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MAF 기반 멀티미디어 검색 시스템의 설계

        강영모(Youngmo Kang),낭종호(Jongho Nang) 한국정보과학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MPEG 그룹에서는 현재, MPEG-A(ISO/IEC 23000)라는 새로운 국제 표준에 대해서 활발하게 논의하고 있다. MPEG-A에서는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더욱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MAF(Multimedia Application File Format)라는 새로운 멀티미디어 파일 포맷을 제안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MPEG-A에서 제안하고 있는 MAF 포맷을 기반으로 한 멀티미디어 검색 시스템이 가져야 할 요구사항들을 정의하고, 그 요구사항들을 바탕으로 한 MAF 멀티미디어 검색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KCI등재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중재와 지원(PBIS)이 지적장애 학생의 수업참여 행동에 미치는 효과

        강영모(Kang, Youngmo),강윤모(Kang, Yunmo),손승현(Son, Seung Hyun) 한국행동분석학회 2021 행동분석․지원연구 Vol.8 No.3

        본 연구는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중재와 지원(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and supports, PBIS)이 지적장애를 가진 학생의 수업참여 행동에 어떤 효과를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특수학교 전공과 1학년 학생 1명이다. 목표행동으로 정한 수업참여 행동은 과제수행 행동과 수업방해 행동으로 구성된다. 중재는 개별화된 PBIS를 실시하였으며 여기에는 팀 구성, 행동의 기능평가, 가설 설정, 행동중재계획 수립, 행동기술훈련(behavioral skills training, BST)이 포함된다. 상황간 중다기초선설계를 사용한 실험 결과, 수업참여 행동과 개별화된 PBIS 사이의 기능적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관찰은 40분의 수업 영상을 녹화한 다음 수업 시작 직후 5분과 수업 종료 직전 5분을 제외한 총 30분을 2분 간격으로 나누어 순간시간표집법으로 목표행동의 발생률을 측정하였다. 시각적 분석 결과, 개별화된 PBIS는 지적장애 학생의 과제수행 행동을 증가시키고 수업방해 행동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고 중재 단계 이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연구 전반에 관한 논의와 제한점, 후속연구에 관한 제언을 서술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and supports (PBIS) on class engagement of a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 was a post-secondary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a special school. Observed target behaviors were on-task behaviors and disrupting behaviors during the class. The interventions were individualized PBIS, which were consisted of team building, use of functional behavior assessment (FBA), hypothesis developmental, behavior intervention plan (BIP), and behavioral skills training (BST).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ettings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BIS on class engagement. The class was recorded using video for 30 minutes, excluding 5 minutes of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class. Target behaviors were recorded using time sampling in 15 intervals and calculated in occurrence rate. Overall, The results of the visual analysis found that PBIS with implementation was effective to improve on-task behaviors and reduce disruptive behaviors during the class. This effect was also maintained after a certain period. Discuss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es were suggested.

      • KCI등재

        후진형 행동연쇄와 최대-최소 촉구가 발달장애 아동의 일상생활 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강영모(Kang, Youngmo),양문봉(Yang, Moonbong) 한국행동분석학회 2021 행동분석․지원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후진형 행동연쇄와 최대-최소 촉구가 발달장애 아동의 일상생활 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특수학교 중학과정 2학년 아동 2명이다. 종속변인은 아동이 아침에 등교한 뒤 자신의 가방과 신발, 겉옷을 정리하는 일상생활 기술로 설정하였으며 독립변인으로 후진형 행동연쇄와 최대-최소 촉구를 중재로 제공하였다. 관찰 및 측정은 일상생활 기술을 아동에 따라 개별적인 6-10단계로 과제분석한 뒤 수행률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이때 수행률은 아동이 수행한 과제분석 단계의 수를 전체 과제분석 단계의 수로 나누어서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실험설계는 행동간 중다간헐설계 방법을 사용하여 기초선 단계, 중재 단계, 유지 단계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기능적 관계가 입증되었다. 시각적 분석 결과, 후진형 행동연쇄와 최대-최소 촉구는 발달장애를 가진 아동의 일상생활 기술을 개선하는 데 효과가 있고 중재 효과는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도 유지되었다. 연구 전반에 관한 논의와 제한점, 제언을 서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ackward chaining and most-to-least prompting on the performance of daily living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wo second-grade students from the special middle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ily living skills, organizing one s bag, shoes, and jacket when the students arrive at the school in the morning, was selected 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backward chaining and the most-to-least prompting provided as interventions were select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For observation and measurement, the change in the performance rate was examined after analyzing daily living skills in individual 6-10 steps for each child. In this case, the performance rate was calculated as a percentage by dividing the number of task analysis steps performed by the child by the total number of task analysis steps. Using a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behavior, the data of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phase were collected and functional relation was verified. The result of visu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daily living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improved effectively by the backward chaining and the most-to-least prompting, and these intervention effects were maintained even after a period of time. Discuss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regarding the overall study were described.

      • KCI등재

        응용행동분석에 기반한 행동계약이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관리 기술에 미치는 효과

        강영모(Kang, Youngmo),양문봉(Yang, Moonbong) 한국행동분석학회 2021 행동분석․지원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응용행동분석에 기반한 행동계약이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관리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초등학교 특수학급 2학년 학생 1명과 특수학교 전공과 1학년 학생 1명을 대상으로 행동계약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행동계약에 필요한 공통 구성요소들을 포함하여 행동계약서를 작성하였다. 자기관리 기술은 학생 개인에게 필요한 일상생활 기술 중에서도 날마다 수행할 확률이 높은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일과행동을 선정하였다. 특히 표적행동의 선정에서부터 행동계약서 작성, 행동계약 실시, 행동계약 종료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서 자기관리 역량과 관련 있는 요소를 고려하였다. 학생 A와 학생 B의 실험은 각각 학교와 가정에서 진행하였으며 반전설계를 활용하여 기능적 관계를 입증하였다. 시각적으로 분석한 연구 결과, 응용행동분석에 기반한 행동계약은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관리 기술을 증가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다. 학교에서 관찰한 중재의 효과는 이후에도 유지되었으며 가정에서 관찰한 중재의 효과는 학교 환경에서도 일반화되었다. 연구 전반에 관한 논의와 제언을 서술하였다.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applied behavior analysis-based behavioral contracts have on self-management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is study, behavioral contracts were implemented for a total of 2 students, one 2nd grade student in an elementary school special class and one 1st grade student attending post-high school specialized vocational program in special school.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behavioral contracts were prepared by including the common components required for the behavioral contracts. As for the self-management skills, regular and repetitive daily behaviors with a high probability to perform everyday were selected among the daily life skills required for individual students. In particular, factors related to self-management competency were considered in the whole process starting from selecting target behavior to writing the behavioral contracts, implementing the behavioral contracts, and ending the behavioral contracts. The experiments of student A and student B were conducted at school and at home, respectively, and functional relation was demonstrated by applying a reversal design. As a result of visual analysis, the applied behavior analysis-based behavioral contracts wer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self-management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effects of intervention observed in school were maintained afterwards, and the effects of intervention at home were also generalized in the school environment. Discussion and suggestions for the overall study have been described.

      •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살펴본 장애학생 원격수업에 관한 사회적 인식과 지원요구

        강영모(Kang, Youngmo),손승현(Son, Seung Hyun) 한국교통대학교 미래교육통합연구소 2022 미래교육통합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장애학생의 수업권을 보장할 수 있는 지원요구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빅데이터 분석과 텍스트마이닝 방법을 활용하여 장애학생의 원격수업에 관한 사회적 인식을 분석하였다. 국내에서 코로나19가 첫 번째로 대유행했던 시점인 2020년 2월 29일을 기준으로 직전 10개월과 직후 10개월 간의 웹문서 총 4,343건을 수집하여 단어빈도 분석, N-gram 분석, 연결중심성 분석, 의미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장애학생 원격수업의 주요 단어는 온라인개학(8위), 기술적제한(12위), 특수학교(16위), 등교수업(17위), 온라인클래스(19위)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결중심성이 높은 단어는 학습, 교육부, 온라인개학, 기술적제한, 등교수업 등으로 나타났다. 대면수업이 어려운 장애학생의 원격수업에 관한 지원요구를 수렴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upport requirements for ensuring the teaching righ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under the COVID-19. This article examined the social understanding of online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using big data analysis and text mining approaches. A total of 4,343 network documents were gathered throughout the preceding 10 months and 10 months following COVID-19’s initial pandemic time on February 29, 2020. The researchers conducted term frequency analysis, N-gram analysis, degree centrality analysis,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online School opening (No. 8), Technical limits (No. 12), Special school (No. 16), School attendance (No. 17), and Online classroom (No. 19) are the most commonly used terms in online lear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Learning, Ministry of Education, Online School, Technical limits, and School Teaching are also some of the terms having a high relationship centrality simultaneously. These findings may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gathering requests for assistance from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특수학교의 긍정적 행동중재와 지원(PBIS)에 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지원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중심으로

        강영모 ( Kang Youngmo ),손승현 ( Son Seung Hyun ),정광조 ( Jung Kwang Jo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2 No.4

        [목적] 본 연구는 특수학교에서 실행하는 긍정적 행동중재와 지원(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and supports, PBIS)에 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지원요구를 알아보았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 9명이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를 진행하였다. FGI는 실시간 온라인 화상회의 플랫폼인 ZOOM을 활용하여 약 2시간 동안 진행하였으며 인터뷰 내용은 녹화한 뒤 전사하였다. 자료는 질적연구 방법 중에서 주제 분석(thematic analysis) 방법을 사용하여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결과] 교사의 역량, 학부모 협력, 학교 시스템, 제도적 지원이라는 4개의 영역과, 9개의 범주, 22개의 세부내용이 도출되었다. 세부내용은 특수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과 그에 따른 지원요구를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결론] 학교 차원의 PBIS는 특수교사의 수용적인 자세, 학부모의 협력적인 태도, 학교 관리자의 협조와 시스템 구축, 정책과 제도의 지원이 뒷받침된다면 더욱 충실하고 의미 있게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and supports (PBIS) in special schools.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nin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at a special school in Seoul. A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with these participants. The FGI was carried out for approximately two hours on Zoom, recorded, and transcrib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Results] Four domains, “Teacher competency,” “Parental cooperation,” “School system,” and “Policy and institution,” as well as nine categories and 22 meaning units were derived through thematic analysis. The detailed contents were described, focusing on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support requests they have made due to unexpected situations. [Conclusion] School-wide PBIS could be implemented faithfully and meaningfully with the teachers’ receptive attitude, parental cooperation, collaboration among school administrators, and a supportive system.

      • KCI등재

        공정기반 산업의 프로세스 인프라 역량 평가 방법 제안 및 적용

        강영모(Youngmo Kang),임병혁(Byeonghyeok Im),윤병운(Byungun Yoon),이성주(Sungjoo Lee)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12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Vol.35 No.1

        Recently, as organizational systems have become larger and more complicated, the evaluation for their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has become more difficult but important.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current strength and weakness of the organizational process. It can be a starting point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the organizational systems, because the quality of system outputs depend greatly on the capability of system process. Particularly in such process-based industries as semiconductor, energy or software industries, an assessment of process capability is more highlighted to gain knowledge of the expected quality and reliability of system outputs. As a result, much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issues of process capability assessment in the process-based industries. However,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 in those industries is based on case studies, a more generalized method for process capability assessment is in need for help more companies improve their process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process capability assessment method and apply the proposed method to an energy company. This research argues that the process capability is composed of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capabilities of the process. Then, the concept of 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which was initially suggested to evaluate the software development process, was introduced to develop the assessment tools and process. Finally, the proposed method was applied to a Korean company in the energy industry sector to verify its utility. The research outputs are expected to help more firms assess their process capability and ultimately improve the process.

      • 교통 상황 감시 시스템을 위한 미들웨어 인터페이스의 설계 및 구현

        강영모(Youngmo Kang),김재영(Jaeyoung Kim),낭종호(Jongho Nang) 한국정보과학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1

        교통 상황 감시 시스템은 감시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입력으로 받아 도로 상의 자동차를 탐지, 추출, 추적 및 인식하고 그것으로부터 고급 수준의 정보 즉, 특정한 이벤트를 탐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감시 시스템들은 불법주차나 교통 상황 분석과 같은 특정 목적만을 위해 설계되었기 때문에, 확장성이나 호환성이 고려되지 않고 설계 및 구현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존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효율적인 시스템의 설계를 위하여, 교통 상황 감시 시스템에 대한 총 5 계층의 미들웨어를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하는 미들웨어를 구성하기 위해서 총 45개의 인터페이스를 직접 구현하였고, 이를 통해 기존 시스템의 문제점인 확장성과 호환성을 해결하였다.

      • KCI등재

        서비스 유형별 혁신활동의 특성 연구

        강영모(Youngmo Kang),조찬우(Chanwoo Cho),이성주(Sungjoo Lee) 한국기술혁신학회 2013 기술혁신학회지 Vol.16 No.3

        지난 수년간 서비스 산업은 빠르게 성장해 왔으며, 현재도 그 성장가능성이 매우 높다. 때문에 서비스 산업의 생산성 및 혁신활동이 국가경제발전의 중요한 요소로 관심을 받기 시작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조분야에서의 혁신과 관련된 연구들은 활발히 이루어진 것과 달리, 서비스 산업에서의 혁신활동의 특성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특히, 서비스 혁신은 서비스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비스 유형별 혁신활동의 특성을 비교 및 분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의 기술혁신조사(KIS) 서비스업 분야 데이터를 활용한다. 둘째, 서비스의 고객화 정도와 설비의 중요도를 기준으로 서비스의 유형화를 수행한다. 셋째, 각 서비스 유형별 혁신활동의 특성을 혁신활동의 투입, 프로세스, 산출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연구 결과, 각 서비스 유형은 고유의 혁신활동 패턴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서비스 유형의 특성에 대한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분야에서의 혁신활동에 대한 추후 연구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ver the last several decades, the service sector has experienced the rapid growth and will continue to grow in importance, stature and job creation potential. Productivity and innovation activities in the service sector have come under the spotlight as an important element of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Despite the spotlight, however, not many studies hav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innovation activities in the service sector, compared to the rich literature on the innovation in the manufacturing sector. One of the distinguishing features of service innovation is that innovation activities differ markedly across services. Therefore, this research purpose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ervice innovation focusing on the differences across service types. Here, we restrict our focus to technical innovation such as product and process innovation.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on, firstly, the KIS (Korea Innovation Survey) dataset in the service sector was adopted, which includes information about patterns of innovation in the Korean firms that provide service offerings. Then, service typology was developed by two criteria - customize-based and facility-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ervice innovation activities will vary according the these two criteria; the classifies services into four groups the patterns of innovation activities were analyzed with respect to innovation inputs, process, and outputs.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each service group has its own patterns of innovation activities, providing valuable information about the state of affairs in service innovation, thereby are expected to help further study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y in the service sector.

      • KCI등재

        기능적의사소통 중심의 긍정적행동지원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문제행동과 일상생활기술에 미치는 효과

        강영모(Kang, Youngmo),박주훈(Park, Ju Hoon),김향은(Kim, Hyang Eun),손승현(Son, Seung Hyun)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4 특수교육논총 Vol.40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기능적의사소통 중심의 긍정적행동지원(Positive Behavior Supports, PBS)이 지적장애 학생의 문제행동과 일상생활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특수학교의 고등과정 1학년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학생 1명이다. 이 학생의 문제행동은 수업 중에 얼굴을 감싸거나, 주위에 있는 물건을 던지거나, 바닥에 앉아서 울면서 소리 지르는 등의 수업 참여 거부 행동이었으며, 일상생활기술은 점심식사 직후에 식판을 정리하는 행동, 교실 개수대에서 양치하는 행동, 특별실 이동 시 자신의 소지품을 드는 행동 세 가지였다. 중재는 배경사건 및 선행사건 중재 전략, 대체기술 교수 전략, 후속결과 중재 전략을 종합적으로 구성한 PBS였으며, 그중 기능적의사소통을 통한 문제행동 예방에 비중을 두었다. 실험은 BAB 반전설계를 사용하여 진행되었다. 자료는 동영상을 관찰한 뒤 문제행동의 발생률을 산출하는 방식과, 교사의 관찰기록을 검토하여 일상생활기술의 수행률을 산출하는 방식으로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지적장애 학생의 문제행동은 기능적의사소통 중심의 PBS를 통해서 감소되었으며, 그 효과는 중재 종료 이후에도 유지되었다. 둘째, 지적장애 학생의 일상생활기술은 기능적의사소통을 사용한 이후 독립수행의 비율이 증가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지적장애 학생들이 수업 중에 보일 수 있는 문제행동을 개선하고 일상생활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functional communication-focused positive behavior supports (PBS) on the problem behaviors and daily living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ethod: The participant was a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enrolled in their first year of high school at a special school. The problem behaviors included refusal to participate in class, such as covering one’s face, throwing objects around, sitting on the floor crying, and screaming during class. The daily living skills included clearing one’s plates after lunch, brushing one’s teeth in the homeroom, and carrying one’s belongings to the classroom. The intervention was a PBS comprising strategies on setting events, antecedents and consequence, along with alternative skills teaching, with an emphasis on preventing problem behaviors through functional communicatio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a BAB reversal design. The data were collected by observing videos, calculating the incidence of problem behaviors and performance of daily living skills, and reviewing teachers’ observation records. Results: First, the problem behaviors of a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reduced through functional communication-focused PBS, and the effects were maintained even after the intervention ended. Second, the independent performance of the daily living skills of a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creased after using functional communica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reducing problem behaviors and improving the daily living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have communication difficul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