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30년대 강소천의 동요,동시에 나타난 동심성(童心性)

        강정구 ( Jeong Gu Kang ),김종회 ( Jong Hoi Kim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5

        1930년대 강소천의 동요 · 동시에 나타난 동심성은 당대의 주요 문인집단이 지향했던 순수 관념의 아동문학적인 구체화였다. 1930년대의 주요 문인집단은 세상에 대한 판단중지를 통해 미와 예술적인 열정에 심취한 순수 관념을 지향했는데, 1930년대에 출현한 주요 동요 · 동시시인들은 그러한 순수 관념을 아동문학적인 장르적인 특성에 맞게 어떻게 전유 · 형성하는가 하는 과제를 감당했다. 그 중에서 강소천은 그의 동요 · 동시시집 『호박꽃초롱』에서 당대의 동요 · 동시시인들이 감당했던 아동문학사적인 과제의 한 응답으로써 순수=동심의 문학을 잘 보여줬다. 강소천의 동요 · 동시시집 『호박꽃초롱』은 1930년대의 순수 관념을 동심으로 전유한 대표적인 작품집이었다. 무엇보다 그의 동요 · 동시시집에서는 사회적인 관계를 벗어난 사적인 아동과 세계를 형상화했다. 다만 이러한 형상화는 1920년대에 등단한 동요 · 동시시인들과 다른 순수한 아동 화자와 그 화자가 바라보는 세계를 재현해내는 데에 성공했지만, 사회 · 국가 · 민족의 이데올로기에 대해서 암묵적으로 동조 · 추종 · 무관심했다는 점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그리고 그의 동요 · 동시시집에서는 순수한 언어의 관념을 전유해서 아동이 사용하거나 사용할 법한 언어를 탐구 · 제작했다. 언어의 물질성 · 기표성 그 자체에 대한 관심이 깊어졌고, 1920년대의 전통적인 율격에 대한 발전과 파격이 엿보였다. 1920년대의 동요 · 동시시인들과 비교해 볼 때에 이러한 강소천의 문학적인 변모는 분명히 1930년대의 새로운 문학적인 흐름에 동참하는 것이 아닐 수 없다. 1930년대에 순수 관념을 지향한 문학은 문학이 문학다워야 한다는 내향적이고 자기완결적인 주장을 하면서 미 자체에 대한깊은 관심을 보여주고 언어조형과 비(非)세속적인 순수 관념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열어놓았음에도, 그것이 근대자본주의의 중산층 · 부르주아 이데올로기와 특권의식을 보여줬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강소천의 아동문학 역시 이러한 공과를 함께 지니는 아동문학적인 한 현상이다. The child``s mind in Pumpkin flower lanterns written by Kang, So-cheon is relative to poetry-literature group who is Bak, Yongchel and Kim, Yeong-rang. They pursued the purity which is away desires and power and politics of world, and it is trademark of poetry-literature group. Poets of 1930’s in field of children literature seek the purity that is insisted by poetry-literature group. The purity which is searched by Kang, So-cheon is the pure child``s mind. The pure child``s mind of Kang, So-cheon in the 1930’s is distinguish from Bang, Jeong-hwan and Yun, Seok-gung’s children’s verse. Kang, So-cheon’s children’s verse is new. His children in Pumpkin flower lanterns are away desires and power and politics of world, but Bang, Jeong-hwan and Yun, Seok-gung’s children in their children’s verses are social children. His world in the text is pure human, animal, and plant. Also Kang, So-cheon’s language is new from Bang, Jeong-hwan and Yun, Seok-gung’s children’s vers in the 1920’s. His poetic language is emphasized to matter itself of language. The meaning isn’t important. And His rhythm is odd than children’s rhythm, but characteristic.

      • KCI등재

        황순원의 시집 『방가』의 재탐색

        강정구(Kang, Jeong-gu) 한국어문학회 2017 語文學 Vol.0 No.135

        This article deals with the era of post-proletarianism in the early to mid 1930’s and explores Walt Whitman‘s influences on Hwang Sunwon’s literary collection entitled Pangga (Singing Loudly). Hwang Sunwon’s Singing Loudly has been discussed by researchers and scholars who viewed Hwang’s poems as the representation of nationalism, proletarianism, or anarchism. This study intends to prove that Hwang Sunwon’s Singing Loudly is an example of literature revealing the ideas of post-proletarianism, and it also argues that more often than not the poems shows the influence of Walt Whitman, who insisted that all being has the real him/herself, and the real him/herself is anybody and all things. In my analysis, I discuss the post-proleterian culture as the main literary streams of the early to mid 1930s. And then I analyze how Hwang Sunwon’s Singing Loudly is associated with Walt Whitman’s poems where the author articulates the importance of pure wills and emphasizes that the real him/herself and the object has real being or the real him/herself. Conclusively, Hwang Sunwon’s Singing Loudly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works embedded in post-proletarianism, and it was aimed tosearch for the natural being. The poems in the collection suggests some hints to the origin of Hwang Sunwon’s pursuit of pure literature (sunsu munhak).

      • KCI등재

        민족을 상상하는 해방기의 문학

        강정구(Kang, Jeong-gu) 한국어문학회 2016 語文學 Vol.0 No.132

        This essay shows how the concept of nation was imaginated in the literature of the liberation period with the representation of Japan and America. In that period, "nation" seems to be a conception that was imagined under the Japanese and American military administration. Thus, in this article the ways Koreans imagine the nation and nationalization are examined through the literature of the period. After 1945, a psychological frontier was established by Koreans unconsciously. This eventually overturned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the oppressed and Japan, the suppressed. Koreans perceived Japan as the worst nation. Later, Koreans hope to found their nation on their own land. However, they were controlled by American military administration. Consequently, the Korean people imaginated the concept of their nation, instead of realizing it in reality. Attitude and tendency that Koreans wish be approved by American military administration are also shown in literature of the liberation period.

      • KCI등재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 1930년대의 주요 동요,동시에 나타난 아동 관념의 변화

        강정구 ( Jeong Gu Kang ),김종회 ( Jong Hoi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7 No.-

        이 논문에서는 1920년대 방정환ㆍ윤석중과 1930년대 강소천ㆍ박영종의 주요동요ㆍ동시에 나타난 아동 관념의 변화를 논제로 삼았다. 그 동안 1900-1920년대 근대아동문학에서 아동 관념이 형성된 과정은 비교적 잘 규명되었지만, 1930년대에 발생한 극적인 변화에 대해서는 거의 논의가 없었다. 이 글에서는 1920년대와 1930년대의 주요 동요ㆍ동시에서 화자의 페르소나 특성과 초점화 방식을 비교ㆍ분석함으로써 어른이 충분히 이해ㆍ인식할 수 있는 속성을 지닌 자에서 미지의 존재로 아동 관념이 변화했음을 검토했다. 먼저 1920년대 방정환과 윤석중의 주요 동요ㆍ동시에서 아동은 어른이 충분히 이해ㆍ인식할 수 있는 자로 형상화되었음을, 어른 화자의 영 초점화와 아동 화자의 내적 초점화를 검토함으로써 살펴봤다. 방정환은 주로 어른 화자의 영 초점화 방식을 활용해서 등장인물인 아동을 전지의 태도로 서술했고, 윤석중은 담론주체인 어른이 충분히 이해ㆍ인식할 수 있는 아동 화자를‘나’로 내세운 내적 초점화 방식을 사용했다. 이에 비해 강소천은 내적 초점화와 영 초점화를 사용했지만 담론주체인 어른이 쉽게 이해ㆍ인식할 수 있는 세속적인 관심ㆍ이익에 무관한 아동을 화자로 설정했고, 박영종은 어른 화자가 작품 밖의 서술자로서 어른의 사회적ㆍ시대적인 이념과 현실적ㆍ관습적ㆍ도덕적인 가치로 쉽게 설명하기 곤란한 낯선 아동의 언행과 그의 세계를 관찰ㆍ이야기하는 외적 초점화를 선택했다. 이러한 1920년대와 1930년대 주요 동요ㆍ동시에 나타난 아동 관념의 변화는 아동을 바라보는 어른의 시각이 극박하게 전도되는 현상이 있었음을 암 시해준다. 아동은 어른의 품 안에서 바깥으로, 어른이 이미 살아왔고 충분히 아는 이전의 자아(전-아(前-我))에서 절대적인 타자로 변화된 것이다. 이런 변화는 물론 인식론적인 것이다. 1930년대의 인간은 자기 안에서 절대적인 타자라는 잉여 혹은 구멍을 본 것이다. This paper researches the change about the idea of children from the children`s verses of 1930s to 1920s. We have been understanding all the time that adult knows children very well for they live together. This idea about children started from 1920s. But the children`s verses of Kang, So-cheon and Park, Yeong-jong, shows new idea of children who is the unknown being. I searched the children`s verses of 1920s of Bang, Jeong-hwan and Yun, Seok-jong. In their verses, adult knows children very well. So Bang, Jeong-hwan used zero focalization. Zero focalization is that adult-speaker is omniscient. Bang, Jeong-hwan`s adult-speaker knows children in the his verses. And Yun, Seok-jong applied children`s persona in his verses. In this time, children`s persona is same to adult. But in the age of 1930s Kang, So-cheon and Park, Yeong-jong saw new idea of children from the children`s verses. First and foremost, the children was the unknown being. Kang, So-cheon did understand that the Knowing adult is difficult. He used children`s persona whom he cannot understand. And Park, Yeong-jong made use of external focalization. The method of external focalization is that adult-speaker looks at children`s behavior and language. The change about the idea of children from the children`s verses of 1930s to 1920s searches the Other of 1920s. The Other is hiding our modern human`s mind. The change is possible for un-hiding the Other of our modern human`s mind.

      • KCI등재후보

        1930년대의 황순원 동요· 동시와 그 영향

        강정구(Kang, Jeong-gu),김종회(Kim, Jong-hoi) 한국아동문학학회 2016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31

        1930년대의 황순원 동요·동시 48편에 영향을 받은 작품집으로써 시집 『방가』와 『골동품』을 재해석할 때에, 그가 일생 동안 보여 준 순수문학이 기원하고 형성되는 지점과 그 논리가 잘 파악됐다. 이러한 검토는 황순원 순수문학의 기원과 형성을 규명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문학사적·작가론적인 의미와 가치가 있었다. 그동안의 연구사에서 1930년대의 황순원 시에 대해서는 서정주의적인 요소와 함께 민족주의·사회주의 · 아나키즘적인 면모가 강조됐는데, 이 논문에서는 황순원 순수문학의 기원을 그의 동요·동시 48편 중 일부 작품으로 본 뒤에 그 동요·동시의 영향으로 시집 『방가』와『골동품』에서 그의 순수문학이 형성됐음을 자세히 검토했다. 먼저, 황순원 순수문학의 기원이 동요 · 동시 48편 중 순수 관념의 경향 작품에 있음을 탐색했다. 동요·동시 48편 중 순수 관념의 경향 작품에서는 순수 관념다운 분명한 태도와 스타일을 갖췄고, 황순원 자신이 미에 대한 열정과 관심을 지니는 부르주아의 감각 · 태도 · 인식을 보여 줬기 때문이다. 이 순수 관념은 반계몽주의적 · 반계급주의적이면서도 미에 대한 열정을 지닌 부르주아 이데올로기라는 탈이데올로기의 역설을 분명히 지녔다. 그리고 황순원 동요 · 동시의 영향을 통해서 순수 관념이 삶의 현실을 바라보고 구성하는 하나의 환상 프레임으로 작동하여 순수문학이 형성하는 지점을 시집 『방가』와『골동품』으로 분석했다. 첫째, 시집 『방가』에서 영원한 생명력이라는 순수 관념이 정치적 · 경제적 · 문화적인 현실의 기표를 누비는 이데올로기의 누빔점이 되는 양상을 검토했다. 황순원은 시적 화자와 만유가 민족주의 · 사회주의 · 아나키즘 등의 이데올로기의 맥락에서 벗어나서 영원한 생명력이라는 순수 관념을 지녔다는 인식이나 지녀야 한다는 의지를 주목ㆍ서술했다. 둘째, 시집『골동품』에서 인간의 보편적인 동심이라는 순수 관념이 식민지 부르주아의 일상을 부각시키고 프롤레타리아의 일상을 은폐하는 풍경으로 되는 양상을 살펴봤다. 황순원이 만든 시집 속의 풍경은 식민지의 부조리와 모순 등과 같은 외적인것에 무관심한 내적 인간인 부르주아의 시각으로 가능했고, 프롤레타리아의 역사적 · 사회적인 일상 · 환경—가난 · 실업 · 굶주림 · 절망 · 비참, 식민지 수탈로 인한 지역의 피폐화ㆍ황폐화 — 이 은폐된 결과였다. 황순원의 순수문학은 1930년대의 주요 문학 경향들, 특히 시문학파의 순수 관념 경향을 동요 · 동시에서 모작 · 창작하는 과정에서 기원됐고, 시집 『방가』와『골동품』의 시편을 쓰는 동안 서서히 현실을 바라보고 구성하는 하나의 환상 프레임으로 만들어지면서 형성됐다. 이러한 논문의 결론은 황순원 순수문학의 전체적인 흐름에서 그 기원과 형성 시기와 논리를 규명한 것이다. This essay is a study on the Hwang, Sun-won’s children’s songs and their influence with the origin of purity-literature andits formation. Hwang, Sun-won’s children’s songs is discovered in the 2011 years, so we can re-read Singing Loudly and A Curio written by Hwang, Sun-won in the 1930’s. The origin of Hwang, Sun-won’s purity-literature is his children’s songs of 1931 years. Some children’s songs shows the ideology of purity obscurely, which is represented in passions of beauty and written by the bourgeoisie’s thought and senses. The children’s songs is the paradox of ideology, and give influence to Singing Loudly, A Curio. The paradox of ideology makes the fantastical frame of ideology in the Singing Loudly. Singing Loudly shows the ideological quilt, a sort of the fantastical frame of ideology. Hwang, Sun-won quilt his political and economical reality to purity ideology. And A Curio is a landscape, a sort of the fantastical frame of ideology too. Hwang, Sun-won emphasizes his bourgeoisie’s reality and hides the proletariat’s reality.

      • KCI등재

        디카시의 장르적 특성 고찰

        강정구(Kang, Jeong-Gu)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69

        이 논문에서는 디카시의 장르적 특성이 무엇인가 하는 문제의식을 지니고서 디카시가 사진의 예술성과 시의 문학성을 조화시킨 복합장르적 특성을 지닌다는 점을 논증했다. 그 동안 디카시에 대한 기존 논의는 주로 시를 중심으로 진행된 결과, 사진의 예술성과 그 중요성이 제대로 언급되지 못했다. 이 글에서는 이상옥이 제안한 뒤에 창작·감상 인구가 상당히 확장되고 있는 디카시를 대상으로 해서 한정식의 사진예술과 김준오의 시론 논의를 참조해서 사진과 시의 관계 양상과 복합장르성을 검토했다. 첫째, 디카시는 웹2.0 환경에서 출현한 복합장르의 형태였다. 한 편의 디카시가 만들어지고 확산되기 위해서는 사진 UGC와 시의 게시·유포가 동시에 가능한 웹2.0 환경이 전제되었다. 특히 사진과 시라는 이질적인 두 장르가 조화되기 위해서는 선(先)사진 후(後)시의 제작 순서를 따르고 그 순서에 따라 주제를 분담·구현해야 했다. 둘째, 디카시에서는 사진의 특성과 연출을 활용해서 사진의 예술성을 드러냈다. 디카시 속의 사진은 현장성·우연성·고립성이라는 내적·주관적인 특성을 지녔다는 점에서 개성·주관성·독창성을 가졌다. 또한 소재의 프레이밍을 설정하고 셔터찬스를 잡아야 하는 등 특유의 연출을 해야 한다는 점에서 예술성을 지녔다. 셋째, 디카시에서는 사진적 소재와 조화를 이루는 시적 표현과 형식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문학성을 나타냈다. 디카시 속의 시는 사진적 소재와 조화를 이루기 위해서 상징·비유·서술·묘사·언어유희 등의 다양한 문학적 표현을 활용해서 제작됐다. 그리고 사진적 소재를 취한 디카시인의 의도를 잘 드러내는 데에 적합한 제목을 선정하고 적절한 시행을 배열하는 등의 형식을 지녔다. 이렇게 볼 때, 디카시는 웹2.0 환경에서 출현한 복합장르의 형태이고, 사진의 특성과 연출을 활용해 사진의 예술성을 드러내며, 사진적 소재와 조화를 이루는 시적 표현과 형식을 보여줘 문학성을 나타내는 장르적 특성을 지닌다. 디카시의 장르적 특성에 대한 본 고찰을 통해서 디카시에서 사진의 역할과 위상, 그리고 사진과 시의 관계와 장르 특성에 대해서 일정 부분 해명됐으리라 믿는다. This thesis focuses on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Dicapoems. It argues that Dicapoems have complex genre characteristic that harmonize the artistry of photography with the literary nature of poetry. Previous studies on Dicapoems have mainly focused on poems. As a result, the artistry of photography and its importance are not properly mentioned. In this thesizs, the relationship between photography and poetry and the complex genre are reviewed with reference to Hanjeongsik"s photographic art and Kim Joonho"s discussion of poetics, targeting the Dicapoems, whose creative and appreciative population has expanded considerably after Lee Sang-ok proposed. First, Dicapoems are a complex genre that appeared in the web 2.0 environment, which it depends on for creation and dissemination. This dependence is premised on a need to harmonize the two heterogeneous genres of photography and poetry; it was necessary to take pictures first and then add poems. Second, in Dicapoems, the artistry of photography is revealed by utilizing its characteristics and production process. The pictures in Dicapoems are characterized by presence, coincidence, and isolation.; when taking pictures, I had to set the frame and get a shutter chance. Third, Dicapoems show poetic expression and form in harmony with the photographic material. Various literary expressions are used in Dicapoems to achieve harmony with photographic materials. Thereafter, appropriate titles are selected and appropriate implementations arranged.

      • KCI등재

        TRIZ를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수업설계

        강정구 ( Kang¸ Jeong-gu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인문학연구 Vol.- No.46

        지금까지 외국인 유학생 교양교육에서 TRIZ를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수업설계를 진행했다. 그간의 외국인 유학생의 글쓰기 논의는, 초기에 학문 목적이 중심이었던 반면에 차츰 글쓰기 수업의 본연적인 기능인 창의적·성찰적·비판적·논리적인 사고·표현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방향으로 전개됐다. 이 글에서 TRIZ를 활용해서 외국인 유학생 학습자의 창의 역량 강화를 모색한 이유는, 바로 글쓰기 수업의 본연적인 기능을 최대한 활성화하고자 하는 의도에서였다. TRIZ는 학습자가 직면해 있는 문제상황에서 모순을 인지·일반화한 뒤에 표준적인 문제해결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실제 해결안을 도출할 때에 일종의 비계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먼저 TRIZ의 표준적인 문제해결 방법과 그 활용 가능성을 살펴봤다. TRIZ의 표준적인 문제해결 방법은 ‘모순의 인지’ → ‘발명 원리 적용’ → ‘실제 해결안 도출’의 세 과정이었다. TRIZ는 어떤 문제가 발생됐을 때 모순을 인식하고 그것을 해결한다는 점에서 창의적 글쓰기 수업 과정에서도 활용가능한 것으로 판단됐다. 그리고 TRIZ 활용 글쓰기 수업 과정의 모형을 제시했다. TRIZ의 주요 이론과 활용을 설명하는 준비 단계, 표준적인 문제해결 방법을 따르는 문제해결 단계, 또한 해결안을 구체화하고 개요를 짜고 글을 쓰는 정리 단계로 구분됐다. 마지막으로 TRIZ를 활용한 외국인 유학생 글쓰기 수업의 사례를 들었다. 학습자들은 대부분의 경우에 이동수단과 책이라는 고정관념과 실재 사이의 모순을 발견하고서, TRIZ를 활용해서 새로운 개념을 탐구했다. In this paper, we designed a writing class using TRIZ to strengthen creative competencies in liberal arts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This article seeks to strengthen the creativity of foreign student learners. The reason is to maximize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writing class. TRIZ provides a standard problem-solving method for the contradictions facing to learners. The learner can refer to this solution to derive an actual solution. Firstly, we looked at TRIZ’s standard problem-solving method. There were three processes: ‘Awareness of Contradiction’ → ‘Application of Invention and Separation Principle ’ → ‘Developing Actual Solution ’ . In addition, a model of the writing course using TRIZ was presented. There are preparation steps explaining the main theories and uses of TRIZ. There are troubleshooting steps that follow standard problem-solving methods. There are steps to refine and outline the solution. Lastly, I gave an example of an international student writing class using TRIZ. Writing lessons using TRIZ has become a great way to strengthen creative competencies in liberal arts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TRIZ, a standard problem-solving method, helped foreign students with creative thinking.

      • KCI등재

        식민지 시기의 김기림 비평에 나타난 민족 표상의 성격 재고(再考)

        강정구 ( Jeong Gu Kang ) 한민족문화학회 2014 한민족문화연구 Vol.45 No.-

        이 논문의 문제의식은 식민지 시기의 김기림 비평에 나타난 민족 표상의 성격을 재고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그의 비평에서 민족 표상은 1930년대 중반부터 나름의 정치적ㆍ문화적인 기획을 상상ㆍ모색한 과정에서 사용된 다의적ㆍ복수적인 성격을 지녔는데, 기존의 연구사에서는 해방ㆍ반제ㆍ근대화를 주도ㆍ실현하는 집단적인 역사주체의 모습을 지니지 않음을 일의적ㆍ단수적인 성격의 국민국가적인 시각으로 비판해 왔다. 이 글에서는 베네딕트 앤더슨과 프라센지트 두아라의 탈국가주의론을 참조해서 국민국가적인 시각을 보인 기존의 연구사를 검토한 뒤에, 민족에 대한 다의적ㆍ복수적인 상상을 보여준 김기림 비평의 양상을 살펴봤다. 첫째, 주요 연구사에서는 해방ㆍ반제ㆍ근대화를 주도ㆍ실현하는 집단적인 역사주체라는 국민국가적인 시각에서 김기림 문학에 대한 논의를 진행해 왔음을 자세하게 검토했다. 주요 연구사에서는 식민지 시기에 반일과 해방에 대한 투절한 신념과 노력이 부족함을, 그리고 해방기에 반제와 근대화를 지향하는 목소리가 결여되었음을 비판했다. 송욱, 김우창, 김인환, 문덕수 등의 비판은 김기림의 문학에 반일과 해방과 근대화를 실현하는 집단적인 역사주체가 결여되었다는 것이 요지였다. 이러한 국민국가적인 시각의 비판은 2000년대에 들어와서도 지속되었다. 김재용과 구모룡은 반일과 해방이라는 민족적인 과제를 전제해 놓은 다소 완화된 국민국가적인 시각에서 김기림의 문학을 긍정하거나 비판했다. 둘째, 2차 유학 이전의 김기림 비평에서 민족 표상은 개방적ㆍ상호인정적이고 복선적인 성격으로 담론화되었다. 김기림의 비평적인 출발점인 1930년대의 주지주의 논리에 따라 현실과 민족 표상이 구상되는 양상을 추적했다. 김기림은 현실이 계급에 따라 다층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인식했는데, 이러한 현실 인식은 민족을 논의할 때에도 유사하게 적용되었다. 인용문 H)에서 보듯이, 민족주의(``朝鮮主義``)는 다른 민족주의를 배타하지 않은 채로 자기 민족적(``朝鮮的``) "特性을 가지고 世界文學에 參與하"는 것이 되었다. 세계화 논의 속의 민족 표상은 자기폐쇄적ㆍ배타적인 성격이 아닌 개방적ㆍ상호인정적인 성격을 지녔다. 아울러 민족 세계화의 지향 방법은 인용문 I)에서처럼 각각의 민족문화ㆍ민족어가 각기 나름대로 세계문화ㆍ세계어에 도달하는 복선적인 방식이었다. 이 부분에서 민족 표상은 복선적인 성격으로 논의되었다. 셋째, 2차 유학 이후의 김기림 비평에서 민족 표상은 식민지 본국인 일본의 민족ㆍ동양 논의를 모방하는 성격으로 이해되었다. 식민지 본국에서는 근대초극 논의가 유행했는데, 인용문 J)~L)에서는 김기림이 식민지 본국의 민족 논의를 모방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인용문 L)에서는 근대비판과 초극을 수용하되 한인의 "社會性과 歷史性"을 중심으로 전개되어야 한다는 식민지의 정치적ㆍ문화적인 차이를 강조했다. 또한 김기림은 인용문 N)에서 일본의 동양 논의를 모방하면서도 "새로운 결의와 發奮과 희망"이 동양의 "무의 원리"에 있지 않고 문화의 ``體量``에 있다는 차이를 드러내면서 일본의 권위를 해체했다. 식민지 시기의 김기림 비평에서 민족 표상은 국민국가적인 시각에서 비판하듯이 피상적ㆍ관념적인 것이라기보다는 나름대로 한인에 대한 정치적ㆍ문화적인 기획을 상상ㆍ모색한 것이다. 그러한 상상ㆍ모색은 김기림 비평 속의 민족 표상이 개방적ㆍ복선적이고 모방적인 성격을 지님을 보여준다. This essay studies re-thinking on the nations in the Kim, Ki-rim`s critics. I think that nations in his critics is nationalism, not Nationalism. The Nationalism is close concept. But the nationalism is open concept. Benedict Anderson and Prasenjit Duara thinks that what is nation, who discusses nation, and how say nation. Signifiant nation is imagined communities. So nation is not transcendental or absolute signifiant. But the literacy movement of the Right and the Left trusts ours nation only is true, and others nation is not true unconsciously. In the Kim, Ki-rim`s critics, I research a aspect of imagined communities`s identity. The signifiant nations is experienced and open concept, not transcendental and not-open. All people in the Kim, Ki-rim`s critics is open concept. This thought is important. Many scholars think Kim, Ki-rim of Liberation period is the front of the literacy movement of and the Left, and Kim, Ki-rim writes the critics of the Lef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