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연 골형성술을 이용한 제4 중족골 단축증의 치료결과

        강신욱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Purpose: Brachymetatarsia is a relatively rare disease that can be diagnosed when there is a shortening of more than 5 mm from adjacent metatarsal bones. It may cause cosmetic complaints and functional disord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radiologic and clinical results after distraction osteogenesis using external fixator for fourth brachymetatarsia. Materials and Methods: From September 2005 to January 2018, 45 cases of brachymetatarsia who underwent distraction osteogenesis using external fixator and followed up for at least 6 months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At the final follow-up, the application time of the external fixator was measured and the percentage of lengthening, healing index, complication, and the patients satisfaction was analyzed. The patients satisfaction was evaluated using the American Orthop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scores, which were scored according to the level of stiffness, pain, function, and alignment. Results: The average gain in length and the percentage increase in the fourth metatarsals were 13.7 mm and 129.9%,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4.2 months after removal of the external fixator. Bony union was obtained in the metatarsal bones of almost cases except 1 case of nonunion. According to the AOFAS score, 39 cases were excellent and 6 cases were good at the final follow-up. The patient showed satisfactory cosmetic and functional results. Complications were pin site infections in 3 cases, all improved by oral antibiotic administration and dressing for about 2 weeks. Decreased sensation of distal phalanx was occurred 1 case and there is a 1 nonunion case and we performed revision with autogenous bone graft. In one case metatarsal joint subluxation occurred due to angular deformity, so corrective osteotomy was performed. Conclusion: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after distraction osteoplasty using external fixation for the treatment of the fourth brachymetatarsia.

      • 공중풍력용 고효율 수직축 풍력터빈의 설계 및 성능해석

        강신욱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method with 6-DOF motion was applied to design and to conduct performance analysis of vertical axis wind turbine (VAWT) models for an airborne wind turbine (AWT). SST k-ω turbulence model was used to accurately predict the effect of flow viscosity around the designed VAWT and the wall y+ value was set to be less than 1.0 by adjusting the boundary layer grid distribution. Two and three dimensional CFD analyses haven been conducted to effectively predict the performance of designed VAWT models. Various VAWT design concept were numerically tested and evaluated for future AWT applications. In the present study, aerodynamic performance, dynamic stability considering the effects of 6-DOF motion and elastic support cable were simultaneously considered. Coupled CFD and multibody dynamics (MBD) approach is applied based on the overset grid method. The results for various design concepts of VAWT models were presented and compared each other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to find proper candidates of VAWT for AWT application. In addition, coupled analysis results were presented to demonstrate the performance and stability of a designed AWT model.

      • 단위구면에 내접하는 사면체의 수심에 관한 연구

        강신욱 조선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the orthocenter or the monge point on a tetrahedron inscribed to a unit sphere. If the orthocenter is on a tetrahedron inscribed to a unit sphere, I examine the position where it is. If not, I attempt to solve this problem by employing the monge point instead and reveal the position where the monge point is.

      • 레이저 센서와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이동로봇의 강인한 위치 추정 및 지도 작성

        강신욱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We propose a robust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SLAM) approach for a mobile robot navigation using fused data obtained by laser sensor and ultrasonic sensor. To solve robot navigation problem under poorly structured and uneven environments, combining measurements from a laser range finder with measurements from sonar sensors can be effectively used with less computational costscomparing with the approach based on laser sensor. These results are of fundamental importance because the implementation of the algorithm is robust and enhances the accuracy of data on its environment. We have developed a laser scanner based SLAM, specifically addressing the divergence problem of the classical extended Kalman filters (EKF) based SLAM algorithm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ystem can be effectively used for robot navigation under indoor environment. ‘동시적 위치 추정 및 지도 작성(SLAM,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이란, 로봇이 미지의 환경을 돌아다니면서 로봇에 부착되어 있는 센서만으로 외부의 도움 없이 정확한 지도를 작성하는 알고리즘[1]으로서, 지도를 작성한다는 말은 로봇이 미지의 환경 정보를 인식하여 자신의 위치를 파악함과 동시에 환경 정보 또는 환경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파악한다는 의미이다. 이 알고리즘은 자율 주행 로봇이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기본적인 기술이지만, 로봇의 위치는 환경 지도에 의해 추정되고, 환경 지도는 반대로 로봇의 위치 정보에 의해 추정되어지는 관계에 놓여 있기 때문에 지난 몇 십년간의 연구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사항이다. SLAM 알고리즘은 주로 닭과 계란에 비유되는데, 로봇의 위치와 환경 정보 관계가 불가분 분리될 수 없으면서 동시에 회귀적 연관성을 갖은 두 사안이 서로 얽혀 있기 때문이다. 실제 로봇의 주행 상황에서는 환경 지도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로봇의 위치 추정에 오차가 발생하고, 동시에 로봇으로 입력되는 센서값의 오차로 인한 부정확한 로봇 위치 정보가 다시금 환경 지도의 부정확성으로 이어져 지속적으로 누적된다. 이러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여러 가지 센서를 장착하게 되는데 대표적으로 엔코더, 자이로 센서, 지자계 센서, 레이저 센서,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비전 센서 등이 쓰이고 있다. 이들 센서는 각각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로봇의 임무 및 목적에 따라서 선별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로봇 구동 시 사용하는 모터에 거의 대부분 장착되어 있는 엔코더는 모터의 이동거리를 어느 정도 알려 주지만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하여 많은 오차를 포함하고 있어서 주로 다른 센서 정보와의 융합(Fusion)을 통한 개선을 시도하고 있다. 기존의 SLAM 알고리즘에는 Durrant-Whyte 등이 제안한 확장칼만필터(EKF, Extended Kalman Filter)를 이용한 SLAM 알고리즘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2]. 확장칼만필터 기법은 기존의 추정 알고리즘인 칼만필터(KF, Kalman Filter)에서 로봇 움직임(Motion)의 비선형적 특성을 고려하여 선형화 기법을 추가한 방식이다. 로봇 움직임의 비선형적인 특성은 해당 특성에 대한 자코비안(Jacobian)을 이용하여 선형화시키고 이를 기존의 칼만필터의 처리과정에 이용한다. 또한 다른 종류의 센서를 융합하기 위해서 각 센서의 불확실성에 대한 가중치(Weight)를 두어 엔코더 오차를 보정하고 있다. 하지만 확장칼만필터 기법은 랜드마크(Landmark)라는 자연 표식(Natural feature) 또는 인공 표식(Artificial feature)이 있어야 하고, 표식 인지를 위한 또 하나의 인식 알고리즘이 필요로 한다. 확장칼만필터 기법은 표식의 수가 연산량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어서 복잡성을 가진 환경이나 큰 규모를 갖는 공간에서의 SLAM에서는 연산량의 증가와 처리속도의 문제가 발생된다. SLAM 알고리즘을 수행할 때, 표식 수의 수를 이라고 한다면, 연산량은 으로서 지수적인 증가를 가져오게 되어 연산과정 및 처리속도라는 문제점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확장칼만필터 기법을 문제점을 탈피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적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파티클 필터(Particle Filter)와 확장칼만필터를 함께 사용하는 Fast SLAM이 제안되었다[3][4][5]. Fast SLAM에서는 로봇의 위치 추정(Localization)은 파티클 필터를 사용하고, 환경 지도 정보를 얻을 때(Mapping)에는 확장칼만필터를 사용한다. 파티클 필터는 맵에 무수히 많은 가상의 입자(Particle)를 뿌려 샘플을 채취하고, 이 샘플들에 대해 최적의 추정 성능을 가진 칼만필터를 적용함으로써 비선형적인 로봇의 움직임을 실제에 가깝게 설계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Fast SLAM은 표식 수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연산량을 의 차원으로 기존의 보다 줄일 수 있는 강점을 갖게 된다. 또한 지도 전체에 대해서 위치 추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Kidnap과 같은 문제점에도 강점을 가진다. 하지만 Fast SLAM은 전체 맵의 상관관계를 가진 확장칼만필터 기법과는 달리 각각의 표식을 독립적으로 보기 때문에 전체 환경 지도 작성이 완료된 후의 정보는 어느 정도를 오차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근래 가장 많이 쓰이는 센서인 레이저 센서와 초음파 센서의 융합을 통하여 기존의 확장 칼만필터 알고리즘이 갖는 복잡한 환경의 SLAM의 단점을 효과적으로 극복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 치매환자 작업치료의 중재 유형에 대한 주관성 연구

        강신욱 강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치매 작업치료 중재 유형에 관한 작업치료사들의 주관성을 유형화하고, 구조화된 유형별 특성을 기술하며 분석하기 위해 Q-방법론을 사용하였다. 경남, 강원, 경북지역에 소재한 6개의 대학병원과 요양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Q-모집단은 15명으로 심층면담과 문헌고찰을 통해 형성되었으며 최종적으로 29문항의 진술문이 선택되었다. P-모집단은 54명으로 현재 작업치료사로 근무하고 있었다. 수집된 자료는 PC QUAN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P-표본을 축으로 하는 요인분석 결과 작업치료사들의 치매 치료에 대한 유형은 4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4개의 요인은 전체 변량의 54.66%를 설명하고 있으며, 각 요인별 설명력은 요인Ⅰ이 28.05%, 요인Ⅱ 에서는 10.12%, 요인Ⅲ 이 8.68%, 요인Ⅳ 가 7.80% 로 나타났다. 유형 Ⅰ은 기본 활동 유지 중재형으로 치매 환자가 기본적인 활동을 유지하면서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중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유형이며 유형 Ⅱ는 대상자 중심 중재형으로 대상자에게 익숙하고 필요한 중재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유형이다. 유형 Ⅲ은 근거·인지 중심 중재형으로 치매환자의 인지나 기억력에 대한 중재를 제공해야 한다는 유형으로 작업치료에 대한 근거가 제공되어야 한다는 유형이다. 유형 Ⅳ는 의존도 감소 중재형으로 치매환자를 단순한 보호만 하는 것이 아니고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유형이다. 치매 작업치료에 대해 작업치료사들은 상이한 의견을 나타내고 있었으나 공통적으로 치매환자들을 존중하고 그들이 만족감과 행복감을 느끼면서 살아가도록 하는 것과 일상생활에 중점을 두는 중재가 필요하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반면, 작업치료를 통해 인지기능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는 부분은 유형에 따라 다른 의견을 나타내고 있었다. 따라서 치매환자가 쉽게 참여할 수 있는 작업치료 중재 프로그램의 계발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기반으로 치매 환자의 작업치료 유형별 적용에 대한 연구와 실험을 통해 적절한 근거가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