토대로 미술관의 복합적 공간 활용이 미술관의 연 관람객 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관람객의 유인효과를 내기 위해 최근 미술관 내에 전시 외 기능들이 복합적으로 활용되면서 복합적인 문화공간으로서의 미술관이 재조명 받고 있으며 이에 대한 실증적인 유인효과에 대한 적시성 있는 연구들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복합적인 공간 활용의 효과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발간한 2012년 전국문화기반시설총람의 145개 미술관 중 연 관람객 수와 공간 활용 정보가 존재하는 129개 미술관의 자료를 바탕으로 미술관의 복합문화공간 활용의 실태와 관람객 수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박물관과 야외휴식공간이 존재하는 미술관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관람객이 유의하게 많았다. 그러나 공연문화시설과 카페와 레스토랑 등 식음휴식공간의 경우에는 그러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최근 미술관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주요 시설인 휴식 공간 중 식음휴식공간 보다 관람객들이 향유하는 문화의 복합적인 공간의 활용이 미술관에 있어 더 높은 유인요소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식음휴식공간의 경우 본질적으로 외부환경에서 충분히 대체될 수 있으나 미술관 자체에 가지는 관람객들의 문화적 기대효과를 충족시킬 수 있는 복합문화 제공은 대체가 어렵기 때문이라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또한 전통적인 미술관의 본연의 기능에 부가하여 복합문화공간 활용을 하는 경우 미술관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나 미술관의 외부 환경에서 대체될 수 있는 복합적 기능은 그러한 효과가 없을 수 있다는 시사점을 던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