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긍정적 행동지원팀에 참여한 특수교사와 관리자의 개별중재 경험과 내실화 방안: 근거이론방법을 중심으로 한 분석

        강영모,강윤모,이형준,손승현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40 No.1

        본 연구는 긍정적 행동지원(Positive Behavior Supports)팀에 참여한 특수교사, 관리자의 개별중재 경험과 내실화 방안을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PBS 개별중재에 참여한 A 특수학교의 협력팀 구성원 중 7명이다. 연구 자료는 ‘개별중재’를 주제로 두 차례 실시된 초점집단면담과 추가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방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개방 코딩을 통해, 심각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학생과 생활지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교사에 관한 81개의 개념, 28개의 하위 범주, 1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속성과 차원에 따라 범주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축 코딩을 통해, 학생들이 문제행동을 하게 되는 원인과 맥락, 교사들이 어려움을 느끼는 원인과 맥락이 파악되었으며, 중심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행위/상호작용과 그에 따른 결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범주들을 통합하여 추상화된 이론을 형성하는 선택 코딩을 통해, 개별중재를 더욱 내실 있게 실행하기 위해서는 학생을 위한 증거기반실제가 확대·적용되어야 하고, 그와 동시에 교사의 역량 및 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한 지원이 제공되어야 함을 상황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일선 학교에서 보다 충실한 개별중재를 운영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internalization of individualized interventions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administrators who participated in a Positive Behavior Supports (PBS) team. The participants were seven members of the PBS leadership team of special school A, who involved in PBS individualized intervention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wo focus group interviews on the topic of “individualized intervention” and additional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open coding, a total of 81 concepts, 28 subcategories, and 12 categories were derived related to students exhibiting severe problem behaviors and teachers facing difficulties in student guidance. Second, through axial coding, which organically connects categories based on attributes and dimensions, the study identified the causes and contexts for students’ problem behaviors, the causes and contexts for teacher difficulties, along with actions/interactions and consequences that improve the central phenomenon. Third, through selective coding, which integrates categories to form an abstract theory, the study presented a situational model. This model suggests that scaling up and implementing evidence-based practices for students are necessary to strengthen individualized interventions, while concurrently providing support to enhance teacher competence and professionalism. These findings can serve as valuable resources for schools to implement more substantial individualized interventions.

      • KCI등재

        공간정보기술 동향 분석을 통한 스마트사회 네트워크 전략에 관한 연구

        강영모,강찬우,한경석,김종배,Kang, Young-mo,Kang, Chan-woo,Han, Kyeong-seok,Kim, Jong-bae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9 No.6

        공간정보 정책과 관련하여, 아직까지 그 개념이나 구성 및 체계에 관한 선행연구가 미미한 수준이며, 그 연구들마저도 정책이론 관점에서 공간정보 정책의 기본 구조체계를 제시하는 정도로, 공간정보 정책을 정립하기 위한 목적에서 기본 개념을 모색하려는 시도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200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기존의 PC기반에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반으로의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라는 현재의 스마트사회에 있어, 한국의 미래국가경쟁력을 좌우할 공간정보기술 정책의 바람직한 미래전략 설정을 위한 전략방향을 고찰하고 대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글로벌 차원에서 지리공간정보와 관련된 다양한 이슈와 기술 변화를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국내지리공간정보에 대한 정책 및 연구 개발 로드맵 수립을 지원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urrently, the previous studies on the concept, configuration, and system regarding spacial information policies show the little progress. However, these studies only propose the basic structure system in terms of a policy theory, seeking and suggesting the basic concept to establish spacial information policies. In the shift of a new paradigm from a PC-based paradigm that began in the mid-2000s to the current smart society based on mobile devises, such as smart phones, this study thus reviewed the strategic direction of the propulsion to establish the desired future strategy for the spatial technology policy with spatial information system that can influence the future n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to analyze a variety of issues and technological changes on geospatial intelligence at the global level and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a road-map for policies and research & development on domestic geospatial information.

      • KCI등재

        특수학교 학부모의 발달장애 자녀 양육 경험과 지원 요구 탐색: 일상생활기술을 중심으로

        강영모,PANG DONGSHAN,손승현 한국자폐학회 2022 자폐성 장애연구 Vol.22 No.2

        This study involves a focus group interview(FGI) conduct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DD) in a special school, with particular emphasis on daily living skills(DLS). Eight parents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s using Zoom, a live online video conferencing program. We transcribed the content from the two interviews into a 36-page Hancom Hanword(hwp) document and analyzed them using thematic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derived 3 domains, 11 subordinate domains, and 34 meaning units. First, the difficulties of raising a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mainly related to growth, developmental problems, unacceptable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non-consistent surroundings. Second, in terms of family’s ability to access education, the main focus was on mental health clinic medications,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and practical experience and feedback on the implementation of ABA in families. Third, as suggested by parenting experiences, the support needs included consistent teaching of DLS from an early age and strengthening ‘special education’ such as support for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well as specifying parental education, improving teacher professionalism, and developing a system of cooperation and suppor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 discussion and suggestions for the practical improvement of DLS for children with DD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일상생활기술을 중심으로 발달장애 자녀를 둔 특수학교 학부모의 양육 경험과 지원 요구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이다. 총 8명의 학부모가 실시간 온라인 화상회의 프로그램 ‘Zoom’을 통해 인터뷰에 참여하였다. 2회기의 인터뷰 내용은 한글 문서 36쪽으로 전사되었으며 주제 분석(thematic analysis)이 적용되었다. 연구 결과, 3개의 영역에서 11개의 하위영역과 34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첫째, 발달장애 자녀 양육의 어려움은 성장․발달에 따른 문제들, 비수용적인 행동 특성, 비일관적인 주위 환경이 많이 언급되었다. 둘째, 가정에서의 교육적 접근은 정신건강의학과 약물,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가정에서의 ABA 적용 등에 대한 실제 경험과 피드백이 주를 이루었다. 셋째, 학부모 경험에 따른 지원 요구는 일상생활기술을 어릴 때부터 일관성 있게 가르치고 중증 발달장애에 대한 지원을 더 강화하는 ‘특별한 교육’의 실천과, 학부모 교육의 구체화, 교사 전문성 향상, 협력․지원 체계 구축 등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현장에서 발달장애 학생의 일상생활기술을 지도하기 위한 논의와 제언을 서술하였다.

      • 한국의 사물인터넷 적용 사례에 관한 연구

        강영모,조희훈,한경석 디지털저작권학회 2017 디지털저작권연구 Vol.6 No.1

        시대의 흐름과 '창조 경제'실현의 핵심 수단으로서 한국 정부는 지난 5월, 인터넷과 관련된 분야를 국가 전략으로 채택하여 초고속 연결 디지털 혁명 실현을 위한 인터넷 기본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소프트웨어 (SW), 센서, 기기 및 부품의 경쟁력 강화 전략을 수립하여 IoT(Internet of Things) 서비스 및 제품을 창출하고 혁신, 그리고 계획 단계에서부터 IoT의 서비스와 제품의 보안 내부화를 촉진할 수 있다. IoT 시장 규모는 2 조원, 3 조원, 30 조원으로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인터넷 환경은 사람들과 같이 모든 사물의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계 하여 정보를 생성, 상호 수집, 공유 및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 (센서) - 수집 (부품, 장치) - 정보 공유 (클라이드) - 정보 활용 능력 (빅 데이터) - 응용 소프트웨어 (SW) 등 모든 기술 및 서비스가 시장에 포함된다. IOT는 일자리 증가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대중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제는 기업 간의 비즈니스에서 전문 용어가 되었다. 미래의 IoT 시장은 성장하는 경향이 있는 사회 기반 시설 (유틸리티, 운송, 자동화 등) 및 안전 관리 부문의 라이프 스타일 서비스를 중심으로 소비자 부문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교한 무선 통신 기술은 모든 객체 유닛을 통신 기능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거대한 네트워크를 만들 것이다. With the stream of times and as the key means of realizing 'creative economy,‘ Korean government adopted the sector of things of internet as a national strategy and released their basic plan of things of internet’ for the realization of the hyper-connectivity digital revolution last May. To catch up with this, the government set a strategy to reinforce the competitiveness of software (SW), sensors, devices, and components, to foster the special enterprises that will create services and products of Internet of Things (IoT) and that will lead the innovation, and to promote security internalization of services and products of IoT from the stage of planning. The IoT market expected to grow from \ 2 trillion and 300 billion to \ 30 trillion refers to the internet environment of generating, mutually collecting, sharing, and taking advantage of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wired or wireless networks of all the things, such as people, things around, data, etc. The market include all the technologies and services for information generation (sensor) - acquisition (parts, devices) - information sharing (Clyde) - information literacy (Big Data) - application software (SW). The IoT is expected to have the effect of increasing jobs so is getting the attention of the public. It has now become a buzzword in the business among enterprises. The IoT market in the future is predicted to be expanded into the consumer sector centered around life style services from the social infrastructure (utilities, transportation, automation, etc.) sector and the safety management sector, having a tendency to grow. Sophisticate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will probably make a huge network by connecting all object units through communication functions.

      • KCI등재

        전략교수와 자기점검을 활용한 직업교육이 특수학교 전공과 발달장애 학생의 상자조립 기술에 미치는 효과

        강영모,장진경,손승현 한국발달장애학회 2022 발달장애연구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vocational education using strategic instruction and self-monitoring on the box assembly skill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3 post-secondary students in special school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a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The target behavior was box assembly skills by manipulating patterns in order. The intervention was a vocational education that teaches ‘1-2-3-4! strategy’ necessary for box assembly using strategic instruction and self-monitoring. The data were collected by observing the recorded video and then measuring the assembly work and occupational time for assembling boxes. The effects of vocational education were visually analyzed focusing on the level, trend, immediacy of the effects, and PND (percentage of non-overlapping data), and the effect size was calculated by the Tau-U value.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vocational education using strategic instruction and self-monitoring improved the box assembly skill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effect size was high. If the strategic instruction and self-monitoring used in this study are implemented in post-secondary courses of special school, more effective vocational education can be provided. 본 연구는 전략교수와 자기점검을 활용한 직업교육이 발달장애 학생들의 상자조립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특수학교 전공과 학생 총 3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대상자 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목표행동은 순서에 맞게 도안을 조작하는 상자조립 기술이며 중재는 전략교수와 자기점검을 활용하여 상자조립에 필요한 ‘1-2-3-4! 전략’을 가르치는 직업교육이다. 녹화된 영상을 관찰한 뒤 상자조립 작업량과 작업시간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했다. 직업교육의 효과는 수준, 경향, 효과의 즉각성, 그리고 PND를 중심으로 시각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효과 크기는 Tau-U값을 산출하여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전략교수와 자기점검을 활용한 직업교육은 발달장애 학생의 상자조립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었고 효과 크기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전략교수와 자기점검 전략을 특수학교 전공과에서 확장해 간다면 더 효과적인 직업교육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기술경영 : 스마트폰의 구개결정 요인: 휴대폰 사용자와의 비교분석

        강영모,이성주 대한산업공학회 2010 대한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

        휴대폰 신규 구입자 시장이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휴대폰 시장은 신규 구입자 시장에서 보상 교체 시장으로 변해가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와 동시에 스마트폰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휴대폰을 대체할 제품으로서 스마트폰이 주목을 받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확산과정을 이해하고 대응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 스마트폰을 채택하는데 있어 잠재 고객들과 실제 구매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들이 무엇인지를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는 의료, 배송 등 특정 직종에서 스마트폰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규명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 휴대폰의 용도로 스마트폰을 구매하고자 하는 일반 소비자들의 특성을 반영하지는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스마트 폰 구매의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특히 스마트폰이 휴대폰 시장을 대체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휴대폰과 스마트폰의 구매결정 요인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기술수용모형(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스마트폰의 수용과 확산을 촉진시키기 위해 소비자 입장에서 중요한 요소가 무엇인지 이해하고 신제품 개발 혹은 마케팅 전략의 수립을 지원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특수학교 보완대체의사소통(AAC) 환경 구축 연구: 정서·행동장애 J 학교를 중심으로

        강영모,임영숙,배은지,오혜령,유우승,이서정,주교영,황석상,손승현 국립특수교육원 2023 특수교육연구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environment that provides visual communication setting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 special school. The school-wide AAC research team developed picture symbols specific to J school, installed AAC labels for classrooms and special classrooms, developed materials for teaching AAC, and installed floor maps using AA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a survey on parental awareness and needs related to AAC, the survey showed that parents had a strong interest in AAC and considered communication teaching urgent. Secondly, the AAC research team developed and installed 56 picture symbols, 134 AAC labels for classrooms and special classrooms, 14 materials for teaching AAC, and 5 floor maps as part of their efforts to establish an AAC environment.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establishing and developing AAC environments i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n improve communication mor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within the school. 본 연구는 특수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발달장애 학생들에게 보다 시각적인 의사소통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정서·행동장애 J 특수학교에 보완대체의사소통(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이하 AAC) 환경을 구축한 연구이다. J 학교의 AAC 연구팀은 학교 구성원의 의견을 반영하여 J 학교의 그림상징 개발, 학급 및 특별실 AAC 표찰 제작, AAC 교수·학습 자료 개발, AAC 층별 안내 제작 절차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AC 관련 학부모 인식 및 요구를 살펴본 결과 J 학교의 학부모들은 AAC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학교 환경에 의사소통 기술을 가르치는 요소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둘째, AAC 연구팀은 최종적으로 그림상징 56종, 학급 및 특별실 AAC 표찰 134개, AAC 교수·학습 자료 14개, 층별 안내 5종을 개발 및 설치하여 특수학교에 AAC 환경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학교에 AAC 환경을 구축한 사례를 꾸준히 확대해 간다면 발달장애 학생들이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학교 환경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빅테이터 기반 비지니스 모델

        강영모,유재곤,한경석,김종배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5

        최근 빅데이터 예측분석 기술의 기반이 갖추어지기 시작했다. 특히 최근 빅데이터가 주목받는 이유는 스마트폰,소셜 미디어 등의 출현 때문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도 심층 분석과 같은 기술적 지원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그 동안, 의사결정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경영자의 직관이었다. 그러나 산업 간 경계가 과멸되면서 기업들은 직관보다는 빠르고 정확한 증거 기반의 경영 의사결정이 필요해 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개념과 향후 가치를 알아보고 비즈니스 모델 혁신을 위해 빅데이터 기반 예측분석이 왜 필요한 지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빅데이터 분석, 도구 및 기술이 비용 절감이나 효율성 향상을 통해 직접적인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지는 현상을 분석함으로써, 기업들이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사업전략 목표에 예측모델을 활용하는 운영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불어 빅데이터의 정책적 추진 방향,빅데이터 서비스의 주요 이슈와 함께 빅데이터 활성화를 위해 고려해야할 사항들에 대해 언급한다.

      • KCI등재

        그린 IT 평가 지표 연구

        강영모,이현경,한경석,김종배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4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efforts to respond to climate changes progressing in the world, Green IT technologies have also developing rapidly. As green IT technologies against climate change has emerged as the agenda of social sciences, the concept of green IT has evolved into two types: greening of IT and greening by IT. In order to cope with the long-term climate change, it is necessary to discuss whether the greening of IT and the greening by IT evolve in some way. In this context, this study reviewed in depth green IT research trends as well as concepts of greening of IT and greening by IT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Furthermore, it proposed a life cycle assessment (LCA) as an indicator for assessing green I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solving political problems with green IT and continuing research in the climate change era. They are also presented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IT industry in Korea by presenting the concepts of greening of IT and greening by IT. Based on this, in this study, as a precondition of Green IT, Discussed by emphasize the need for environmental load measurement method based on the entire life cycle of the product is finished. 세계적으로 진행되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과 더불어, 그린 IT의 기술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기후변화 대응형 그린 IT 기술이 사회과학의 어젠다로 등장함에 따라서 그린 IT의 개념은 IT의 녹색화와 IT에 의한 녹색화라는 두 가지 형태로 진화하였다. 장기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IT의 녹색화와 IT에 의한 녹색화가 어떤 방식으로 발전해 나가야 할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그린 IT 연구동향을 검토하고, IT의 녹색화와 IT에 의한 녹색화라는 개념을 심층적으로 검토한다. 나아가서 그린 IT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서 생애주기평가(LCA)를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후변화 시대의 그린 IT의 정책적인 문제점 해결과 지속적인 연구를 하는데 기여하고, IT의 녹색화와 IT에 의한 녹색화 개념을 제시함으로써 한국 IT 산업의 발전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그린 IT의 전제조건으로서 제품의 전생애주기에 근거한 환경부하 측정법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것으로 논의가 마무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